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51Y1 -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51Y1
KR200418051Y1 KR2020060007136U KR20060007136U KR200418051Y1 KR 200418051 Y1 KR200418051 Y1 KR 200418051Y1 KR 2020060007136 U KR2020060007136 U KR 2020060007136U KR 20060007136 U KR20060007136 U KR 20060007136U KR 200418051 Y1 KR200418051 Y1 KR 20041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lation
tank
wat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이용배
Original Assignee
이용배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배, 김진호 filed Critical 이용배
Priority to KR2020060007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18Radiat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하도록 순환로를 분리 설치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에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배출관,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를 분리 설치하고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의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난방장치에 있어서, 일정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담수탱크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 및 히터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외부로 담수탱크 내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모터가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로 배출된 물이 재차 담수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담수탱크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버너, 히터 및 배출관의 순환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담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1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는 일체로 연통형성되되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구획별로 다른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각각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로 형성되는 순환파이프에는 각각의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검출온도를 송출하 도록 이루어진다.
난방장치, 보일러, 탱크, 히터, 버너, 순환파이프

Description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Heating with Different Tempera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순환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담수탱크 20 : 버너
30 : 히터 40 : 배출관
50 : 순환파이프 51 : 제 1파이프
52 : 제 2파이프 60 : 유입관
70 : 제어부 80 : 제 1온도센서
90 : 제 2온도센서
본 고안은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하도록 순환로를 분리 설치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에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 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배출관,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를 분리 설치하고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대량으로 속성 재배하기 위하여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성장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서 식물의 빠른 성장을 통해 농산가의 소득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농장에서는 식물의 이상적인 성장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농장 내에 난방기구를 설치하여 이상적인 성장온도에 적합하도록 농장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난방기로서 연탄을 매체로 한 난로형과 가스 스토브형 및 기름버너에 의한 열풍기 등의 난방기가 여러 형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난방기구들은 고열을 발생시켜 농장 내부를 소망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이에 못지 않은 연료비 상승의 부담을 안고 있다.
또한 각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별로 각각의 난방기구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제반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다수개의 난방기구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다 열효율을 증가시켜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다수개의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난방장치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저렴 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에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배출관,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를 분리 설치하고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의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난방장치에 있어서, 일정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담수탱크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 및 히터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외부로 담수탱크 내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모터가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로 배출된 물이 재차 담수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담수탱크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버너, 히터 및 배출관의 순환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담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1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는 일체로 연통형성되되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구획별로 다른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각각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로 형성되는 순환파이프에는 각각의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검출온도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순환파이프는 제 1파이프 내에 제 2파이프가 내삽된 2중 관구조 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파이프는 금속재질이며 제 2파이프는 PP, PE, 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에 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순환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은 크게 일정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담수탱크(10)와, 상기 담수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담수탱크(10)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20) 및 히터(30)와, 상기 담수탱크(10)의 일측에 외부로 담수탱크(10) 내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모터(M)가 설치된 배출관(40)과, 상기 배출관(40)에 연결되어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50)와, 상기 순환파이프(50)로 배출된 물이 재차 담수탱크(10) 내로 유입되도록 담수탱크(10)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60)과, 상기 버너(20), 히터(30) 및 배출관(40)의 순환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부(70);및 상기 담수탱크(10) 내에 설치되어 담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송출하는 제 1온도센서(80) 및 순환파이프(50)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센서(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담수탱크(10)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물을 담수하기 위해 마련되며, 담수탱크(10)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담수탱크(10) 외측에는 별도의 보온단열재가 더 형성되어 밀폐하 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수탱크(10)에는 담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각각 버너(20), 히터(3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버너(20)는 별도의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연료가 공급되며 제어부(70)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작동되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그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70)가 설정된 온도 이하 또는 이상을 판단하기 위해서 담수탱크 내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제 1온도센서(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1온도센서(80)의 검출온도값을 송출받아 제어부(70)가 버너(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너(20)가 담수탱크(10) 내의 물을 가열하는 구조는 버너(20)의 열기로 가열되는 가열실이 담수탱크(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실 외측은 물과 직접 접촉하여 열이 전달된다.
또한 가열실 단부에는 담수탱크(10) 외측으로 배출가스가 유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가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히터(30)는 전기를 공급받아 담수탱크(10)의 물에 내입된 전열봉을 가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히터(30)의 전열봉 설정온도 및 작동 등은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히터(30)는 심야 또는 담수탱크(10) 내 물의 설정온도에서 차이가 적은 경우에 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버너(20)는 갑작스런 낮은 온도의 물 유입 등으로 인해 설정온도에서 차이가 클 경우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일정온도 이상 가열시켜 버너(30)의 작동을 최대한 줄임에 따라 난방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40)은 가열된 물을 외부 순환파이프(5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배출관(40)에는 순환모터(M)가 설치되어 순환모터(M)의 작동에 따라 순환파이프(50)로의 배출을 유도한다.
