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966A - 임플란트 지대주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지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966A
KR20180107966A KR1020170036968A KR20170036968A KR20180107966A KR 20180107966 A KR20180107966 A KR 20180107966A KR 1020170036968 A KR1020170036968 A KR 1020170036968A KR 20170036968 A KR20170036968 A KR 20170036968A KR 20180107966 A KR20180107966 A KR 2018010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rown
alveolar bone
fastened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빈
Original Assignee
양기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빈 filed Critical 양기빈
Priority to KR102017003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966A/ko
Publication of KR2018010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에서 분리된 지대주와 크라운을 원래 위치로 재위치 시키고자 할 때 지대주가 매식체에 어떤 회전된 위치로 체결되더라도 지대주가 매식체에 간섭받지 않을 수 있어 지대주의 형상의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서, 치조골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식체 및 상기 매식체의 각각에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하나의 크라운을 포함하여, 상기 매식체의 일단에는 상기 지대주가 체결되기 위한 내부체결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대주는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중심부위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름이 줄어들어 경사진 모선을 가지는 회전체로 형성되고, 그 회전체의 회전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이 하부 지대주에 체결되는 매식체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내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지대주{Dental implant abutme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플란트 매식체에서 분리된 지대주와 크라운을 원래 위치로 재위치 시키고자 할 때 지대주가 매식체에 어떤 회전된 위치로 체결되더라도 크라운이 지대주에 간섭되지 않고 재위치로 시적이 되는, 지대주의 형상의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보철은 잇몸내의 치조골에 고정되어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매식체(implant fixture)와 상기 매식체에 체결되어 구강내로 올라오는 지대주(abutment) 그리고 상기 지대주에 씌워져 치관의 형태를 재현하는 크라운(crown)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매식체는 티타늄이라는 생체 친화적인 금속으로 뼈 세포와 긴밀한 접촉을 가지고 있어 보철물을 지탱하는 기능을 한다. 뿌리 부분은 수술 후 뼈 세포와의 회복이 잘 이루어지면 대부분 십여 년 이상 잘 기능 하도록 유지되게 된다. 하지만, 뿌리 부분 위로 연결되어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보철물과 같은 지대주 및 크라운은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연결 나사의 교환, 마모에 따른 보철물 교환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매식체(fixture)를 삽입하고 나서 그 위에 보철물을 만드는 데 그 보철물을 매식체에 최종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일 예로 임플란트가 개발되면서부터 적용되어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보철방법으로 나사 유지형 보철(Screw Retained Prosthesis) 및 시멘트 유지형 보철(Cement Retained Prosthesis) 방법이 그것이다.
하지만, 상기 임플란트 방식은 각각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시멘트 유지형 타입은 고정성 보철물과 매식체 사이의 오차를 시멘트를 이용해 해소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하고 쉬운 장점이 있으나, 크라운을 제거하고자 할 때 제거가 쉽지 않아 보철물의 수리에 불리하고, 시멘트가 보철물의 치은연하에 남아 있는 경우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제거가 완전히 쉽지 않아 일부가 남게 되면 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사 유지형 타입은 나사를 이용해 크라운을 지대주에 적합시키기 때문에 나사를 풀어서 크라운을 제거하기가 편해 수리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보철물과 매식체 사이에 공정상 오차가 있으면 이를 해소하기가 힘들어 재제작을 함으로써 매 과정마다 정확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이에 현대에는 위의 각각의 타입들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요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37218호와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 방식의 각각 다른 장점들을 혼합한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나사/시멘트 혼합 유지형 보철방법은 기존 타입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에 비해 정기적으로 보철물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시멘트가 녹아 없어져 보철물이 탈락되고 지대주의 스크류가 풀리는 경우, 매식체 위에 크라운과 지대주를 원래 위치로 재 위치시키는 것이 상당이 까다롭다는 것이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임플란트 매식체가 평행하지 않고 경사가 있는 경우 크라운 시적 경로에 대해 언더컷이 생기지 않도록 지대주의 변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보철하기 위해 지대주의 모양을 변형시킨 경우 지대주를 매식체에 체결하는 방향이 조금만 회전하여 어긋나도 시적하려는 크라운의 내면과 잘 맞지 않아 크라운이 지대주에 적합하게 체결되지 않게 된다. 이는 나사/시멘트 혼합 유지형 보철에서 장기적으로 상존하고 있는 문제점인 것이다.
