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438A -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438A
KR20110124438A KR1020100043801A KR20100043801A KR20110124438A KR 20110124438 A KR20110124438 A KR 20110124438A KR 1020100043801 A KR1020100043801 A KR 1020100043801A KR 20100043801 A KR20100043801 A KR 20100043801A KR 20110124438 A KR20110124438 A KR 2011012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il
tooth
abutment
fema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503B1 (ko
Inventor
우윤규
Original Assignee
우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윤규 filed Critical 우윤규
Priority to KR102010004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5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치아결손부위에 인공치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지대치 또는 픽스쳐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위치하는 인공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 조립체의 경우에 인공치의 하부에 밀봉 불가능한 경계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염이 방지되어 치아위생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조립체에 가해지는 과도한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충분히 완충시킴으로써 브릿지의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시 픽스쳐가 경사지게 식립되더라도 고정대를 밀링하지 않고도 인공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DENTAL ATTACHMENT, BRIDGE ASSEMBLY AND IMPLANT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이나 임플란트 등을 시술하는데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메일파트(male part)와 상기 메일파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피메일파트(female part)를 포함하는 포켓형 어태치먼트와 이를 이용한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부의 치아 결손부위에 인공치를 장착하는 방식에는 브릿지(bridge), 임플란트(implant)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브릿지는 결손부위에 인접한 자연치를 지대치로 활용하여 인공치를 고정시키는 브릿지 조립체(bridge assembly)를 이용하는 방식이고, 임플란트는 상/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쳐(fixture)의 상단에 형성되거나 결합된 고정대(abutment)에 인공치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브릿지에는 크라운브릿지(crown bridge), 메릴랜드 브릿지(maryland bridge)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크라운브릿지는 자연치를 삭제하여 지대치로 사용해야 하므로 환자의 불편과 고통이 불가피하고, 자연치의 교합면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릴랜드 브릿지는 무삭제 또는 최소 삭제 브릿지로 제안된 것으로서, 인공치의 양 측부에 지대치의 설측면과 협측면 중 한 면을 커버하는 윙을 고정하고, 각 윙과 지대치를 치과용 시멘트로 고정시키는 방식인데 치과용 시멘트만으로는 결합력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브릿지(30)는 자연치에 씌워지는 크라운(50)에 측방으로 돌출된 키(key)(52)를 형성하고 인공치(31)의 보철물에 키(52)가 삽입되는 키홈(36)을 형성하여, 키홈(36)에 키(52)를 삽입함으로써 체결된다. 따라서 크라운브릿지(30)는 키(52)와 키홈(36)이 어태치먼트(attachment)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어태치먼트 결합구조에서는 잇몸에 접하는 부분이나 교합면에 밀봉이 불가능한 경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치석 등이 증착되어 치아질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태치먼트 결합구조는 고정식(rigid type)이어서 과도한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완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크라운 브릿지(30)를 장착할 때 키(52)와 키홈(36)의 사이에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비고정식(non-rigid)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불과 수개월만에 키(52)와 키홈(36)의 사이에 치석 등이 증착되어 마치 시멘트를 사용한 것과 같이 고정되어서 비고정식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상/하악골에 식립되는 픽스쳐는 인공치의 삽입로와 평행해야 하는데 실제 시술과정에서 픽스쳐가 경사지게 식립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픽스쳐가 경사지게 식립되면 인공치를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통상 고정대의 상단을 일부 절삭(milling) 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환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치는 치근막이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종래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픽스쳐가 치조골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대도 픽스쳐의 상단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교합압이나 측방압이 작용하면 그 힘이 그대로 픽스쳐를 거쳐 치조골에 작용하여 골손실이나 픽스쳐 이탈 등의 문제를 자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릿지 조립체의 경우에 잇몸부근에서 밀봉 불가능한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한 치아질병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가지는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과도한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의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임프란트 시술시 픽스쳐가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에도 고정대를 밀링하지 않고 인공치를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대치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위치하는 인공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위치하는 인공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상기 치과용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설측에서 협측으로 횡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인공치에 가해지는 교합압 또는 측방압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일파트와 상기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의 상기 수용부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완충제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 조립체의 경우에 인공치의 하부에 밀봉 불가능한 경계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염이 방지되어 치아위생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조립체에 가해지는 과도한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충분히 완충시킴으로써 브릿지의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시 픽스쳐가 경사지게 식립되더라도 고정대를 밀링하지 않고도 인공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충분히 완충시킴으로써 골손실이나 픽스쳐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운브릿지의 키앤 키웨이 어태치먼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브릿지 조립체의 장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브릿지 조립체의 평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나사를 체결하는 여러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장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장착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10은 임플란트에 적용된 어태치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2개의 임플란트 고정대를 연결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는 나사(118) 등으로 결합되는 제1피메일파트(110a)와 제2피메일파트(110b),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10b)의 사이에 그 단부가 삽입되는 메일파트(1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오목한 수용부(112)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윤곽은 메일파트(12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이때 각 피메일파트(110a,110b)에 모두 수용부(112)를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피메일파트에만 수용부(112)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피메일파트는 단순히 메일파트(120)의 노출면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피메일파트(110a)는 그 내측면에 체결홈(114)을 구비하며, 제2피메일파트(110b)는 관통공(116)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피메일파트(110b)의 외부에서 관통공(116)을 통해 삽입된 나사(118)의 단부가 체결홈(114)에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가 서로 견고히 결합된다.
