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05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059B1
KR102233059B1 KR1020190124292A KR20190124292A KR102233059B1 KR 102233059 B1 KR102233059 B1 KR 102233059B1 KR 1020190124292 A KR1020190124292 A KR 1020190124292A KR 20190124292 A KR20190124292 A KR 20190124292A KR 102233059 B1 KR102233059 B1 KR 10223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connector
boar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288A (ko
Inventor
요시테루 노가와
나오야 이노우에
미키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5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이면서, 패널의 개구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패널의 개구로의 삽입 조작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부착된 단자와, 상기 하우징과 기판(91)을 연결하는 휨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휨 부재는 상기 기판(91)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91)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95)의 개구(95a)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캡(41)이 부착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케이스나 보호 커버의 패널에 의해 덮인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의 기판을 패널 외측의 배선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소위 플로팅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일정한 범위에서 단자가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에 고정된 커넥터의 위치와 패널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 개구의 위치 사이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61은 회로 기판(891)에 실장된 커넥터의 원통형 아우터 쉴드(cylindrical outer shield)로서, 그 기단이 플랜지부(862)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51은 아우터 쉴드(861) 내에 절연체(821)를 통하여 보유 지지된 중심 컨택트(central contact)이며, 그 기단의 테일부(852)는 플랜지부(862)의 중심에 형성된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테일부(852)는 원통형 공동을 갖고, 당해 공동 내에는, 하단이 회로 기판(891)에 고정된 중심 단자(871)가 수용됨과 함께 테이퍼 코일형의 중심 코일 스프링(875)이 수용되어 있다. 당해 중심 코일 스프링(875)은, 하단이 상기 공동의 하단에 형성된 내측 플랜지(852a)에 걸림 결합하고, 상단이 상기 중심 단자(871)의 헤드부에 걸림 결합하고, 그 스프링 힘에 의해, 상기 공동의 천장면이 상기 중심 단자(871)의 헤드부의 상면에 가압되고, 이에 의해, 중심 컨택트(851)와 중심 단자(871)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862)도 원통형 공동을 갖고, 당해 공동 내에는, 하단이 회로 기판(891)에 고정된 외측 단자(872)가 수용됨과 함께 테이퍼 코일형의 외측 코일 스프링(876)이 수용되어 있다. 당해 외측 코일 스프링(876)은, 하단이 상기 외측 단자(872)에 고정된 스프링 받침 링(872b)에 걸림 결합하고, 상단이 상기 공동의 천장면에 걸림 결합하고, 그 스프링 힘에 의해, 상기 공동의 외측 플랜지부(862)의 상면이 상기 외측 단자(872)의 상단 날밑부(872a)의 하면에 가압되고, 이에 의해, 아우터 쉴드(861)와 외측 단자(872)와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된다.
그리고 회로 기판(891)에 실장된 커넥터를 패널(895)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 개구(895a)에 삽입할 때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 삽입 개구(895a)의 중심 위치가 원통형 아우터 쉴드(861)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테일부(852)의 원통형 공동이 중심 단자(87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위치 어긋남 가능하고, 또한 플랜지부(862)의 원통형 공동이 외측 단자(87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위치 어긋남 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041347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로팅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패널(895)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 개구(895a)에 커넥터를 삽입할 때에, 당해 커넥터의 위치가 커넥터 삽입 개구(895a)의 위치와 어긋나 있으면, 커넥터의 상단이 패널(895)의 하면에 맞닿아, 커넥터의 상단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수가 많고,게다가 각각의 커넥터의 위치가 대응하는 커넥터 삽입 개구(895a)의 위치와 어긋나 있으면, 모든 커넥터의 위치가 수정되어, 대응하는 커넥터 삽입 개구(895a)에 삽입되게 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버린다.
