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886B1 -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886B1
KR102232886B1 KR1020200034423A KR20200034423A KR102232886B1 KR 102232886 B1 KR102232886 B1 KR 102232886B1 KR 1020200034423 A KR1020200034423 A KR 1020200034423A KR 20200034423 A KR20200034423 A KR 20200034423A KR 102232886 B1 KR102232886 B1 KR 10223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v
engine
control signal
informa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03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4Control of the valve or purge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3Temperature of lubricating oil 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14Ai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PCSV 제어 장치는,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상기 PCSV의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PCSV 제어 기술과 관련된다.
자동차 연료 탱크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증발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증발 가스의 대부분은 유해가스인 HC 성분으로 이루어져 그대로 대기로 방출될 경우에는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 기술은 증발 가스를 캐니스터(canister)라는 흡착기에 흡착하였다가 다시 엔진으로 유입시킴에 따라 연료로 재순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증발가스 순환 장치는, 엔진 흡기계(흡기 매니폴드)와 캐니스터 사이에 마련된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를 통해, 캐니스터로부터 엔진으로 재유입되는 증발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연료 증발로 인해 연료 탱크에서 나오는 증발 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고, 캐니스터에서 엔진 매니폴드 및 서지 탱크를 거쳐 연소실로 재순환하는 과정에서, PCSV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빙, 이물질 유입 등으로 인해 PCSV 닫힘이 고착되는 경우에는 증발 가스가 대기로 바로 유입되므로,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 관련 규제는 PCSV의 고장이나 고착에 의한 진단하도록 권고한다.
상기 PCSV 고장이 단순 단선이나, 단락으로 인한 것이면, 저항 양단 전압에 기반하여 용이하게 진단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PCSV 고착으로 인한 진단은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시스템은 상기 고장 또는 고착과 같은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PCSV 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PCSV 제어 장치는, PCSV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상기 PCSV의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PCSV 제어 방법은,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PCSV의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환경적 영향으로 인한 PCSV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PCSV 제어 장치 및 관련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제어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제어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고착 방지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오프 시의 PCSV 고착 방지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PCSV 제어 장치 및 관련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PCSV 제어 장치(100)는 PCSV(110) 및 제어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PCSV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PCSV 제어 장치(100)는 다른 예를 들면, 증발가스 제어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PCSV 제어 장치(100)는 PCSV(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PCSV 제어 장치(100)는 외기 온도, 냉각수온 및 배터리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CSV(Purge Control Solenoid Valve)는 엔진 흡기 매니폴드와 캐니스터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PCSV(110)는 제어 모듈(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캐니스터로부터 엔진으로 재유입되는 증발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PCSV(110)는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 비가 커질수록 더 많이 개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차량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한 통신 회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PCSV 제어 장치(100)와 다른 장치(예: 엔진 컨트롤 유닛)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CAN, MOST와 같은 차량 네트워크 통신 채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PCSV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통신 회로 또는 센서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통신 회로를 통해 엔진(210) 또는 엔진 제어 유닛으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회로, 냉각수온을 감지하는 제2 센서 회로 및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제3 센서 회로를 통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를 각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 회로, 제2 센서 회로 및 제3 센서 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회로는 제어 모듈(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소킹 시간 정보를 생성하거나, 통신 회로를 통해 엔진(210)으로부터 소킹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PCSV(110)의 개방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예를 들면, 엔진 시동 온 시에 PCSV 닫힘 고착(이하, PCSV 고착으로 언급될 수 있음)이 예상되는 상황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소킹 시간은 예를 들면, 엔진 시동 오프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일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온 상태를 확인하면,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PCSV의 고착이 예상되는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건들은 냉각수온이 제1 범위에 속하는 제1 조건, 외기 온도가 제2 범위에 속하는 제2 조건, 배터리 전압이 제3 범위에 속하는 제3 조건 및 소킹 시간이 제4 범위에 속하는 제4 조건 중 복수의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범위는 냉각수온이 -5.25도 이상 및 20도 이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범위는 외기 온도가 -5.25도 이상 및 20도 이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범위는 배터리 전압이 9V 이상 및 16V 이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범위는 엔진 시동 오프가 유지된 시간이 2시간 이상인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PCSV 제어 장치(100)가 구비되는 차량 상황에 따라서 PCSV(110)의 고착이 예상되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 범위는 차량 상황에 따라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건들은 PCSV(110)의 고착이 예상되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20)은 엔진 회전수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온/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면, 엔진 시동 온 후 제1 지정된 시간 동안 50% 이상의 제1 듀티 비를 갖는 제1 제어 신호를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정된 시간은 다른 예를 들면, 엔진 시동 온 후에 엔진 RPM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정된 시간 또는 상기 임계치는 예를 들면, PCSV(110)의 고착 해소 과정으로 인해 엔진 시동을 방해 또는 지연시키지 않는 시간(예: 0.6초) 또는 회전수로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정된 시간은 또 다른 예를 들면, PCSV(110)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엔진 흡기압이 낮아지지 않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듀티비는 예를 들면,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PCSV(110)의 고착을 해소하면서도, 상기 고착 해소로 인하여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엔진 시동이 지나치게 늦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오프를 확인하면, 체크 밸브(220)와 PCSV(110) 사이의 부압 해소를 위하여 PCSV(11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220)는 PCSV(110)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마련되어, 흡기 매니폴드 내에 PCSV(110)의 탄성력보다 높은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 내 공기가 캐니스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를 확인하면, 반복적으로 듀티 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제2 지정된 시간(예: 0.41sec) 동안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0.41초 