한편, 여러 가지 구성품이 하나로 합쳐져 구강 내에서 치아의 기능을 하다보면 각 구성품의 연결된 부위에 나사가 풀리거나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리 등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구성품을 분리하고 다시 체결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된다. 이에 임플란트를 시술받은 환자들은 규칙적으로 치과를 내원하여 유지 관리를 받게 되는 필요성이 있다.
결국, 통상의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매식체 사이가 평행하지 않고 매식체 사이에 경사가 있는 경우 크라운을 지대주에 적합시키려고 할 때 지대주에 언더컷(under cut)이 생김으로써 크라운을 지대주에 적합시킬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언더컷을 제거하고자 지대주의 측면을 언더컷이 생기지 않게 변형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지대주를 변형시키면 지대주를 매식체에 체결하는 방향이 조금만 회전하더라도 상부의 크라운의 내면과 잘 맞지 않아 크라운이 원래 위치로 안착되지 못하여 보철물이 맞지 않게 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에 때문에 환자들은 보철물을 원래의 위치로 재 위치시키기 위해 지대주의 방향을 인기 한 맞춤형지그(repositioning jig)를 만들어 평생을 보관하면서 지대주가 풀리거나 재 위치 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있는 경우, 크라운과 지대주를 재 적합 시킬 때 맞춤형 지그를 사용하여 매식체에 지대주를 처음 재작 시의 원래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조차도 약간의 오차가 있어 정확히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임플란트 지대주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면서도, 특히 분리된 크라운과 지대주를 임플란트 매식체에 정확히 재 위치시키기 위하여 지대주의 모양을 보철하기 위해 변형시킨 경우, 지대주를 매식체에 체결하는 방향이 조금만 회전하여 어긋나도 상부의 크라운이 잘 맞지 않아 크라운이 원래 위치로 안착되지 못하여 보철물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식체 및 상기 매식체의 각각에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하나의 크라운을 포함하여, 상기 매식체의 일단에는 상기 지대주가 체결되기 위한 내부체결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대주는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중심부위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름이 줄어들어 경사진 모선을 가지는 회전체로 형성되고, 그 회전체의 회전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이 하부 지대주에 체결되는 매식체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내로 형성이 되는 임플란트 지대주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라운이 지대주와 함께 매식체로부터 풀렸을 때 지대주를 측면이 어느 방향을 향하도록 매식체에 체결해도 지대주 형태의 변화가 없어 크라운을 정확히 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지대주의 일부를 밀링하여 측면을 삭제하는 등의 변형작업을 동반하지 않아 보철치료시간이 단축되고 피시술자는 별도의 보철치료를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장비를 소지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함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치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식체 및 지대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매식체 및 지대주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c)는 매식체 내부체결홈의 중심부와 내면의 경사선이 만나는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가 스크류에 의해 매식체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지대주에 크라운이 체결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지대주의 입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대주의 평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임플란트 지대주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보철을 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본 발명의 복수개의 지대주가 하나의 크라운에 고정된 상태에서 매식체에 재체결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사용된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보철을 필요로 하는 과정에서, 지대주의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고 지대주가 매식체에 삽입되어 어느 위치로 회전하여 들어가더라도 구강 내에 노출될 수 있게 되는 상부지대주의 모양이 변화가 없어 치관의 형태를 재현하는 크라운을 원래와 똑같은 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임플란트 매식체가 평행하지 않고 경사지도록 치조골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크라운의 시적 경로에 대해 지대주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엇더컷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지대주의 모양을 보철하기 위해 지대주를 변형시키지 않은 경우 지대주를 매식체에 체결하는 방향이 회전되어 어긋나게 시적하더라도 크라운의 내면과 잘 맞도록 하여 크라운이 완전히 적합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크라운을 손쉽게 보철할 수 있게 되어 보철치료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치조골에 매립되어 사람의 턱뼈와 고정되는 매식체(fixture)와 치아의 형상을 하는 보철물(crown)을 포함하고, 상기 매식체와 크라운을 고정시키는 지대주(abutment)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치관의 형태를 재현하는 크라운(300)을 아랫잇몸의 치조골(10)의 상단 또는 윗잇몸의 치조골(10)의 하단부인 표면에 자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치조골(10)의 내부에 매식체(100)를 식립하고 상기 매식체(100)와 상기 크라운(3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지대주(200)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지대주(200)를 상/하 양분하여 상기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에 하부지대주(240)를 체결하고, 체결되어 구강 내에 노출되는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지대주(220)에 상기 크라운(300)을 접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라운(300)이 상기 매식체(100)와 연결되어 고정되어 자연 치아와 함께 나란히 자리하면서 자연 치아처럼 구강 내에서 