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677B1 -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677B1
KR102604677B1 KR1020210067225A KR20210067225A KR102604677B1 KR 102604677 B1 KR102604677 B1 KR 102604677B1 KR 1020210067225 A KR1020210067225 A KR 1020210067225A KR 20210067225 A KR20210067225 A KR 20210067225A KR 102604677 B1 KR102604677 B1 KR 10260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screw
dental implant
hole
artificial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563A (ko
Inventor
허중보
채희진
배지현
최재원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6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보철 시스템에 특화되도록, 이중 유지 구조를 가지며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Dental Implant Structure with Dual Retention Structure and Digital Prosthetic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Structure}
본 발명은 디지털 보철 시스템에 특화되도록 이중 유지 구조를 가지며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fixture), 고정체에 연결되어 인공치아(crown)을 지지하는 지대주(abutment), 지대주와 인공치아 사이에서 프레임 역할을 하는 내관(coping) 그리고 인공치아(crown)로 구성된다.
임플란트 보철과정에서는 지대주, 내관 및 인공치아를 필요로 하고, 내관과 인공치아는 한 몸체로 만들어진다. 이를 통상적으로 상부보철물이라 칭하고, 고정체와 상부보철물을 지대주가 연결하게 된다.
종래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구조는 상부보철물과 지대주의 유지구조에 따라 나사 유지형(Screw retained type), 시멘트 유지형(Cement retained type) 및 나사-시멘트 복합형(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나사 유지형 보철물의 경우 교합면 나사 구멍(screw hole) 존재로 기능 및 심미성이 저하되고, 나사의 잦은 풀림과 파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경우 탈부착이 어려워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수리가 어렵고, 잇몸 속에 존재하는 잔류 시멘트에 의한 감염 및 골흡수로 인한 임플란트 시술이 실패하는 문제가 있으며, 나사-시멘트 복합형 보철물의 경우 접각도가 서로 다른 내부연결형 고정체에서는 적용이 어렵고, 나사 접근 구멍(screw access hole)으로 인해 심미성이 떨어지고 교합면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전통적인 보철물 제작 방법은 구강 내 인상채득부터 최종 보철물 제작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잡한 작업과정과 개인의 역량에 따라 보철물의 질적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동일인이 제작하더라도 작업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힘든 점과 제작과정에 투입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큰 단점이 있다.
산업용으로 활용되어 왔던 CAD/CAM(Computer Aieded Design/Manufacturing) 시스템이 치과 영역에 도입되고, 환자의 구강 정보를 3차원의 형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구강스캐너와 티타늄, 세라믹, 지르코니아를 가공할 수 있는 밀링 장비 등 치과용 디지털 장비의 보급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발전은 디지털 덴티스트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으며,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작업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보다 정확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의 임플란트 보철물(나사 유지형, 시멘트 유지형, 나사-시멘트 복합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임플란트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링크와 나사에 의한 유지구조(도 1 참조)는 상부보철물과 지대주 간 링크와 나사를 이용한 이중 유지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단점인 수직압과 측방압 발생 시 나사 풀림, 파절 및 싱크 다운(sink down)의 발생을 막고 기능 운동 시 지대주에 의해 교합력이 분산될 수 있어서, 교합력 집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링크에 맞는 상부보철물의 제작은 전문적인 기공소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보철물이 제작이 어렵고, 임플란트 식립각도에 따라 보철물 적용에 제한이 있으며, 상부보철물과 링크 간 가공 오차에 의한 나사풀림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에어(air)의 팽창과 지대주의 수직각도(마찰력)에 의한 유지구조(도 2 참조)는 상부보철물 내면에 소정의 공간(sac)이 형성되도록 제작하고, 에어의 팽창과 지대주의 수직각도(마찰력)를 이용한다. 기능 운동 시 작용, 반작용에 의해 교합력을 분산시켜 고정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지대주와 상부보철물 사이에 에어 공간(air sac)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공소에서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철물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리나 위생을 목적으로 상부보철물과 지대주를 분리할 때 냉각제가 필요하고, 이 때 부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번거로운 단점이 존재한다.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 슬리브(sleeve)의 언더컷(undercut)에 의한 유지구조(도 3 참조)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하여 슬리브가 지대주와 내관의 언더컷에 잠기고 풀림으로써 상부보철물과 지대주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다. 하지만, 수리나 위생을 목적으로 상부보철물과 지대주를 분리할 때 내관에 저항적 열생산(resitive heating)이 반드시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전용의 장비(activator probe)가 필요하다. 또한, 저항적 열생산을 위해서는 보철물 설측에 두 개의 큰 구멍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는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33258호는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에 관한 것이나, 크라운(20)이 부착되는 크라운부착부(210)의 존재로 인해, 임플란트 구조물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악간 거리가 좁은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크라운(20)이 크라운부착부(210)에 부착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크라운-지대주 간 유지력이 견고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발생하였던 단점이 해소되면서도, 디지털 보철에 특화된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120032호(2014.10.1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33258호(2016.06.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33259호(2016.06.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86560호(2014.04.