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52B1 -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52B1
KR101501052B1 KR1020130070724A KR20130070724A KR101501052B1 KR 101501052 B1 KR101501052 B1 KR 101501052B1 KR 1020130070724 A KR1020130070724 A KR 1020130070724A KR 20130070724 A KR20130070724 A KR 20130070724A KR 101501052 B1 KR101501052 B1 KR 10150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hot air
ptc heat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46A (ko
Inventor
강광옥
강용욱
박건환
Original Assignee
에이넷이앤씨(주)
강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넷이앤씨(주), 강광옥 filed Critical 에이넷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3007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5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공간과 복수 개의 온풍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중앙에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연통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온풍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흡입공간 또는 상기 배출공간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PTC히터, 및 상기 PTC히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는 공기흡입구가 온풍배출구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있는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상하의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Agricultural electric warm air heater}
본 발명은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원예는 채소와 꽃 등의 농작물을 연중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 10-0828573호(2008.05.02 등록)의 "전기온풍기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전기온풍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본체가 상부 및 하부로 구분되어 일체화로 이루어지고,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이 내측에 설치된 상부본체(20)와, 상기 상부본체(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온풍팬이 내측에 설치된 하부본체(30)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본체(30)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는 흡입부(31)와, 상기 상부본체(20)의 내측에 설치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위해 상부본체(20)의 측단에 위치되어 있는 토출부(21)와, 상기의 가열수단 및 온풍기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온풍팬 및 가열수단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고, 시설물 내부의 적정한 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전원스위치가 위치되고,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고열 및 저열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열스위치 및 저열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구성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전기온풍기는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높여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온풍기는 토출부와 흡입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어 모든 농작물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흡입부가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가 높은 상단으로 배출하므로 열의 효율이 떨어지며 상부 및 하부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풍팬의 구성상 정압이 낮아 송풍거리가 짧고,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어 온도를 균일하게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기온풍기를 장시간 구동한 경우, 전기온풍기의 구동이 멈춰도 전기온풍기 내에 잔류 열이 남아있어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열을 이용할 수 있고,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온도의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높여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킨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는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공간과 복수 개의 온풍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중앙에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연통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온풍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흡입공간 또는 상기 배출공간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PTC히터, 및 상기 PTC히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격판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공간은 상기 격판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 또는 상기 온풍배출구는 서로 직교되는 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통공에는 상기 흡입공간에서 상기 배출공간으로 공기의 이동 시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오리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TC히터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기흡입구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온풍배출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다양한 각도로 빛이 분산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온풍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온풍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온풍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이드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축, 및 상기 온풍배출구와 상기 가이드판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가이드축와 상기 가이드축이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에 각각 서로 톱니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래치부재, 상기 한 쌍의 래치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축 또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래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PTC히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더 작동시켜 상기 PTC히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의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 상기 PTC히터의 온도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조작부, 상기 작동온도 및 설정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PTC히터의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예약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시 상기 PTC히터의 작동을 중지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모드와 상기 PTC히터를 작동하여 난방하는 난방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상기 컨트롤러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흡입구가 온풍배출구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있는 폐열을 이용할 수 있고,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상하의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어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로워를 사용하여 송풍거리가 증대되어 난방의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시설원예 내부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온풍 난방기의 자체에서 빛을 반사함으로써, 농작물의 광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전기온풍 난방기의 정지 시에 일정시간 동안 블로워를 가동시키는 형태로 PTC히터를 냉각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시설원예 