KR102234988B1 -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88B1
KR102234988B1 KR1020190120371A KR20190120371A KR102234988B1 KR 102234988 B1 KR102234988 B1 KR 102234988B1 KR 1020190120371 A KR1020190120371 A KR 1020190120371A KR 20190120371 A KR20190120371 A KR 20190120371A KR 102234988 B1 KR102234988 B1 KR 10223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leaning
defect
cleaner body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2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클리너 몸체와, 상기 클리너 몸체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세정부재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는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의 표면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Multi-purpose cleaning apparatus of the roll and cleaning methods of the same}
본 발명은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대한 것으로, 압연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 롤을 결함측정 장치와 연계하고 감지된 롤 표면의 결함 또는 오염에 따라 다양한 세정모드를 선택하여 롤을 세정할 수 있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소재의 롤을 통하여 통판을 진행하는 압연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 롤에 부착되는 이물질이나 결함을 제거하고 롤의 청결을 확보하기 위해 롤 세정장비를 개발 및 응용하고 있다.
특히, 표면처리 제품을 생산하는 용융도금 또는 전기도금 라인에서는 도 1의 종래의 닥터블레이드와 롤을 나타낸 사진과 같이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장치(D)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소재 또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롤(R) 표면과 플라스틱 또는 스틸 재질의 블레이드 면이 접촉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닥터 블레이드와 같은 롤 세정장치는 설치된 후 세정공정 중 교체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이물질의 종류 및 상황에 따른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재질 또는 종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교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금공정 중 아연 칩과 같은 이물질이 폴레우레탄 소재의 롤에 부착된 경우, 일반적인 연질 블레이드로는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공정 라인을 중지한 후 작업자가 수시로 롤 세정장치의 블레이드를 교체하거나, 수작업으로 순수를 분사한 후 치공구를 이용한 제거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특정의 경질 블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롤의 손상을 일으켜 제품의 표면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롤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장비의 가동 중 세정장치의 블레이드를 교체하는 것 또한 작업자의 안정성에 위험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620420호(2016.05.04. 등록) 2. 한국등록특허 제10-1015832호(2011.02.11.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이나 결함에 따라서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의 적절한 세정모드를 선택하여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설정된 세정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부재가 선택되어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정라인의 롤의 결함 촬영장치와 연계하여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되고 분석된 오염 또는 결함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모드가 설정되어 실시간 대응을 할 수 있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리너 몸체와, 상기 클리너 몸체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세정부재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는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의 표면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클리너 몸체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클리너 몸체의 회전축과 평행한 홈 또는 슬릿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클리너 케이스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는 상기 홈 또는 슬릿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정부재는 연질 나이프, 경질 나이프, 기체노즐, 고압수노즐 또는 펠트 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를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하거나 이격하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롤의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된 상기 롤의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세정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부재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되, 선택된 세정부재 각각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롤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이용한 롤의 다목적 세정방법에 있어서, 공정 라인의 결함 촬영장치로 롤의 외측면의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재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가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의 표면이 세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은 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이나 결함에 따라서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의 적절한 세정모드를 선택하여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세정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부재가 선택되어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공정라인의 롤의 결함 촬영장치와 연계하여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되고 분석된 오염 또는 결함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모드가 설정되어 실시간 대응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닥터블레이드와 롤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세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세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과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세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세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과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100)는 