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임플란트 구조물이 횡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유지력 제공 부재와, 종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를 포함함으로써, 이중 유지 구조를 통해 지대주-인공치아 간의 유지력이 증대되면서도, 종래의 임플란트 구조물(나사 유지형, 시멘트 유지형, 나사-시멘트 복합형)에서의 단점까지 해결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지대주의 높이가 종래 지대주 대비 낮게 형성됨에 따라 악간 거리가 좁은 환자에게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지대주의 상부가 종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20도 내지 24도)가 종래 지대주 대비 높아서, 보다 넓은 범위의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치아가 지대주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끼워지는 결합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시술이 간편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구조물에 종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결합 과정에서, 스크류-인공치아의 마찰로 인해 인공치아가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링크를 더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보철 시스템을 사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를 위한 디지털 보철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100)에 결합되고, 횡방향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211a)이 형성된 지대주(200), 상기 지대주(200)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반경 내외측을 향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체(221), 상기 관통공(211a) 내부와 상기 탄성체(221)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체(221)의 수축에 따라 상기 지대주(2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탄성체(221)의 팽창에 따라 상기 지대주(200)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222) 및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200)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222)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 홈(313)이 형성된, 인공치아(crown)(300)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200)는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 상부 지대주(211)와, 상기 상부 지대주(211)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상측을 향해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대주(212)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211a)은 상기 상부 지대주(211)를 횡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대주(211)는 종방향에 대해, 20도 내지 24도 각도를 가지며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대주(211)는 높이는 1.8mm 내지 2.2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스크류(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200)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된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아(300)에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정렬되는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240)가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20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와 컨포멀(conformal)한 링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스크류(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200)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된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아(300)에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정렬되는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230)에는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 및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314)과 정렬되는 제3 스크류 관통 홀(234)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240)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크류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 홈(313)은 상기 인공치아(300)의 내면 일 지점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속적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으로서, 스캐너(10)가 식립 대상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을 스캔하는 단계, 정합 장치(21)가 상기 스캐너(10)의 스캔에 의해 형성된 스캔 이미지에 미리 결정된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지대주 및 상기 지대주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단계, 설계 장치(22)가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에 결합하는 인공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장치(22)에 의해 생성된 인공치아 이미지에 따라 밀링 장치(23)가 인공치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이미지는 내면에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 결합 홈과, 상기 지대주의 제1 스크류 관통 홀과 정렬되는 제2 스크류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는 상기 지대주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 및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과 정렬되는 제3 스크류 관통홀이 형성된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 시스템으로서, 식립 대상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을 스캔하는 스캐너(10), 상기 스캐너(10)의 스캔에 의해 형성된 스캔 이미지에 미리 결정된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정합하는 정합 장치(21), 상기 정합 장치에 의해 정합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에 결합하는 인공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설계 장치(22) 및 상기 설계 장치(22)에 의해 생성된 인공치아 이미지에 따라 인공치아를 밀링하는 밀링 장치(23)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구조물이 횡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유지력 제공 부재와, 종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스크류를 포함함으로써, 이중 유지 구조를 통해 지대주-인공치아 간의 유지력이 증대되면서도, 종래의 임플란트 구조물(나사 유지형, 시멘트 유지형, 나사-시멘트 복합형)에서의 단점까지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지대주의 높이가 종래 지대주 대비 낮게 형성됨에 따라 악간 거리가 좁은 환자에게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지대주의 상부가 종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20도 내지 24도)가 종래 지대주 대비 높아서, 보다 넓은 범위의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다.
