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682B1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682B1
KR102233682B1 KR1020200126494A KR20200126494A KR102233682B1 KR 102233682 B1 KR102233682 B1 KR 102233682B1 KR 1020200126494 A KR1020200126494 A KR 1020200126494A KR 20200126494 A KR20200126494 A KR 20200126494A KR 102233682 B1 KR102233682 B1 KR 10223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unit
artificial tooth
tooth root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20012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82B1/ko
Priority to PCT/KR2021/013086 priority patent/WO20220716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인공 치근의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일체형 단위 크라운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에 있어서 : 상기 크라운 보철물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단위 크라운과 제2단위 크라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은, 제1단위 크라운에 대응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제1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2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와 조립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1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아니한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DENTAL IMPLANT SYSTEM AND CROWN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되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어 하나의 크라운 보철물을 이루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식립하여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크라운, 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픽스츄어(fixture), 픽스츄어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 및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 치아로서의 크라운 또는 보철(prosthesis or crown)로 구성된다.
한편 현재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대부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분리되어 제작된 후 조립되는 분리형 임플란트이지만,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임플란트 또한 소량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및 이하에서 인공 치근이라 함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조립된 형태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포함하며, 이하 설명 및 도면에서는 단순히 인공 치근이라 표기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하나의 인공 치근에는 하나의 크라운이 치과용 시멘트에 의하여 접합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크라운의 하부에는 치근 삽입홈이 형성된다.
한편 치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식립될 경우,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하나의 크라운 보철물(이하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이라 한다.)을 이용한다.
즉 복수의 인공 치근이 하나의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하나의 인공 치근마다 각각의 크라운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방식에 비하여,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이 복수의 인공 치근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분산시키거나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매우 선호된다.
도 1은 두 개의 인공 치근(10)이 치조골(1)에 식립된 상태에서, 두 개의 단위 크라운(21)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하나의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20)이 인공 치근(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20)의 단위 크라운(21) 각각에는 대응되는 인공 치근(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치과용 시멘트 등에 의하여 접합되기 위한 치근 삽입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 1의 구조는 치과에서 소망하는 가장 이상적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이다.
한편 도 1에서 두 개의 치근 삽입홈(21a)의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치조골(1)에 식립되는 인공 치근(10)은 다른 인공 치근(10)과 평행하게 식립되기가 어렵다. 이는 치조골(1)의 상태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인공 치근(10)을 식립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과 의사의 시술과정에서 다른 인공 치근(10)과 완벽하게 평행한 상태로 인공 치근(10)을 식립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실제로는 도 2과 같이 두 개의 인공 치근(10)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식립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 2의 경우 두 개의 인공 치근(10)의 방향이 서로 달라 그 위에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20)을 설치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는 치근 삽입홈(21a)의 연장 방향과 두 개의 인공 치근(10)의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르다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치과 현장에서 일체용 인공 치근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용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조립된 형태의 조립형 인공 치근의 경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세균 내지 염증 발생이 높은 단점이 있는 반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인공 치근의 경우 조립형 인공 치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체용 인공 치근은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20)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일체형 인공 치근은 일체형 크라운 보철물을 이용할 수 없으며, 각각의 인공 치근마다 개별적으로 크라운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조립형 인공 치근은, 픽스츄어에 대하여 어버트먼트의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지만, 어버트먼트를 정확한 방향으로 변경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7044호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2019. 7. 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인공 치근의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일체형 단위 크라운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되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어 하나의 크라운 보철물을 이루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치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인공 치근과, 상기 복수의 인공 치근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크라운 보철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 상기 크라운 보철물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단위 크라운과 제2단위 크라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1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제1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1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제1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2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제2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2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와 조립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1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아니한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는 결합홈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크라운 결합부는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 형태의 단면 구조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에 있어서 : 상기 크라운 보철물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단위 크라운과 제2단위 크라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은, 제1단위 크라운에 대응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제1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2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않은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와 조립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는 결합홈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크라운 결합부는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 형태의 단면 구조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인공 치근의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일체형 단위 크라운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되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어 하나의 크라운 보철물을 이루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화된 일체형 인공 치근을 이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일체형 단위 크라운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일체형 인공 치근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조립된 형태의 조립형 인공 치근을 이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도, 어버트먼트의 방향이 다른 어버트먼트와 평행을 이룰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스템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단면도이다.
