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823B1 -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823B1
KR101970823B1 KR1020160061174A KR20160061174A KR101970823B1 KR 101970823 B1 KR101970823 B1 KR 101970823B1 KR 1020160061174 A KR1020160061174 A KR 1020160061174A KR 20160061174 A KR20160061174 A KR 20160061174A KR 101970823 B1 KR101970823 B1 KR 10197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valve body
moving path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728A (ko
Inventor
박종오
Original Assignee
씨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82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대상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난방 대상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난방 대상공간을 난방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파이프 및 일측이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파이프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압송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파이프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 대상공간의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난방 효율이 향상되어 이에 따른 제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with high h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대상공간에 설치되고, 난방 대상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은 식물의 재배를 위한 생육 조건을 형성하기 위하여 난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금속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를 비닐하우스 내부에 배치하고, 기름이나 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를 보일러를 통해 연소시켜 가열된 유체를 금속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를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방식은 고가의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연소시키는 고가의 보일러를 구비해야 함으로 인해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들고, 큰 부피를 가지는 보일러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해야 함으로 인해 설치 장소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0379006호에는 비닐하우스 지면 하부에 전체적으로 포설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되면서, 그 내부에 히팅코일을 수용하는 내열 파이프 하우징 및 상기 내열 파이프 하우징의 양단을 밀봉시키며 상기 히팅코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내열 파이프 하우징 내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단이 전원공급장치와 접속되며, 외부는 피복층으로 절연된 히팅코일 및 상기 내열 파이프 하우징의 내주연으로부터 각각 120도 각도로 내부 중앙으로 연장 돌출되어 중앙에 위치된 상기 히팅코일을 지지하고, 상기 내열 파이프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3개의 분리된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는 농작물 재배용 발열 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농작물 재배용 발열 파이프는 내열 파이프 하우징에 내부에 설치된 히팅코일에서 발생되는 열로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하는 방식으로 인해 고가의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연소시키는 고가의 보일러를 구비해야함으로 인해 초기 시설비 및 보일러의 추가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초기 시설비가 적게 들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열 파이프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히팅코일에서 발열되는 열이 파이프 하우징을 통해 농작물 주변의 공기로 전도되어 난방되는 방식으로 인해 난방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 제 0379006호 “농작물 재배용 발열 파이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대상공간의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 대상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난방 대상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난방 대상공간을 난방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파이프 및 일측이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파이프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압송유닛 및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파이프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일측이 각 배출구에 결합되어 각 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몸체 및 상기 수용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밸브체 및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타측 내면 간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가 유입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됨 밸브몸체 및 일측이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열된 외부공기가 배출된 후, 상기 파이프 내부의 외부공기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영역의 제 1 이동로와,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영역의 제 2 이동로로 분할하는 지지격벽 및 상기 제 2 이동로와 연통되는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는 차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 1 이동로를 거쳐 제 2 이동로로 유입된 후,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 대상공간의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난방 효율이 향상되어 이에 따른 제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밸브유닛의 다른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는 난방 대상공간, 특히 농작물이 재배되는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 내부 중 농작물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농작물 주변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농작물의 주변온도를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10), 압송유닛(20) 및 발열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10)는 일단이 개방된 관체 형상으로서 개방된 일단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로(R)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출구(12)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파이프(10)는 내열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농작물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할 시 용이하게 일측을 용이하게 만곡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송유닛(20)은 일측이 파이프(10)의 유입구(11)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파이프(10) 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파이프(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이동로(R)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체(30)는 복수개의 배출구(12)와 대향하는 파이프(10)의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dl 공급되는 경우, 전기 저항에 의해 자체 발열하는 것으로서, 파이프(10) 내부로 유입되어 이동로(R)를 따라 이동되면서 복수개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발열체(30)는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의 요구되는 온도에 따라 파이프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발열체(30)는 일반적으로 탄소섬유, 니크롬선, 칸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압송유닛(20)을 통해 파이프(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이동로(R)를 따라 이동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외부공기는 각각의 각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농작물 주변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농작물의 주변온도를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1)는 발열체(30)에 의해 발생된 열이 파이프(10)를 통해 농작물의 주변으로 전도 방식을 통해 전달될 뿐 아니라 파이프(10) 내부로 유입되어 발열체(30)에 의해 가열된 외부공기가 각 배출구(12)를 통해 농작물 주변으로 직접 공급됨에 따라 농작물 주변으로 파이프를 통한 전도 방식으로만 열을 전달하는 종래 난방 방식에 비해 난방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파이프(10)의 각 배출구(12)에 결합되는 밸브유닛(40)이 더 추가되는 것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밸브유닛(40)은 파이프(10)의 각 배출구(12)에 결합되어 각 배출구(12)의 개폐를 단속하는 것으로서,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41), 밸브체(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몸체(4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41a)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41b)이 형성된다.