또한, 인공치아가 지대주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나사 체결 없이 끼워지는 결합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시술이 간편하다.
또한, 링크를 더 구비함으로써, 임플란트 구조물에 종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결합 과정에서, 스크류-인공치아의 마찰로 인해 인공치아가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가능하다.
또한, 비교적 단순 결합 방식으로 지대주-인공치아 간 결합이 수행됨에 따라, 인공치아를 제조하는 디지털 보철 시스템에 쉽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3은 종래의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상부보철물-지대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나사 유지형, 시멘트 유지형, 나사-시멘트 복합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a)와 결합 사시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임플란트 구조물이 치조골에 식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a)과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a)와 결합 사시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임플란트 구조물이 치조골에 식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a)과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b)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시스템은 "물건"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 "종방향"은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되는 잇몸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용어 "횡방향"은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되는 잇몸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1.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도 4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고정체(100), 지대주(200) 및 인공치아(300)를 포함한다.
고정체(100)는 식립 대상의 치조골에 식립되어 임플란트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한다. 외면에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나사산(101)과 치조골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임플란트 구조물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대주(200)는 고정체(100)와 인공치아(300)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체(100)와 인공치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대주(200)는 바디(210), 유지력 제공 부재(220) 및 스크류(240)를 포함한다.
바디(210)는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상부 지대주(211), 상부 지대주(211)와 연결되면서 하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즉, 상측을 향해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하부 지대주(212) 및 고정체(100)와 결합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상부 지대주(211), 하부 지대주(212) 및 결합부(213)에는, 이들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이 형성되며, 스크류(240)는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을 통과하여 고정체(100)에 결합된다. 즉, 스크류(240)가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을 통과하여 고정체(100)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체(100) - 지대주(200) - 인공치아(300)의 결합 구조에 종방향(수직 방향)으로의 유지력(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바디(210) 내부에는 유지력 제공 부재(220)가 삽입 설치된다. 유지력 제공 부재(220)는 탄성체(221)와 지지체(222)를 포함한다.
상부 지대주(211)의 일면에는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연통하며, 횡방향(수평 방향)을 향해 지대주(211) 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된다.
유지력 제공 부재(220)는 관통공(211a)과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탄성체(221) - 지지체(222)의 순으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222)는 관통공(211a) 내부이면서 탄성체(221) 외측인 위치에 설치된다.
탄성체(221)는 일 예로, 고리(ring) 형상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일부가 단절된 형상일 수 있다. 탄성체(221)에 단절된 부분(221a)이 존재함으로써 지대주(200)에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는 탄성체(221)가 수축하고,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는 탄성체(221)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수축되도록, 일정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니티놀(nitinol)로 제조된 탄성체(221)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지지체(222)는 관통공(211a)의 내부이면서 탄성체(221) 외부인 위치에 설치되며, 인공치아(300)에 횡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체(222)는 일 예로 구(sphere) 형상일 수 있으며, 관통공(211a)의 직경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특히, 관통공(211a)의 외측 말단 직경은 지지체(222)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지지체(222)가 관통공(211a)을 통과하여 분리되지 않고, 지지체(222)의 일부만이 지대주(210)로부터 돌출되어 인공치아(300)와 맞닿음으로써 횡방향으로의 유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지지체(222)와 인공치아(300)가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지체(222)는 인공치아(300)와 동일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지르코니아(zirconia)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유지력 제공 부재(220)는 외력 인가 시 수축되고, 인가된 외력 제거 시 지대주(200)로부터 돌출되어 인공치아(300)에 맞닿을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면, 임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200)는 종래 임플란트 지대주 대비 높이(h)가 낮아서 악간 거리가 좁은 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종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α)가 커서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부 지대주(211)는 그 높이(h)가 1.8mm 내지 2.2mm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mm일 수 있다.