내부의 전체온도를 파악하여 온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농작물에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켜 농작물의 품질이 좋아지므로 농가의 소득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온풍기 및 이의 제어방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전체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컨트롤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중앙제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스(110)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하기에 설명할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는 8각형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받침대(119)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상면은 원뿔 또는 다각형의 뿔의 형태로 상부로 돌출되어 케이스(110)로 비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분산시킴으로써, 농작물의 광합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케이스(100)의 상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반사재질인 동시에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흡입공간(111)과 배출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흡입공간(111)으로는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공간(111)이 위치되는 케이스(110)의 측면 둘레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흡입구(112)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공간(115)은 흡입공간(111)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공간(115)를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공간(115)이 위치되는 케이스(110)의 측면 둘레에는 흡입공간(11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복수 개의 온풍배출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흡입공간(111)과 배출공간(115)은 케이스(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격판(1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격판(120)은 흡입공간(111)과 배출공간(115)이 케이스(110)의 상,하로 구획되도록 케이스(110)의 중간 부분에서 케이스(110)를 가로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격판(120)은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격판(120)의 중앙에는 공기가 이동 즉, 흡입공간(111)에서 배출공간(115)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공간(111)은 격판(120)을 중심으로 격판(1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배출공간(115)는 격판(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판(120)은 오리피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오리피스(125)는 공기가 흡입공간(111)에서 배출공간(115)으로 이동할 때, 공기가 이동하는 구멍의 크기가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기유통공(1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오리피스(125)의 공기가 이동하는 구멍의 둘레 부분은 빗물이나 스프링클러 등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공간(11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블로워(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블로워(127)는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흡입공간(111)에서 공기유통공(121)을 통과하여 배출공간(115)으로 유입되면, 온풍배출구(116)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블로워(127)는 복수의 날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날개의 안쪽, 즉 블로워(127)의 중앙부분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블로워(127)의 둘레로 배출하는 원심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구동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130)는 블로워(127)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30)는 고정자와 고정자의 내측에 구동축이 구비된 회전자로 구성되어, 회전자가 고정자의 내부에서 전기적인 자력에 의해 회전하여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30)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모터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PTC히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PTC히터(135)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PTC히터(135)는 흡입공간(111) 또는 배출공간(115)에 설치되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배출구(116)을 통해 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PTC히터(135)는 공기흡입구(112) 또는 온풍배출구(116)에 설치되며, 공기흡입구(112) 또는 온풍배출구(116)가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각 공기흡입구(112) 또는 온풍배출구(116) 마다 설치된다.
한편, PTC히터(135)는 전류량에 의해 온풍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예컨대, 많은 량의 전류가 인가되면 온풍의 온도를 높아지고, 적은 량의 전류가 인가되면 온풍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TC히터는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전기발열체 소자의 총칭하여 이루는 것으로 예를 들면, 티탄산바륨계(BaTiO3계) 반도체와 같이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급격한 저항값이 증가를 나타내는 저항체에 전기를 통하여 발열시키면, 자신의 저항치가 증가, 전류를 제한하여 외기의 온도나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그 온도는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온풍을 생성하기 위해 PTC히터를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설원예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의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150)는 PTC히터(135)와 구동모터(130)를 제어할 수 있고, 공조기기의 통신수단인 PI485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전원스위치(151), 설정조작부(153), 예약설정부(155), 모드설정부(157), 디스플레이(15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151)는 PTC히터(135)와 구동모터(130)에 전원의 공급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전체적인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설정조작부(153)는 PTC히터(135)의 온도와 구동모터(130)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조작부(15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풍의 온도 또는 작동시간을 설정하거나 농작물에 따라 최적화된 온도 또는 작동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PTC히터(135)의 온도와 구동모터(130)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모리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온도 또는 작동시간이 미리 저장되어 설정조작부(153)를 통해 농작물의 종류가 선택되면, 컨트롤러(150)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또는 작동시간을 호출하여 PTC히터(135)와 구동모터(130)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전원공급의 차단 또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모터(130)이 더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가열된 PTC히터(135)를 충분히 냉각 후 작동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50)은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가열된 PTC히터(135)를 블로워(127)에 의해 충분히 냉각되도록 구동모터(130)을 작동한 후 정지함으로써, PTC히터(135)의 가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예약설정부(155)는 구동모터(130) 및 PTC히터(135)의 작동시간을 예약하여 설정된 예약시간 동안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가 작동하거나, 설정된 예약시간이 되면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9)는 PTC히터(135)의 작동온도, 설정상태 및 구동모터(130)의 작동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9)는 복수의 LED가 숫자형태로 배열된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LCD일 수 있다.