여기에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단한 구성이면서, 패널의 개구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패널의 개구로의 삽입 조작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해,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부착된 단자와, 상기 하우징과 기판을 연결하는 휨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휨 부재는 상기 기판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의 개구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캡이 부착 가능하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과, 당해 제 1하우징에 부착된 제1 단자와, 제2 하우징과, 당해 제 2하우징에 부착된 제2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기판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의 개구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캡이 부착 가능하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2 하우징은 대략 원기둥형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캡은 대략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휨 부재는 전도성의 봉형 부재이며, 양단에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가이드 캡은 그 저면으로부터 선단이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의 선단면의 중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캡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볼록부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원통 벽은 원통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릿에 의해 절단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선단면으로부터 기단면까지 관통하는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며, 상대방 단자가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 공동 내로 진입 가능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패널의 개구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패널의 개구로의 삽입 조작이 용이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에 접속함과 함께 패널의 삽입 개구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와 기판과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에 접속함과 함께 패널의 삽입 개구에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 측 커넥터에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측 커넥터의 3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휨 부재의 2면도로서, (a)는 제1 측면도, (b)는 (a)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제2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측 하우징의 4면도로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캡의 사시도로서, (a)는 선단 측에서 본 도면, (b)는 기단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캡의 2면도로서, (a)는 하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에 접속함과 함께 패널의 삽입 개구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와 기판과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가리키는 분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에 접속함과 함께 패널의 삽입 개구에 삽입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로서, 기판(91)과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는 유연성을 갖는 구조를 구비하며, 소위 플로팅 커넥터의 일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기판(91)은, 예를 들어 전기 기기,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10) 및 기타 부재의 각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커넥터(10) 및 기타 부재의 각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 부호 101은 기판(91)의 표면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10)는 대응하는 기판 측 커넥터(101)와 끼워 맞춰짐으로써 기판(91)에 접속된다. 또한, 도면 부호 95는 기판(91)의 상방에 배치된 패널로서, 예를 들어 전자 기기, 전기 기기 등의 케이스의 벽의 일부여도 되고, 기판(91)의 상방을 덮는 보호 커버의 일부여도 되며, 전기 기기, 전자 기기 등에 장전된 다른 부품, 장치 등의 일부여도 된다. 또한, 상기 패널(95)의 기판(91)에 대한 높이 방향(Z 방향)의 위치는 지지 부재 등의 어떠한 수단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패널(95)의 상방에는, 상대방 부재가 존재하고, 커넥터(10)는, 그 상단이 패널(95)에 형성된 개구인 삽입 개구(9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부재가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대방 부재와 접속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커넥터(10)의 수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10)의 수는 5개 이상이어도 되고, 3개 이하여도 되며, 단수여도 된다. 또한, 기판(91)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101)의 수, 및 패널(95)을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개구(95a)의 수는 커넥터(10)의 수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기판 측 커넥터(101)의 각각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갖는 기판 측 하우징(111)과, 당해 기판 측 하우징(111)에 장전된 금속 등의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 측 단자(151)를 구비한다. 상기 기판 측 하우징(111)은, 원통형 측벽(111b)과, 당해 측벽(111b)의 하단을 막는 원판상 저판(111a)을 갖는다. 상기 측벽(111b)의 내측에는, 하단이 저판(111a)에 의해 획정되고, 상단이 개방된 끼워 맞춤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측 단자(1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 부재로서, 복수 개(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4개)가 상기 저판(111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당해 저판(111a)에 부착된다. 당해 저판(111a)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각 기판 측 단자(151)의 하단은, 기판(91)의 표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접속 패드 등의 접속 부재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각 기판 측 단자(151)의 상단을 포함하는 상측 부분은 끼워 맞춤 오목부(113) 내에 있어서 저판(11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있다.