기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잃어버린 저작기능과 심미를 다시 찾을 수 있게 되어 피시술자의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식체(100) 및 지대주(20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매식체 내에 체결되는 하부지대주(240) 및 하부지대주(240)와 커프(260)로 연결되어 구강 내부에 노출되어 크라운(300)과 고정되는 상부지대주(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프(260)는 상기 하부지대주(240) 및 상부지대주(220) 사이에서 치조골 및 잇몸의 두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프(260)는 상기 지대주(200)가 상기 치조골(10)에 식립되면 상기 치조골(10)의 표면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상기 지대주(200)의 중간부위에 형성되고,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상기 상부지대주(220)에 상기 크라운(300)이 씌어지면 구강 내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나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매식체 내부로 체결되면 구강 내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일부 노출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식체(100)는 상기 지대주(200)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게 일단이 구강 내로 개구되어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내부체결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의 하부지대주는 상기 내부체결홈의 지름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200)를 용이하게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에 끼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매식체(100) 또는 상기 지대주(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매식체(100)와 지대주(200)의 사이에는 접하지 못하고 이격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하부지대주(240)의 내부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홈에 조여져서 상기 매식체(100)에 상기 지대주(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대주(20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회전체의 형상을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중심부위를 중심으로 원뿔대가 상하 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작아지게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매식체(100)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되더라도 그 모양에는 변화가 없어, 상기 상부지대주(220)에 고정되는 상기 크라운(300)의 내면을 변형시키지 않더라도 손쉽게 적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매식체(100)에 체결되어 치조골(10)의 표면 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중심부위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양분하여 일단과 타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줄어들어 측면에 경사진 모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크라운(300)과 접합되는 상부지대주(220)는 상기 커프(260)로부터 상방으로 지름이 줄어들고,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에 체결되는 상기 하부지대주(240)는 상기 커프(260)로부터 하방으로 지름이 줄어드는 경사진 모선을 가지는 회전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지대주(200)는 회전체의 회전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이 상기 하부지대주(240)에 체결되는 상기 매식체(100)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매식체(100)가 치조골(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매립되지 않고 일부 경사지게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철시 상기 지대주(200)의 회전축과 상기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이 이루는 허용 범위에서 상기 지대주(200)의 상기 상부지대주(220)에 고정된 상기 크라운(300)을 바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발명의 크라운(300)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매식체(100)에 복수개의 지대주(200)가 체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지대주(220)에 한 덩어리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라운(300)이 복수개의 상기 상부지대주(220)에 시멘트 접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매식체(100)는 상기 내부체결홈(120)이 구강 내로 노출되게 치조골(10)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립되게 되고, 치조골(10) 또는 턱뼈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매립될 수 있는 한편, 인접한 2개의 매식체(100)가 서로 마주하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매립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지대주(200)는 경사진 상기 매식체(100)에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체결되게 되면서 상기 상부지대주(220)가 구강 내부를 향하여 상기 치조골(1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대주의 하부지대주는 상기 내부체결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부체결홈의 하방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상기 하부지대주의 지름이 줄어들며, 상기 하부지대주(240)와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 벽면이 이격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라운(300)은 상기 지대주(200)의 상기 상부지대주(220)가 고정되기 위한 원뿔대 형상의 고정홈(320)이 형성되어, 치조골(10) 위로 노출되는 상기 상부지대주(220)의 노출된 전체를 둘러싸며 상기 고정홈(320)에 끼워 시멘트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대주(200)의 상기 상부지대주(220)는 상기 크라운(300)의 고정홈(320)에 끼워질 수 있게 회전체의 회전 축과 상기 상부지대주(2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이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과 벽면이 이루는 내부체결홈의 내면의 