한편, 모드설정부(157)는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되는 모드가 순환모드일 경우에는, PTC히터(135)의 작동을 끈 상태로 구동모터(130)만 작동하여 시설원예의 공기의 순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선택되는 모드가 난방모드일 경우에는 PTC히터(135) 및 구동모터(130)을 함께 작동하여 온풍에 의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140)는 케이스(110)에서 온풍배출구(116)가 형성된 외부에 설치되어 온풍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40)는 온풍배출구(116)와 공기흡입구(112)의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판(141), 가이드축(143), 각도조절부(145), 래치부재(147), 탄성부재(149)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141)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온풍배출구(116)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고, 가이드축(143)은 가이드판(141)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가이드판(141)이 케이스(110)에서 가이드축(14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판(141)을 케이스(1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각도조절부(145)는 온풍배출구(116)와 가이드판(141)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온풍이 배출되는 상하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145)는 한 쌍의 래치부재(147)가 가이드축(143)과 가이드축(143)이 결합되는 케이스(110)의 부분에 서로 맞물리도록 각각 결합되어 래치부재에 의해 가이드판(141)의 상하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치부재(147)는 복수의 톱니가 원주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나는 가이드축(143)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축(143)이 결합되는 케이스(110)의 부분에 결합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됨으로써, 가이드판(141)이 래치부재(147)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축(143)에 결합되는 래치부재(147)는 래치부재(147)가 가이드축(143)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래치부재(147)와 가이드판(14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9) 예컨대,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 가이드축(143)에 결합된 래치부재(147)의 톱니가 케이스(110)에 결합된 래치부재(147)의 톱니에 탄성부재(149)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됨으로써,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부재(140)는 가이드축(143)에 결합된 래치부재(147)를 케이스(110)에 결합된 래치부재(147)에서 서로 분리되도록 탄성부재(149)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이드판(141)의 각도를 조절하고, 가이드축(143)에 결합된 래치부재(147)에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49)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축(143)에 결합된 래치부재(147)가 케이스(110)에 결합된 래치부재(147)에 다시 톱니결합되도록 맞물림으로써, 가이드판(14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케이스(110)의 측면에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112)와 온풍배출구(116)를 형성하고,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격판(120)에 의해 흡입공간(111)과 배출공간(115)이 구획된다. 그리고, 격판(120)의 공기유통공(121)에는 오리피스(125)가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110)의 배출공간(115)에는 블로워(127) 및 블로워(127)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온풍배출구(116)의 각각에는 PTC히터(1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온풍배출구(116)가 형성된 외측면에는 온풍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배출각도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외부에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0)가 설치되며, 케이스(110)는 농작물에 따라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도록 받침대(119)에 의해 바닥에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상하의 위치를 반대로 설치하여 공기흡입구(112)와 온풍배출구(116)의 방향을 바뀌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컨트롤러(150)의 전원스위치(151)를 눌러 전원을 켜고, 설정조작부(153)에서 PTC히터(135)의 온도와 구동모터(130)의 작동을 디스플레이(157)를 보며 설정한다.
이때, PTC히터(135)는 모드설정부(157)에서 순환모드 또는 난방모드를 선택하여 PTC히터(135)의 작동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약설정부(155)를 통해 PTC히터(135)와 구동모터(130)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가 작동하면, 케이스(110) 내의 구동모터(130)가 블로워(127)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된 공기흡입구(112)를 통해 흡입공간(111)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공간(111)으로 흡입된 공기는 오리피스(125)를 통해 배출공간(115)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공기는 온풍배출구(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데, 이때, 온풍배출구(116)에는 PTC히터(135)가 설치되어 배출공간(115)의 공기를 가열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난방이 수행된다.
이때, 배출되는 온풍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재(140)의 한 쌍의 래치부재(147) 중 가이드판(141)의 양 옆에 위치한 래치부재(147)를 탄성부재(149)를 향해 민다. 그 상태에서 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래치부재(147)가 서로 맞물리도록 놓으면 가이드판(14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의 작동을 정지한 경우, 컨트롤러(15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모터(130)를 더 작동시켜 가열된 PTC히터(135)를 충분히 냉각시킴으로써, PTC히터(135)의 가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시설원예에 설치된 복수 개의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는 개별제어뿐만 아니라, 하나의 중앙제어장치(160)에 연결되어 중앙제어장치(160)의 의해 개별 또는 통합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의 온도를 PI485통신을 통해 중앙제어장치(160)의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설원예 내부의 전체 온도분포를 파악하여 복수 개의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100)의 온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는 공기흡입구가 온풍배출구의 상측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있는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상하의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로워 및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송풍거리를 증대시켜 난방의 사각지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가 빛을 다양한 각도로 반사함으로써, 농작물의 광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컨트롤러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모터를 더 가동시켜 PTC히터를 충분히 냉각시킴으로써, PTC히터의 가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10 : 케이스
111 : 흡입공간 112 : 공기흡입구
115 : 배출공간 116 : 온풍배출구
119 : 받침대 120 : 격판