복수의 인공 치근(111, 112)이 치조골(1)에 식립된다.
복수의 인공 치근에 대하여 제1인공 치근(111), 제2인공 치근(112)이라 칭한다.
제1인공 치근(111)과 제2인공 치근(112)은 치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인공 치근(111)의 연장 방향과 제2인공 치근(112)의 연장 방향은 서로 다르다. 즉 제1인공 치근(111)의 연장 방향과 제2인공 치근(112)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아니하다.
제1인공 치근(111)의 연장 방향을 제1방향이라 칭하며, 제2인공 치근(112)의 연장 방향을 제2방향이라 칭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인공 치근(111, 112)에 크라운 보철물(200)이 결합된다.
크라운 보철물(200)은, 복수의 인공 치근(111, 112)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크라운(210, 220)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복수의 단위 크라운(210, 220)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형태이다.
복수의 단위 크라운(210, 220) 중 먼저 설치되는 단위 크라운을 제2단위 크라운(220)이라 칭하며, 나중에 설치되는 단위 크라운을 제1단위 크라운(210)이라 칭한다.
제1단위 크라운(210)에는 제1치근 삽입홈(211)과 제1크라운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치근 삽입홈(211)은, 제1단위 크라운(210)에 대응되는 제1인공 치근(111)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한 것이다.
제1치근 삽입홈(211)은, 제1단위 크라운(210)의 하부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방향이란 제1인공 치근(11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제1크라운 결합부(212)는, 제1단위 크라운(210)의 제2단위 크라운(220)을 향한 측면에 형성된다.
제1크라운 결합부(212)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크라운 결합부(212)는, 결합홈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2단위 크라운(220)에는 제2치근 삽입홈(221)과 제2크라운 결합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치근 삽입홈(221)은, 제2단위 크라운(220)에 대응되는 제2인공 치근(112)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한 것이다.
제2치근 삽입홈(221)은, 제2단위 크라운(220)의 하부에서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방향이란 제2인공 치근(11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2단위 크라운(220)의 제1단위 크라운(210)을 향한 측면에 형성된다.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1크라운 결합부(212)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즉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2치근 삽입홈(221)이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반면,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제1인공 치근(111)과 제2인공 치근(112)이 식립된 상태에서 먼저 제2단위 크라운(220)이 설치된다.
제2인공 치근(112) 또는 제2치근 삽입홈(221)에 미리 치과용 시멘트를 도포한다.
이후 제2단위 크라운(220)을 제2방향을 따라 제2인공 치근(112)에 삽입시켜 제2단위 크라운(220)의 제2치근 삽입홈(221)에 제2인공 치근(112)이 삽입 및 접합된다.
이때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뒤에 설치될 제1단위 크라운(21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단위 크라운(220)이 매우 간단하게 설치된다.
이후 제1단위 크라운(210)이 설치된다.
제1인공 치근(111) 또는 제1치근 삽입홈(211)에 미리 치과용 시멘트를 도포한다.
이후 제1단위 크라운(210)을 제1방향을 따라 제1인공 치근(111)에 삽입시켜 제1단위 크라운(210)의 제1치근 삽입홈(211)에 제1인공 치근(111)이 삽입 및 접합될 뿐만 아니라 제1크라운 결합부(212)가 제2크라운 결합부(22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는 제1크라운 결합부(212)와 제2크라운 결합부(222)가 동일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제1크라운 결합부(212) 및 제2크라운 결합부(222)에도 치과용 시멘트를 미리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우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제1단위 크라운(210)이 제1인공 치근(111)에 설치되며, 제1단위 크라운(210)이 제2단위 크라운(220)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크라운 보철물(200)이 완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위 크라운이 연속되는 형태를 설명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위 크라운이 연속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4개 이상의 단위 크라운이 연속되는 형태는 제1실시예 및 본 실시예를 참고하여 응용 가능할 것이다.
3개의 인공 치근(111, 112, 11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식립되어 있다.
