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379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379B1
KR102230379B1 KR1020190155112A KR20190155112A KR102230379B1 KR 102230379 B1 KR102230379 B1 KR 102230379B1 KR 1020190155112 A KR1020190155112 A KR 1020190155112A KR 20190155112 A KR20190155112 A KR 20190155112A KR 102230379 B1 KR102230379 B1 KR 10223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cartridge
handle
coupling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272A (ko
Inventor
이재준
손성희
박신환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15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3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면도기 카트리지에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 커넥터; 및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커넥터는, 면도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면도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커넥터에 대해 회전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원력 제공부; 및 제1결합부 및 복원력 제공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면(bottom side)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결합부 및 복원력 제공부는 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개시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단순히 체모의 절삭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면도기가 다수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다기능 면도기 중 하나인 등록특허공보 10-1774370(이하, 특허문헌 1)는, 편심캠(eccentric cam)을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에 왕복 선형 운동(linear motion)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전류를 인가하여 면도기 카트리지를 발열시킴으로써, 면도시, 사용자에게 온열감(feeling of warmth)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또 다른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 내에 면도 보조제(shaving aid)를 저장하고, 저장된 면도 보조제를, 면도기 카트리지 상에서 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 내부에 전자 부품 또는 펌프 등의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고,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을 연결해주는 별도의 부재(이하, '기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 내에, 배터리, 전기 모터 등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면도기 핸들로부터 연장되어 면도기 카트리지의 일측과 접촉하는 편심캠 부재 등의 기능 제공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 내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면도기 핸들과 면도기 카트리지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 제공부를 필수적으로 가지기 때문에, 면도기 카트리지는 면도기 핸들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면도 블레이드가 노후되거나 면도기 카트리지가 파손될 경우, 다기능 면도기 전부를 재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종래의 플런저(plunger)는 면도기 핸들의 중앙에 배치되어 면도기 카트리지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데, 종래의 다기능 면도기는, 면도기 핸들의 중앙에 기능 제공부가 위치함으로써, 종래의 플런저 방식을 그대로 채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면도기 카트리지의 적정한 회전 운동(pivot motion)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기능 면도기는 기능 제공부, 플런저 등의 복원력 제공을 위한 부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하며 외부로부터의 힘이나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74370호(2017.08.29. 공개)
이에, 본 개시는 다기능 면도기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가 면도기 핸들에 대해 탈장착 가능하고, 면도기 카트리지에 적정한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면도기 카트리지에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 커넥터; 및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커넥터는, 면도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면도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커넥터에 대해 회전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에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원력 제공부; 및 제1결합부 및 복원력 제공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면(bottom side)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결합부 및 복원력 제공부는 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체모 절삭 이외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면도기 카트리지의 탈장착 기능과, 적정한 회전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커버부를 통해, 기능 제공부, 복원력 제공부 등을 가림으로써, 외관상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외부 힘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커넥터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이 카트리지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커넥터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도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1)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00), 카트리지 커넥터(cartridge connector, 200), 및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10),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120), 및 클립(clip,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가이드 하우징(guiding housing, 112), 블레이드 장착부(blade mounting portion, 114), 캡(cap, 116), 및 가드(guard, 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12)은 블레이드 장착부(114)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하우징(112)에 수용된 블레이드 장착부(114)는 가이드 하우징(112)에 대해 왕복 선형 운동(linear motion)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장착부(114)의 왕복 선형 운동은 면도방향(shaving direction)과 평행한 방향(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 장착부(114)가 왕복 선형 운동할 경우, 면도 블레이드(120)의 절삭 속도는, 사용자가 손으로 면도를 수행하는 속도에, 블레이드 장착부(114)의 선형 운동에 의한 속도가 더해질 수 있다. 이로써, 체모의 절삭이 매우 빠르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 장착부(114)의 선형 운동은, 체모 절삭시, 면도 블레이드(120)가 체모를 끌어당기는 터깅을 감소시킴으로써 체모의 절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깔끔한 면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블레이드 장착부(114)는 커팅 에지(cutting edge, 도 6의 122)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20)를 횡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120)는 블레이드 장착부(114)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130)에 의해 지지(retain)될 수 있다.