브릿지 조립체에 사용될 경우 메일파트(120)는 연결부(121)를 통해 윙(32)이나 크라운(도 6의 50)의 측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그 단부에는 연결부(121)보다 두께 또는 직경이 큰 확장부(122)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피메일파트(110a,10b)의 수용부(112)는 메일파트(120)의 연결부(121)와 확장부(122)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져야 한다.
메일파트(120)는 연결부(121)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의 각 수용부(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메일파트(120)는 각 피메일파트(110a,110b)의 수용부(112)에 수용되기만 하면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22)가 원기둥 형상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각기둥, 삼각기둥, 삼각뿔, 사각뿔, 구형 등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 다만, 특정 부위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서리를 라운드처리하거나 그 표면이 곡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가 여러 유형의 브릿지 조립체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분해사시도와 도 4의 평단면도는 윙(32)을 가지는 브릿지 조립체에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제1 피메일파트(110a)는 외부에 세라믹층을 가지는 인공치(130)의 보철물과 일체로 결합되고, 제2피메일파트(110b)는 인공치(130)의 측방에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제1피메일파트(110a)에 결합된다. 제2피메일파트(110b)의 외측면에도 세라믹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대치(10)에 메일파트(120)가 결합된 윙(32)을 먼저 장착한 후에, 치아 결손부위의 협측면으로부터 인공치(130)를 삽입하여 인공치(130)의 내부에 장착된 제1피메일파트(110a)의 수용부(112)에 메일파트(120)를 위치시키고 설측면으로부터 제2피메일파트(110b)를 삽입하여 나사(118)를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의 경계부가 인공치(130)의 측방에 형성되므로 이를 치과용 시멘트 등으로 간단히 밀봉할 수 있고, 따라서 이 부분에 치석 등이 증착되어 치아질병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파트(120)와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의 수용부(112) 사이에 공간을 부여하고 그 곳에 실리콘 등의 완충제(140)를 충진하면 전방위의 압력에 대하여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아의 위치상 특정 방향의 압력이 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에만 완충제를 충진하여 해당 방향의 압력을 완충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118)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를 결합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118)로 결합할 수도 있다.