각 커넥터(1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으로서의 하측 하우징(11A)과,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으로서의 상측 하우징(11B)과, 상기 하측 하우징(11A)과 상측 하우징(11B)을 연결하는 유연성을 갖는 휨 부재(81)를 구비한다. 상기 하측 하우징(11A)과 상측 하우징(11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측 하우징(11A) 및 상측 하우징(11B)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휨 부재(81)는 단수여도 복수여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측 단자(151)와 마찬가지로, 4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휨 부재(81)는 전도성 및 유연성을 갖는 동시에 자립 가능한 정도의 경도를 갖는 가늘고 긴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여도 되며, 예를 들어 전선이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전도성 금속판을 프레싱하여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 부재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각 휨 부재(81)의 하단에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 단자로서의 하측 단자(51A)가 접속되고, 상단에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로서의 상측 단자(51B)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하측 단자(51A)와 상측 단자(51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측 단자(51A) 및 상측 단자(51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단자(51)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하우징(11A)은 대략 원기둥형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기단부(11a)와, 당해 기단부(11a)보다 직경이 작고 하측에 위치하는 선단부(11b)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선단부(11b)는 기판 측 커넥터(101)의 끼워 맞춤 오목부(113)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하측 하우징(11A)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단자 수용 공동(13)이 형성되고, 당해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는, 각 하측 단자(51A) 전체와 각 휨 부재(81)의 하단 근방이 수용된다. 각 단자 수용 공동(13)은 각 하측 단자(51A)에 있어서의 상대방 단자인 각 기판 측 단자(15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11b)가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113)에 삽입되면, 각 기판 측 단자(151)의 적어도 상단 및 그 근방이 대응하는 단자 수용 공동(13)에 진입하고, 당해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하측 단자(51A)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상기 상측 하우징(11B)은 대략 원기둥형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하측에 위치하는 기단부(11a)와, 당해 기단부(11a)보다 직경이 작게 상측에 위치하는 선단부(11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단부(11a)는 패널(95)의 삽입 개구(95a) 내에 수용되는 부분이며, 상기 선단부(11b)는 패널(95)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부재가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의 끼워 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삽입 개구(95a)의 내경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1B)의 기단부(11a)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상측 하우징(11B)의 기단부(11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상측 하우징(11B)의 기단부(11a)는 삽입 개구(95a)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도 되고, 반경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1B)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단자 수용 공동(13)이 형성되고, 당해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는, 각 상측 단자(51B) 전체와 각 휨 부재(81)의 상단 근방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1b)가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끼워 맞춤 오목부에 삽입되면, 상대방 커넥터의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단자 수용 공동(13)에 진입하여, 당해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측 단자(51B)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10)의 상단이 패널(95)의 삽입 개구(95a)에 삽입되기 전에, 상측 하우징(11B)에 가이드 캡(41)이 부착된다. 당해 가이드 캡(41)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략 원추형 부재이며, 그 선단이 상방을 바라보는 자세로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의 상단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캡(41)은 불필요해졌을 때, 예를 들어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에, 상기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로부터 벗겨진다.
다음에, 상기 커넥터(10)의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분해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기판 측 커넥터에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측 커넥터의 3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휨 부재의 2면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측 하우징의 4면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캡의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캡의 2면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 (a)는 제1 측면도, (b)는 (a)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제2 측면도이며, 도 9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단면도이며, 도 10에 있어서, (a)는 선단 측에서 본 도면, (b)는 기단 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11에 있어서, (a)는 하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하우징(11)에 있어서, 단자 수용 공동(13)은 기단면(11c)으로부터 선단면(11d)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휨 부재(81)의 양단에 접속된 단자(51)는 기단면(11c)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으로 삽입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51)는 휨 부재(81)의 단부에 접속된 기부(52)와, 당해 기부(52)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편(54)과, 상기 기부(52)의 근방에 있어서 휨 부재(8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편(5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있어서의 상측 하우징(11B)의 중심축 측의 벽면에는, 걸림 결합편으로서의 랜스(lance)(15)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랜스(15)는, 그 기단이 단자 수용 공동(13)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그 선단(자유단)이 단자 수용 공동(13)의 안쪽을 향하고, 또한 선단면(11d)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는 캔틸레버형 부재이다. 