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072Y1 -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 Google Patents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072Y1
KR200463072Y1 KR2020100007689U KR20100007689U KR200463072Y1 KR 200463072 Y1 KR200463072 Y1 KR 200463072Y1 KR 2020100007689 U KR2020100007689 U KR 2020100007689U KR 20100007689 U KR20100007689 U KR 20100007689U KR 200463072 Y1 KR200463072 Y1 KR 200463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air
facility
blower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85U (ko
Inventor
이경임
Original Assignee
이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임 filed Critical 이경임
Priority to KR2020100007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07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스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건조용 또는 생육환경조절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냉온방시설이 설치되는 시설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기를 설치하되 이 송풍기의 송풍방향에 맞추어 배출공을 갖는 공기배출호스를 연결 배치함에 의해 하나의 유닛형태로 설치함으로써 하우스 내 공간상에 공기 배출 및 공기 순환을 유도하여 냉온방시설에 의한 냉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하우스 내부에 송풍기에 연통된 배출공을 갖는 호스를 설치하여 하우스 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순환 유도를 통한 하우스 내 냉온효과의 극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EQUIPMENT HOUSE WITH AIR CIRCULATION EQUIPMENT FOR IMPROVING COLD AND WARMTH EFFECT}
본 고안은 하우스 내부에 냉온방시설을 갖춘 시설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순환을 통한 하우스 내 냉온효과의 극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는 벼나 고추 등의 재배작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하우스 내 토지를 활용하여 고추, 토마토, 딸기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시설하우스는 기본골격을 갖되 그 기본골격의 외면으로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비닐로 씌워 온실형태의 구조로 세워지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설하우스의 내부에는 건조시스템이나 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으로 온열램프(원적외선 램프), 열풍기, 보일러 등의 온방용 설비와 냉각기, 냉풍기 등의 냉방용 설비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설하우스 내 설치된 냉온방설비를 통한 건조시스템이나 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의 가동시 시설하우스 내부 전체에 걸쳐 고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인해 냉방효과 또는 온방효과의 향상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건조시스템이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의 가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 및 운용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에 연통된 배출공을 갖는 호스를 하우스 내부에 설치하여 공기순환을 통한 하우스 내 냉온효과의 극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냉온방설비를 이용한 건조시스템이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의 가동효율을 높이면서도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하우스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건조용 또는 생육환경조절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냉온방시설이 설치되는 시설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기를 설치하되 이 송풍기의 송풍방향에 맞추어 배출공을 갖는 공기배출호스를 연결 배치함에 의해 하나의 유닛형태로 설치하여 하우스 내 공간상에 공기 배출 및 공기 순환을 유도하여 냉온방시설에 의한 냉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기와 공기배출호스는 동일선상으로 배치하여 송풍처리의 원활함 및 공기배출호스를 통한 공기의 전달 및 배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호스는 플렉시블하면서도 무게감이 없는 재질로 구성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용이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우스에 최소한의 하중을 전달하는 형태로 설치하여 설비에 따른 부하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호스에는 외주면 상면으로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띠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연결부재를 걸림띠의 걸림공에 걸어 하우스의 천정에 매닮으로써 공기배출호스를 하우스 내 공간상에 용이하게 배치함은 물론 지지매개수단 및 처짐방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띠의 걸림공에는 링형 금속고리를 부착함으로써 내구성 강화에 따른 사용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기와 공기배출호스의 유닛형태가 하우스의 규모에 따라 다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열 위치마다 유닛들이 서로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공기의 배출 및 공기순환처리의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호스는 천, 필름, 종이,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송풍기에 연통된 배출공을 갖는 공기배출호스를 하우스 내부에 설치하여 하우스 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순환 유도를 통해 냉온방시설의 가동에 따른 냉온공기의 확산 및 전체공간에 고루 퍼뜨릴 수 있도록 하여 하우스 내 냉온효과를 향상 및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온방설비를 가동하여 하우스를 건조시스템이나 생육환경조절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설하우스의 운용비용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 유닛 구조화되는 송풍기와 공기배출호스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우스(10)가 구비되며, 하우스(10)의 내부에는 벼나 고추 등의 재배작물을 건조 처리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하우스 내 토지를 활용하여 재배하는 작물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주기 위한 냉온방설비(20)가 설치된다.