수직방향의 나사체결을 위해서는 제1 또는 제2 피메일파트(110a,10b) 중 하나가 상대방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0b)가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3은 메일파트(120)가 지대치(10)에 결합하는 윙(32)의 측방에 고정된 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메일파트(120)가 반드시 윙(32)에만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유형의 브릿지에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치(10)의 상부에 씌워지는 크라운(50)의 측방에 메일파트(120)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110a,110b)와 메일파트(120)의 결합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는 도 8의 측단면도 및 도 9의 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브릿지 조립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조립체는, 지대치(10)의 양측에 측면과 상면 일측을 감싸는 고정편(150)을 각각 장착하고 양측의 고정편(150)을 연결수단(160)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연결수단(160)을 조여서 결합하는 방식이다. 각 고정편(150)은 지대치(10)의 상면 일측단부를 절삭한 후에 절삭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주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160)에는 금속제의 밴드와이어(wire ban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밴드와이어는 양단이 각 고정편(150)에 고정되는 2개의 밴드부(161)와 각 밴드부(161)의 사이에 배치된 메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치아 결손부위에 인접한 고정편(150)에는 밴드와이어를 당겨서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장치(170)가 결합된다. 상기 조임장치(170)는 가스호스 조임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구조로서, 바디(172)와 바디(172)의 내부로 삽입되는 조임나사(17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대치(10)의 일측면에 장착된 밴드와이어의 일단은 조임장치(170)의 바디(172)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지대치(10)의 타측면에 장착된 밴드와이어의 일단은 나사산과 치합할 수 있는 다수의 톱니 또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바디(172)의 내부에서 조임나사(174)와 치합되도록 바디(17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설측면)에서 조임나사(174)를 돌리면 조임나사(174)가 조임장치(170)의 바디(172)의 내부로 진입하면서 밴드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밴드와이어가 지대치(10)를 강하게 조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 구조에서는 상기 조임장치(170)가 메일파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지대치(10)에 조임장치(170)가 결합된 고정편(150)을 장착한 후에 결손부위의 협측에서 상기 조임장치(120)에 대응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인공치(130)를 삽입한다. 이때 인공치(13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조임장치(12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제1 피메일파트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장치(120)가 제1 피메일파트의 수용부에 위치하도록 인공치(130)를 위치시킨 후에 설측에서 제2 피메일파트를 삽입하고 나사(118)를 체결함으로써 인공치(130)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인공치(130)를 장착한 후에는 제1 및 제2피메일파트의 경계부를 치과용 시멘트로 밀봉하고, 지대치(10)에 결합된 연결수단(160) 즉, 밴드와이어의 상부에 광중합 레진 등을 도포하여 금속색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결합구조가 지대치(10)를 이용하여 인공치(120)를 고정하는 브릿지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결합구조는 브릿지 조립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플란트 시술시 상/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인공치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21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된 고정대(220)를 메일파트로 하고, 제1 피메일파트(230a)와 제2 피메일파트(230b)를 상기 고정대(220)를 둘러싸도록 하여 나사(240)로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나사(240)를 체결하였으나, 나사(240)는 치아 높이 등을 감안하여 수직방향으로 체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230a, 230b)는 각각 대향하는 면에 고정대(220)의 윤곽에 대응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각 수용부는 하방으로도 개구된다.
제1 피메일파트(230a)는 외부에 세라믹층을 갖는 인공치(250) 내부의 보철물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피메일파트(230b)는 인공치(250)의 측방에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제1피메일파트(230a)에 결합된다. 이때 제2 피메일파트(230b)의 외측면에도 세라믹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230a, 230b)의 외측 경계부는 치과용 시멘트 등으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일파트에 해당하는 고정대(220)와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230a, 230b)의 사이에 공간을 부여하여 실리콘 등의 완충제를 충진함으로써 교합압이나 측방압을 완충시킬 수도 있다.
특히 임플란트에 이러한 어태치먼트 결합구조를 적용하면, 픽스쳐(210)가 다소 경사지게 식립되더라도 고정대(220)를 밀링하지 않고 인공치(250)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이 간편해지고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픽스쳐(210)와 고정대(220)의 인상(impression)을 체득한 후에 픽스쳐(210)의 경사도에 맞게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230a, 230b)의 내부 수용부를 가공함으로써 픽스쳐(210)의 식립방향에도 불구하고 인공치(250)의 삽입경로를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다.