클리너 몸체(110)와, 상기 클리너 몸체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세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100)는 복수의 세정모드가 기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세정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11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13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130)는 롤(R)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R)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R)의 표면이 세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정부재(130)는 경질 나이프(131), 연질 나이프(133), 고압수노즐(135), 펠트패드(137) 또는 기체노즐(139)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모드는 연질 나이프(133) 또는 경질 나이프(131)를 이용한 오염 제거모드, 고압수노즐(135)의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표면 세척모드, 펠트패드(137)를 이용한 폴리시(polish)모드, 기체노즐(139)의 기체분사를 이용한 건조모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 경질 나이프(131) 또는 연질 나이프(133)를 이용한 1차의 오염제거공정 이후 고압수분사, 기체분사, 펠트패드를 이용한 2차의 결함방지공정을 수행하는 다단계 세정공정이 결합된 세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회전식 클리너 몸체(110)에 구비되는 연질 나이프(133), 경질 나이프(131), 고압수노즐(135), 기체노즐(139), 펠트 패드(137)등의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세정부재(130)가 터렛방식으로 회전하여 세정장치에 자동으로 장착됨으로 인해 다양한 세정모드를 구비하는 다목적 세정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세정부재(130)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경질 또는 연질 나이프로 인한 1차 오염제거 후 제거된 오염물질이 고압수분사 또는 기체분사를 통하여 롤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롤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부재(130)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롤(R)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되, 선택된 세정부재 각각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롤(R)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롤의 강종이나 롤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에 따라 일단계 또는 다단계의 세정모드를 선택하고, 각각의 세정부재가 장착되는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세정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경질 나이프 모드 30초로 오염 제거, 2단계 고압수 모드로 10초간 표면 세정, 3단계 펠트패드 폴리시 모드로 10초간 표면 연마, 4단계 기체분사 모드로 10초간 건조 등의 다단계의 세정모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세정부재가 장착되어 롤의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100)는 상기 클리너 몸체(110)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클리너 몸체(110)의 회전축과 평행한 홈 또는 슬릿(160h)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클리너 케이스(160)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130)는 도 4b와 같이 상기 홈 또는 슬릿(160h)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롤(R)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가 오염을 제거하거나 결함을 방지하는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세정부재는 탈락된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지 않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클리너 몸체(110)와 상기 클리너 케이스(160)는 동축을 유지하고,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130)만 상기 홈 또는 슬릿(160h)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130)를 상기 롤(R)의 외측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하거나 이격하기 위한 구동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40)는 상기 클리너 몸체(110)의 회전축(120)과 연결되어 선택된 세정부재(130)를 위치시키는 구동모터(142)와 상기 세정부재(130)를 상하로 이동시켜 선택된 세정부재(130)를 상기 롤(R)의 외측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하거나 이격하는 위치조절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144)는 세정부재(130)의 균일한 밀착을 위해 제 1 위치조절부(144a) 및 제 2 위치조절부(144b)를 구비하여 세정부재(130)의 전면에 일정한 압력을 부여하여 롤(R)을 세정할 수 있으며, 세정 후 세정부재(13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위치조절부(144)는 좌우 동일한 압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동부재(140)는 제 1 위치조절부(144a) 및 제 2 위치조절부(144b)의 동일한 높이 조절을 위한 수평조절구(146)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조절부(144)와 수평조절구(146)는 베벨 기어로 서로 연동되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40)는 클리너 케이스(160) 내부에서 홈 또는 슬릿(160h)을 통한 세정부재의 돌출을 위해 클리너 몸체(110)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세정부재(130) 각각에 연결되어 세정모드 선택 시 일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롤의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된 상기 롤의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세정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R)을 포함하는 제조 설비에 구비되는 롤의 결함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제조설비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결함 영상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조설비 시스템의 서버(10)에 이물 또는 결함의 수, 단순이물이나 점성유무와 같은 특성, 위치, 지름 또는 높이와 같은 크기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함의 정보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제어부재(150)에 수신되고, 제어부재(150)는 해당하는 이물 또는 결함의 특성과 매칭하여 그를 제거하기 위한 특정의 세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세정부재(130)는 자동으로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과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로써,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공정 라인의 결함 촬영장치로 롤의 외측면의 상태를 인식한다(S110).
다음으로 롤의 결함 촬영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제조설비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결함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S120).