제1인공 치근(111)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인공 치근(112)은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인공 치근(113)은 제3방향으로 연장된다.
설치되는 순서에 따라 단위 크라운을 제3단위 크라운(230), 제2단위 크라운(220), 제1단위 크라운(210)이라 칭한다.
즉 좌측의 제3단위 크라운(230)이 가장 먼저 설치되며, 중앙의 제1단위 크라운(210)이 가장 나중에 설치된다.
제1단위 크라운(210)에는 제1치근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제3단위 크라운(230)을 향한 측면에 제1-1크라운 결합부(212a)가 형성되며,제2단위 크라운(220)을 향한 측면에 제1-2크라운 결합부(212b)가 형성된다.
제1치근 삽입홈(211), 제1-1크라운 결합부(212a), 제1-2크라운 결합부(212b)는 모두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2단위 크라운(220)에는 제2치근 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제1단위 크라운(210)을 향한 측면에 제2크라운 결합부(222)가 형성된다.
제2치근 삽입홈(221)은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2크라운 결합부(22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3단위 크라운(230)에는 제3치근 삽입홈(231)이 형성되며, 제1단위 크라운(210)을 향한 측면에 제3크라운 결합부(232)가 형성된다.
제3치근 삽입홈(231)은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3크라운 결합부(23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먼저 제3단위 크라운(230)이 제3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2단위 크라운(220)이 제2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후 제1단위 크라운(210)이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제1단위 크라운(210)의 제1-1크라운 결합부(212a)는 제3단위 크라운(230)의 제3크라운 결합부(232)에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단위 크라운(210)의 제1-2크라운 결합부(212b)는 제2단위 크라운(220)의 제2크라운 결합부(222)에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3개의 단위 크라운이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개의 인공 치근(111, 112, 11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식립되어 있다.
제1인공 치근(111)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인공 치근(112)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인공 치근(113)은 제3방향으로 연장된다.
설치되는 순서에 따라 단위 크라운을 제3단위 크라운(230), 제2단위 크라운(220), 제1단위 크라운(210)이라 칭한다.
즉 좌측의 제3단위 크라운(230)이 가장 먼저 설치되면, 우측의 제1단위 크라운(210)이 가장 나중에 설치된다.
제1단위 크라운(210)에는 제1치근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제2단위 크라운(220)을 향한 측면에 제1크라운 결합부(212)가 형성된다.
제1치근 삽입홈(211), 제1크라운 결합부(212)는 모두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2단위 크라운(220)에는 제2치근 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제1단위 크라운(210)을 향한 측면에 제2-1크라운 결합부(222a)가 형성되며, 제3단위 크라운(230)을 향한 측면에 제2-2크라운 결합부(222b)가 형성되며,
제2치근 삽입홈(221) 및 제2-2크라운 결합부(222b)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2-1크라운 결합부(222a)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3단위 크라운(230)에는 제3치근 삽입홈(231)이 형성되며, 제2단위 크라운(220)을 향한 측면에 제3크라운 결합부(232)가 형성된다.
