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092B1 -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092B1
KR100828092B1 KR1020070015127A KR20070015127A KR100828092B1 KR 100828092 B1 KR100828092 B1 KR 100828092B1 KR 1020070015127 A KR1020070015127 A KR 1020070015127A KR 20070015127 A KR20070015127 A KR 20070015127A KR 100828092 B1 KR100828092 B1 KR 10082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oiler
heat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김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102007001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6Water-storage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나,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의 폐열을 통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공급관에 재공급시킴으로써 보일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를 분할 설치하여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보일러, 탱크, 히터, 버너, 순환파이프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A BOILER USING WASTEHEA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보일러탱크 및 폐열탱크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일러탱크 11: 물공급관
12: 물배출관 13: 연소실
14: 방열관 15: 버너
16: 히터 20: 폐열탱크
30: 열교환기 31: 물공급헤더
31a: 제 1관 32: 물배출헤더
32a: 제 2관 33: 튜브
34: 흡열핀 40: 순환파이프
51: 제 1온도센서 52: 제 2온도센서
60: 제어부 70: 연결관
100: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나,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의 폐열을 통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공급관에 재공급시킴으로써 보일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를 분할 설치하여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대량으로 속성 재배하기 위하여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성장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서 식물의 빠른 성장을 통해 농산가의 소득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농장에서는 식물의 이상적인 성장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농장 내에 난방기구를 설치하여 이상적인 성장온도에 적합하도록 농장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난방기로서 연탄을 매체로 한 난로형과 가스 스토브형 및 기름버너에 의한 열풍기 등의 난방기가 여러 형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난방기구들은 고열을 발생시켜 농장 내부를 소망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이에 못지 않은 연료비 상승의 부담을 안고 있다.
또한 각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별로 각각의 난방기구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제반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다수개의 난방기구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다 열효율을 증가시켜 연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폐열을 이용하고, 또한 다수개의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난방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나,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의 폐열을 통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공급관에 재공급시킴으로써 보일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각 구획별로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를 분할 설치하여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연소실 및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방열관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배출관이 연결되는 보일러탱크;와,
상기 보일러탱크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수단 및 보일러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수단;과
상기 보일러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센서;와, 상기 제 1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 상기 제 1히팅수단 및 제 2히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방열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열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관 연통되게 상기 보일러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안내되는 폐열을 통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가 설치된 폐열탱크;와, 상기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상호 연통되여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폐열탱크의 열교환기는 물배출관과 연결되는 제 1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되는 제 2관을 통해 물을 송상기 순환파이프는 구획별로 다른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각각 분할되어 상기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상호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로 분할되는 순환파이프에는 각각의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검출온도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히팅수단은 버너이며, 상기 제 2히팅수단은 전열봉을 가지는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개로 분할되는 순환파이프에는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순환모터(M)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열교환기는 제 1관이 연결되는 물공급헤더와, 상기 제 2관이 연결되는 물배출헤더와, 상기 물공급해더와 물배출헤더에 사이에 연통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어 폐열의 열을 흡열하는 흡열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보일러탱크 및 폐열탱크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16)나, 버너(15)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일러탱크(10)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탱크(10) 내의 폐열을 통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공급관(11)에 재공급시킴으로써 보일러(100)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구획별로 물공급관(11)과 물배출관(12)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40)를 분할 설치하여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탱크(10)와, 보일러탱크(10)의 폐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하여 보일 러탱크(10)로 물을 재공급하는 폐열탱크(20)와, 상기 보일러탱크(10)에 연결되어 각 구획별로 분할되는 순환파이프(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탱크(10)는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물을 담수하기 위해 마련되며, 연소실(13) 및 상기 연소실(13)과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방열관(14)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11)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배출관(12)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탱크(10)의 연소실(13)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보일러탱크(10)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수단 및 보일러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일러탱크(10)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 1히팅수단 및 제 2히팅수단으로는 각각 버너(15), 히터(16)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탱크(10)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제 1온도센서(51)이며. 상기 제 1온도센서(51)의 검출온도에 따라 버너(15)와 히터(16)를 제어하는 것이 제어부(60)이다.
