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588B1 - 방폭용 종단접속함 - Google Patents

방폭용 종단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588B1
KR102230588B1 KR1020140028865A KR20140028865A KR102230588B1 KR 102230588 B1 KR102230588 B1 KR 102230588B1 KR 1020140028865 A KR1020140028865 A KR 1020140028865A KR 20140028865 A KR20140028865 A KR 20140028865A KR 102230588 B1 KR102230588 B1 KR 10223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racket
discharge
upper cover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608A (ko
Inventor
김봉석
오동윤
전종석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은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폭용 종단접속함 {Explosion proof type termination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의 종단접속함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을 신속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종단접속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를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절연하고,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중간접속함(Joint)과 종단접속함(Termination)을 구비할 수 있다. 종단접속함은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기중 종단접속함, 가스중(Gas) 종단접속함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은 주로 자기 애관과 고분자 애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자기 애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고분자 애관의 사용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애관은 자기 애관에 비해 발수성 및 내오손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소형화 및 저중량화로 인한 수송/조립/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갖는다. 또한, 고분자 애관은 외부충격에 강하며, 특히 재료 특성상 기존의 자기 애관에 비해 방폭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력케이블을 통한 전력 용량이 급속히 증대되어 비정상적인 동작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압력이 현저히 커져 단순히 종단접속함의 재료 특성에 기인한 방폭성능 만으로는 폭발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내부 압력의 급격한 상승 시에 신속히 압력을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KR 특허출원 번호 10-2011-0119520호(2011.1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 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며 내부에 절연유가 충진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배출부와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기준압력이 상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내부압력 배출 시에 비산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의 상기 절연유를 주입하는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애관 사이의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배출부는 노치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며 내부에 절연유가 충진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비산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 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의 파편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2차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종단접속함의 하부를 바라본 하부 평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배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은 도체인출봉(19)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20), 상기 상부커버(20)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0)이 수용되는 애관(30), 상기 애관(30)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1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60), 상기 애관(3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10)이 관통하는 하부금구(40) 및 상기 하부금구(40)를 지지하는 지지애자(50)를 구비할 수 있다.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는 도체인출봉(19)이 소정길이로 노출되며, 상기 도체인출봉(19)은 상부커버(20)를 관통하여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도체인출봉(19)은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측에서 케이블(10)의 도체(14)와 융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체인출봉(19)은 상부커버(20)로 삽입되고 상부금구(24)를 통해 케이블(10)의 도체(14)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지지부(22)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는 내측의 상부금구(24)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0) 및 지지부(22)의 하부로는 애관(30)이 구비된다. 상기 애관(30)은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애관(30)의 내측에는 절연유(32)가 충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유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관(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케이블(10)이 위치한다.
상기 애관(30)은 자기 애관 또는 고분자 애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애관에 비해 발수성 및 내오손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소형화 및 저중량화로 인한 수송/조립/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가지며 외부충격에 강하고, 특히 재료 특성상 기존의 자기 애관에 비해 방폭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고분자 애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애관(3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10)이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애관(30)은 케이블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애관(30)은 외부 표면적의 넓이를 늘려 절연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스커트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애관(30)의 하부는 하부금구(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부금구(40)는 복수개의 지지애자(50)에 의해 다시 지지된다.
이 경우, 케이블(10)은 상기 하부금구(40)를 관통하여 상기 애관(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케이블(10)은 애관(3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애관(30)의 내부에서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되어 절연층(12)이 노출되며, 단부에서 도체(14)가 노출되어 도체인출봉(19)과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된 단부는 상기 외부반도전층(16)과, 절연층(12) 및 절연유(32)(절연유를 구비하는 경우)가 만나는 소위 '3중점'에 해당하여, 도체(14)의 전계가 집중될 수 있어서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10)의 절연층(12)의 외주를 따라 스트레스콘(60)을 구비하여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10)이 방폭용 종단접속함(80)에 연결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반도전층(16)과, 절연층(12) 및 절연유(32)(절연유를 구비하는 경우)가 만나는 '3중점' 영역이 취약지점이 될 수 있으며, 케이블(10)의 비정상적인 구동 시에 상기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커버(20), 애관(30) 및 하부금구(40)는 소정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설계되지만,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상기 3중점 영역은 도 1과 같은 배치에서 애관(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하부에 위치한 애관(30)이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10)의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3중점에서 상기 애관(30)의 내벽을 향해 압력파가 진행함에 따라 내부 압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3중점에서 시발된 압력파가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애관(30)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은 상기 3중점의 최초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압력이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게 되면 애관(30)의 파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애관(30)의 파손에 따라 파편 등이 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은 상기 상부커버(20), 애관(30) 및 하부금구(40)로 형성되는 종단접속함(80) 내부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부는 상기 종단접속함(8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배출부(100)와 상기 종단접속함(8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종단접속함에 있어서 취약점으로 작용하는 3중점 영역이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단일 배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상기 단일 배출부로는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압력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파는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부로 향할 수 있으며 이는 종단접속함 상부의 파손 및 파편 등의 비산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파편의 비산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종단접속함의 고장뿐만 아니라 주변 시설에 대한 2차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80)은 단순히 단일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둘 이상의 배출부를 구비하여 종단접속함의 비정상적인 내부 압력 상승 시에 내부 압력의 배출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파편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배출부(100)와 상기 제2 배출부(400)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기준압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부(100)와 상기 제2 배출부(400) 중에 적어도 하나는 내부압력 배출 시에 비산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100)가 상기 종단접속함(8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배출부(100)의 기준압력은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해서 작게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3중점 영역에서 압력파가 시작되는 경우에 상기 3중점 영역의 최초 압력이 기준압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100)의 기준압력이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과 유사할 경우, 상기 제1 배출부(100)에 의한 압력배출이 시작될 시기에 상기 애관(30)에도 상대적으로 고압이 작용하여 상기 애관(3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종단접속함(8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400)가 내부 압력을 배출하는 기준압력은 상기 제1 배출부(100)의 기준압력과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배출부(400)는 하부의 제1 배출부(100)에 의해 내부 압력이 배출된 후에 추가적인 종단접속함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한 파편의 비산 방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출부(400)는 내부 압력의 배출을 위한 개방수단과 함께, 상기 파편의 비산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을 함께 구비해야 한다. 