121 : 공기유통공 125 : 오리피스
127 : 블로워 130 : 구동모터
135 : PTC히터 140 : 가이드부재
141 : 가이드판 143 : 가이드축
145 : 각도조절부 147 : 래치부재
149 : 탄성부재 150 : 컨트롤러
151 : 전원스위치 153 : 설정조작부
155 : 예약설정부 157 : 모드설정부
159 : 디스플레이 160 : 중앙제어장치

Claims (18)

  1. 복수 개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공간과 복수 개의 온풍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중앙에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을 연통하는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간으로 이동시켜 상기 온풍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흡입공간 또는 상기 배출공간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PTC히터, 및
    상기 PTC히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다양한 각도로 빛이 분산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격판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공간은 상기 격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 또는 상기 온풍배출구는
    서로 직교되는 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공에는 상기 흡입공간에서 상기 배출공간으로 공기의 이동 시 공기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오리피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C히터는
    복수 개의 상기 공기흡입구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온풍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온풍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온풍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온풍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가이드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축, 및
    상기 온풍배출구와 상기 가이드판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가이드축와 상기 가이드축이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에 각각 서로 톱니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래치부재,
    상기 한 쌍의 래치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축 또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래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PTC히터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더 작동시켜 상기 PTC히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원의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
    상기 PTC히터의 온도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설정하는 설정조작부,
    작동온도 및 설정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PTC히터의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예약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시 상기 PTC히터의 작동을 중지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모드와 상기 PTC히터를 작동하여 난방하는 난방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공조기기의 통신수단인 PI485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F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상기 컨트롤러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의 온도를 확인하여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KR1020130070724A 2013-06-20 2013-06-20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KR10150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24A KR101501052B1 (ko) 2013-06-20 2013-06-20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24A KR101501052B1 (ko) 2013-06-20 2013-06-20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46A KR20140147446A (ko) 2014-12-30
KR101501052B1 true KR101501052B1 (ko) 2015-03-18

Family

ID=5267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24A KR101501052B1 (ko) 2013-06-20 2013-06-20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23B1 (ko) * 2016-05-19 2019-08-27 씨이에스 주식회사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KR101950770B1 (ko) * 2018-09-27 2019-02-21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KR101959773B1 (ko) * 2018-09-27 2019-07-15 오성환 하우스용 공기순환장치
CN109798664B (zh) * 2018-12-26 2021-05-07 浦江琦品电器有限公司 一种暖风机外壳的隐藏式连接结构
KR102646399B1 (ko) * 2021-06-16 2024-03-08 최군식 축사용 온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24Y1 (ko) * 2006-08-29 2006-11-13 이현택 농축산용 ptc 온풍기
KR100859124B1 (ko) * 2007-08-10 2008-09-18 하나산업(주) 농업용 온풍기
KR20130045436A (ko) * 2011-10-26 2013-05-06 신영서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24Y1 (ko) * 2006-08-29 2006-11-13 이현택 농축산용 ptc 온풍기
KR100859124B1 (ko) * 2007-08-10 2008-09-18 하나산업(주) 농업용 온풍기
KR20130045436A (ko) * 2011-10-26 2013-05-06 신영서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46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052B1 (ko)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KR101647319B1 (ko) 온실용 공기 순환장치
KR101855102B1 (ko) 공기순환팬 회전장치
US10660451B2 (en) Bedding clima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o operate thereof that compensates for backpressure and ambient temperature
KR20110078803A (ko)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EP0837288A1 (en) A fan convector with adjustable deflector elements
KR102205015B1 (ko) 원예하우스용 냉온풍기의 송풍방향 조절장치
KR101437291B1 (ko) 덕트 열교환방식의 환기시스템
US2560349A (en) Air conditioner
KR101308648B1 (ko)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KR100815484B1 (ko)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KR101920155B1 (ko) 냉각 및 가열 복합 팬 구조체
KR100905127B1 (ko) 360°정,역으로 흡배기 되는 스탠드형 냉온풍기
KR100828573B1 (ko) 전기온풍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638715B1 (ja) 縦型空調機
KR101700912B1 (ko) 냉온선풍기
KR101432131B1 (ko) 온도조절 및 산소공급이 가능한 수족관
KR101644633B1 (ko) 비닐 하우스용 순환 대류 시스템
KR20110075761A (ko) 사방향 냉온풍기
KR102365403B1 (ko) 온,습도 조절장치
KR101147282B1 (ko) 풍량 및 풍향 자동조절식 라인 디퓨져
KR200252181Y1 (ko)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CN105902159A (zh) 电水壶
KR101094855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풍기
KR20160032427A (ko) 전기식 온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