동안 5회 반복적으로 듀티 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이 대기압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의 듀티 비 및 상승과 하강 횟수는 PCSV(110)의 개방 및 폐쇄로 인한 소음이 지정된 데시벨(Decibel) 이하가 되고, 상기 부합을 해소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체크 밸브(220)와 PCSV(110) 사이에 생성된 부압으로 인하여 PCSV(110)의 닫힘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에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정도로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를 확인하면, 제3 지정된 시간 대기 후에 제2 제어 신호를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 오프 되고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 후에 PCSV(110)의 클리닝(또는, 부압 해소) 과정이 엔진 동작에 무리가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 시에 PCSV(110)에 관련된 에러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PCSV(110)관련 에러가 없는 경우에만, 상기 부압 해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PCSV(110)에 관련된 에러가 있는 상황에서 불필요하게 부압 해소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 시에 PCSV(110)의 클리닝 과정(또는 부압 해소 과정)을 ETC(engine throttle control) 제어와 동기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 모듈(120)은 엔진 시동 오프 시에 ETC(engine throttle control) 제어와 시간 차를 두고 PCSV(110)의 클리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PCSV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이 터보 시스템을 장착한 경우에만 엔진 시동 오프 시에 PCSV(110)의 클리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회전수를 확인하고, 엔진 회전수에 기반하여 제1 지정된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PCSV 제어 장치(100)는 엔진 시동 온 또는 오프 시에 PCSV(110)을 적어도 일정 시간 개방시킴에 따라 차량 환경 또는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PCSV(110)의 닫힘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제어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PCSV(110)의 고착 해소 관련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온 상태(도 2의 cranking 시점 참조)임을 확인하고, 냉각수온 및 외기 온도가 각기 -5.25도 이상 및 20도 이하의 범위에 속하고, 배터리 전압이 9V 이상 및 16V 이하의 범위에 속하고, 소킹 시간(엔진 시동 오프가 유지된 시간)이 2시간 이상이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PCSV(110)의 고착 해소 관련 조건을 만족하면, 듀티비가 80%인 제1 제어 신호를 0.6초 동안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0.6초는 예를 들면, 시동 온 후에 엔진 회전수가 임계치(R_rpm)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제어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20)은 엔진 상태 정보(엔진 회전수)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오프를 확인하면, 제3 지정된 시간(T3)만큼 대기 후에 제2 제어 신호를 제2 지정된 시간(T2)만큼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 오프 되고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PCSV(110)의 제어로 인해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이 대기압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0.41초 동안 5회 듀티비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의 듀티비 상승과 하강 기울기는 PCSV(110)의 개방과 폐쇄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 시의 PCSV 고착 방지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제어 모듈(120)은 엔진 정지 상태에서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이 정지 상태에서 시동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제어 모듈(120)은 시동 온 상태이면, PCSV 고착 해소 관련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냉각수온 및 외기 온도가 각기 -5.25도 이상 및 20도 이하의 범위에 속하고, 배터리 전압이 9V 이상 및 16V 이하의 범위에 속하고, 소킹 시간(엔진 시동 오프가 유지된 시간)이 2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제어 모듈(120)은 PCSV 고착 해소 관련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면, 제어 모듈(120)은 동작 430에서 제1 지정된 시간 동안 PCSV(110)에 제1 듀티비를 갖는 제1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은 듀티비가 80% 이상이고 100% 이하인 제1 제어 신호를 엔진 회전수가 임계치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하 동안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제어 모듈(120)은 PCSV 고착 해소 관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제어 모듈(120)은 PCSV(110) 고착 해소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오프 시의 PCSV 고착 방지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제어 모듈(120)은 엔진 동작 상태에서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이 동작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제어 모듈(120)은 시동 오프 상태이면, 제1 시간(상술된 제3 지정된 시간에 대응함)이 경과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 오프 되고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 이상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제어 모듈(120)은 제1 시간(상술된 제3 지정된 시간에 대응함)이 경과되기 전까지는 대기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제어 모듈(120)은 시동 오프 상태를 확인하고 제1 시간 대기 후에 제2 시간(상술된 제2 지정된 시간에 대응함) 동안 제2 제어 신호를 PCSV(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은 예를 들면, PCSV(110)의 제어로 인해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이 대기압이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0.41초 동안 5회 듀티비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PCSV 제어 장치(100)는 엔진 시동 온 또는 오프 시에 PCSV(110)을 적어도 일정 시간 개방시킴에 따라 차량 환경 또는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PCSV(110)의 닫힘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부" 및 "수단"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PCSV 제어 장치(100))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제어 모듈(12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PCSV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제어 모듈(12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7)

  1. PCSV 제어 장치에 있어서,
    PCSV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상기 PCSV의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온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냉각수온이 제1 범위에 속하는 제1 조건, 외기 온도가 제2 범위에 속하는 제2 조건, 배터리 전압이 제3 범위에 속하는 제3 조건 및 소킹 시간이 제4 범위에 속하는 제4 조건 중에서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면, 상기 시동 온 후 제1 지정된 시간 동안 50% 이상의 듀티 비를 갖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되
    상기 제1 지정된 시간은,
    상기 시동 온 후에 엔진 회전수가 임계치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하로 설정되는, PCSV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 또는 상기 제2 범위는,
    -5.25 이상 및 20도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는, PCSV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범위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9V 이상 및 16V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는, PCSV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범위는,
    엔진 시동 오프가 유지된 시간이 2시간 이상인 범위를 포함하는, PCSV 제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시동 오프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는, PCSV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듀티 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지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PCSV 제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시동 오프 시에 출력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3 지정된 시간만큼 대기 후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3 지정된 시간은, 시동 오프 후 엔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인, PCSV 제어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시동 오프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PCSV에 관련된 에러 발생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에러 발생이 없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PCSV 제어 장치.