상기 버너(15)는 별도의 연료탱크(미도시)가 구비되어 연료가 공급되며 제어부(60)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작동되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그 작동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버너(15)는 연소실(13)과 방열관(14)을 가열하는 간접가열 방식이다.
아울러 상기 히터(16)는 물과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는 직접가열 방식이다.
이러한 상기 히터(16)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일러탱크(10)의 물에 내입된 전열봉을 가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히터(16)의 전열봉 설정온도 및 작동 등은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히터(16)는 심야에 보일러탱크(10) 내 물의 설정온도에서 차이가 적은 경우에 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버너(15)는 갑작스런 낮은 온도의 물 유입 등으로 인해 설정온도에서 차이가 클 경우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심야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일정온도 이상 가열시켜 버너(15)의 작동을 최대한 줄임에 따라 난방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탱크(10)의 물배출관(12)은 가열된 물을 외부 순환파이프(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물배출관(12)에는 순환모터(M)가 설치되어 순환모터(M)의 작동에 따라 순환파이프(40)로의 배출을 유도한다.
물론 상기 순환모터(M)의 작동은 제어부(60)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어부(60)는 순환파이프(40)에 설치된 제 2온도센서(52)를 통해 순환하는 물의 온도 검출값을 제공받아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순환모터(M)를 가동하여 보일러탱크(10) 내의 가열된 물이 순환파이프(4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60)가 순환모터(M)의 작동을 중지하여 더 이상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물배출관(12)을 통해 순환파이프(40)로 배출되는 온수는 보일러탱크(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배출관(12)을 통해 보일러탱크(10) 내로 유입되며, 순환파이프(40)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저하된 물은 다시 보일러탱 크(10) 내의 물과 혼합되며 이에 따라 설정온도 이하로 보일러탱크(10) 내의 물의 온도가 내려가 경우 히터(16) 및 버너(15)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물배출관(12)과 물공급관(11)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4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각각 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제어부(60)는 이러한 구획별로 설정온도를 다르게 하는 차등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각 구획별로 분할된 순환파이프(40)에는 각각 제 2온도센서(52)와 순환모터(M)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검출값을 제어부가 제공받아 해당 순환모터(M)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닐하우스 A동, B동, C동을 난방하려고 할 경우, 보일러탱크(10)로부터 연결되는 순환파이프(40)를 각 동별로 설치하고 A동, B동, C동의 설정온도를 각각 25℃, 30℃, 40℃라 할 때 제어부(60)는 구획별로 분할된 순환파이프(40)의 순환모터(M)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온도에 부합하도록 온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A동에 비해 B동의, B동에 비해 C동의 순환모터(M)가 보다 더 자주 작동하게 될 것임은 명확하다.
