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30B1 -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30B1
KR102233230B1 KR1020200069995A KR20200069995A KR102233230B1 KR 102233230 B1 KR102233230 B1 KR 102233230B1 KR 1020200069995 A KR1020200069995 A KR 1020200069995A KR 20200069995 A KR20200069995 A KR 20200069995A KR 102233230 B1 KR102233230 B1 KR 10223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sterilizing water
housing
spraying
horizon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용
신상오
박장안
윤용해
박성준
김병옥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하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하이포스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06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조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는, 상기 제1 롤러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 및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 헤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Apparatus of cleaning conveyer belt}
본 발명은 식품 조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또는 식자재는 매우 위생적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가공 식품 생산 설비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식자재 및/또는 가공 식품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식자재 또는 식자재를 담은 용기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가공 식품 생산 설비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가 완료된 식자재를 담은 용기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 장비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식자재가 담긴 용기를 컨베이어 벨트에 탑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식자재의 일부가 용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된 식자재는, 컨베이어 벨트를 오염시켜서,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534호
본 발명은, 기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서 이동중인 컨베이어 벨트를 살균하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가 제공된다.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는, 상기 제1 롤러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 및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1 분사 헤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건조부는, 가압된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하는 제3 분사 헤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상기 제1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하며,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상기 제2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해 상기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1 수평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향해 상기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2 수평관 및 상기 제1 수평관과 상기 제2 수평관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1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해 상기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1 수평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향해 상기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2 수평관 및 상기 제1 수평관과 상기 제2 수평관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1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비산된 상기 제1 살균수 및 상기 제2 살균수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구동중에도 컨베이어 벨트를 살균할 수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포함한 가공 식품 생산 설비 전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의 살균수 분사부 및 건조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은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인용된다.
도 1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10) 및 컨베이어 벨트(10)를 구동하는 둘 이상의 롤러(11, 12)로 구성된다. 컨베이어 벨트(10)는, 회전하는 롤러(11, 12)에 의해 구동되며, 상면에 배치된 대상물, 예를 들어, 식자재가 담긴 용기를 이송한다.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롤러(1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가 배치되는 롤러(12)는, 대상물을 컨베이어 벨트(10)에 탑재하는 장비측으로 컨베이어 벨트(10)를 진행시키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영역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를 나타내며, 아래쪽에는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컨베이어 벨트(10)를 효과적으로 살균 및 건조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0)에 살균수를 분사하는 살균수 분사부 및 분사된 살균수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는, 롤러(12)를 향해 진행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에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1 살균수 분사부(110), 롤러(12)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경된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에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제2 살균수 분사부(120), 및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를 건조시키는 건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는, 롤러(12)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컨베이어 벨트(10)가 진입 또는 진출하는 우측벽(151), 우측벽(151)에 대향하는 좌측벽(152), 우측벽(151)과 좌측벽(1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153), 및 우측벽(151)과 좌측벽(15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벽(154)을 포함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우징은 우측벽(151)과 좌측벽(15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전면벽 및 우측벽(151)과 좌측벽(152)의 타측을 연결하는 후면벽을 포함함으로써, 분사된 살균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우측벽(151)에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가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151a) 및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가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기 위한 진출구(151b)가 형성된다. 하부벽(154)에는,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낙하한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54a)가 형성된다.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강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의 외부에 에어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된 살균수는 컨베이어 벨트(10a, 10b)에 부딪힌 후 일부는 비산되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흡입구(152a)가 살균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위치한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펌프와 연결된 흡입관(140)은 흡입구(152a)를 통해 하우징 내부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수구(154a)도 흡입관(140)에 연결되어, 낙하한 살균수뿐 아니라, 비산된 살균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살균수 분사부(110, 120)는 진입구 및 진출구(151a, 151b)의 반대 방향으로 살균수를 분사한다. 진입구 및 진출구(151a, 151b)의 반대 방향으로 살균수를 경사지게 분사함으로써, 살균수가 원하지 않는 방향, 즉, 진입구(151a) 또는 진출구(151b)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살균수 분사부(110, 120)는, 컨베이어 벨트(10a, 10b)의 상면에만 살균수를 분사하거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살균수 분사부(110)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 살균수를 분사하며, 제2 살균수 분사부(120)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2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다. 살균수는, 미산성전해수일 수 있으며, 제1 살균수와 제2 살균수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 살균수이거나 상이한 조성을 갖는 살균수일 수 있다.