하우스(10)는 비닐하우스 형태나 또는 유리온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온방설비(20)는 온열램프(원적외선 램프 또는 할로겐 램프 등), 열풍기, 보일러 등의 온방설비와 냉각기, 냉풍기 등의 냉방설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할 것이다.
하우스(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기(30)를 설치하되, 이 송풍기(3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게 배출공(41)이 형성된 공기배출호스(40)를 연결하고 상호 마주하여 설치함으로써 송풍기(30)를 통한 송풍처리의 원활함을 유도함은 물론 공기배출호스(40)를 통한 공기의 전달 및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부연하면, 송풍기(30)의 송풍방향에 맞추어 공기배출호스(40)를 연결함으로써 공기배출호스(40)는 송풍기(30)에서 발생되는 송풍을 통해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전달통로로 기능하면서 배출공(41)을 통한 공기 배출을 통해 하우스(10) 내부 전체에 공기가 퍼지도록 전달 및 순환 처리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공기배출호스(40)는 하우스(10)의 길이를 커버할 수 있는 대응길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천이나 필름, 종이(특히 한지), 고무 등과 같이 플렉시블하면서도 무게감이 없는 재질로 호스몸체를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우스(10)에 최소한의 하중을 전달하는 형태로 설비에 따른 부하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배출호스(40)에 형성되는 배출공(41)은 호스의 외주면 둘레에 고루 형성되거나 상하부측 또는 하부측에 형성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며 하우스의 사용목적 및 사용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송풍기(30)의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배출공(41)의 크기를 키워 형성시킴으로써 하우스(10)의 내부에 공기의 전달 및 순환처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기(30)와 공기배출호스(40)는 하우스의 사용목적에 따라 하우스 내 하부, 중간, 상부의 어느 높이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나, 중간 이상의 높이에 설치함이 공기의 순환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공기배출호스(40)에는 외주면 상면으로 걸림공(51)이 형성된 걸림띠(50)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배출호스(40)를 하우스 내 공간상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지지매개수단 및 처짐방지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걸림공(51)을 갖는 걸림띠(50)는 공기배출호스(40)의 구간 구간에 나누어서 구비되게 하거나 또는 공기배출호스(4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철사나 실 또는 로프 등의 연결부재(60)를 걸림띠(50)의 걸림공(51)에 걸어 하우스(10)의 천정에 매닮으로써 플렉시블재질로 구성되는 공기배출호스(40)의 처짐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걸림띠(50)의 걸림공(51)에는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링형태의 금속고리(70)를 부착함으로써 걸림공(51)의 강도를 향상시켜 걸림띠(50)의 찢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내구성 강화 및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걸림띠(50) 또한 공기배출호스(40)와 같이 천이나 필름, 종이(특히 한지), 고무 등과 같은 플렉시블하면서도 무게감이 없는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유닛(unit) 형태로 구성되는 송풍기(30)와 공기배출호스(40)는 하우스(10)의 규모에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데, 다수가 설치되는 경우 도 3의 a의 예시에서와 같이 송풍기(30)와 공기배출호스(40)의 유닛들을 동일방향 및 동일선상으로 배치하여 나란하게 병렬 배열시키거나 또는 도 3의 b의 예시에서와 같이 송풍기(30)와 공기배출호스(40)의 유닛들이 각 위치 배열마다 서로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전자에 비해 서로 상반된 배열위치를 갖는 후자의 예시가 전체적으로 고른 공기의 배출 및 공기순환처리의 효율향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냉온방설비(20)로 온열램프를 하우스(10)의 상측에 설치하여 시설하우스를 건조시스템으로 활용하는 예시를 보인 것인데, 이를 기준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송풍기(30)로부터 발생되는 송풍을 배출공(41)이 형성된 공기배출호스(40)로 보냄으로써 공기배출호스(40)의 공기전달통로를 통해 송풍방향을 유도하면서 공기를 전달 및 배출공(41)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온열램프의 냉온방설비(20)에 의해 데워진 따뜻한 공기를 하우스(10)의 전체면적에 걸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에 따른 공기의 순환작용으로 온열램프에 의한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어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공기 배출 및 그에 따른 공기 순환의 작용을 통해 냉온방설비(20)의 가동에 따른 냉온효과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며, 이를 통해 시설하우스를 건조시스템 또는 생육환경조절시스템으로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순환설비의 하우스(10) 내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로 시설하우스에 미치는 부하하중을 극히 최소화시키면서 설치 및 철거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냉온방설비(20)의 가동에 따른 운용비용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 : 하우스 20 : 냉온방설비