  12. 제어 모듈에 의한 PCSV (purge control solenoid valve)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엔진 상태 정보, 외기 온도 정보, 냉각수온 정보, 배터리 전압 정보 및 PCSV의 소킹(soaking)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상태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CSV의 개방에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엔진 시동 온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냉각수온이 제1 범위에 속하는 제1 조건, 외기 온도가 제2 범위에 속하는 제2 조건, 배터리 전압이 제3 범위에 속하는 제3 조건 및 소킹 시간이 제4 범위에 속하는 제4 조건 중에서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조건들을 만족하면, 상기 시동 온 후 제1 지정된 시간 동안 50% 이상의 듀티 비를 갖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되
    상기 제1 지정된 시간은,
    상기 시동 온 후에 엔진 회전수가 임계치가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하로 설정되는, PCSV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엔진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시동 오프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PCSV의 개방과 폐쇄에 관련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PCSV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PCSV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듀티 비의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2 지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PCSV 제어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시동 오프 시에 출력된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제3 지정된 시간만큼 대기 후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정된 시간은, 시동 오프 후 엔진 안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인, PCSV 제어 방법.
KR1020200034423A 2020-03-20 2020-03-20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3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23A KR102232886B1 (ko) 2020-03-20 2020-03-20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23A KR102232886B1 (ko) 2020-03-20 2020-03-20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86B1 true KR102232886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423A KR102232886B1 (ko) 2020-03-20 2020-03-20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8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45A (ko) * 2005-01-07 2006-07-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블로워모터 구동 제어장치
KR20080000036A (ko) * 2006-06-26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시스템 누출 진단시 pcsv의 닫힘고착 판별방법
KR20140121641A (ko) * 2013-04-08 2014-10-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589571B1 (ko) * 2014-12-01 2016-01-2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고착 판단 및 해소 방법
JP2016017493A (ja) * 2014-07-10 2016-02-01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供給装置
KR20200069556A (ko) *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능고장을 방지하는 pcsv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45A (ko) * 2005-01-07 2006-07-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보호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 블로워모터 구동 제어장치
KR20080000036A (ko) * 2006-06-26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시스템 누출 진단시 pcsv의 닫힘고착 판별방법
KR20140121641A (ko) * 2013-04-08 2014-10-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및 장치
JP2016017493A (ja) * 2014-07-10 2016-02-01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供給装置
KR101589571B1 (ko) * 2014-12-01 2016-01-2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고착 판단 및 해소 방법
KR20200069556A (ko) *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능고장을 방지하는 pcsv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154B2 (en) Evaporative fue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ame
EP2975252B1 (en) Abnormality sensing device for evaporation fuel purge system
EP2216694B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mproved engine control
JP2819836B2 (ja) 内燃機関の自己診断装置
US9695782B2 (en)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for evaporated-gas purging system
JP3089687B2 (ja) 燃料蒸発ガス状態検出装置
US10550775B2 (en) Vaporized fuel processing apparatus
JP2001193580A (ja) 蒸発燃料放出防止装置の異常診断装置
CN105319009B (zh) 用于校正压力传感器偏移的系统和方法
CN110366637B (zh) 蒸发燃料处理装置
JP2000282972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5285458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50047602A1 (en) Engine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2232886B1 (ko) Pcsv 제어 장치 및 방법
JP4622707B2 (ja) エバポガス処理装置
JP2005337022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2007170242A (ja) 下流側排気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JPH09291857A (ja)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4567534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4033141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04301027A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JP6919459B2 (ja) 流量調整装置
JP2004245112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20230332563A1 (en) Failure diagnosis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for fuel-evaporation-gas purging system
JP7040108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