건조부(130)는, 컨베이어 벨트(10b)에 남은 살균수를 제거한다. 건조부(130)는, 살균수 분사부(110, 120)와 진출구(15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부(130)는, 가압된 공기를 분사하여 컨베이어 벨트(10b)에 남은 살균수를 비산시킴으로써 건조하거나, 컨베이어 벨트(10b)에 열을 가해서 살균수를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할 수 있다. 살균수 분사부(110, 120)와 동일하게, 건조부(130)는 진입구 및 진출구(151a, 151b)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의 살균수 분사부 및 건조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수 분사부(110, 120)는, 진행중인 컨베이어 벨트(10a, 10b)를 간섭하지 않기 위해서, “ㄷ”자 형상의 분사 헤드(112,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살균수 분사부(110)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제1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11) 및 공급관(111)에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분사 헤드(112)를 포함하며, 제2 살균수 분사부(120)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제2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21) 및 공급관(121)에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분사 헤드(1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분사 헤드(112, 122)와 공급관(111, 121)은 수직하게 연결되거나,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또는 경사 연결은,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와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 사이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간 거리가 짧으면, 경사지게 연결하여 분사 노즐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분사 노즐이 향하는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분사 노즐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도 있다.
제1 분사 헤드(112)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제1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1 수평관(112a),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제1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2 수평관(112b), 및 제1 수평관(112a)과 제2 수평관(112b)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112c)을 포함한다. 제1 분사 헤드(112)는,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를 향해 제1 살균수를 분사한다.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는 상면이 지면을 향하며, 하면이 그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진행한다. 제1 수평관(112a)에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113a)이 진입구(151a)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제2 수평관(112b)에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113b)이 진입구(151a)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제2 분사 헤드(122)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제2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1 수평관(122a),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제2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2 수평관(122b), 및 제1 수평관(122a)과 제2 수평관(122b)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122c)을 포함한다. 제2 분사 헤드(122)는,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를 향해 제2 살균수를 분사한다. 제1 수평관(122a)에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123a)이 진출구(151b)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제2 수평관(122b)에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123b)이 진출구(151b)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한편, 가압된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부(130)는, 진행중인 컨베이어 벨트(10b)를 간섭하지 않기 위해서, “ㄷ”자 형상의 제3 분사 헤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130)는,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에 연결된 공급관(131), 및 공급관(131)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분사 헤드(132)를 포함한다. 제3 분사 헤드(132)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가압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1 수평관(132a),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가압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2 수평관(132b), 및 제1 수평관(132a)과 제2 수평관(132b)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132c)을 포함한다. 제3 분사 헤드(132)는,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를 향해 가압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1 수평관(132a)에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133a)이 진출구(151b)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제2 수평관(132b)에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133b)이 진출구(151b)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분사 헤드(112, 122, 132)는, 예시된 ㄷ자 형상 이외에,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동일한 살균수를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분사 헤드(112)는, 분리된 한 쌍의 수평관(112a, 1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평관(112a)은,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제1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해, 복수의 노즐이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2 수평관(112b),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제1 살균수를 분사하기 위해, 복수의 노즐이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평관(112a, 112b)의 일단은 유체 연통 가능하게 공급관(111)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은 밀봉될 수 있다. 제2 분사 헤드(122) 및 제3 분사 헤드(132)도 제1 분사 헤드(11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분사 헤드(112)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관일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제1 분사 헤드(112)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노즐은 컨베이어 벨트를 향하도록 제1 분사 헤드(112)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사 헤드(122) 및 제3 분사 헤드(132)도 제1 분사 헤드(11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100)가 설치될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10a, 10b), 롤러(12) 및 다른 구성부는 지지대(1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150), 살균수 분사부(110, 120), 건조부(130) 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4)가 지지대(13) 또는 롤러(12) 주변 구성부에 설치될 수 있다.