각도(x')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과 벽면의 연장 선상의 범위에 상기 지대주(200)가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체결시 방해되는 상기 지대주(200)의 언더컷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크라운(300)이 지대주(200)로부터 탈거 되거나 상기 지대주의 고정된 위치가 뒤틀려 보철이 필요할 시 체결된 상기 지대주(200)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고도 상기 상부지대주(220)에 간섭없이 상기 고정홈(320)에 끼워질 수 있는 범위 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고정홈(32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되며 상기 크라운(300)은 다시 재위치 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대주(200)의 하부지대주(240)는 일실시예로, 상기 내부체결홈(1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과 벽면이 이루는 각도(x')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지대주(220)에 형성되는 경사각(x)은 상기 지대주(200)의 하부지대주(240)에 형성되는 경사각(x) 보다 큰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지대주(220)는 상기 하부지대주(240)의 경사각(x)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크라운(3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지대주(200)의 상기 상부지대주(220) 및 하부지대주(24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5를 참고해 보면, 상기 상부지대주(220) 및 하부지대주(240)는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과 상기 매식체(100)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체결홈(120)에 형성되는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 체결홈의 각도(x')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체결홈(120)에 체결되는 상기 하부지대주(240)와 상기 크라운(300)에 적합되는 상기 상부지대주(220)는 상기 지대주(200)의 회전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은 상기 매식체(100)의 벽면의 각도(x')의 가상선의 범위에서 상기 상부지대주(220)는 상기 커프(260)로부터 상방으로 지름이 줄어들고, 상기 하부지대주(240)는 상기 커프(260)로부터 하방으로 지름이 줄어들는 회전체로 다양하게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대주(200)의 측면에는 상기 크라운(300)을 지대주(200)에 시멘트를 이용해 결합할 때 과잉의 시멘트가 빠져나가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멘트배출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시멘트배출홈(22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크라운(300)의 고정홈(320)에는 인기되지 않도록 상기 크라운(300)을 제작하면 상기 지대주(100)가 어떤 회전 방향으로 위치하더라도 상기 크라운(300)의 고정홈(320)에 적합하게 된다. 즉,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모선의 선상 밖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회전 축선상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지대주(200)가 경사지거나 회전시켜 체결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지대주(200)의 외측면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대주(200)이 회전되어 시멘트배출홈(222)이 어느 방향을 향하게 되더라도 상기 크라운(300)을 고정할 시 상기 고정홈(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대주(220)를 밀링하거나 방향성을 틀어 맞추어야 하는 수고를 덜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 되는 과정과 본 발명의 지대주(200)가 상기 매식체(1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7의 ①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치조골(10)에 상기 매식체(100)가 식립되고 상기 크라운(300)은 복수개의 치아의 형태가 한 덩어리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7의 ②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대주(200)의 상기 하부지대주(240)를 상기 매식체(100)의 상기 내부체결홈(120)에 체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③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대주(200)를 상기 매식체(100)에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400)를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하방에 형성된 암나사홀에 돌려 넣어 조여주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④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매식체(100)에 고정된 상기 지대주(200)를 덮으며 고정되는 상기 크라운(300)을 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400)를 풀기만 하면, 상기 지대주(200)와 한 덩어리로 된 상기 크라운(300)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상기 내부체결홈(120) 내에서 언더컷에 걸리지 않아야 상기 크라운(300)에 의해 한 덩어리가 된 지대주(200)가 쉽게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상기 지대주(200)의 상기 하부지대주(240)는 회전축과 상기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이 서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매식체(100)의 내부체결홈(120)의 각각의 중심선이 연장하여 만나 이루는 내각의 크기의 1/2 범위 이내로 형성됨으로써 한 덩어리의 크라운(300)에 복수개의 지대주(200)가 일체로 함께 상기 매식체(100)로부터 뽑혀 나오게 되더라도 상기 지대주(200)가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벽면에 부딪히지 않고 재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대주(200)는 실시예로, 매식체 내부체결홈의 각도가 'x'인 복수개의 경사진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이 만나는 내각이 '2x' 일경우, 상기 상부지대주(220)와 하부지대주(240)의 회전축과 모선의 각도는 '2x/2'의 범위에서 회전체로 형성되면 상기 매식체(100)로부터 탈거될 때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빠지는 경로에서 상기 내부체결홈(120) 또는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 벽면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잘 