상부 지대주(211)의 높이(h)가 낮을수록 식립 대상이 좁은 악간 거리(상악-하악 간 거리)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한바, 좁은 악간 거리를 갖는 식립 대상에서도 임플란트 수복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지대주(211)의 외면이 종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α)는 20도 내지 24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2도일 수 있다.
상부 지대주(211)의 외면을 약 20도 내지 24도 기울어진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2도 기울어진 상부 지대주(211)를 사용하는 경우, 종방향에 대해 44도 범위 내의 임플란트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 임플란트 구조물에서 20도 남짓 범위 내의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였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다양한 임상 증례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스크류(240)는 단턱부(241), 연장부(242) 및 나사산(243)을 포함하며, 인공치아(300)의 제2 스크류 관통 홀(314), 지대주(200)의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을 통과하여 고정체(100)에 결합됨으로써, 지대주(200)와 인공치아(300)에 종방향(수직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인가한다.
스크류(240)의 나사산(243)은 고정체(100) 내면의 나사산(미도시)와 나사 결합되어 상호 견고한 결합을 이루며, 단턱부(241)는 연장부(24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스크류(24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의 직경은 적어도 연장부(242)의 직경보다는 크고 단턱부(241)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치아(300)는 지대주(200)에 결합되고, 잇몸 상부로 노출되어 식립 대상의 치아 역할을 수행한다. 외형은 실제 치아와 동일한 형상을 띌 수 있고, 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200)와 결합하기 위한 특유의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인공치아(300)에는 스크류(240)가 투입되는 스크류 투입 홀(311)이 종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스크류 투입 홀(311)과 연결되면서 지대주(200)의 상부 지대주(221)와 결합하는 지대주 결합 홈(312)이 종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지대주 결합 홈(312)의 양측에 연결되면서 지지체(222)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 홈(313)이 횡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크류 투입 홀(311)은 인공치아(30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체 결합 홈(313)은 지대주 결합 홈(312)의 외측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속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치아(300)의 내부가 스크류 투입 홀(311), 지대주 결합 홈(312) 및 지지체 결합 홈(31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결합 기구 없이도 인공치아(300)를 손으로 파지한채 지대주(200)를 향해 가압하면, 탄성체(221)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축되어 인공치아(300)가 상부 지대주(211)에 결합될 수 있고, 인공치아(30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 탄성체(221)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어 지지체(222)가 인공치아(300)의 지지체 결합 홈(313)에 삽입되면서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지지체(222)-지지체 결합 홈(313)이 서로 결합되면, 지지체(222)는 인공치아(300)에 측방향(횡방향)으로의 고정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저작 작용 등으로 인공치아(300)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인공치아(300)가 지대주(200)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결합 홈(313)은 지대주 결합 홈(312)의 외측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대주(200)에 대한 인공치아(300)의 상대 위치가 최초 식립 계획보다 다소 비틀리더라도, 지대주(200)의 지지체(222)가 인공치아(300)의 지지체 결합 홈(313)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제1 실시예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 더하여 링크(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1 실시예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서, 스크류(240)가 스크류 관통 홀을 통과하여 고정체(100)에 결합됨으로써, 지대주(200)와 인공치아(300)에 종방향(수직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인가할 수 있음을 설명한바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스크류(240)와 인공치아(300)가 직접 맞닿게 된다. 스크류(2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인공치아(300)는 지르코니아 등의 금속보다 약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류(240)를 조이는 과정 또는 인공치아(300)를 통해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스크류(240)와 인공치아(300) 사이의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치아(300)가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부 지대주(211)에 결합하고, 지대주(200)와 같은 금속 재질로 제조된 링크(230)를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링크(230)는 상부 지대주(211)의 상부에 결합하며, 링크(230)의 외면은 상부 지대주(211)의 외면과 컨포멀할 수 있다. 