또한, 하측 하우징(11A)은 상측 하우징(1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하측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도 선단이 단자 수용 공동(13)의 안쪽을 향하고, 또한 선단면(11d)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는 캔틸레버형 랜스(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1A)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기단면(11c)으로부터 하측 단자(51A)가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에서는, 하측 단자(51A)의 걸림 지지편(55)이 랜스(15)의 선단과 걸림 결합한다. 따라서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된 하측 단자(51A)는, 기단면(11c) 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되어, 휨 부재(81)가 당겨져도 단자 수용 공동(13)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상측 하우징(11B) 및 상측 단자(51B)는 하측 하우징(11A) 및 하측 단자(5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측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된 상측 단자(51B)의 걸림 지지편(55)도 마찬가지로 랜스(15)의 선단과 걸림 결합한다. 따라서 상측 하우징(11B)의 단자 수용 공동(13) 내에 수용된 상측 단자(51B)도 기단면(11c) 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되어, 휨 부재(81)가 당겨져도 단자 수용 공동(13)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측 커넥터(101)의 기판 측 하우징(111)에 있어서의 측벽(111b)의 상단 내측에는, 모떼기로서의 경사면(111c)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경사면(111c)은, 하측 하우징(11A)이 기판 측 커넥터(101)와 끼워 맞춰질 때, 하측 하우징(11A)을 유도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1A)이 기판 측 커넥터(101)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선단면(11d)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으로 진입한 기판 측 단자(151)는, 하측 단자(51A)의 한 쌍의 접촉편(54)에 양측으로부터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기판 측 단자(151)와 하측 단자(51A)는 확실하게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상측 하우징(11B)이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춰진 상태라도, 마찬가지로, 선단면(11d)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에 진입한 상대방 단자는, 상측 단자(51B)의 한 쌍의 접촉편(54)에 양측으로부터 협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대방 단자와 상측 단자(51B)는 확실하게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의 중심에는, 기단면(11c)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오목부로서의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당해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는 주위의 단자 수용 공동(13)과 연통하고 있지만, 단자 수용 공동(13)과 연통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형 가이드 캡(41)의 내부에는, 저면(41a)이 개방되는 중공부(42)가 형성되어 있지만,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원추면상 벽부(45)로부터 원추의 중심축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구획 벽(43)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구획 벽(43)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매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획 벽(43)은 각각 벽부(45)의 내면으로부터 원추의 중심축을 향하여 연장되고, 당해 중심축의 주변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캡(41)은 경량이 되고, 또한 벽부(45)가 유연성을 보유하면서, 전체로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벽(43)의 저면(41a) 측의 단부에는, 절결(43a)이 형성되고, 당해 절결(43a) 내에는, 그 선단이 저면(41a)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로서의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는 원추의 중심축과 동축의 중심축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41a)에서 개방되는 중심 공간(44a)을 갖는다. 또한, 상기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원통 벽에는, 중심축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릿(44b)이 형성되며, 당해 슬릿(44b)에 의해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원통 벽은 절단되어 있다. 상기 슬릿(44b)에 의해 원통 벽이 절단되어 있음으로써,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는 유연성을 보유하면서, 전체로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원통 벽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의 내경보다도 조금 큰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1B)에 가이드 캡(41)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선단은 저면(41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의 중심에 형성된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 내에 삽입된다. 