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57B1 -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57B1
KR102232357B1 KR1020180132922A KR20180132922A KR102232357B1 KR 102232357 B1 KR102232357 B1 KR 102232357B1 KR 1020180132922 A KR1020180132922 A KR 1020180132922A KR 20180132922 A KR20180132922 A KR 20180132922A KR 102232357 B1 KR102232357 B1 KR 10223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mart
blockchain
block chain
business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203A (ko
Inventor
현진우
Original Assignee
현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우 filed Critical 현진우
Priority to KR102018013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L29/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5B33/0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받아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공공기관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으로부터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받도록 하며, 블록체인을 구축하여 모든 거래를 수행함과 더불어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E-Coin 가맹점,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를 위한 초기 자금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투자하고 투자에 대한 배당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매달 또는 주기적으로 가상화폐인 E-Coin을 배당받아 E-Coin 가맹점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 또는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현금으로 태환할 수 있는 투자자;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및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하며,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가상화폐인 E-Coin을 구매하는 공공기관; 상기 공공기관 및 지정은행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하고 판매 및 E-Coin의 거래를 주관하는 E-Coin 거래소;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공공기관에 등록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결제수단으로 사용 가능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으로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온라인 마켓인 E-Coin 가맹점; 상기 공공기관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계약 체결을 통해 가상화폐인 E-Coin에 대한 현금 태환기능을 하도록 지정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의 입금시 그 가치만큼 입금자에게 현금으로 지불하는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LOCKCHAIN CONVERGENCE BUSINISS BASED ON SMART LED STREETLIGHT BUSINI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한 컨소시엄 형태의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을 구축하고 스마트 LED 가로등을 비롯한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투자자를 모집하여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투자자는 투자를 하는 대가로 매달 전기료 절감액 및 가로등 유지보수비에 대해 가상화폐로 배당받아 사용하거나 또는 배당받은 가상화폐를 현금으로 태환 가능하도록 하며, 블록체인을 활용함으로써 거래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 설치장소에 따라 그에 알맞은 종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가로등의 광원(光源)으로는 고압수은등(高壓水銀燈), 형광등, 나트륨등, 전구(電球)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명이 길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가로등이 설치 및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LED 가로등의 설치 및 교체를 주관하는 지자체 등은 LED 가로등으로 교체할 예산이 없는 형편에 있고, 전기 절감 등의 효과를 알고 있으면서도 쉽게 교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일반 가로등과는 다르게 주변의 밝기나 환경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동 또는 원격으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가로등이 4차 산업과 관련하여 신규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이 반영되므로 스마트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 가로등을 비롯하여 4차 산업관련 등 신규 산업이 창출되고 있으나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예산 문제 등으로 지자체들이 이를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형편에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있는 LED 가로등 교체사업은 일부 지자체에서 실행하는 곳도 있으나, 이는 사업 선정에서부터 공정성 문제 야기 등 지자체 민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종 민원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에 따른 사업 수행시 투명한 처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정부 및 지자체가 예산을 가지고 있지 못한 애로사항을 고려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사업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7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87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한 컨소시엄 형태의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을 구축하고 스마트 LED 가로등을 비롯한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투자자를 모집하여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투자자는 투가의 대가로 매달 전기료 절감액 및 가로등 유지보수비 등에 대해 가상화폐로 배당받아 사용하거나 또는 배당받은 가상화폐를 현금으로 태환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블록체인과 이를 기반한 가상화폐를 활용함으로써 거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며, 가상화폐는 기존과 달리 현금 태환을 가능하게 하여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투자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역 스마트 인프라(Smart Infra)를 해당 지역의 시민, 기업, 단체 등이 소액 투자자로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체인과 지역 가상화폐로 투명하게 처리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민간사업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스마트 LED 가로등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해당 지역의 시민, 기업, 단체 등이 투자와 더불어 투자에 대한 이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공유경제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 및 지자체가 예산을 가지고 있지 못해 수행하지 못하는 사업 애로사항을 지역 사회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을 활성화시킴은 물론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의한 신규 고용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전 두레제도를 접목하여 지역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블록체인의 특성인 가상화폐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액 투자로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를 설치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등 융합비즈니스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두레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현금의 