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613B1 -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613B1
KR102232613B1 KR1020190102963A KR20190102963A KR102232613B1 KR 102232613 B1 KR102232613 B1 KR 102232613B1 KR 1020190102963 A KR1020190102963 A KR 1020190102963A KR 20190102963 A KR20190102963 A KR 20190102963A KR 102232613 B1 KR102232613 B1 KR 102232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circulation
heating tub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157A (ko
Inventor
박학서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산업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산업, 박용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산업
Priority to KR102019010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6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내부 공기 가열 및 공기 순환을 통해 적정온도에서 관리 대상물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로 전, 후방이 개방되는 함 형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전동 순환날개와; 발열관설치케이스에 발열관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날개의 전, 후에 근접 위치되는 히터와;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 양측에 부설되고, 끝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를 상기 제1,2개구부의 중심점 및 제1,2개구부의 내주연 사이의 중심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Air Circulator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시설물의 내부 공기 가열 및 공기 순환을 통해 적정온도에서 관리 대상물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공기 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일정 패턴을 두고 정/역방향 반복 실시하여 내부 전체의 빠르고 고른 공기(냉/온) 순환 및 그 유지가 이루어지게 하고 또 송풍효율을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용 공기 순환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순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외부가 구분된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등과 같은 시설물(이하 '시설물'로 약칭함)들은 내부 관리물(동식물 등)의 원활한 유지/관리(재배 또는 사육 등)를 위하여 내부 공기의 가열 및 순환시키는 히터와 송풍장치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상술한 송풍장치에 관련되고 또 상기 송풍장치는 통상 양측방향이 개방된 본체 내부로 송풍팬과 구동모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송풍장치는 시설물 내부 천장에 여러 개 설치되어 내부 공기의 순환을 도모하는 것으로,
통상 일 방향 단순 공기의 흡/배출 작용으로 일방향 공기의 순환은 가능하였으나 시설물 내부 전체 즉, 공기가 배출되는 일방향은 송풍팬의 공기 배출작용에 의해 빠른 공기 흐름이 발생하고 반대 방향은 송풍팬으로의 공기 흡입작용에 의해 느린 공기 흐름이 발생되어 내부 전체에 고른 공기 순환이 불가능하였던 아쉬움이 있었다.
또 동절기 필요로 하는 가열공기를 얻기 위해서 별도의 히터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위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한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가 특허출원 번호 제2008-0114712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 제시된 바 있다.
위 선행기술은 앞서 설명한 송풍장치 상부로 구동모터를 부가하여 시설물 천장에서 임의의 각도(수평방향) 조절을 통해 다방향으로 공기의 배출 및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였는데, 이 경우는 부가된 구동모터에 의해 송풍장치의 무게 하중이 증가하여 시설물 중 골조로 이루어진 비닐하우스, 온실 등으로는 그 설치의 불안전 요소를 가졌고 더욱이 공기 순환 목적으로 각도 조절시 송풍팬의 작동을 일시 정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이용의 불편함이 지적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0114712호
본 발명은 종래 송풍장치가 가졌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 내부전체 공간으로 공기순환 효율성을 증대시키면서 계절별 적정 온도를 제공하여 관리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송풍기능과 히터기능을 동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와 그 운영방법을 통해 공기순환 및 가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장치의 구입 및 그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공기순환기는 양쪽으로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를 구획한 함 형태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 내부 중심에 설치하는 순환날개(2) 및 구동모터(3)와
상기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내에 각각 설치하는 히터(4)(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히터(4)(4')는 각각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의 중심점(46)과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11)(12)의 내주연(47) 사이 중심위치(48)로 배치구성하되,
상기 히터(4)(4')는 원형이면서 내측에 안치홈(41)을 가지는 발열관설치케이스(42)와,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안치홈(41)에 설치하는 발열관(43)과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를 케이스 내에 설치하는 설치대(45)(4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히터(4)(4')의 발열관설치케이스(42)는 회전모터(44)에 의해 회전작용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 본 발명은 마이컴에 의해 시설물 내부 관리물 및 환경상황 그리고 계절별 상황에 따라 적정 온도/습도 및 내부 전체의 고른 공기 순환 작용이 이루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시설물의 내부전체 공간으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 효과와, 동절기 공기 가열 및 공급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주는 효과와, 공기 가열과 송풍작용을 케이스 내에서 동시 운영하고 또 마이컴을 통해 상황별(계절, 기온, 관리물의 여건 등) 빠른 관리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와, 시설물 내로 장치의 설치편의는 물론 사용의 편의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가 - 가'선 부분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걸고리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나 - 나 '선 부분 단면을 이용한 운영방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입체 표현한 도 1과 가 - 가' 선 방향의 단면으로 표현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공기 순환기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공기 순환기는 양쪽으로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를 구획한 함 형태의 케이스(1)를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케이스(1)는 외주연 상부 전,후방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연결고리(13)를 가지도록 하고 동시에 케이스(1)의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또는 제1,2개구부(11)(12) 중 어느 한 곳으로 안전망(14)을 설치한다.