(b)에서, 제1 살균수 분사부(110) 및 제2 살균수 분사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살균수 분사부(110)의 제1 분사 헤드(112)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10a)가 제1 수평관(112a)과 제2 수평관(112b)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되며, 제2 살균수 분사부(120)의 제2 분사 헤드(122)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가 제1 수평관(122a)과 제2 수평관(122b)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c)에서, 건조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건조부(130)의 제3 분사 헤드(132)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10b)가 제1 수평관(132a)과 제2 수평관(132b)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에서, 하우징(15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50)은, 롤러(12), 살균수 분사부(110, 120), 및 건조부(13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하우징(150)이 설치된 후, 흡입관(140)이 하우징(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서 이동중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살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 및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를 가지며, 분사된 살균수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는 하우징-여기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대상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탑재하는 장비측으로 진행시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1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입구의 반대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 헤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진출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하는 제2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의 반대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제2 분사 헤드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진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가압된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하는 제3 분사 헤드인,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상기 제1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하며,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상기 제2 살균수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하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해 상기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1 수평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향해 상기 제1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2 수평관; 및
    상기 제1 수평관과 상기 제2 수평관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 헤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1 살균수를 공급받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향해 상기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1 수평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향해 상기 제2 살균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 노즐이 배치된 제2 수평관; 및
    상기 제1 수평관과 상기 제2 수평관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분사 헤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수평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상기 제1 살균수를 공급받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비산된 상기 제1 살균수 및 상기 제2 살균수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KR1020200069995A 2020-06-10 2020-06-10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KR10223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95A KR102233230B1 (ko) 2020-06-10 2020-06-10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95A KR102233230B1 (ko) 2020-06-10 2020-06-10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230B1 true KR102233230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995A KR102233230B1 (ko) 2020-06-10 2020-06-10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8755A1 (en) * 2000-02-10 2002-04-04 Manoj Virippil Automated conveyor cleaning system
KR101162267B1 (ko) * 2011-03-22 2012-07-04 나용민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KR101614534B1 (ko) 2009-02-25 2016-04-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0190344973A1 (en) * 2018-05-08 2019-11-14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conveyor bel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8755A1 (en) * 2000-02-10 2002-04-04 Manoj Virippil Automated conveyor cleaning system
KR101614534B1 (ko) 2009-02-25 2016-04-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62267B1 (ko) * 2011-03-22 2012-07-04 나용민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US20190344973A1 (en) * 2018-05-08 2019-11-14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conveyor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1675A (en) Apparatus for washing insulated trays
US5551461A (en) Produce washer
JP2010504191A (ja) 容器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20060219820A1 (en) Conveyor ware washer and spray pipe therefor
KR20100013679A (ko) 에어나이프 장치
CN107962022A (zh) 瓶盖自动清洗生产线
KR101825322B1 (ko) 스팀 세척장치
KR102233230B1 (ko) 컨베이어 벨트 살균 장치
TW200816354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0421780B1 (ko) 에젝터를 이용한 다단격실형 세척기
KR100938639B1 (ko) 건조 장치
US5820694A (en) Produce washer and washing method
US112595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shell eggs
CN209810745U (zh) 一种金属零件清洗系统
US1674414A (en) Fruit drier
JP5463442B2 (ja) 食品運搬薄型容器洗浄後の乾燥装置
JP3881965B2 (ja) 物品処理装置
KR20160066382A (ko) 초음파 세정 시스템
JP2709863B2 (ja) ボトル処理装置
KR100504086B1 (ko) 탈피기
KR200487611Y1 (ko) 탈피기
KR20130003277A (ko) 마이크로 버블식 농산물 세척기
EP3546834A1 (en) Oven provided with a washing system
JP2004203668A (ja) 板材の酸処理設備
KR20130036401A (ko) 기판 코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