제3치근 삽입홈(231)은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제3크라운 결합부(232)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먼저 제3단위 크라운(230)이 제3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2단위 크라운(220)이 제2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제2단위 크라운(220)의 제2-2크라운 결합부(222b)는 제3단위 크라운(230)의 제3크라운 결합부(232)에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후 제1단위 크라운(210)이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제1단위 크라운(210)의 제1크라운 결합부(212)는 제2단위 크라운(230)의 제2-1크라운 결합부(232a)에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인공 치근의 배열 상태를 고려하여 미리 단위 크라운의 형태(치근 삽입홈 및 크라운 결합부 등)를 설계하여, 단위 크라운이 각각의 인공 치근에 원활하게 삽입 결합되면서 다른 단위 크라운과 조립 결합되도록 하여 하나의 크라운 보철물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화된 일체형 인공 치근을 이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일체형 단위 크라운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일체형 인공 치근의 사용을 대폭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조립된 형태의 조립형 인공 치근을 이용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서도, 어버트먼트의 방향이 다른 어버트먼트와 평행을 이룰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스템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 제1인공 치근
112 : 제2인공 치근
113 : 제3인공 치근
200 : 크라운 보철물
210 : 제1단위 크라운
211 : 제1치근 삽입홈 212 : 제1크라운 결합부
220 : 제2단위 크라운
221 : 제2치근 삽입홈 222 : 제2크라운 결합부
222a : 제2-1크라운 결합부 222b : 제2-2크라운 결합부
230 : 제3단위 크라운
231 : 제3치근 삽입홈 232 : 제3크라운 결합부
232a : 제3-1크라운 결합부 232b : 제3-1크라운 결합부

Claims (4)

  1. 치조골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치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인공 치근과, 상기 복수의 인공 치근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크라운 보철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
    상기 크라운 보철물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단위 크라운과 제2단위 크라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1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제1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1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제1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2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제2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2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와 조립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1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인공 치근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아니한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는 결합홈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크라운 결합부는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 형태의 단면 구조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3. 복수의 단위 크라운이 치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에 있어서 :
    상기 크라운 보철물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제1단위 크라운과 제2단위 크라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은, 제1단위 크라운에 대응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제1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제1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단위 크라운은, 상기 제2단위 크라운에 대응되는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삽입 및 접합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하지 않은 제2방향을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치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크라운을 향한 측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와 조립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크라운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는 결합홈 형태의 단면 구조가 하부에서 상하방향 중간부까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제2크라운 결합부는 상기 제1크라운 결합부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 형태의 단면 구조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KR1020200126494A 2020-09-29 2020-09-29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KR10223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94A KR102233682B1 (ko) 2020-09-29 2020-09-29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PCT/KR2021/013086 WO2022071694A1 (ko) 2020-09-29 2021-09-27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94A KR102233682B1 (ko) 2020-09-29 2020-09-29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682B1 true KR102233682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494A KR102233682B1 (ko) 2020-09-29 2020-09-29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3682B1 (ko)
WO (1) WO2022071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694A1 (ko) * 2020-09-29 2022-04-07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12A (ko) * 2000-11-16 2001-06-25 최기선 치과용 보철물
KR20060025770A (ko) * 2004-09-17 2006-03-22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US20080199827A1 (en) * 2005-09-07 2008-08-21 Lukas Kamer Method for Producing a Guiding Member for Guiding a Surgical Tool, and Guiding Member Produced According to This Method
KR20110124438A (ko) * 2010-05-11 2011-11-17 우윤규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1196821B1 (ko) * 2012-03-05 2012-11-06 오영만 치과용 보철물
KR101997044B1 (ko)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682B1 (ko) * 2020-09-29 2021-03-29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12A (ko) * 2000-11-16 2001-06-25 최기선 치과용 보철물
KR20060025770A (ko) * 2004-09-17 2006-03-22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US20080199827A1 (en) * 2005-09-07 2008-08-21 Lukas Kamer Method for Producing a Guiding Member for Guiding a Surgical Tool, and Guiding Member Produced According to This Method
KR20110124438A (ko) * 2010-05-11 2011-11-17 우윤규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1196821B1 (ko) * 2012-03-05 2012-11-06 오영만 치과용 보철물
KR101997044B1 (ko)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694A1 (ko) * 2020-09-29 2022-04-07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1694A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477B2 (en) Healing abutment system for bone contouring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ES2934791T3 (es) Conjunto de acoplamiento, en particular para implantes dentales
US8491301B2 (en) Guide block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nd guide block assembly, and implant procedural technique using same
KR10223368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ES2541027T3 (es) Implante dental
KR10203825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US20040185418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0386050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10024189A (ko) 침하방지 단차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US20140120498A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US8992222B2 (en) Ridge lap dental implant
KR102019873B1 (ko) 넌헥사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체결 구조
KR102594042B1 (ko)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KR10150597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닻형 픽스츄어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2604677B1 (ko)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KR20180107966A (ko) 임플란트 지대주
TW201236652A (en) Dental implant
KR102660106B1 (ko) 치아수복물 세트
KR100444319B1 (ko) 인공치아 시스템의 지대치
BR102019027443B1 (pt) Sistema de componentes protéticos e respectivo processo para fixação mecânica de barras não metálicas em implantes dentá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