또 본 발명은 케이스(1) 내부 중심으로 순환날개(2)을 가지는 구동모터(3)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3)는 케이스(1) 내주연에 고정되는 여러 개의 설치대(31)에 의해 구성되면서 케이스(1)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내에 각각 설치하는 히터(4)(4')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4)(4')는 원형의 발열관설치케이스(42)와 그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안치홈(41)에 설치하는 발열관(43)으로 구성하되,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는 그 양측으로 설치대(45)(45')를 부설하여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의 내측에 각각 설치 구성한다.
또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2개구부(11)(12)의 중심점(46)과 제1,2개구부(11)(12) 내주연(47) 사이의 중심위치(48)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설치에 대한 부가설명으로,
통상 여러 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순환날개(2)는 그 구조특성상 가장 안쪽위치와 중앙위치 그리고 가장 바깥위치(둘레위치)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또 그 위치에 따라 바람의 송풍량과 송풍력이 달리 발생한다. 즉, 순환날개의 가장 안쪽위치는 샤프트와 연결된 구조로 순환날개의 전체 위치중 가장 작은 송풍력과 송풍량을 발휘하고, 송풍날개의 중앙위치는 송풍날개의 전체 면적 중 중간 면적으로 내,외측 대기와 바람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아 상기 위치중 가장 강한 송풍력(바람의 직진성이 뛰어남)을 발휘하면서 위 안쪽위치보다는 많고 바깥위치보단 작은 송풍량을 발휘한다. 또 순환날개의 바깥위치는 순환날개의 전체 위치중 가장 많은 송풍량과 확산효과를 발휘하면서 안쪽위치보단 강하고 중앙위치보단 약한 송풍력(바람의 직진성)을 발휘한다.
이상 순환날개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은 발열관(43)과 발열관설치케이스(42)를 위 설명한 순환날개(2)의 중심위치와 동일 위치가 되는 제1,2개구부(11)(12) 중심점(46)과 제1,2개구부(11)(12) 내주연(47) 사이의 중심위치(48)에 배치하여 이에 가열된 가열공기가 가장 강한 송풍력에 의해 시설물 내부 먼 곳까지 고르게 이송/순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순환날개(2) 바깥위치의 큰 송풍량이 원활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위 구성을 통해 시설물 내부전체의 빠른 온도 상승과 그 온도의 유지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의 위치는 동절기 저속으로 운영되는 순환날개로부터 가장 효율적인 효과를 얻고자 함에 있다.