한편 2개의 연속된 결손부위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하여 2개의 픽스쳐(210)가 연속하여 식립된 경우에는, 각 픽스쳐(210)의 고정대(220)에 결합되는 제1피메일파트(230a)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도 11의 측면도와 도 1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피메일파트(230a)를 연결부(260)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가공하여 고정대(220)의 협측에서 장착하고, 설측에서 각 피메일파트(230a)마다 메일파트(230b)를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2개의 메일파트(230b)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피메일파트(230a) 또는 메일파트(230b)의 개수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하면 고정대를 밀링(milling)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 픽스쳐(210)의 삽입로가 평행하지 않더라도 피메일파트(230a)의 내부 수용부를 적절히 가공함으로써 픽스쳐(210)의 식립방향에도 불구하고 인공치(250)의 삽입경로를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몇 가지 브릿지 조립체와 임플란트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전술한 유형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치과용 어태치먼트를 대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지대치 32: 윙
110a, 110b: 제1, 제2 피메일파트
112: 수용부 114: 체결홀
116: 관통공 118: 나사
120: 메일파트 121: 연결부
122: 확장부 130: 인공치
140: 완충제 150: 고정편
160: 연결수단 170: 조임장치
210: 픽스쳐 220: 고정대
230a, 230b: 제1, 제2 피메일파트
240: 나사 250: 인공치

Claims (9)

  1. 지대치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위치하는 인공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2.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위치하는 인공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설측에서 협측으로 횡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공치에 가해지는 교합압 또는 측방압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일파트와 상기 제1 및 제2 피메일파트의 상기 수용부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완충제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상기 픽스쳐가 다수 개 식립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피메일파트는 상기 픽스쳐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 개가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피메일파트는 상기 다수의 제1 피메일파트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 개가 상기 다수의 제1피메일파트에 각각 결합되거나, 상기 다수의 제1 피메일파트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 개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어태치먼트
  6. 구강내 치아 결손부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손부위의 측방에 위치하는 지대치에 장착되는 지대치 장착수단에 그 일단이 고정된 채 타단은 상기 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를 포함하는 인공치;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 장착수단은, 상기 지대치의 측면에 결합되는 윙(wing) 또는 상기 자연치의 상부에 씌워지는 크라운(crow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 장착수단은,
    상기 지대치의 일 측면과 반대쪽의 타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고정편;
    상기 지대치의 측면에 밀착된 채 양 단부가 상기 2개의 고정편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
  9. 구강내 치아 결손부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손부위에 대응하는 상악골 또는 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고정되어 치아결손부위로 돌출되는 메일파트;
    상기 치아결손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는 그 대향면에 상기 메일파트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일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향면이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 피메일파트 및 제2 피메일파트를 포함하는 인공치;
    상기 제1 피메일파트와 제2 피메일파트를 결합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100043801A 2010-05-11 2010-05-11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110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01A KR101105503B1 (ko) 2010-05-11 2010-05-11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801A KR101105503B1 (ko) 2010-05-11 2010-05-11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38A true KR20110124438A (ko) 2011-11-17
KR101105503B1 KR101105503B1 (ko) 2012-01-13

Family

ID=4539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801A KR101105503B1 (ko) 2010-05-11 2010-05-11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552A1 (ko) * 2013-04-24 2014-10-30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WO2019012057A1 (fr) * 2017-07-13 2019-01-17 Delprat Jean David Dispositif de remplacement d'une dent manquante
KR102233682B1 (ko) * 2020-09-29 2021-03-29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106B1 (ko) 2019-09-06 2022-0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구치 맹출 공간을 위한 기성형 공간유지장치 및 기성형 공간유지장치 장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6831A1 (en) 2002-11-06 2004-05-06 Lai Yen-Ping Detachable architecture of false teeth
KR20050014391A (ko) * 2003-07-31 2005-02-07 친-생 이 의치 브릿지 조립체
KR100598485B1 (ko) 2005-06-10 2006-07-10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3689A (ko) * 2007-06-18 2007-07-10 박규진 브라켓과 합성수지 필름 랩 관을 이용한 무삭제 가공 의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552A1 (ko) * 2013-04-24 2014-10-30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WO2019012057A1 (fr) * 2017-07-13 2019-01-17 Delprat Jean David Dispositif de remplacement d'une dent manquante
FR3068881A1 (fr) * 2017-07-13 2019-01-18 Jean-David Delprat Dispositif permettant de remplacer une ou plusieurs dents manquantes
KR102233682B1 (ko) * 2020-09-29 2021-03-29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WO2022071694A1 (ko) * 2020-09-29 2022-04-07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503B1 (ko)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ersson et al. A new Brånemark single tooth abutment: handling and early clinical experiences.
KR102278335B1 (ko)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US6325628B1 (en)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AU713845B2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JP4727333B2 (ja) 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105503B1 (ko)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1476698B1 (ko) 치과용 보철물과 그 연결방법
ES2899802T3 (es) Fijación para implantes dentales de restauración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US8545223B1 (en) Dental implant system
JP433888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0817305B1 (ko) 앞니용 보철물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10080199A (ko) 골결합 인공 치아 구조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US20200146787A1 (en) Novel Cemented Dental Crown Removal System
ES2820346T3 (es) Implante dental
KR102080084B1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