흐름에 의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스마트인프라 투자자로부터 초기 투자자금을 받아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공공기관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으로부터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받도록 하며, 블록체인을 구축하여 모든 거래를 수행함과 더불어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E-Coin 가맹점,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를 위한 초기 자금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투자하고 투자에 대한 배당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매달 또는 주기적으로 가상화폐인 E-Coin을 배당받아 E-Coin 가맹점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 또는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현금으로 태환할 수 있는 스마트인프라 투자자;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및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하며,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가상화폐인 E-Coin을 구매하는 공공기관; 상기 공공기관 및 지정은행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하고 판매 및 E-Coin의 거래를 주관하는 E-Coin 거래소;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공공기관에 등록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결제수단으로 사용 가능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으로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E-Coin 가맹점; 상기 공공기관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계약 체결을 통해 가상화폐인 E-Coin에 대한 현금 태환기능을 하도록 지정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의 입금시 그 가치만큼 입금자에게 현금으로 지불하는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 또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하여 스마트인프라 투자자가 초기 투자에 따라 배당받은 E-Coin을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고 구매한 소유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E-Coin을 배당받을 수 있으며, 배당받은 E-Coin은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서 현금화하거나 또는 E-Coin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E-Coin 투자자;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공급 계약에 따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 설치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고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공급 제품값에 대해 현금으로 지불받는 하나 이상의 제품공급기업;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스마트 LED 가로등의 교체 및 고장 및 이상 발생시 A/S 작업을 대행하도록 지시를 받는 A/S대행기업;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E-Coin 거래소는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시 발행된 E-Coin의 가치만큼 현금을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 예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E-Coin 소유자가 E-Coin으로 E-Coin 가맹점에 결제시 QR코드나 스마트 멀티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되, 본인 확인을 위해 E-Coin 소유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E-Coin 가맹점에서 E-Coin에 의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블록체인의 형성에 의한 거래 정보의 공유에 따라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서 E-Coin 가맹점이 갖는 지정은행계좌로 즉시 현금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 설치 및 교체를 위한 비즈니스를 블록체인과 가상화폐(E-Coin)를 활용한 두레 조직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공기관 주관이 아닌 민간사업으로 전환 및 전기료 절감액 등에 의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고 모든 거래 및 계약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에 대한 현금 태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현금의 흐름에 의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융합비즈니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융합비즈니스를 주관하여 운영하기 위한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 두레 조직으로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비롯한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투자자를 모집하여 사업을 운영하되 가상화폐(E-Coin)를 활용 및 현금으로 태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융합비즈니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LED 가로등을 비롯한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한 자금을 초기에 투자자로부터 투자받고 공공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절감에 따른 가상화폐(E-Coin)를 유통 및 현금 태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초기 투자자는 투가의 대가로 매달 전기료 절감액 및 가로등 유지보수비 등에 대해 가상화폐로 배당받아 사용할 수 있는 융합비즈니스를 제공하며,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새로운 투자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 공공기관에서 예산이 없어 실행하지 못한 스마트 인프라 설치 및 교체 작업을 민간주도로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 스마트 인프라(Smart Infra)를 해당 지역의 시민, 기업, 단체 등이 소액 투자자로 직접 투자할 수 있고, 블록체인과 지역 가상화폐로 투명하게 처리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민간사업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 LED 가로등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해당 지역의 시민, 기업, 단체 등이 투자와 더불어 투자에 대한 이익을 가져갈 수 있게 하는 구성이므로 공유경제를 창출할 수 있고, 지자체 및 정부가 예산을 가지고 있지 못해 수행하지 못하는 사업 애로사항을 지역 사회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으며,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을 활성화시킴은 물론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의한 신규 고용에도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전 두레제도를 접목하여 지역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블록체인의 특성인 가상화폐를 활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소액 투자로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를 설치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등 융합비즈니스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두레를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하여 태양광발전,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교통량 정보서비스 등 에너지산업, 교통산업, 안전보건산업, 자동차산업 등지로 스마트 두레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에 있어 스마트 인프라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 LED가로등을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 공공기관(30), E-Coin 거래소(40), E-Coin 가맹점(50),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 E-Coin 투자자(70), 제품공급기업(80), 및 A/S대행기업(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은 가상공간에 구비되는 