아울러, 상기 발열관(43)은 발열확산이 용이하고 내부 발열코일의 안전(이물질 흡착 및 습도 등)을 담보할 수 있는 유리관으로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은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설치를 도모하는 양측 설치대(45)(45') 끝단을 케이스(1)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양측 설치대(45)(45')) 중 어느 하나의 설치대(45') 끝단에 회전모터(44)를 설치하여 발열관설치케이스(42)가 회전모터(44)에 의해 특정위치로 고정 및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발열관(43)의 전원선은 회전모터(44)가 설치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설치대(45) 중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하여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회전 간섭을 회피하고 또 발열관설치케이스(42)의 회전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케이스(1)의 제1,2개부구(11)(12) 길이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발열관설치케이스(42)는 공기 가열을 위한 발열관(43)의 사용이 요구(동절기 시설물 내부 온도상승 및 유지)될 때, 앞서 설명한 위치 즉, 본 발명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 2를 참고하면 송풍 공기와 마찰면적이 크게 발생하는 수직상태로 위치시켜 공기가열 및 그 공급효과를 얻고 반대로 발열관(43)의 사용이 불필요(하절기 송풍량과 송풍력이 크게 요구될 때)할 땐, 회전모터(44)로 발열관설치케이스(42)를 송풍 공기와의 마찰면적이 가장 작게 발생할 수 있는 수평상태로 회전 위치시켜 송풍량 및 송풍력의 저해요소를 방지토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설치되어 내부 관리물(동식물 등)이 요구하는 온도 및 환기를 위한 공기순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주요기능이 있다.
또 시설물의 천장에 하나 이상 직렬 또는 병렬 형태로 설치/사용되는 것으로, 그 설치시 시설물의 천장 골조(101)에 도 3과 같이 여러 개의 걸고리(5)를 거치하여 와이어로 케이스(1) 외주연의 여럿 연결고리(13)와 연결하여 설치/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걸고리(5)는 연결부(51) 상,하로 규격이 서로 다른 제1걸림부(52)와 제2걸림부(52')를 반원 형상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걸고리(5)는 시설물의 천장 골조(101) 지름에 따라 적합한 규격의 제1,2걸림부(52)(52')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또 걸림 방식의 운영으로 공기 순환기의 설치 및 위치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걸고리(5)는 제1,2걸림부(52)(52')와 연결부(51) 표면으로 여러 개의 와이어고정공(53)을 형성하여 와이어가 지그재그 결합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묶음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시설물 내의 온도 및 환기를 위한 공기순환 기능 수행시, 마이컴에 의해 무인자동으로 효과적 운영된다.
본 발명의 운영방법을 도시한 도 6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동절기의 운영방법과 하절기의 운영방법으로 나뉘어 실시된다.
우선 동절기 운영방법은;,
시설물 내의 관리물이 요구하는 적정온도 정보를 가진 마이컴에서 케이스 양측 제1,2개구부(11)(12)에 구성된 히터(4)(4') 중 어느 하나의 히터(4)를 운영하는 히터운영단계,
상기 단계에 있어, 운영되는 히터는 케이스(1)의 송풍 방향에 위치한 히터(4)를 선택적으로 작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4)의 발열관(43)이 마이컴에 설정된 적정온도로 주변공기를 가열하고 동시에 상기 발열관(43)을 히터온도센서가 상시 감시하고 또 시설물 내부 온도를 내부온도센서가 상시 감시하여 마이컴에서 지시된 적정 온도가 안전하게 상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공기가열 및 안전유지단계,
상기 과정에 있어 히터온도센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발열관(43)의 가열온도를 상시 감시/제어하고 동시에 발열관(43)의 이상 가열 작용을 감시/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관(43)은 관 형태이면서 원형으로 구성하여 열 확산 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 주변 공기와의 마찰면적을 높여 공기가열 속도 향상 및 내부 발열코일에 대한 안전성(이물질 등에 의한 훼손 내지는 화재의 우려)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마이컴에서 구동모터(3)를 통해 일 방향 송풍을 실시하는 순환날개작동단계,
상기 과정에 있어, 구동모터(3)는 마이컴에 의해 상술한 작동 히터(4) 방향으로 송풍을 실시하여 히터(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시설물 내에 일 방향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마이컴은 히터(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송풍 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3)에 의한 순환날개(2)의 회전속도를 특정단계로 제어한다.
