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18B1 -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18B1
KR102234418B1 KR1020190142902A KR20190142902A KR102234418B1 KR 102234418 B1 KR102234418 B1 KR 102234418B1 KR 1020190142902 A KR1020190142902 A KR 1020190142902A KR 20190142902 A KR20190142902 A KR 20190142902A KR 102234418 B1 KR102234418 B1 KR 10223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network
mode
terminal
switching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우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 및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복수의 단말 외의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NETWORK APPARATU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로 인해 IP(Internet Protocol) 통신망은 성능과 서비스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발달하고 있고, 그에 따른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는, 예를 들어 IP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전달이 있다. 이러한 IP 통신망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달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지원되며,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다양한 음성 신호 전달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VoIP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 디지털 패킷(digital packet)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이를 다른 말로 인터넷 전화라고 부르며, IP 텔레포니(telephony) 또는 인터넷 텔레포니라고도 한다.
종래의 VoIP 단말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랜 포트(LAN port)만을 사용하여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와 같은 서버에 연결된다. 이 경우, 발신 측의 VoIP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서버로부터 수신 측의 VoIP 단말에 대한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통화가 연결된다.
그러나, VoIP 단말이 이와 같이 하나의 랜 포트만을 사용하여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연결되는 경우 랜 포트의 고장 등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시스템의 운용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통신 단절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전술 정보 통신망(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에서 이와 같이 운용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매우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운용 중에는 네트워크에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킬 필요가 있는데, 전술 정보 통신망의 경우 일반적으로 각 장비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바 추가적인 단말이 서버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경우 네트워크에 이를 가입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10-2003-0009956 A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 단절을 최소화하고, 용이한 확장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 및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복수의 단말 외의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 및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다른 하나를 비활성화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모두 활성화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먼저 연결되거나,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동시에 연결되면, 상기 제1 포트만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먼저 연결되면, 상기 제2 포트만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된 포트의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지 않은 포트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스위칭 허브 또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모두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장비에는 상기 복수의 단말 외의 추가적인 단말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추가적인 단말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와 통신하고, 상기 스위칭 허브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장비는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전술 정보 통신망(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은 아날로그 전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용이한 확장성을 가지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네트워크 단말이 운용됨으로써 사용 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유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는 어느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통신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2 모드에서는 별도의 스위칭 허브를 구비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용이하게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면, 전술 정보 통신망 내에서 적절한 모드 선택에 의하여 네트워크의 운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모드에서 제1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모드에서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2 모드에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110) 및 상기 스위칭 허브(11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120)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120)은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복수의 단말 외의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110) 및,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11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120)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120)은 상기 제1 포트(121) 또는 제2 포트(122)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110) 및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11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120)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120)은 상기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다른 하나를 비활성화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모두 활성화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지는 장비일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후술할 스위칭 허브(110)에 직접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말이 제1 단말(10), 제2 단말(20), 제3 단말(30)의 3개로 마련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단말은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은 네트워크 단말(120)과 통신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각종 기기들을 의미한다. 단말은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 기기(handheld device)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아날로그(analog) 전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전화기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회선을 교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단말로 통칭하기로 한다.