이 후 제조설비 시스템의 서버(10)는 이물 또는 결함의 분석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S130). 이물 또는 결함의 분석자료는 이물 또는 결함의 수, 단순이물, 이물의 점성유무, 이물 또는 결함의 위치, 지름 또는 높이와 같은 크기 등의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식된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재(15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S140). 즉, 상기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의 제어부재(150)에 수신되고, 제어부재(150)는 해당하는 이물 또는 결함의 특성과 매칭하여 그를 제거하기 위한 특정의 세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11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13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130)가 상기 롤(R)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상기 세정모드는 연질 나이프(133) 또는 경질 나이프(131)를 이용한 오염 제거모드, 고압수노즐(135)의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표면 세척모드, 펠트패드(137)를 이용한 폴리시(polish)모드, 기체노즐(139)의 기체분사를 이용한 건조모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 경질 나이프(131) 또는 연질 나이프(133)를 이용한 1차의 오염제거공정 이후 고압수분사, 기체분사, 펠트패드를 이용한 2차의 결함방지공정을 수행하는 다단계 세정공정이 결합된 세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부재(140)를 통하여 상기 세정부재(130)가 롤에 밀착되고, 롤(R)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R)의 표면이 세정될 수 있다(S16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은 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이나 결함에 따라서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의 적절한 세정모드를 선택하여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세정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부재가 선택되어 롤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공정라인의 롤의 결함 촬영장치와 연계하여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되고 분석된 오염 또는 결함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모드가 설정되어 실시간 대응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110; 클리너 몸체
120; 회전축
130; 세정부재
140; 구동부재
150; 제어부재
160; 클리너 케이스

Claims (7)

  1. 클리너 몸체와, 상기 클리너 몸체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세정부재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는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의 표면이 세정되고,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클리너 몸체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클리너 몸체의 회전축과 평행한 홈 또는 슬릿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클리너 케이스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세정부재는 상기 홈 또는 슬릿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세정부재는 경질 나이프, 연질 나이프, 고압수노즐, 펠트 패드 또는 기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롤의 결함 촬영장치에 인식된 상기 롤의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세정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를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하거나 이격하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는,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세정부재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되, 선택된 세정부재 각각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롤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7. 제 1항, 제 4항, 제 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를 이용한 롤의 다목적 세정방법에 있어서,
    공정 라인의 결함 촬영장치로 롤의 외측면의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재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결함 또는 오염의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세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세정모드에 따라 상기 클리너 몸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세정부재가 상기 롤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롤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의 표면이 세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다목적 세정방법.
KR1020190120371A 2019-09-30 2019-09-30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KR10223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71A KR102234988B1 (ko) 2019-09-30 2019-09-30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71A KR102234988B1 (ko) 2019-09-30 2019-09-30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88B1 true KR102234988B1 (ko) 2021-03-31

Family

ID=7523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71A KR102234988B1 (ko) 2019-09-30 2019-09-30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05A1 (ko) * 2021-09-15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롤 세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902B1 (en) * 1997-11-14 2001-06-26 Fort James Corporation Embossing roll cleaning apparatus
KR20110002543A (ko) * 2009-07-02 2011-01-10 (주)피에이치케이시스템 세척액 분사장치
KR101015832B1 (ko) 2010-10-15 2011-02-23 광진실업 주식회사 형상교정롤의 표면 클리너장치
KR101620420B1 (ko) 2014-09-16 2016-05-12 주식회사 포스코 롤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902B1 (en) * 1997-11-14 2001-06-26 Fort James Corporation Embossing roll cleaning apparatus
KR20110002543A (ko) * 2009-07-02 2011-01-10 (주)피에이치케이시스템 세척액 분사장치
KR101015832B1 (ko) 2010-10-15 2011-02-23 광진실업 주식회사 형상교정롤의 표면 클리너장치
KR101620420B1 (ko) 2014-09-16 2016-05-12 주식회사 포스코 롤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05A1 (ko) * 2021-09-15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롤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696B2 (en) Method of detecting clogging of chuck table and processing apparatus
EP0754525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essing polishing cloth
DE112017005747T5 (de) Waferkantenpoliervorrichtung und -verfahren
KR102234988B1 (ko) 롤의 다목적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정방법
JP6618724B2 (ja) 工作機械、ワーク清掃方法
CN105758866A (zh) 一种渗透探伤工艺
EP129756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anschliessendem bonden von substraten
KR20110031108A (ko) 웨이퍼 연마 장치 및 웨이퍼의 제조 방법
JP2003077987A (ja) 基板保持ステージ清掃装置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20200132699A (ko) 연삭 장치
DE102005024502B4 (de) Druckmaschine, insbesondere Bogendruckmaschine
TWI485036B (zh) 研磨裝置
KR102375967B1 (ko) 드라이아이스 세척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DE102007060467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optischen Linse
EP0134790B1 (fr) Perfectionnements aux procedes de conditionnement des produits metalliques
JPH03239469A (ja) 研削加工装置
CN115183703A (zh) 用于不锈钢管口光滑鉴定的影像数据处理系统
DE102005007356A1 (de) Entfernen von eingebetteten Partikeln während eines chemisch-mechanischen Polierens
US20190178776A1 (en) Blank washer inspection system
KR20220111417A (ko) 연삭 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E102021206551A1 (de) Wafer-reinigungsvorrichtung
KR101572131B1 (ko) 피혁도장장치의 라인컨베이어 세척장치
KR20180071079A (ko) 프라이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노즐 관리 장치
CN109352494B (zh) 涂装自动抛光一体机
JPH0483161A (ja) 金属組織自動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