본 발명은 히터(4)로 주변 공기를 가열한 다음 시설물 내부에 가열공기를 공급/순환토록 하는 것으로,
통상 송풍력을 강하게 발생시킬 경우 히터에 의한 공기 가열효과가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송풍시 가열 공기가 빠르게 식어버리는 단점을 가지게 되고, 반대로 송풍력을 너무 약하게 발생시킬 경우 히터에 의한 주변 공기의 가열효율성은 뛰어나지만 그 가열공기의 공급/순환력이 현저히 떨어져 시설물 내부로의 가열공기 공급/순환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마이컴에 위 정보를 감안하여 히터(4)에 의한 가열공기가 가장 원활하게 공급/순환될 수 있는 순환날개(2)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메모리 설정하여 계절별 시설물 내부 또는 그 내부의 관리물이 요구하는 온도에 따라 마이컴에서 적절한 단계로 운영한다.
예시적으로 동절기에는 가열 공기의 공급/순환이 원활하도록 순환날개를 260rpm 내외의 저속으로 운영함이 바람직하고 하절기에는 강한 송풍력과 송풍량을 얻기 위하여 1300rmp 이상의 속도로 운영함이 바람직하다.
또 순환날개의 속도제어단계는 해당 시설물의 내부규모, 시설물 내부온도, 관리물이 요구하는 온도 등에 의해 가장 적합한 정보를 바탕으로 단계별 설정함이 바람직하여 이건 발명에서는 상기 그 상세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다음으로, 마이컴에서 순환날개(2)의 송풍방향을 설정된 패턴에 따라 양 방향 교대실시하는 순환날개패턴작동단계,
상기 단계에 있어, 마이컴은 릴레이와 타이머를 통해 순환날개(2)의 정 회전(정방향 송풍) 운영시간과 역회전(역방향 송풍) 운영시간을 일정한 운영패턴으로 메모리부에 설정하여 정/역방향 교대운영한다.
앞서 설명한 단계를 통해 시설물 내부 일 방향으로 송풍이 실시되면, 해당 방향에 위치한 공간으로는 가열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만 반대되는 방향의 위치 공간에는 그 위치여건상 상기 송풍이 원활하게 미치지 못하여 가열공기의 순환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 및 시설물 내부 전체에 고른 온도유지 불가능 문제 및 가열에너지에 대한 낭비 문제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해당 단계를 통해 송풍 방향을 케이스(1) 기준 양방향으로 일정시간의 패턴을 두고 반복적으로 교대운영하여 시설물 내부 전체에 가열공기의 고른 순환을 도모하면서 전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단계에서는 그 작용시 송풍방향에 위치한 히터만 상술한 단계에 의해 동일방법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계에 위 히터운영단계/공기가열 및 안전유지단계/순환날개작동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운영한다.
이상 설명한 단계로 이루어지는 동절기 운영방법은 시설물 내부 전체로 가열공기가 고르게 순환 및 온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다른 실시 예로 하절기 운영방법은;,
하절기에는 통상 높은 기온으로 인해 시설물 내부의 공기를 강하게 순환시켜 내부 온도 저하 및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전체 단계 중 히터운영단계와 공기가열 및 안전유지단계를 off하고 순환날개작동단계와 순환날개패턴작동단계만 마이컴으로 운영하여 하절기 운영방법을 달성한다. 이때, 상기 순환날개패턴작동단계에서는 위 설명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조건에 가장 적합한 속도로 운영한다.