이때,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원통 벽의 외면의 직경이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의 내경보다도 조금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선단은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에 압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이드 캡(41)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으로부터 쓸데 없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슬릿(44b)에 의해,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 내로의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로부터의 발취 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커넥터(10)를 기판(91)에 접속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상측 하우징(11B)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캡(41)을, 그 선단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의 상단에 부착한다. 이때, 가이드 캡(41)의 저면(4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선단을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의 중심에 형성된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 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캡(41)이 부착된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당해 커넥터(10)의 자세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기판 측 커넥터(101)의 바로 위에 있어서, 그 하측 하우징(11A)의 선단면(11d)이 기판 측 하우징(111)의 끼워 맞춤 오목부(113)와 대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판 측 커넥터(101)는 미리 기판(91)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커넥터(10)를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하측 하우징(11A)의 선단부(11b)를 기판 측 하우징(111)의 끼워 맞춤 오목부(113)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1A)이 기판 측 커넥터(101)와 끼워 맞춰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커넥터(10)의 하측 하우징(11A)을 대응하는 기판 측 커넥터(101)와 끼워 맞춘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복수의 삽입 개구(95a)가 형성된 패널(95)을, 각 커넥터(10)의 상방에 대응하는 삽입 개구(95a)가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패널(95)을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각 삽입 개구(95a)에 대응하는 커넥터(10)의 상측 하우징(11B)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커넥터(10)의 상단이 패널(95)에 형성된 삽입 개구(95a)에 삽입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패널(95)을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각 삽입 개구(95a)에 대응하는 커넥터(10)의 상측 하우징(11B)이 삽입되도록 할 때, X 축 또는 Y 축 방향에 관하여, 삽입 개구(95a)의 위치가 대응하는 커넥터(10)의 위치와 어긋나 있어도,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의 상단에 선단이 뾰족한 원추형 가이드 캡(41)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측 하우징(11B)은 원활하게 대응하는 삽입 개구(95a)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캡(41)은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선단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의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 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개구(95a)의 모서리 등에 맞닿아 외력을 받아도 상측 하우징(11B)으로부터 탈락되어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측 하우징(11B)을 하측 하우징(11A)과 연결하고 있는 휨 부재(81)가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X 축 또는 Y 축 방향에 관하여, 삽입 개구(95a)의 위치가 대응하는 커넥터(10)의 하측 하우징(11A)의 위치와 어긋나 있어도 위치 어긋남은 휨 부재(81)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상단이 패널(95)에 형성된 삽입 개구(95a)에 삽입된 커넥터(10)와, 패널(95)의 상방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부재가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는, 가이드 캡(41)은 상측 하우징(11B)으로부터 벗겨진다. 이 경우, 선단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의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 내에 삽입되어 있는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로부터의 발취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가이드 캡(41)을 상측 하우징(11B)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춰질 때까지의 동안은, 가이드 캡(41)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면(11d)을 막고 있기 때문에, 당해 선단면(11d)에 개구되는 단자 수용 공동(13) 내로의 먼지, 수분, 기타 이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커넥터(1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10)가 하측 하우징(11A) 및 하측 단자(51A)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하우징(11A)이 기판(91)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101)와 접속되는 예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상기 하측 하우징(11A) 및 하측 단자(51A)를 생략하고, 휨 부재(81)의 하단이 기판(91)의 배선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되도록 해도 되고, 휨 부재(81)가 상기 기판(91)에 부착된 전자 기기 등으로부터 직접 도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10)는, 상측 하우징(11B)과, 상측 하우징(11B)에 부착된 상측 단자(51B)와, 상측 하우징(11B)과 기판(91)을 연결하는 휨 부재(81)를 구비하고, 휨 부재(81)는 기판(91)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상측 하우징(11B)은 기판(91)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95)의 삽입 개구(95a)에 삽입 가능하며,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에는, 가이드 캡(41)이 부착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10)는, 하측 하우징(11A)과, 하측 하우징(11A)에 부착된 하측 단자(51A)와, 상측 하우징(11B)과, 상측 하우징(11B)에 부착된 상측 단자(51B)와, 하측 하우징(11A)과 상측 하우징(11B)을 연결하는 휨 부재(81)를 구비하고, 하측 하우징(11A)은 기판(91)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101)와 접속 