즉, 링크(230)의 외측면 역시 상부 지대주(211)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에 대해 20도 내지 24도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며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링크(230)의 외면이 종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α)는 20도 내지 24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22도일 수 있다. 따라서, 링크(230)를 더 구비하더라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각도 보상이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30)는 스크류(230)와 인공치아(300) 사이에 위치되어, 스크류(240)와 인공치아(300)는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게 된다. 즉, 스크류(230)에 의한 종방향으로의 고정력 인가 과정에서 인공치아(300)가 마모되지 않으며,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이후에도 스크류(230) - 인공치아(300) 사이의 마찰로 인한 인공치아(300) 마모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류(230)의 통과를 위해, 링크(23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관통된 제3 스크류 관통 홀(234)이 형성된다.
제2 실시예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링크(23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제1 실시예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 비해 내구성은 더 높으나, 지대주(200)의 높이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악간 거리가 비교적 넓은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 및 시스템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예를 들어, 인공치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를 위해, 스캐너(10)와 제조 장치(20)가 사용된다.
스캐너(10)는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대상의 구강 또는 상기 식립 대상의 구강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구강 모형을 스캔하여, 스캔 결과에 따른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스캐너(10)에 의한 스캔이 이루어지면, 3차원 스캔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으며(도 16 참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조 장치(20)가 인공치아를 생성한다.
스캐너(10)에 의한 스캔이 이루어지면, 제조 장치(20)는 스캐너에 의해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이용하여 밀링의 기초가 되는 밀링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조 장치(20)는 정합 장치(21), 설계 장치(22), 밀링 장치(23), 입력 장치(24), 출력 장치(25) 및 저장 장치(26)를 포함한다.
스캐너(10)에 의한 스캔 이전에, 제조 장치(20)의 입력 장치(24)를 통해 식립 대상의 정보 입력, 인공치아 재질 및 형상 입력, 지대주 정보 입력(여기서 입력되는 지대주 정보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정보임), 지대주 크기 입력, 인공치아의 내면 갭(gap) 입력 순으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되는 정보들은 저장 장치(26)에 미리 저장이 되어 있으며, 다수의 후보군(크기, 재질, 형상) 등 식립 대상에 적합한 정보가 입력 장치(24)를 통해 입력된다.
입력 장치(24)는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 명령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출력 장치(25)는 제조 장치(20)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모니터,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형태로 구비되며, 저장 장치(26)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후, 구강 또는 구강 모형에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될 위치에 스캔 바디를 결합하고(도 16(a)), 스캐너(10)에 의한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의 스캔이 이루어지며(도 16(b)),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캔 이미지가 생성된다.
제조 장치(20)는 스캐너(10)에 의해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임플란트 구조물 밀링을 위한 밀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밀링 이미지에 따라 인공치아를 밀링하도록 구성된다.
정합 장치(21)는 생성된 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스캔 바디 이미지를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스캐너(10)에 의해 스캔된 스캔 이미지는 스캔 방향/스캔 장소의 조명 등에 따라, 스캔 바디의 일부 형상이 뚜렷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정합 과정 없이 인공치아의 밀링 이미지를 생성한다면, 정확도/정밀도가 낮은 인공치아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합 과정이 먼저 수행된다.