물론 상기 순환모터(M)의 작동은 제어부(70)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어부(70)는 순환파이프(50)에 설치된 제 2온도센서(90)를 통해 순환하는 물의 온도검출값을 제공받아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순환모터(M)를 가동하여 담수탱크(10) 내의 가열된 물이 순환파이프(5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70)가 순환모터(M)의 작동을 중지하여 더 이상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순환파이프(50)로 배출되는 온수는 담수탱크(10)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60)을 통해 담수탱크(10) 내로 유입되며, 순환파이프(50)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저하된 물은 다시 담수탱크(10) 내의 물과 혼합되며 이에 따라 설정온도 이하로 담수탱크(10) 내의 물의 온도가 내려가 경우 히터(30) 및 버너(20)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60)에는 물의 순환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순환모터(M)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관(40)에 결합된 순환모터(M)와 유입관(60)의 순환모터(M)가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파이프(50)는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 1파이프(51) 내에 제 2파이프(52)가 내삽된 2중 관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파이프(51)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2파이프(52)는 PP, PE, ABS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배출관(40), 순환파이프(50), 유입관(60)은 다수개의 구획에 설치되어 각각 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제어부(70)는 이러한 구획별로 설정온도를 다르게 하는 차등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는 각 구획별로 순환파이프(50)에 제 2온도센서(90)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검출값을 제어부(70)가 제공받아 각 구획별 배출관(40)과 유입관(60)의 순환모터(M)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닐하우스 A동, B동, C동을 난방하려고 할 경우 담수탱크(10)로부터 배출관(40), 순환파이프(50) 및 유입관(60)의 순환구조를 각 동별로 설치하고 A동, B동, C동의 설정온도를 각각 25℃, 30℃, 40℃라 할 때 제어부(70)는 각 배출관(40) 및 유입관(60)의 순환모터(M)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온도에 부합하도록 온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A동에 비해 B동의, B동에 비해 C동의 순환모터(M)가 보다 더 자주 작동하게 될 것임은 명확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각각의 비닐하우스 또는 농장별로 구획될 수 있고, 하나의 비닐하우스 또는 농장에 다수 구획을 구분하여 설치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을 설치할 경우, 다수개의 비닐하우스 또는 농장을 통합하여 난방관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설치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개로 형성되는 순환파이프(50)의 총 용량은 담수탱크(10)의 용량의 35% 내지 45 % 범위 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담수탱크(10)의 용량이 너무 작으면 계속하여 버너(20)가 동작하게 되고, 용량이 너무 클 경우 난방 필요 넓이에 비해 너무 많은 용량의 물을 가열하여야 함에 따라 열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에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구획별로 배출관,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를 분리 설치하고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즉, 축사의 동물별 또는 비닐하우스의 각 재배식물별로 적합한 온도가 다르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는 하나의 난방장치를 통해 각 비닐하우스 또 는 축사 등의 설정온도를 달리하며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순환파이프의 구조를 2중 관구조로 형성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의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난방장치에 있어서,
    일정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담수탱크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 및 히터와;
    상기 담수탱크의 일측에 외부로 담수탱크 내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순환모터가 설치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로 배출된 물이 재차 담수탱크 내로 유입되도록 담수탱크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버너, 히터 및 배출관의 순환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담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담수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제 1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 및 순환파이프는 일체로 연통형성되되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구획별로 다른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각각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로 형성되는 순환파이프에는 각각의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검출온도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형성되는 유입관에는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순환모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는 제 1파이프 내에 제 2파이프가 내삽된 2중 관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파이프는 금속재질이며 제 2파이프는 PP, PE, AB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KR2020060007136U 2006-03-16 2006-03-16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KR20041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36U KR200418051Y1 (ko) 2006-03-16 2006-03-16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136U KR200418051Y1 (ko) 2006-03-16 2006-03-16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528A Division KR100696617B1 (ko) 2006-03-16 2006-03-16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51Y1 true KR200418051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136U KR200418051Y1 (ko) 2006-03-16 2006-03-16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92B1 (ko) 2007-02-14 2008-05-07 김주호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92B1 (ko) 2007-02-14 2008-05-07 김주호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5268A (zh) 节能型育苗温室
JP3195434U (ja) ハウス栽培施設の空調・培地温度調節装置
CN104180425A (zh) 一种家用双能源大功率中央热暖炉
KR20140007042A (ko) 동식물 생육 난방기
KR101095341B1 (ko) 온실하우스 난방시스템
KR200418051Y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KR100696617B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KR101248606B1 (ko) 합성유계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0828092B1 (ko)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KR20110085546A (ko) 온풍시스템
KR101356977B1 (ko) 내 외기순환과 지온을 활용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 설치 장치.
KR20090083828A (ko) 난방시스템
KR101289208B1 (ko) 축열자갈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냉난방장치
KR200439361Y1 (ko) 조립형 연소대가 구비된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및 온풍공급장치
KR20130023780A (ko) 냉해방지를 위한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CN204006282U (zh) 一种家用双能源大功率中央热暖炉
KR102199993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냉난방 겸용 온풍기
KR101165920B1 (ko) 폐 가스용기를 이용한 하우스용 전기보일러
KR200396214Y1 (ko) 산업용 전기식 열풍기
CN102187819B (zh) 一种鸡舍集中供热自动调温系统
CN205409105U (zh) 一种雏鸡养殖场所的保温装置
KR101149744B1 (ko) 난방부하에 따른 온수온도 및 온풍열교환량 자동제어시스템 및 자동제어방법
CN202077476U (zh) 鸡舍集中供热自动调温系统
CN205161349U (zh) 一种太阳能蔬菜大棚供热装置
KR20150117506A (ko) 이동형 주택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