밸브체(42)는 밸브몸체(42)의 수용공간(S)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밸브몸체(42)의 유입공(41a)을 개폐함으로써, 파이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동로(R)를 따라 이동 및 순환되면서 가열된 후, 각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열된 외부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3)는 밸브체(42)와 밸브몸체(41)의 타측 내면 일측 간에 설치되고, 밸브체(42)가 밸브몸체(41)의 유입공(41a)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파이프(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압력이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밸브체(42)가 밸브몸체(41)의 유입공(41a)을 차폐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10) 내에서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5의 (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압력이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밸브유닛(40)의 밸브체(42)가 밸브몸체(41)의 유입공(41a)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이동로(R)를 따라 순환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발열체(30)에 의해 온도 편차 없이 균일한 온도로 가열됨과 동시에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도 같이 상승하게 된다.
위와 같이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여 외부공기의 압력이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 5의 (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유닛(40)의 밸브체(42)가 밸브몸체(41)의 유입공(41a)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밸브유닛(40)이 동시에 개방되므로 파이프(10) 내의 이동로(R)를 순환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가열된 외부공기가 각 밸브유닛(40)의 배출공(41b)을 통해 외부로 동시에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는 압송유닛(20)을 통해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압력이 밸브유닛(40)의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밸브유닛(40)의 밸브체(42)에 의해 각 밸브유닛(40)이 차폐된 상태이므로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이동로(R)를 순환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파이프(10) 내의 이동로(R)를 순환하는 외부공기는 발열체(30)에 의해 온도 편차의 발생 없이 균일하게 가열된다.
그리고,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발열체(30)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외부공기의 압력이 밸브유닛(40)의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밸브유닛(40)의 밸브체(42)가 밸브유닛(4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밸브유닛(40)이 동시에 개방되므로 파이프(10) 내의 이동로(R)를 순환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된 외부공기가 각 밸브유닛(40)을 통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재배되는 농작물 주변으로 온도 편차 없이 균일하게 가열된 외부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온도 편차의 발생으로 인해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제공받지 못하는 농작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밸브유닛의 다른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밸브유닛은 밸브몸체 및 차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밸브몸체(4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41a)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41b)이 형성된다.
차폐부재(44)는 일측이 배출공(41b)이 형성된 밸브몸체(4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공(41b)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밸브유닛(40)의 동작을 도 6의 확대도를 통해 살펴보면, 파이프 (10)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압력이 차폐부재(44)의 자중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밸브유닛(40)의 차폐부재(44)가 밸브몸체(41)의 배출공(41b)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이동로(R)를 따라 순환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발열체(30)에 의해 온도 편차 없이 균일한 온도로 가열됨과 동시에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도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여 외부공기의 압력이 차폐부재(44)의 자중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차폐부재(4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공(41b)이 개방됨에 따라 파이프(10) 내의 이동로를 순환하면서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외부공기는 각 밸브유닛(40)의 배출공(41b)을 통해 외부로 동시에 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부재(44)의 일측이 밸브몸체(41)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차폐부재(44)의 일측을 밸브몸체(41) 일측에 고정결합시키고,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여 차폐부재(44)가 파이프(10) 내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외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밸브몸체(41)의 배출공(41b)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실리콘의 탄성에 의해 배출공(41b)을 차폐하는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격벽 및 차폐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격벽(50)은 파이프(10)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이동로(R)를 발열체(30)가 설치된 영역의 제 1 이동로(R1)와, 복수개의 배출구(12)가 형성된 영역의 제 2 이동로(R2)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차폐플레이트(60)는 지지격벽(50)에 의해 분할되는 유입구(11) 중 제 2 이동로(R2)와 연통되는 유입구(11) 일측에 설치되어 제 2 이동로(R2)와 연통되는 유입구(11)를 차폐함으로써, 제 2 이동로(R2)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각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압송유닛(20)을 통해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발열체(30)가 설치된 제 1 이동로(R1)를 따라 이동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하게 가열되고, 가열된 외부공기는 제 2 이동로(R2)로 유입된 후, 각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1)는 지지격벽(50)에 의해 이동로(R)가 발열체(30)가 설치된 영역의 제 1 이동로(R1)와 복수개의 배출구(12)가 형성된 제 2 이동로(R2)로 분할됨에 따라 외부공기가 제 1 이동로(R1)를 따라 이동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된 후, 제 2 이동로(R2)로 유입되어 각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각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이프(10)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 1 이동로(R1)를 따라 이동되면서 발열체(3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므로 이에 따른 난방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난방 대상공간 중 특히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는 용도로 설명되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 공장, 사무실 및 휴게소와 같은 다양한 난방 대상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난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 10 : 파이프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0 : 압송유닛 30 : 발열체
40 : 밸브유닛 41 : 밸브몸체
41a : 유입공 41b : 배출공
42 : 밸브체 43 : 탄성부재
44 : 차폐부재 50 : 지지격벽
60 : 차폐플레이트 R : 이동로
R1 : 제 1 이동로 R2 : 제 2 이동로
S : 수용공간