30 : 송풍기 40 : 공기배출호스
41 : 배출공 50 : 걸림띠
51 : 걸림공 60 : 연결부재
70 : 금속고리

Claims (7)

  1. 하우스가 구비되며 그 내부에 건조용 또는 생육환경조절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냉온방시설이 설치되는 시설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기를 설치하되 이 송풍기에 배출공을 갖는 공기배출호스를 연결 배치함에 의해 하나의 유닛형태로 설치하여 상기 하우스 내 공간상에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여 냉온방시설에 의한 냉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기배출호스에는 외주면 상면으로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띠를 일체화시키고, 연결부재를 걸림띠의 걸림공에 걸어 하우스의 천정에 매닮으로써 공기배출호스를 하우스 내 공간상에 용이하게 배치함은 물론 지지매개수단 및 처짐방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공기배출호스는 동일선상으로 배치하여 송풍처리의 원활함 및 공기배출호스를 통한 공기의 전달 및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호스는 플렉시블하면서 무게감이 없는 재질로 구성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용이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우스에 최소한의 하중을 전달하는 형태로 설비에 따른 부하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띠의 걸림공에는 링형 금속고리를 부착함으로써 내구성 강화에 따른 사용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공기배출호스의 유닛형태가 하우스의 규모에 따라 다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열 위치마다 유닛들이 서로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공기의 배출 및 공기순환처리의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호스는 천, 필름, 종이, 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KR2020100007689U 2010-07-22 2010-07-22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KR200463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89U KR200463072Y1 (ko) 2010-07-22 2010-07-22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89U KR200463072Y1 (ko) 2010-07-22 2010-07-22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85U KR20120000785U (ko) 2012-02-02
KR200463072Y1 true KR200463072Y1 (ko) 2012-10-18

Family

ID=4584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89U KR200463072Y1 (ko) 2010-07-22 2010-07-22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0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1911A4 (en) * 2016-07-29 2019-07-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YDROPONIC APPARATUS AND HYDROPONIC PROCESS
KR102242466B1 (ko) * 2020-08-27 2021-04-19 이병대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59Y1 (ko) 2000-03-29 2000-08-16 주식회사신흥콘트롤 비닐하우스용 가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59Y1 (ko) 2000-03-29 2000-08-16 주식회사신흥콘트롤 비닐하우스용 가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1911A4 (en) * 2016-07-29 2019-07-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YDROPONIC APPARATUS AND HYDROPONIC PROCESS
KR102242466B1 (ko) * 2020-08-27 2021-04-19 이병대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85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2914B1 (en)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of circulation
US3520244A (en) Suspension for convection tube
KR200463072Y1 (ko) 냉온효과 향상용 공기순환설비를 갖는 시설하우스
CN202095385U (zh) 宠物烘毛箱
JP2011144957A (ja) ふく射冷暖房パネル、空調システム及び植物工場
KR20140113841A (ko)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싸이클론 송풍 히터
JP2010273601A (ja) 棚栽培用のハウスの送風システム
KR200341149Y1 (ko) 보온시설물용 내부 공기조화장치
CN209527519U (zh) 一种禽舍综合供暖结构及采用该结构的禽舍
CN211232814U (zh) 一种自洁散热式畜牧保温灯座总成
CN207391858U (zh) 圆形晾衣机
KR101297775B1 (ko) 농업용 전기 온열기
KR100828700B1 (ko) 미니 풍열기
KR200448835Y1 (ko) 비닐하우스용 히터
KR20200138954A (ko) 동파방지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JP3154696U (ja) 畜舎の換気装置
CN215454539U (zh) 一种养殖场温度调节装置
CN210946173U (zh) 晾衣机
KR20090114025A (ko) 온풍 겸용 냉풍장치
KR101588391B1 (ko) 부착형 전기 온풍 장치
KR102232613B1 (ko) 비닐하우스의 공기 순환기
KR101266940B1 (ko) 무동력 흡기팬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타워 및 그룹조명용 흡기형 냉각장치
CN107476021A (zh) 晾衣机
CN208519984U (zh) 一种易于散热的暖风机
JP6947675B2 (ja) 天井空調照明ユニット及び天井空調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