스위칭 허브(110)는 복수 개의 단말, 예를 들어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제3 단말(30)이 집선되도록 연결한다. 즉, 스위칭 허브(110)는 제1 단말(10)의 회선, 제2 단말(20)의 회선 및 제3 단말(30)의 회선을 네트워크 단말(120)과 연결되는 중계선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 허브(110)와 관련하여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단말(120)은 스위칭 허브(110)와 다중으로 연결되어,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제3 단말(30)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즉,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는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로의 경로로 연결되어,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제3 단말(30)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전술 정보 통신망(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가 제1 경로(A)와 제2 경로(B)의 2개의 경로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를 연결하는 경로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단말(120)은 네트워크 내에서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제3 단말(30)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에 복수의 단말(10, 20, 30) 외의 추가적인 단말(도 4, 40)을 가입시켜 통신하기 위한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운용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이중화 모드, 제2 모드는 적층 구조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의 선택은 네트워크 단말(120)에 연결된 관리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리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제1 포트(121) 또는 제2 포트(122)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포트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모드는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모두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각 포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네트워크 단말가 운용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단말(120)는 적어도 하나가 스위칭 허브(110)와 연결되는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125) 및 상기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는 각각 별개의 경로, 즉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어느 하나는 제1 경로(A) 또는 제2 경로(B)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하고,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다른 하나는 후술할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제3 경로(C)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 또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와 네트워크 단말(120)은 각각 랜 케이블(LAN cable)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는 각각 RJ45 규격을 가지는 랜 포트(LAN port)일 수 있다. 한편,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은 반드시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에 의하여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광 케이블과 같은 추가 경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이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로 연결되는 경우,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은 다중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부(125)는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즉, 신호 처리부(125)는 IP 기반에서 호(call)의 처리 및 제어, 다이얼 플랜(dial plan) 등을 관리한다. 여기서, 호의 처리는 복수의 단말들이 IP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 사이에서 신호의 전달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호의 제어는 시그널링(signaling)을 제어하는 것으로, IP 통신 중에 호를 서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이얼 플랜은 네트워크 내에서 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신 경로를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위치부(124)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적어도 하나를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제1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포트(121) 또는 제2 포트(122)를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하고, 사용자로부터 제2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모두를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각각 네트워크 단말(120)이 운용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 모드에서 제1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제1 모드에서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제2 모드에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모드는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가 각각 별개의 경로, 즉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하며, 이에 의하여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은 다중으로 연결된다. 제1 모드에서는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 중 어느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면,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 중 다른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 중 어느 하나는 주경로(primary link)를 이루고, 제1 경로(A) 및 제2 경로(B) 중 다른 하나는 보조경로(secondary link)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경로(A)가 주경로를 이루고 제2 경로(B)가 보조경로를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허브(110)과 네트워크 단말(120)는 제1 경로(A)와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로로 연결된다. 이때, 제1 모드에서는 주경로인 제1 경로(A)에 의하여만 통신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스위치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로(A)와 연결된 제1 포트(121)를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하고, 제2 경로(B)와 연결된 제2 포트(122)는 신호 처리부(125)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후, 제1 경로(A)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스위치부(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로(B)와 연결된 제2 포트(122)를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하고, 제1 경로(A)와 연결된 제1 포트(121)는 신호 처리부(125)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만약, 다시 제1 경로(A)에 의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스위치부(124)는 제2 포트(122)가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되고, 제1 포트(121)는 신호 처리부(125)와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제2 경로(B)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스위치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로(A)와 연결된 제1 포트(121)를 신호 처리부(125)에 다시 연결하고, 제2 경로(B)와 연결된 제2 포트(122)는 신호 처리부(125)와의 연결을 다시 해제함은 물론이다.
제1 경로(A)와 제2 경로(B)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부(124)의 구동에 의하여 제1 경로(A)와 제2 경로(B) 중 하나의 경로만을 활성화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제1 경로(A)와 제2 경로(B)가 모두 통신이 가능한데 연결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가 문제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었는데 제1 경로(A)만이 랜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2 경로(B)는 제1 경로(A)에 의한 통신이 수행된 이후에 연결되는 경우, 스위칭 허브(110)는 제1 포트(121)만을 신호 처리부(125)와 연결하고, 제2 포트(122)는 신호 처리부(125)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반대로,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었는데 제2 경로(B)만이 랜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 경로(A)는 제2 경로(B)에 의한 통신이 수행된 이후에 연결되는 경우, 스위칭 허브(110)는 제2 포트(122)만을 신호 처리부(125)와 연결하고, 제1 포트(121)는 신호 처리부(125)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경로(A)와 제2 경로(B)가 이미 연결된 후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등, 제1 경로(A)와 제2 경로(B)가 동시에 랜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주경로를 이루는 제1 경로(A)에 연결되는 제1 포트(121)만을 신호 처리부(125)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124)는 나중에 연결되는 경로가 주경로를 이루는 경우에도 먼저 연결된 경로에 의한 통신이 유지되도록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제2 모드는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어느 하나가 제1 경로(A) 또는 제2 경로(B)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하고, 제1 포트(121) 및 제2 포트(122) 중 다른 하나가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제3 경로(C)로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포트(121)가 제1 경로(A)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하고, 제2 포트(122)가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제3 경로(C)로 연결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2 포트(122)가 제2 경로(B)로 스위칭 허브(11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연결하고, 제1 