표 1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온도센서(80) 설정 제2온도센서(90) 설정 제2온도센서(90) 현재 온도 모터작동여부 온도상승여부
60℃ A 동 25℃ 26℃ X
B 동 30℃ 28℃ O
C 동 40℃ 35℃ O
보일러탱크(10) 내의 제 1온도센서(51)의 설정 온도가 60℃이고, 전술하였듯이 제 2온도센서(52)의 설정 온도가 각각 25℃, 30℃, 40℃라 할 때, 현재 제 2온도센서(52)의 온도가 26℃, 28℃, 35℃라 하면, A동의 경우 설정온도보다 현재 온도가 높기 때문에 순환모터(M)가 작동하지 않으며, B동 및 C동의 경우 설정온도 보다 현재 온도가 낮으므로 순환모터(M)가 작동하여 보일러탱크(10) 내의 높은 온수가 유입되어 B동 및 C동의 온도는 점차 상승할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보일러탱크(10)는 버너(15)에 의해 가열된 연소실(13) 및 방열관(14)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폐열탱크(20)에 공급하여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방열관(14)은 폐열의 온도를 보다 잘 방출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보일러탱크(10)와 폐열탱크(20)는 연결관(70)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관(70)은 방열관(14)을 통해 배출되는 폐열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관(14) 연통되게 상기 보일러탱크(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폐열탱크(20)는 내부에 열교환기(3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30)는 물배출관(12)과 연결되는 제 1관(31a)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물공급관(11)과 연결되는 제 2관(32a)을 통해 물을 송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열교환기(30)의 구성은 제 1관(31a)이 연결되는 물공급헤더(31)와, 상기 제 2관(32a)이 연결되는 물배출헤더(32)와, 상기 물공급헤더(31)와 물배출헤더(32)에 사이에 연통되는 다수의 튜브(33)와, 상기 튜브(33)와 튜브(33)의 사이에 개재되어 폐열의 열을 흡열하는 흡열핀(34)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관(31a)에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순환모터(M)가 장착되어 있어 버너의 가동에 따라 순환모터(M)의 가동으로 물이 순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물은 제 1관(31a)을 통해 물공급헤더(31)에 유입되고, 물공급헤더(31)는 튜브(33)를 거쳐 물배출헤더(32)를 통해 제 2관(32a)으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보일러탱크(10)의 방열관(14)을 통해 배출되는 폐열은 연결관(70)을 거쳐 상기 폐열탱크(2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폐열을 흡열핀(34)을 통해 열을 흡열하여 튜브(33)를 통해 물배출헤더(32)로 송출되어 물은 온도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제 2관(32a)을 통해 보일러탱크(10)의 물공급관(11)으로 재순환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물공급관(11)을 따라 보일러탱크(10)로 공급되는 물은 온도가 높기 때문에 버너(15)의 작동시간이 짧아도 보일러탱크(10) 내의 물 온도를 설정온도까지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전기 또는 농업용 전기를 이용한 히터나, 버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연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일러의 폐열을 통해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공급관에 재공급시킴으로써 보일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각 구획별로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를 분할 설치하여 각각 설정온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등 난방이 가능하여 다수개의 구획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5)

  1. 연소실 및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어 물을 가열하는 방열관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배출관이 연결되는 보일러탱크;
    상기 보일러탱크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수단 및 보일러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일러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수단;
    상기 보일러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센서;
    상기 제 1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따라 상기 제 1히팅수단 및 제 2히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방열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열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관 연통되게 상기 보일러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안내되는 폐열을 통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가 설치된 폐열탱크;
    상기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상호 연통되여 지면에 설치되는 순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폐열탱크의 열교환기는 물배출관과 연결되는 제 1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되는 제 2관을 통해 물을 송출하고,