결국, 상기 제2 배출부(400)의 개방수단이 개방되는 기준압력은 상기 제2 배출부(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배출부(400)의 기준압력이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면, 상기 개방수단이 개방되어 압력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고정수단이 파손되어 파편의 비산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부(10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부(400)는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출부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는 종단접속함(80)의 하부를 바라본 하부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금구(40)의 개구부(44)를 통해 케이블(10)이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종단접속함(80) 내부에 절연유가 충진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절연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연유주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단접속함(80)의 내부에는 절연유가 충진는 경우에 상기 절연유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를 필요로 하며, 상기 절연유주입구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개구부(44) 이외에 상기 절연유주입구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1 배출부(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개방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추가적인 개방부는 종단접속함 내부의 밀폐구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배출부(100)를 애관(30)에 구비하는 것은 애관의 재질 및 스커트부(31) 등의 구조를 보아 적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80)에서 상기 제1 배출부(100)는 상기 하부금구(40)의 상기 절연유를 주입하는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부(100)는 상기 케이블(10)과 상기 애관(30) 사이의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100)를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10)과 애관(30)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배출부(100)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배출부(10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1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배출부(10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부(100)는 상기 하부금구(40)의 구조상 케이블(10)이 관통하는 개구부(44)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압력 상승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배출부(10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압력상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관통홀(42), 상기 관통홀(42)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는 도어부(110) 및 상기 도어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110)가 상기 관통홀(42)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2)은 바람직하게 전술한 절연유주입구에 해당하지만, 상기 절연유주입구와 별개의 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42)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도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10)는 적절한 질량을 가진 질량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여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밀폐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부(110)와 상기 관통홀(42) 사이에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절연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구(40)의 하부에는 상기 도어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20)는 일단이 상기 하부금구(4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0)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부(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배출부(100)의 기준압력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도어부(110)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배출부(100)의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도어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변형된다. 상기 지지바(120)가 변형되기 시작하는 강도가 상기 제1 배출부(110)의 기준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외력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부(110)가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120)를 밀게 되면,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도어부(110)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버티지 못하고 변형하게 된다. 상기 지지바(120)가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110)는 상기 지지바(120)의 고정상태를 풀고 상기 관통홀(42)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관통홀(42)이 개방되어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배출부(20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관통홀(42), 상기 관통홀(42)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는 도어부(210) 및 상기 도어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부(2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개방하도록 하는 탄성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 및 실링부(240)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어부(210)는 상기 관통홀(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25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도어부(210)를 향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도어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210)의 연결부(212)를 관통하는 고정바(252)와 상기 고정바(252)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21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배출부(200)의 기준압력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도어부(21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도어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배출부(200)의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도어부(2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26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상기 스프링(260)이 변형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도어부(210)가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260)을 밀게 되며, 상기 도어부(210)는 상기 스프링(260)의 탄성력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스프링(260)을 밀어 상기 관통홀(42)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관통홀(42)이 개방되어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한편,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출부(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1 배출부(30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320, 3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노치(320, 330)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320, 330)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부(300)는 상기 하부금구(40)의 내측에 오목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310)의 안쪽에 노치(320, 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치(320, 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노치(320, 330)가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310)에 의해 일차적으로 하부금구(40)의 두께가 얇아지며, 나아가 상기 노치에 의해 이차적으로 하부금구(40)의 두께가 추가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이 상기 제1 배출부(300)의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노치(320, 330) 영역이 파열되면서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커버(20)는 대략 반구형태, 또는 돔(dome)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의 지지부(22)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배출부(400)는 노치(21)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26A ~ 26H)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26A ~ 26H)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벽을 따라 노치(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노치(2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벽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21)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복수개의 구획부(26A ~ 26H)로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치(21)가 상기 구획부(26A ~ 26H)의 경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치(21)는 상기 구획부(26A ~ 26H)가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분리 및 파열되어 개방되는 경우에 개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부커버(20)의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노치(21)를 따라 상기 상부커버(20)가 파열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획부(26A ~ 26H)가 파열에 의해 비산하게 되면 주변에 위치한 시설들에 대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획부(26A ~ 26H)의 비산방지를 위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부(26A ~ 26H)의 일측에 체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28)를 관통하는 볼트(29) 및 너트(27) 등에 의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지지부(2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28)는 상기 복수개의 각 구획부(26A ~ 26H)에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8)에 의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28)는 상기 각 구획부(26A ~ 26H)에 1개 이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 배출부(400)의 기준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배출부(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출부(400)의 기준압력은 상기 도 6에 따른 구성에서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는 볼트(29)에 의한 체결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케이블
12..절연층
14..도체
16..외부반도전층
20..상부커버
30..외관
40..하부금구
50..지지애자
100..제1 배출부
400...제2 배출부