Claims (5)

  1. 난방 대상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난방 대상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난방 대상공간을 난방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파이프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압송유닛과;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파이프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와;
    일측이 각 배출구에 결합되어 각 배출구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타측 내면 간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가 유입공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난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됨 밸브몸체와;
    일측이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밸브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열된 외부공기가 배출된 후, 상기 파이프 내부의 외부공기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영역의 제 1 이동로와,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영역의 제 2 이동로로 분할하는 지지격벽과;
    상기 제 2 이동로와 연통되는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는 차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 1 이동로를 거쳐 제 2 이동로로 유입된 후,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KR1020160061174A 2016-05-19 2016-05-19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KR10197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74A KR101970823B1 (ko) 2016-05-19 2016-05-19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74A KR101970823B1 (ko) 2016-05-19 2016-05-19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28A KR20170131728A (ko) 2017-11-30
KR101970823B1 true KR101970823B1 (ko) 2019-08-27

Family

ID=6081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74A KR101970823B1 (ko) 2016-05-19 2016-05-19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23B1 (ko) * 2019-06-04 2021-11-30 김도환 열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99Y1 (ko) * 2003-12-10 2004-04-28 김성원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006B1 (ko) 1996-12-09 2003-09-26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퍼레이션 반구체입자상실리콘층을이용하여정전용량이개선된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1501052B1 (ko) * 2013-06-20 2015-03-18 에이넷이앤씨(주)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KR20150112206A (ko) *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유니웜 열기공급형 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99Y1 (ko) * 2003-12-10 2004-04-28 김성원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28A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473B2 (en) Germicidal heating apparatus using superheated vapor
KR101970823B1 (ko) 난방 효율이 향상된 난방장치
US9091457B2 (en) Electro-thermal heating system
KR101950885B1 (ko)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기
US4782767A (en) Solid fuel burning stove apparatus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CN105526400B (zh) 燃气灶的燃气流量控制装置及其制造方法和燃气灶
US20190003740A1 (en) Heat trap assembly
JP2014239667A (ja) 植物栽培装置
CN107726315A (zh) 加热器及用于加热器的控制系统
KR102062825B1 (ko) 유량제어밸브
KR200475472Y1 (ko) 비닐하우스용 보조난방장치
US20160348943A1 (en) Water inlet/outlet reversible water heater
KR20150112206A (ko) 열기공급형 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0379006Y1 (ko) 농작물 재배용 발열 파이프
KR101476630B1 (ko) 하향배기식 연탄보일러
KR100696617B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KR20150117506A (ko) 이동형 주택 난방장치
US953310A (en) Incubator-heater.
KR200418051Y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KR101383188B1 (ko) 최적의 열전달 효율을 가지는 열전달파이프 모듈을 구비하는 열풍기
NL2015440B1 (en) Satellite for central heating or for teleheating with multifunction presettings.
JP2012147730A (ja) 家庭用の植物栽培装置
US828011A (en) Incubator.
US2518982A (en) Space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3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3

Effective date: 201812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