서버라 할 수 있고, 인터넷 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와 공공기관(30), E-Coin 거래소(40), E-Coin 가맹점(50),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 E-Coin 투자자(70), 제품공급기업(80), 및 A/S대행기업(90)은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 즉 단말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모든 구성요소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인 단말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상호간에 다양한 형태 및 프로그램 처리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 공공기관(30), E-Coin 거래소(40), E-Coin 가맹점(50),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 E-Coin 투자자(70), 제품공급기업(80), 및 A/S대행기업(90)은 블록체인의 형성을 통해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비즈니스를 위한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온라인 상에서 모든 정보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위변조할 수 없어 사업 수행시 모든 거래 및 계약에 따른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소액 투자로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를 설치하고 상호간에 이익을 공유하는 등 융합비즈니스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두레를 구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로부터 초기 투자자금을 현금으로 받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설치하고 이를 관리하는 주체가 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공공기관(30)과의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30)으로부터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가상화폐인 E-Coin을 스마트 인프라 투자 대가로 지불받도록 하며, 이렇게 지불받은 E-Coin으로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에게 배당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은 상기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블록체인을 구축하여 모든 거래를 수행함과 더불어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메인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은 스마트 LED 가로등에 의한 시설 투자의 대가로 공공기관(30)으로부터 E-Coin을 받도록 구비되며, 스마트 LED 가로등에 기반하여 매달 전기절감액 및 기존 가로등의 관리 및 유지보수비를 E-Coin으로 받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은 스마트 LED 가로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동시에 실시하여 고장이나 이상 발생시 교체나 A/S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 LED 가로등은 도 2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센서(Smart Sensor)를 활용하여 전력 데이터를 MCV(마이컴)으로 분석하고 제어하며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신호 및 수집 정보를 스마트 LED 가로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IoT(LoRa) 통신 Module을 통해 게이트웨이(Gateway)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 가로등 관제센터 간에 인터넷망 또는 LTE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LED 가로등을 제어 및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스마트 LED 가로등은 기존 LED 가로등과 달리 도시 전체의 가로등을 동시에 ON/OFF 제어할 수 있고 Dimming(밝기조절)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LED 가로등은 각자마다 고유번호가 있어 이상이 발생되면 고장이 난 것인지 또는 파워케이블에 문제가 있는지도 알려주고, 배전반의 누전차단기가 OFF되는 것도 알려주어 A/S를 쉽게 하는 기능도 가지며, 고장이나 이상 발생 정보에 대한 누적 정보 또한 확인할 수 있어 이를 빅데이터(Bigdata)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실제 사용되는 전기사용량도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므로 어느 정도를 절감하였는지 전기절감액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는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E-Coin 가맹점(50), E-Coin 거래소(40)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를 위한 초기 자금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에 현금으로 투자하고 이러한 투자에 대한 배당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으로부터 매달 또는 주기적으로 가상화폐인 E-Coin으로 배당받아 E-Coin 가맹점(50)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 또는 E-Coin 거래소(40)와 거래하여 E-Coin을 현금으로 태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와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간에는 현금 투자자금에 대해 폰뱅킹,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의 방식이나 ATM 기기를 이용하여 계좌이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 등 가상화폐인 E-Coin 소유자는 E-Coin을 사용하여 E-Coin 가맹점(50)에 결제시, QR코드나 스마트 멀티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본인 확인을 위해 E-Coin 소유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E-Coin 가맹점(50)에서 E-Coin에 의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블록체인의 형성에 의한 거래 정보의 공유에 따라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에서 E-Coin 가맹점(50)이 갖는 지정은행계좌로 즉시 현금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는 해당 지역의 시민, 기업, 단체 등일 수 있다.
상기 공공기관(30)은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및 E-Coin 거래소(40)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에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하며, E-Coin 거래소(40)와 거래하여 가상화폐인 E-Coin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공공기관(30)은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민간 투자로 교체하고자 하는 지자체와 정부 및 공공단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공기관(30)은 지역 블록체인 및 가상화폐인 E-Coin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30)이 지불하고 있던 복지비나 각종 보조금 등을 거래하는 E-Coin으로 대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E-Coin 거래소(40)는 상기 공공기관(30) 및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하고 판매 및 E-Coin의 거래를 주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E-Coin 거래소(40)에서는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시 발행된 E-Coin의 가치만큼 현금을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에 예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에서 현금 태환기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E-Coin 거래소(40)는 E-Coin을 발행하거나 E-Coin을 거래할 시 일정 수수료를 받아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공공기관(30)에서 운영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E-Coin 가맹점(50)은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함께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공공기관(30)에 등록하도록 구성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결제수단으로 사용 가능하고 다수 계층의 E-Coin 소유자가 가상화폐인 E-Coin으로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온라인 마켓이라 할 수 있다.