    상기 순환파이프는 구획별로 다른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각각 분할되어 상기 물공급관과 물배출관에 상호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로 분할되는 순환파이프에는 각각의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로 검출온도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분할되는 순환파이프에는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순환모터(M)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제 1관이 연결되는 물공급헤더와, 상기 제 2관이 연결되는 물배출헤더와, 상기 물공급헤더와 물배출헤더에 사이에 연통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튜브의 사이에 개재되어 폐열의 열을 흡열하는 흡열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히팅수단은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히팅수단은 전열봉을 가지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KR1020070015127A 2007-02-14 2007-02-14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KR10082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27A KR100828092B1 (ko) 2007-02-14 2007-02-14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27A KR100828092B1 (ko) 2007-02-14 2007-02-14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092B1 true KR100828092B1 (ko) 2008-05-07

Family

ID=3964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127A KR100828092B1 (ko) 2007-02-14 2007-02-14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8359A (zh) * 2012-08-30 2012-12-12 辽宁中昊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生水加热的板式耦合低温烟气余热回收装置
CN103175296A (zh) * 2011-12-26 2013-06-26 谢振斌 三级传导锅炉
CN112577187A (zh) * 2020-12-02 2021-03-30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内部热循环低氮燃烧燃气锅炉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236A (ko) * 1992-02-10 1993-09-21 한신 가스 및 심야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장치
KR19980014646U (ko) * 1998-03-30 1998-06-05 이근직 보일러 폐열에 의한 온수 예열 장치
KR20000003451U (ko) * 1998-07-24 2000-02-15 김영대 폐열회수방을 이용한 난방수 및 온수 예열시스템 보일러
KR20010045867A (ko) * 1999-11-09 2001-06-05 조광남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에서의 폐열회수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20068015A (ko) * 2002-08-02 2002-08-24 정문화 온돌과 폐수열 및 폐열회수기를 결합한 고효율 난방 및온수공급 시스템
KR20050027398A (ko) * 2003-09-15 2005-03-21 신풍산업(주) 보일러의 공기예열 장치
KR200418051Y1 (ko) 2006-03-16 2006-06-07 이용배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236A (ko) * 1992-02-10 1993-09-21 한신 가스 및 심야전력을 이용한 보일러장치
KR19980014646U (ko) * 1998-03-30 1998-06-05 이근직 보일러 폐열에 의한 온수 예열 장치
KR20000003451U (ko) * 1998-07-24 2000-02-15 김영대 폐열회수방을 이용한 난방수 및 온수 예열시스템 보일러
KR20010045867A (ko) * 1999-11-09 2001-06-05 조광남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에서의 폐열회수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20068015A (ko) * 2002-08-02 2002-08-24 정문화 온돌과 폐수열 및 폐열회수기를 결합한 고효율 난방 및온수공급 시스템
KR20050027398A (ko) * 2003-09-15 2005-03-21 신풍산업(주) 보일러의 공기예열 장치
KR200418051Y1 (ko) 2006-03-16 2006-06-07 이용배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5296A (zh) * 2011-12-26 2013-06-26 谢振斌 三级传导锅炉
CN103175296B (zh) * 2011-12-26 2015-08-19 谢振斌 三级传导锅炉
CN102818359A (zh) * 2012-08-30 2012-12-12 辽宁中昊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生水加热的板式耦合低温烟气余热回收装置
CN112577187A (zh) * 2020-12-02 2021-03-30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内部热循环低氮燃烧燃气锅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5152B2 (ja) ヒートポンプアセンブリ、部屋を空調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室内空気を暖房するための方法
CA2562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nic space heating with electrical power generation
KR100828092B1 (ko)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CN104180425A (zh) 一种家用双能源大功率中央热暖炉
JP2021529932A (ja) 分散型加熱および冷却ネットワーク
EP2549195B1 (en) Heating apparatus
KR101480062B1 (ko) 태양열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개별 난방 및 급탕시스템
KR101670334B1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0696617B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KR101914095B1 (ko) Pvt 모듈을 이용한 신발건조장치
GB2116299A (en) A water heating system
KR101863622B1 (ko) 가습형 온풍기
KR100731717B1 (ko) 난방장치
JP2010127575A (ja) 熱発生装置、温風ボイラー装置、温水ボイラー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ー装置
RU195348U1 (ru) Конвектор
KR200418051Y1 (ko)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장치
CN201059671Y (zh) 电热式地板采暖装置
CN109362601A (zh) 温度调节系统
KR200480314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순환식 전기 열풍기
KR102392431B1 (ko) 하이브리드형 분산 난방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US11243011B2 (en) Heat emitting radiator
KR20190052450A (ko) 보일러 겸용 음이온 온풍기
KR100415842B1 (ko) 비닐 하우스용 난방장치
CN219589025U (zh) 一种不同供热温度需求的复合式供暖系统
EP1033539B1 (en) Modular collector provided with a system of thermoregulation for heating plants with radiating panels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