Claims (16)

  1.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배출부와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기준압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내부압력 배출 시에 비산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되며 절연유를 주입하기 위한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애관 사이의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노치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5.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비산방지를 위하여,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배출부와 상기 종단접속함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6.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 및
    상기 상부커버, 애관 및 하부금구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비산방지를 위하여,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구에 형성된 관통홀에 구비되며 탄성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도어부, 상기 하부금구에 형성된 관통홀에 구비되며 내부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지지바에 의하여 지지되는 도어부 및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KR1020140028865A 2014-03-12 2014-03-12 방폭용 종단접속함 KR102230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65A KR102230588B1 (ko) 2014-03-12 2014-03-12 방폭용 종단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65A KR102230588B1 (ko) 2014-03-12 2014-03-12 방폭용 종단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08A KR20150106608A (ko) 2015-09-22
KR102230588B1 true KR102230588B1 (ko) 2021-03-19

Family

ID=5424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65A KR102230588B1 (ko) 2014-03-12 2014-03-12 방폭용 종단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6958B1 (fr) 2020-11-30 2022-12-23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27A (ja) * 1993-10-15 1995-05-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KR0123113Y1 (ko) * 1995-04-19 1998-12-15 권문구 내오손용 기중종단 접속함
JPH09205720A (ja) * 1996-01-26 1997-08-05 Fujikura Ltd 絶縁油採油器及び採油方法
KR101127415B1 (ko) * 2009-11-19 2012-04-17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110119520A (ko) 2010-04-26 201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08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5221C1 (ru) Быстро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колпачок для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CN202586251U (zh) 电缆端接装置
CN202586252U (zh) 电缆端接装置
US9947442B2 (en) High-voltage bushing and high-voltage installation with the bushing
CN105281283B (zh) 一种分体式高压电缆接头保护防爆灭火盒
KR102238959B1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RU239913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порного изолятора и опорный изолятор
US10554034B2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RU2659354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2230588B1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CN104967086A (zh) 一种整体式高压电缆防爆接头盒
KR101774241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EP2808966B1 (en) Cable closure
ES2395915T3 (es) Cierre de extremo de cable para su uso al aire libre o en interior
KR1017082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CN209730714U (zh) 一种防爆接线盒
KR101029532B1 (ko) 광복합 케이블 접지함의 보호함 체결구조
KR10094527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절연 스페이서
CN209544041U (zh) 一种高压套管类设备机械式防爆结构
JPS6020251Y2 (ja) ガス絶縁ブツシング
KR102614999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KR101801347B1 (ko) 방폭형 케이블박스
KR20180106011A (ko) 절연성능 향상을 위한 애자 프로텍터
CN109801764A (zh) 一种高压套管类设备机械式防爆结构
US2073519A (en) Arc extinguishing ins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