상기 E-Coin 가맹점(50)은 다양한 업종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은 상기 공공기관(30)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계약 체결을 통해 가상화폐인 E-Coin에 대한 현금 태환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되고, 다수 계층의 E-Coin 소유자가 E-Coin의 입금시 그 가치만큼 입금자에게 현금으로 지불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도, 현금 지불방식은 폰뱅킹,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ATM 기기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Coin 투자자(70)는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 또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하여 스마트인프라 투자자(20)가 초기 투자에 따라 배당받은 E-Coin을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고 구매한 소유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E-Coin을 배당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E-Coin 투자자(70)는 배당받은 E-Coin에 대해 현금태환용 지정은행(60)에서 현금화할 수 있고, 때로는 E-Coin 가맹점(50)에서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품공급기업(80)은 하나 이상의 기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상호간 공급 계약에 따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 설치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고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으로부터 공급하는 제품값에 대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금으로 지불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품공급기업(80)은 경우에 따라 스마트인프라 투자자로서 참여도 가능하다.
상기 A/S대행기업(90)은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10) 측으로부터 스마트 LED 가로등의 교체 및 고장 및 이상 발생시 A/S 작업을 대행하도록 지시를 받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A/S대행기업(90) 또한 경우에 따라 스마트인프라 투자자로서 참여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A/S대행기업(90)은 스마트 LED 가로등 시스템을 형성하는 가로등 관제센터에 A/S에 대한 기록데이터가 남겨지므로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 오류가 있을 시에는 가로등 관제센터에 데이터 수정을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을 통해서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 설치 및 교체를 위한 비즈니스를 블록체인과 가상화폐(E-Coin)를 활용한 두레 조직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공기관 주관이 아닌 민간사업으로 전환 및 전기료 절감액 등에 의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고 모든 거래 및 계약에 대한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에 대한 현금 태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현금의 흐름에 의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융합비즈니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20: 스마트인프라 투자자
30: 공공기관
40: E-Coin 거래소
50: E-Coin 가맹점
60: 현금태환용 지정은행
70: E-Coin 투자자
80: 제품공급기업
90: A/S대행기업

Claims (5)

  1. 사물인터넷(IoT)을 비롯한 스마트센서(Smart Sensor)를 활용하여 전력 데이터를 MCV(마이컴)으로 분석하고 제어함은 물론 정보를 수집하며, 이러한 제어신호 및 수집 정보를 IoT(LoRa)통신 Module을 통해 게이트웨이(Gateway)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 스마트 LED 가로등 관제센터 간에 인터넷망 또는 LTE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LED 가로등을 제어 및 각종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며, 각자마다 고유번호를 갖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스마트인프라 투자자로부터 초기 투자자금을 받아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공공기관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으로부터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받도록 하며, 블록체인을 구축하여 모든 거래를 수행함과 더불어 투자 및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과 모든 정보를 공유하도록 처리하며, 스마트 LED 가로등에 기반하여 매달 전기절감액 및 기존 가로등의 관리 및 유지보수비를 E-Coin으로 받도록 함과 더불어 스마트 LED 가로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동시에 실시하여 고장이나 이상 발생시 교체나 A/S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장치;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E-Coin 가맹점,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를 위한 초기 자금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투자하고 투자에 대한 배당을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매달 또는 주기적으로 가상화폐인 E-Coin을 배당받아 E-Coin 가맹점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 또는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현금으로 태환할 수 있는 스마트인프라 투자자 장치;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및 E-Coin 거래소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의 설치와 교체 및 A/S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매월 계약된 금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에 가상화폐인 E-Coin을 지불하며, E-Coin 거래소와 거래하여 가상화폐인 E-Coin을 구매하는 공공기관 장치;
    상기 공공기관 및 현금태환용 지정은행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하고 판매 및 E-Coin의 거래를 주관하는 E-Coin 거래소 장치;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공공기관에 등록되며, 가상화폐인 E-Coin을 결제수단으로 사용 가능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으로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E-Coin 가맹점 장치;
    상기 공공기관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계약 체결을 통해 가상화폐인 E-Coin에 대한 현금 태환기능을 하도록 지정되고, E-Coin 소유자가 E-Coin의 입금시 그 가치만큼 입금자에게 현금으로 지불하는 현금태환용 지정은행 장치;
    상기 스마트인프라 투자자 또는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의한 전자통신기기를 통해 인터페이스하여 스마트인프라 투자자가 초기 투자에 따라 배당받은 E-Coin을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고 구매한 소유액만큼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E-Coin을 배당받을 수 있으며, 배당받은 E-Coin은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서 현금화하거나 또는 E-Coin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E-Coin 투자자 장치;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공급 계약에 따라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프라 설치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고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공급 제품값에 대해 현금으로 지불받는 하나 이상의 제품공급기업 장치;
    상기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과 블록체인을 형성하되 블록체인 비즈니스플랫폼 측으로부터 스마트 LED 가로등의 교체 및 고장 및 이상 발생시 A/S 작업을 대행하도록 지시를 받는 A/S대행기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oin 거래소는 가상화폐인 E-Coin을 발행시 발행된 E-Coin의 가치만큼 현금을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 예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oin 소유자가 E-Coin으로 E-Coin 가맹점에 결제시 QR코드나 스마트 멀티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되, 본인 확인을 위해 E-Coin 소유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이용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E-Coin 가맹점에서 E-Coin에 의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블록체인의 형성에 의한 거래 정보의 공유에 따라 현금태환용 지정은행에서 E-Coin 가맹점이 갖는 지정은행계좌로 즉시 현금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지니스 시스템.