캡(116)은 면도 블레이드(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커팅 에지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상면(top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가드(118)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면도 블레이드(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드(118)는, 면도시, 면도 블레이드(12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 블레이드(120)는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캡(116) 및 가드(118)는 블레이드 장착부(114)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하우징(112)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클립(130)은 면도 블레이드(120)를 블레이드 장착부(114)에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120)가 블레이드 장착부(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커넥터 본체(connector body, 210) 및 중공형 수용공간(receiving space,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1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rotational axis, R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210)의 제2결합부(second coupling portion, 230)는 가이드 하우징(112)의 제3결합부(third coupling portion, 도 4의 1122)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RA)을 정의할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해,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portion, 211) 및 제1결합부(first coupling portion, 213)는 커넥터 본체(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회전할 때,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중립위치(rest position)로 복원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외팔보(cantilever)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외팔보 형상의 복원력 제공부(211)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의 회전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원력 제공부(211)는 외팔보(211) 이외의 다른 형상 내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213)는, 면도기 핸들(300)의 핸들 결합부(handle coupling portion, 32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213)는 외팔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213)는 핸들 결합부(320)와 래치 결합(latch coupling)할 수 있으며, 이로써,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면도기 핸들(30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213)는 외팔보(211) 이외의 다른 형상 내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수용공간(220)은 커넥터 본체(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핸들 결합부(320)를 수용할 수 있다.
면도기 핸들(300)은 핸들 본체(handle body, 310), 핸들 결합부(handle coupling portion, 320), 그립부(grip portion, 330), 이탈 버튼(ejecting button, 340), 작동 버튼(operation button, 350), 및 기능 제공부(function providing portion, 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결합부(320)는 핸들 본체(3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커넥터 본체(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도기 핸들(300)이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장착될 때는, 핸들 결합부(320)와 제1결합부(213)는 래치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면도기 핸들(300)이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분리될 때는, 핸들 결합부(320)와 제1결합부(213) 사이의 래치 결합 상태는 해제될 수 있다.
그립부(330)는 핸들 본체(3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에게 면도기 조립체(1)를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탈 버튼(340)은, 핸들 본체(3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탈 버튼(340)의 조작을 통해, 카트리지 커넥터(200)를 면도기 핸들(3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탈 버튼(340)을 미는 동작을 통해, 제1결합부(213) 와 핸들 결합부(320) 사이의 래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작동 버튼(350)은 그립부(3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버튼(350)의 조작을 통해, 기능 제공부(3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공부(360)가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선형 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작동 버튼(350)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기능 제공부(360)의 편심캠 본체(364)와 연결된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이탈 버튼(340)은 핸들 본체(310)에 배치되고 작동 버튼(350)은 그립부(3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탈 버튼(340)이 그립부(330)에 배치되거나, 또는, 작동 버튼(350)이 핸들 본체(3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선형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 결합부(320)로부터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공간(2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면도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구동 수신부(drive receiving portion, 11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신부(119)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하면(bottom sid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신부(119)는, 가이드 하우징(112)의 하면 상에서, 블레이드 장착부(114)와 캠 작용(cam action)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수신부(119)는, 기능 제공부(360)의 편심캠 헤드(362)와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하우징(112)에 대해, 면도방향과 수직한 방향(도 3의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수신부(119)의 수직 선형 운동은, 구동 수신부(119)와 블레이드 장착부(114)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블레이드 장착부(114)의 수평 선형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구동 수신부(119)가 면도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왕복 선형 운동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 수신부(119)는, 가이드 하우징(112)에 대해, 면도방향과 평행한 방향(도 3의 Z축 방향)을 따라 왕복 선형 운동하고, 이를 통해, 블레이드 장착부(114)를, 면도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선형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 수신부(119) 및 블레이드 장착부(114)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호 위치가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는 편심캠 헤드(eccentric cam head, 362) 및 편심캠 본체(eccentric cam body, 364)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캠 본체(364)는 편심캠 본체(364)를 관통하는 중심축(central axis, M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62)는, 중심축(MA)으로부터 벗어나, 편심캠 본체(364)로부터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편심캠 본체(364)가 회전할 경우, 편심캠 헤드(362)는 편심 회전할 수 있다.