가능하며, 상측 하우징(11B)은 기판(91)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95)의 삽입 개구(95a)에 삽입 가능하고,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에는, 가이드 캡(41)이 부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패널(95)의 삽입 개구(95a)에 상측 하우징(11B)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상측 하우징(11B)의 삽입 개구(95a)로의 삽입 조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커넥터(1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1B)은 대략 원기둥형 형상을 갖고, 가이드 캡(41)은 대략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휨 부재(81)는 전도성 봉형 부재이며, 양단에 하측 단자(51A) 및 상측 단자(51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캡(41)은 그 저면(41a)으로부터 선단이 돌출되는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를 포함하고,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의 선단면(11d)의 중심에는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가 형성되며, 가이드 캡(41)은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의 선단이 캡 보유 지지 오목부(14)에 삽입되어 상측 하우징(11B)의 선단부(11b)에 부착된다. 또한, 캡 보유 지지 볼록부(44)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원통 벽은 원통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릿(44b)에 의해 절단되어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11A) 및 상측 하우징(11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선단면(11d)으로부터 기단면(11c)까지 관통하는 단자 수용 공동(13)을 포함하며, 기판 측 단자(151) 및 상대방 단자가 선단면(11d)으로부터 단자 수용 공동(13) 내로 진입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절하고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 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0: 커넥터
11A: 하측 하우징
11a: 기단부
11b: 선단부
11c: 기단면
11d: 선단면
11B: 상측 하우징
13: 단자 수용 공동
14: 캡 보유 지지 오목부
15: 랜스
41: 가이드 캡
41a: 저면
42: 중공부
43: 구획 벽
43a: 절결
44: 캡 보유 지지 볼록부
44a: 중심 공간
44b: 슬릿
45: 벽부
51A: 하측 단자
51B: 상측 단자
52: 기부
54: 접촉편
55: 걸림 지지편
81: 휨 부재
91: 기판
95, 895: 패널
95a: 삽입 개구
101: 기판 측 커넥터
111: 기판 측 하우징
111a: 저판
111b: 측벽
111c: 경사면
113: 끼워 맞춤 오목부
151: 기판 측 단자
821: 절연체
851: 중심 컨택트
852: 테일부
852a: 내측 플랜지
861: 아우터 쉴드
862: 플랜지부
871: 중심 단자
872: 외측 단자
872a: 상단 날밑부
872b: 스프링 받침 링
875: 중심 코일 스프링
876: 외측 코일 스프링
891: 회로 기판
895a: 커넥터 삽입 개구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단자와, 상기 하우징과 기판을 연결하는 휨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휨 부재의 일단이 상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휨 부재의 타단이 상기 기판의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의 개구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캡이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 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에 부착된 제1 단자와,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부착된 제2 단자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휨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휨 부재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기판에 실장된 기판 측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의 개구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캡이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대략 원기둥형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캡은 대략 원추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휨 부재는 전도성의 봉형 부재인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캡은 그 저면으로부터 선단이 돌출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의 선단면의 중심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캡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원통 벽은 원통의 중심축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릿에 의해 절단되어 있는 커넥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선단면으로부터 기단면까지 관통하는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고, 상대방 단자가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 공동 내로 진입 가능한 커넥터.
KR1020190124292A 2018-11-14 2019-10-08 커넥터 KR102233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3471 2018-11-14
JP2018213471A JP7181769B2 (ja) 2018-11-14 2018-11-1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88A KR20200056288A (ko) 2020-05-22
KR102233059B1 true KR102233059B1 (ko) 2021-03-30

Family

ID=7055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292A KR102233059B1 (ko) 2018-11-14 2019-10-0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05202B2 (ko)
JP (1) JP7181769B2 (ko)
KR (1) KR102233059B1 (ko)
CN (1) CN111193159B (ko)
TW (1) TWI7226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48A1 (ko) * 2021-07-20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8037B (zh) * 2020-01-27 2022-03-11 美商莫仕有限公司 連接器及連接器的製造方法
TWI820479B (zh) * 2021-09-07 2023-11-01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浮動電連接器及電路連接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533A (ja) 1999-01-07 2000-11-14 Thomas & Betts Corp <T&B> 一様でない断面を有する弾性電気相互接続装置
KR100291289B1 (ko) 1997-03-03 2001-06-01 루이스 에이. 헥트 향상된접지접촉부를구비한안내부시를갖는커넥터