이를 위해, 저장 장치(26)는 구강 또는 구강 모형에 결합된 스캔 바디의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으며, 스캔 바디 이미지의 일부분에는 정합 포인트(도 16(c)의 빨간색 점으로 표시된 부분)가 형성된다. 정합 장치(21)는 스캔 이미지에 포함된 스캔 바디 이미지의 정합 포인트와 저장 장치(26)에 미리 저장된 스캔 바디 이미지의 정합 포인트가 일치되는 위치에, 저장 장치(26)에 미리 저장된 선명한 스캔 바디 이미지를 정합하게 된다. 정합 장치(21)에 의한 정합 과정이 완료되면, 정합 이미지가 생성된다(도 16(c) 참조).
설계 장치(22)는 정합 이미지를 이용하여 밀링 이미지를 생성한다. 먼저, 식립될 임플란트 구조물과, 대합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정합 이미지의 교합 평면을 정렬하고(도 17(e)), 저장 장치(26)에 미리 저장된 지대주 정보(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정보)인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불러와, 불러온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정합 이미지에 결합한다(도 17(f) 참조).
이후, 설계 장치(22)는 불러온 라이브러리 이미지에 결합하는 인공치아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설계 장치(22)가 불러온 라이브러리 이미지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이미지인 경우, 내면 공간이 비교적 좁은 인공치아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며(지대주와 인공치아가 직접 결합되기 때문), 설계 장치(22)가 불러온 라이브러리 이미지가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대주 이미지인 경우, 내면 공간이 비교적 넓은 인공치아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내면 공간에 링크가 결합되기 때문).
설계 장치(22)에 의해 인공치아의 내면 공간 이미지 디자인이 완료되면,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될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외형 이미지가 디자인될 수 있으며(도 17(g)), 이후 치은 연상 부위의 디자인이 완료되고(도 17(h)), 최종 위치 및 적합 확인 과정 후 인공치아의 밀링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도 18 참조).
설계 장치(22)에 의해 생성된 밀링 이미지는 밀링 장치(23)에 전송되며, 밀링 장치(23)는 입력 장치(24)를 통해 입력된 재질의 재료를 밀링 이미지에 따라 밀링하여, 인공치아를 생성하게 된다.
밀링 장치(23)에 의해 생성된 인공치아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인공치아(300)에 해당하며, 인공치아(300)를 지대주(200)에 결합하고, 스크류(230)가 인공치아(300) 및 지대주(200)를 통과하여 고정체(1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위 설명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캐너
20: 제조 장치
21: 정합 장치
22: 설계 장치
23: 밀링 장치
24: 입력 장치
25: 출력 장치
26: 저장 장치
100: 고정체
101: 나사산
200: 지대주
210: 바디
211: 상부 지대주
211a: 관통공
212: 하부 지대주
213: 결합부
214: 제1 스크류 관통 홀
220: 유지력 제공 부재
221: 탄성체
221a: 단절된 부분
222: 지지체
230: 링크
234: 제3 스크류 관통 홀
240: 스크류
241: 단턱부
242: 연장부
243: 나사산
300: 인공치아
311: 스크류 투입 홀
312: 지대주 결합 홈
313: 지지체 결합 홈
314: 제2 스크류 관통 홀

Claims (14)

  1. 치조골에 삽입되는 고정체(100)에 결합되고, 횡방향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211a)이 형성된 지대주(200);
    상기 지대주(200)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반경 내외측을 향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체(221);
    상기 관통공(211a) 내부와 상기 탄성체(221)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체(221)의 수축에 따라 상기 지대주(2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탄성체(221)의 팽창에 따라 상기 지대주(200)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체(222);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대주(200)에 결합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체(222)가 결합되는 지지체 결합 홈(313)이 형성된, 인공치아(crown)(300); 및
    스크류(240)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200)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된 제1 스크류 관통 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아(300)에는 종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정렬되는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240)가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과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314)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체(100)에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200)는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 상부 지대주(211)와, 상기 상부 지대주(211)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상측을 향해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대주(212)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211a)은 상기 상부 지대주(21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대주(211)는 종방향에 대해, 20도 내지 24도 각도를 가지며 상측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대주(211)는 높이는 1.8mm 내지 2.2mm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20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대주(200)의 상부와 컨포멀(conformal)한 링크(230)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30)에는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214) 및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314)과 정렬되는 제3 스크류 관통 홀(234)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240)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크류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체(100)에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 홈(313)은 상기 인공치아(300)의 내면 일 지점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속적인 형상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9.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으로서,