빠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경사진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이 만나는 내각이 '2x'이내일 경우에도 회전축과 모선의 각도는 '2x/2'의 범위에서 회전체로 형성된 하부지대주(240)의 경우 상기 매식체(100)로부터 탈거될 때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빠지는 경로에서 상기 내부체결홈(120) 또는 상기 매식체(100)의 내부 벽면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잘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복수개의 경사진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이 만나는 내각이 '2x' 보다 'y'만큼 더 벌어지게 되는 경우 상기 상부지대주(220)의 회전축과 모선의 각도는 '(2x+y)/2' 의 범위에서 회전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대주(200)는 상기 하부지대주(240)가 상기 내부체결홈(120)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내로 원뿔대와 같은 회전체의 형상이 만들어지고, 상기 회전체의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이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벽면의 경사각의 일정한 내각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대주(200)가 상기 매식체(100)에 체결 또는 재체결 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상기 지대주(200)로부터 한 덩어리가 된 크라운(300)이 잘 빠지게 되고, 다시 상기 크라운(300)이 재장착될 때에도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지대주의 상부지대주 또한 매식체 내부체결홈의 각도가 'X' 인 복수개의 경사진 내부체결홈의 중심선이 만나는 내각이 '2X' 이내일 경우 상기 지대주의 상부지대주의 회전축과 모선이 만나는 각도는 '2X/2'의 범위에서 회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경사진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선이 만나는 내각이 '2x' 보다 'y'만큼 더 벌어지게 되는 경우 상기 상부지대주(220)의 회전축과 모선의 각도는 '(2x+y)/2' 의 범위에서 회전체 형태로 형성되면 한덩어리의 크라운이 상기 상부지대주에 체결될 때 크라운의 시적 경로에 대해 언더컷이 생기지 않게 된다.
10 : 치조골
100 : 매식체 120 : 내부체결홈
200 : 지대주 220 : 상부지대주
222 : 시멘트배출홈 240 : 하부지대주
260 : 커프 300 : 크라운
320 : 고정홈 400 : 스크류

Claims (3)

  1. 치조골(10)에 일정 거리를 두고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식체(100) 및
    상기 매식체(100)의 각각에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대주(200)와,
    상기 지대주(200)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하나의 크라운(300)을 포함하여,
    상기 매식체(100)의 일단에는 상기 지대주(200)가 체결되기 위한 내부체결홈(1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대주(200)는 체결되어 상기 치조골(10)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중심부위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름이 줄어들어 경사진 모선을 가지는 회전체로 형성되고, 그 회전체의 회전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이 하부 지대주에 체결되는 매식체의 경사진 내면의 범위내로 형성이 되는 임플란트 지대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결홈(120)은 벽면이 경사지며 내부를 향할수록 폭이 줄어드는 원뿔대 형상을 하고,
    상기 지대주(200)의 중심축과 모선이 이루는 경사각(x)은 상기 내부체결홈(120)의 중심축과 벽면의 이루는 각도보다 큰 범위에서 형성되는 임플란트 지대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200)는 상하로 구분되어 상기 매식체(100)에 체결되는 하부지대주(240)와 상기 크라운(300)이 고정되는 상부지대주(2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지대주(220)와 하부지대주(240)는 서로 동일한 경사각(x)을 이루며 형성되는 임플란트 지대주.
KR1020170036968A 2017-03-23 2017-03-23 임플란트 지대주 KR20180107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68A KR20180107966A (ko) 2017-03-23 2017-03-23 임플란트 지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68A KR20180107966A (ko) 2017-03-23 2017-03-23 임플란트 지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66A true KR20180107966A (ko) 2018-10-04

Family

ID=6386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68A KR20180107966A (ko) 2017-03-23 2017-03-23 임플란트 지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67U (ko) * 2020-05-26 2021-12-06 콴린 우 일체 성형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대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67U (ko) * 2020-05-26 2021-12-06 콴린 우 일체 성형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대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7708559B2 (en) Dental implant system
EP0473262B1 (en) Dental implant collar and post system
EP0641549B1 (en) Dental implant system
US5779480A (en) Prosthetic abutment for dental implants
US10441386B2 (en) Dental implant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6135773A (en) Single tooth alignment system
US20050214714A1 (en) Dental implant system
CA2766927C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US20030031981A1 (en) Prosthetic implant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JP4280638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装置
US9883926B2 (en) Conversion abutment for dental implants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JP6768718B2 (ja) 修復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29980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修復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07966A (ko) 임플란트 지대주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