한편, 상기 단계에 있어서, 마이컴은 히터(4)(4')를 구성하는 양측 발열관설치케이스(42)를 도 7과 같이 회전모터(44)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위치시켜 순환날개(2)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흡/배출효율이 발열관설치케이스(42)와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저해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보다 큰 송풍력과 송풍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회전모터위치변경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는 그 내로 발열관(43)을 수용하고 또 발열효율이 뛰어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구성됨에 따라 동절기 순환날개에 의한 약한 송풍력과 송풍량에는 그 위치 특성상 큰 이점을 발휘한다. 하지만, 강한 송풍력과 송풍량을 요구하는 하절기에는 그 위치 특성상 순환날개에 의한 공기 흡/배출의 방해요소가 될 수 있는 큰 마찰저항면적을 제공하게 되어 송풍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이 히터의 발열관설치케이스 위치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하여 위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마이컴에 의한 운영방법에 있어, 마이컴으로 히터온도센서, 내부온도센서, 습도센서, 릴레이, 타이머를 연계하여 위 단계별 운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 습도센서를 부가하여 케이스 외주연에 설치되면서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분무기(201)를 통해 시설물 내부 습도 조절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시설물의 규모에 따라 케이스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여럿 설치/사용하고 동시에 마이컴으로 각각 개별제어하여 위치별 케이스의 가장 이상적인 운영방법으로 시설물 내부 온도는 물론 공기순환효과가 극대화되게 하면서 그 내부 관리물 효율이 최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1 : 케이스 11 : 제1개구부
12 : 제2개구부 13 : 연결고리
14 : 안전망 2: 순환날개
3 : 구동모터 31 : 설치대
4, 4' : 히터 42 : 발열관설치케이스
43 : 발열관 44 : 회전모터
45, 45' : 설치대 46 : 중심점
47 ; 내주연 48 : 중심위치
5 : 걸고리 51 : 연결부
52 : 제1걸림부 52' : 제2걸림부
53 : 와이어고정공 101 : 골조
102 : 분무기

Claims (2)

  1.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로 전, 후방이 개방되는 함 형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전동 순환날개(2)와;
    발열관설치케이스(42)에 발열관(43)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날개(2)의 전, 후에 근접 위치되는 히터(4)(4')와;
    상기 발열관설치케이스(42) 양측에 부설되고, 끝단이 상기 케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45)(45')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4)(4‘)를 상기 제1,2개구부(11)(12)의 중심점(46) 및 제1,2개구부(11)(12)의 내주연(47) 사이의 중심위치(48)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공기순환기.
  2. 삭제
KR1020190102963A 2019-08-22 2019-08-22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KR102232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63A KR102232613B1 (ko) 2019-08-22 2019-08-22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63A KR102232613B1 (ko) 2019-08-22 2019-08-22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57A KR20210023157A (ko) 2021-03-04
KR102232613B1 true KR102232613B1 (ko) 2021-03-26

Family

ID=7517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963A KR102232613B1 (ko) 2019-08-22 2019-08-22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6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18B1 (ko) * 2015-05-07 2015-11-12 주식회사 엘리스일렉트로닉스 온풍 발생형 농업용 교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4003A (en) * 1978-02-02 1979-08-15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Fan and hot blower device
KR20080114712A (ko) 2006-02-28 2008-12-31 마스터마인드 컴퍼니, 리미티드 잉크젯 프린터
KR20100006768A (ko) * 2008-07-10 2010-01-21 강호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101647319B1 (ko) * 2014-09-05 2016-08-10 김미경 온실용 공기 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18B1 (ko) * 2015-05-07 2015-11-12 주식회사 엘리스일렉트로닉스 온풍 발생형 농업용 교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57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6272A (en)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of greenhouse
KR101647319B1 (ko) 온실용 공기 순환장치
JP2007105003A (ja) 干し柿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あんぽ柿の製造方法
US20060107548A1 (en) Ambient air clothes dryer
KR101638853B1 (ko) 농업용 전기 온풍기
KR102232613B1 (ko)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KR101501052B1 (ko)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KR101523315B1 (ko) 농장용 난방시스템
JP4234413B2 (ja) 送風装置の駆動制御装置
KR100978454B1 (ko) 공기 순환 장치
WO2017164416A1 (ja) 鶏舎および鶏舎の換気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18091565A (ja) 除湿暖房システム
JP6372708B2 (ja) 鶏舎
KR101297775B1 (ko) 농업용 전기 온열기
KR200347476Y1 (ko) 동파방지용 실내 온풍장치
KR200463072Y1 (ko)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KR101791254B1 (ko) 폐열을 이용한 시설원예하우스용 난방시스템
KR101831074B1 (ko) 과열방지가 가능한 축사용 온열장치
KR200246156Y1 (ko) 비닐하우스의 공기 교반용 팬
KR200341149Y1 (ko) 보온시설물용 내부 공기조화장치
KR20050071762A (ko) 온실용 열풍기
CN208375507U (zh) 一种大容量木材热处理设备
KR200497388Y1 (ko) 발열체가 내장된 관류 블로어
KR101588391B1 (ko) 부착형 전기 온풍 장치
RU143068U1 (ru) Инкуб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