    스캐너(10)가 식립 대상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을 스캔하는 단계;
    정합 장치(21)가 상기 스캐너(10)의 스캔에 의해 형성된 스캔 이미지에 미리 결정된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지대주 및 상기 지대주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단계;
    설계 장치(22)가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에 결합하는 인공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장치(22)에 의해 생성된 인공치아 이미지에 따라 밀링 장치(23)가 인공치아를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이미지는 내면에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지지체 결합 홈과, 상기 지대주의 제1 스크류 관통 홀과 정렬되는 제2 스크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는 상기 지대주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류 관통 홀 및 상기 제2 스크류 관통 홀과 정렬되는 제3 스크류 관통홀이 형성된 링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 시스템으로서,
    식립 대상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을 스캔하는 스캐너(10);
    상기 스캐너(10)의 스캔에 의해 형성된 스캔 이미지에 미리 결정된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정합하는 정합 장치(21);
    상기 정합 장치에 의해 정합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라이브러리 이미지에 결합하는 인공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설계 장치(22); 및
    상기 설계 장치(22)에 의해 생성된 인공치아 이미지에 따라 인공치아를 밀링하는 밀링 장치(23);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 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67225A 2021-05-25 2021-05-25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KR10260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25A KR102604677B1 (ko) 2021-05-25 2021-05-25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225A KR102604677B1 (ko) 2021-05-25 2021-05-25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563A KR20220159563A (ko) 2022-12-05
KR102604677B1 true KR102604677B1 (ko) 2023-11-24

Family

ID=8439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225A KR102604677B1 (ko) 2021-05-25 2021-05-25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6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7873A1 (en) * 2009-07-16 2013-07-11 Rodo Medical, Inc. Shape memory dental retention systems
US20130196290A1 (en) 2011-05-16 2013-08-01 Biomet 3I, Llc Healing Abutment Assembly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KR101386560B1 (ko)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032A (ko) 2013-04-02 2014-10-13 (주) 코웰메디 스프링 결합식 임플란트 지대체 시스템
KR101633258B1 (ko) 2016-01-21 2016-06-27 채희진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633259B1 (ko) 2016-02-25 2016-06-24 채희진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097423B1 (ko) * 2018-03-15 2020-04-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버트먼트 침몰방지용 착탈형 임플란트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7873A1 (en) * 2009-07-16 2013-07-11 Rodo Medical, Inc. Shape memory dental retention systems
US20130196290A1 (en) 2011-05-16 2013-08-01 Biomet 3I, Llc Healing Abutment Assembly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KR101386560B1 (ko)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563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419B2 (en)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US20210212804A1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CN108135676B (zh) 具有可扫描特征的愈合帽
US10123856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7909607B2 (en) Method for designing a digital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10980618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11690700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20170209235A1 (en) Drill guide assembly
CA3017503A1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KR102604677B1 (ko) 이중 유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및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디지털 보철 시스템
US10285786B2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formed of two customized parts
KR10243578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EP3838214B1 (en) A ca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uperstructure for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and providing the same.
KR20240025290A (ko)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KR20240025289A (ko)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EP3376992B1 (en) Healing cap with scannable features
EP3171811B1 (en) Drill guide assembly
KR20220151057A (ko) 치아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KR20230044765A (ko) 시멘트가 필요 없는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