포트(121)가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와 네트워크 단말(120)을 제3 경로(C)로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단말(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기존의 복수의 단말, 즉 제1 단말(10), 제2 단말(20), 제3 단말(30) 외의 추가적인 단말, 즉 제4 단말(40)을 가입시켜 제1 단말(10), 제2 단말(20), 제3 단말(30) 및 제4 단말(40)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포트(1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단말(120)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포트(122)에는 제4 단말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랜 케이블의 사용 길이는 한정(예를 들어 100m)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단말(40)이 네트워크 단말(120)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경우 제3 경로(C)를 분할하여 랜 케이블을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2 포트(122)에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가 연결되고, 제4 단말(40)이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가 하나만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는 제3 경로(C)를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고, 네트워크 단말(120)로부터 최후단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130)에 제4 단말(40)이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스위치부(124)는 제1 포트(121)와 제2 포트(122)를 모두 신호 처리부(125)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제3 단말(30)은 스위칭 허브(110)로부터 제1 경로(A)와 제2 경로(B)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경로(A)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12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4 단말(40)은 제3 경로(C) 및 제1 경로(A)에 의하여 스위칭 허브(11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4 단말(40)은 제3 경로(C), 스위치부(124) 및 제1 경로(A)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스위칭 허브(1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 단말(10), 제2 단말(20), 제3 단말(30) 및 제4 단말(40)이 모두 연결된 스위칭 허브(110)는 도 5에서 예를 들어 제1 경로(A)에 의하여 네트워크 단말(120)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모드 및 용이한 확장성을 가지는 제2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네트워크 단말가 운용됨으로써 사용 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유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는 어느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경로에 의하여 통신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통신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2 모드에서는 별도의 스위칭 허브를 구비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용이하게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면, 전술 정보 통신망 내에서 적절한 모드 선택에 의하여 네트워크의 운용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10: 스위칭 허브 120: 네트워크 단말
121: 제1 포트 122: 제2 포트
124: 스위치부 125: 신호 처리부
130: 네트워크 연결 장비

Claims (12)

  1.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스위칭 허브; 및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단말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외의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관리부; 및
    상기 관리부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는 모두 스위칭 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시켜,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스위칭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추가적인 단말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모두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시켜, 상기 네트워크에 상기 추가적인 단말을 가입시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먼저 연결되거나,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통해 동시에 연결되면, 상기 제1 포트만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허브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먼저 연결되면, 상기 제2 포트만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된 포트의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지 않은 포트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포트는 네트워크 연결 장비를 경유하여 상기 추가적인 단말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추가적인 단말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와 통신하고,
    상기 스위칭 허브는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장비는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전술 정보 통신망(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은 아날로그 전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190142902A 2019-11-08 2019-11-08 네트워크 장치 KR10223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02A KR102234418B1 (ko) 2019-11-08 2019-11-08 네트워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02A KR102234418B1 (ko) 2019-11-08 2019-11-08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18B1 true KR102234418B1 (ko) 2021-03-31

Family

ID=7523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902A KR102234418B1 (ko) 2019-11-08 2019-11-08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71A (ko) * 1999-07-15 2002-04-13 케네쓰 올센 보안 네트워크 스위치
KR20030009956A (ko) 2001-07-24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70045110A (ko) * 2015-10-16 2017-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형 보호 절체 도메인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982730B1 (ko) * 2011-09-22 201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71A (ko) * 1999-07-15 2002-04-13 케네쓰 올센 보안 네트워크 스위치
KR20030009956A (ko) 2001-07-24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1982730B1 (ko) * 2011-09-22 201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KR20170045110A (ko) * 2015-10-16 2017-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형 보호 절체 도메인 연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9612A (en) Integrated telephony and data services over cable networks
US9106452B2 (en) Cloud VoIP system with bypass for IP media
CA2581203C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e call appearance in distributed peer-to-peer network
JPH03265257A (ja) 交換システム
US20070071202A1 (en) Server apparatus
JP2022011542A (ja) 電話システム
KR102234418B1 (ko) 네트워크 장치
US8155292B2 (en) Telephone system and server apparatus
JP6052024B2 (ja) 多重化機能を有するip電話端末
US20080181388A1 (en) Telephone exchange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 in the system
CN101656798A (zh) 由pbx到备用pbx的中继线重路由
JPH03274953A (ja) 電話システム
JP7359681B2 (ja) 回線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70121888A1 (en) Server apparatus
US20080304473A1 (en) Enhanced terminal adapter
JP5322312B2 (ja) Pbx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2530643B1 (ko) 사설 pstn에서 2선 전화 신호의 이더넷 변환 장치 및 방법
JP4993699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の停電対応方法およびボタン電話システムの停電対応電話端末
CN100397840C (zh) 多网络连接装置及其提供语音业务的方法
JP4746483B2 (ja) 電話システム
US8630254B2 (en) Telephone line switching apparatus, telephone line switching system, telephone relay system, telephone relay method, telephone relay program
US20060002526A1 (en)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and switching network system
JP5979718B2 (ja) Ip−pbxにおける回線全話中状態からの発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S63222538A (ja) 情報通信ネツトワ−ク
JP2023009922A (ja) 交換機、電話交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