JP2003178844A (ja) 2001-12-11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同軸コネクタ
JP2017041347A (ja) 2015-08-19 2017-02-23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の実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278U (ko) 1987-12-28 1989-07-12
US5213518A (en) * 1992-02-28 1993-05-25 Amp Incorporated Connecting electrical bus bars to electrical circuitry
JP2612530B2 (ja) * 1992-05-18 1997-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56834Y2 (ja) * 1992-08-07 1997-12-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547893Y2 (ja) * 1993-07-23 1997-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03735B2 (ja) 2003-09-01 200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カバー
DE102004044975A1 (de) 2004-09-16 2006-03-23 Rohde & Schwarz Gmbh & Co Kg Koaxiales Verbindungsteil
WO2008083404A1 (en) * 2007-01-02 2008-07-10 Johnstech International Corporation Microcircuit testing interface having kelvin and signal contacts within a single slot
CN201044293Y (zh) 2007-04-13 2008-04-02 诠欣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清晰度多媒体接口连接器组合
JP5083327B2 (ja) * 2007-12-27 2012-11-28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WO2010049758A1 (en) * 2008-10-27 2010-05-06 Fci Connector with floating terminals
CN201813002U (zh) 2010-09-19 2011-04-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多腔混装连接器
CN201927850U (zh) 2010-09-29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8529276B2 (en) 2011-02-18 2013-09-10 Hi Rel Connectors, Inc. Connector to flex assembly
CN202121157U (zh) 2011-05-31 2012-01-18 许继电源有限公司 连接器浮动安装座
CN103811941A (zh) 2012-11-15 2014-05-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排线固定装置
EP3179255B1 (en) * 2014-08-08 2022-12-21 NHK Spring Co., Ltd. Connecting terminal
JP6463938B2 (ja) 2014-10-08 2019-02-0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
LU92790B1 (en) * 2015-08-06 2017-02-14 Ipalco Bv A system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temporary electrical power connection
JP6530333B2 (ja) 2016-02-29 2019-06-1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加熱部材及び静電チャック
CN106099461A (zh) * 2016-06-08 2016-11-09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插卡式连接器
CN207149783U (zh) 2017-07-19 2018-03-27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飞机电连接器的密封塞
CN207994141U (zh) 2018-01-16 2018-10-19 深圳市沃尔新能源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插针和电连接器
CN207967371U (zh) 2018-03-20 2018-10-12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印制板的轴向浮动连接器
TWM566934U (zh) 2018-03-26 2018-09-11 驊陞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89B1 (ko) 1997-03-03 2001-06-01 루이스 에이. 헥트 향상된접지접촉부를구비한안내부시를갖는커넥터
JP2000315533A (ja) 1999-01-07 2000-11-14 Thomas & Betts Corp <T&B> 一様でない断面を有する弾性電気相互接続装置
JP2003178844A (ja) 2001-12-11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同軸コネクタ
JP2017041347A (ja) 2015-08-19 2017-02-23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の実装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48A1 (ko) * 2021-07-20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93159B (zh) 2021-06-18
JP7181769B2 (ja) 2022-12-01
TW202019035A (zh) 2020-05-16
KR20200056288A (ko) 2020-05-22
TWI722626B (zh) 2021-03-21
JP2020080273A (ja) 2020-05-28
US11005202B2 (en) 2021-05-11
CN111193159A (zh) 2020-05-22
US20200153137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059B1 (ko) 커넥터
EP3065226B1 (en) Connector
US11251548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US6234827B1 (e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with dual function of mechanical locking and electrical shielding continuety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JP6596551B1 (ja) 電子部品ユニット
EP2328240A1 (en) Connector device
US64579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EP13852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2007265825A (ja) 中継コネクタ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201913382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794289B1 (en)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EP1113527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JP200135790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302284B1 (ko) 전기접속장치
JP733005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230198183A1 (en) Polarized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180054230A (ko) 동축 커넥터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rf 커넥터
WO2007041575A1 (en) Electric connector
CN118263738A (en) Electric connector
JP202207446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118156923A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