KR1020180132922A 2018-11-01 2018-11-01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KR10223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22A KR102232357B1 (ko) 2018-11-01 2018-11-01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22A KR102232357B1 (ko) 2018-11-01 2018-11-01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03A KR20200050203A (ko) 2020-05-11
KR102232357B1 true KR102232357B1 (ko) 2021-03-25

Family

ID=7072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922A KR102232357B1 (ko) 2018-11-01 2018-11-01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903B1 (ko) * 2021-08-31 2023-08-21 주식회사 단디정보기술 스마트 관제 iot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46B1 (ko) 2013-05-22 2015-07-14 박복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1908701B1 (ko) 2017-08-14 2018-10-16 오영한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354A (ko) * 2014-10-27 2016-05-09 이상무 투자기관과 연계한 조명판매시스템
KR101742754B1 (ko) 2016-05-04 2017-06-01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과 연동되는 스마트 엘이디 가로등 시스템
KR20180113775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포윈 옥외용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80115402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비에스앤씨 (주)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4724A (ko) * 2018-07-19 2018-07-25 김해동 P2p 대출 금융 기술을 이용한 예산 사업 홍보 및 투자금 유치 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46B1 (ko) 2013-05-22 2015-07-14 박복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1908701B1 (ko) 2017-08-14 2018-10-16 오영한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자신문, ‘KT, 100억원 규모 김포 암호화폐 구현...전국 지자체로 확대’, https://www.etnews.com/20180917000334# (2018.09.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03A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54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a utility consumer after installation of a new lighting technology
US9521726B2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cing energy consumption using natural lighting fixtures
Antmann Reducing technical and non-technical losses in the power sector
Korppoo et al. Modernizing residential heating in Russia: End-use practices, legal developments, and future prospects
US20120233045A1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cing energy consumption
CN103390210A (zh) 一种资金支付管理系统
CN108520405A (zh) 一种基于微服务的电动汽车支付清分系统
CN103679960A (zh) 现金通统一金融平台
WO2020050454A1 (ko) 채권자산 기반 암호화화폐 발행을 이용한 채권 회수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490772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存量房交易系统
Singh et al. Public procurement of energy efficiency services: Lessons from international experience
KR20220036814A (ko) 재생에너지 수익의 주민 배당 시스템
Totare et al. Power sector reform in Maharashtra, India
KR102232357B1 (ko) 스마트 led 가로등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융합비즈니스 시스템
Bharvirkar Performance contracting and energy efficiency in the state government market
Novikova et al. Financing models for energy-efficient street lighting
US2023010140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ross-utility crediting
Dey et al. Implications of Changing Dynamics for Metered On-Street Parking: Washington, DC, Case Study
Jindal Combined billing and customer care systems for all utilities in a smart city
JP2019091338A (ja) リース情報管理装置
KR20110028108A (ko) 발주업체 및 납품업체에게 이익이 되는 탄소배출 저감제품의 납품 비용 지불 방법 및 시스템
Dubey et al. Investing for Energy Productivity in the GCC: Financing the Transition
CN201716763U (zh) 汇通公共服务平台
Zimring Using QECBs for Street Lighting Upgrades. Lighting the Way to Lower Energy Bills in San Diego
Morey et al. RTOs and electricity restructuring: the chasm between promise and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