편심캠 헤드(362)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수신부(119)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캠 헤드(362)는, 편심 회전시, 구동 수신부(119)의 양 측벽과 반복하여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기능 제공부(360)는 구동 수신부(119)를 왕복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선형 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데우는 히팅 기능(heating function), 또는, 면도기 카트리지(100) 상에 면도 보조제를 분출하는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shaving aid jetting func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능 제공부(360)가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히팅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능 제공부(360)는 전류 인가를 위한 전기 회로 또는 전선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면도 카트리지(100)를 발열시킬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면도시, 사용자에게 온열감(feeling of warmth)을 전달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가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기능 제공부(360)는 면도기 핸들(300) 내에 저장된 면도 보조제를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능 제공부(360)는 유체 전달을 위한 유체관 등이 삽입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전달된 면도 보조제는 면도기 카트리지(100)로부터분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면도를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면도 보조제를 도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가이드 하우징(112), 블레이드 장착부(114), 및 구동 수신부(119)를 포함하고, 기능 제공부(360)는 편심캠 헤드(362) 및 편심캠 본체(36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기능 제공부(360)가 선형 운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능 제공부(360) 및 블레이드 하우징(110)은, 기능 제공부(360)가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커넥터(200)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커넥터 본체(210)는, 커버부(cover portion, 212), 커버부(212)와 대면하는 하벽(lower wall, 214), 커버부(212) 및 하벽(214)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측벽(side wall,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2), 하벽(214), 두 개의 측벽(216)은 수용공간(220)을 정의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10)는 두 개의 복원력 제공부(211) 및 두 개의 제1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는 커버부(212) 및 하벽(21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핸들 결합부(320)가 수용공간(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213)보다, 핸들 결합부(320)로부터 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원력 제공부(211)는, 제1결합부(213)보다, 핸들 결합부(320)에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결합부(213)는,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중앙에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는, 커넥터 본체(210) 상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탄성 변형을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면도기 카트리지(100)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recover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기저부(base portion, 2112), 연결부(connecting portion, 2114), 및 접촉부(contacting portion, 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기저부(2112), 연결부(2114), 및 접촉부(2116)의 순서로 배치되어, 전체로 보았을 때, 지그재그(zigzag)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213)는, 핸들 결합부(320)가 수용공간(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핸들 결합부(320)의 일측과 래치 결합(latch coupl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능 제공부(360)는, 수용공간(220) 내에서, 두 개의 복원력 제공부(211) 사이 및 두 개의 제1결합부(2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기능 제공부(360)의 양 측에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를 배치함으로써, 카트리지 커넥터(200) 상에서, 기능 제공부(360)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기능 제공부(360)에 통한 여러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회전 기능 및 탈장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을 통해, 그 전체가 일체형으로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제품보다,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또한, 사출 성형을 이용할 경우, 이중 사출 성형(double-shot injection moding)을 통해,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의 탄성계수 등의 물성을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전체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도,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는, 회전 기능 및 탈장착 기능에 각각 적합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능 제공부(360)의 적어도 일부,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는, 커버부(212)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하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기능 제공부(360)의 적어도 일부, 제1결합부(213), 및 복원력 제공부(211)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부(212)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212)의 단방향 폭은,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를 충분히 가릴 수 있도록, 복원력 제공부(211)의 외팔보의 길이 및 제1결합부(213)의 외팔보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커넥터(200)가 면도기 핸들(3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커버부(212)의 단방향은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탈착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탈착 방향은, 면도기 핸들(300)이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장착, 또는, 카트리지 커넥터(200)로부터 이탈할 때,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한, 핸들 결합부(320)의 이동 방향을 지칭한다. 이 경우, 탈착 방향은, 횡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기능 제공부(360)의 적어도 일부,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 등의 다소 복잡한 형상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기능 제공부(360)의 적어도 일부,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 등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그러한 부재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서는, 복원력 제공부(211) 및 제1결합부(213)가 각각 두 개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세 개 이상의 복원력 제공부(211)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제1결합부(2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해 회전(pivot)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5(b)의 Ⅵ-Ⅵ' 방향을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0) 및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a)는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회전(pivot)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면도기 핸들(300)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6(a)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블레이드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가압 돌기(pressing protrusion, 1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돌기(1124)는, 블레이드 하우징(110) 상에서, 복원력 제공부(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가압 돌기(1124)는 복원력 제공부(211)의 접촉부(2116)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돌기(1124)는, 접촉부(2116)의 상측에 걸쳐짐으로써, 접촉부(2116)와 접촉할 수 있다.
중립위치에서, 복원력 제공부(211) 상에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복원력 제공부(211)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복원력을 제공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해 회전할 때, 복원력 제공부(211)는, 가압 돌기(1124)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도 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 돌기(1124)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가압 돌기(1124)는, 접촉부(2116)의 상측에서, 접촉부(2116)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원력 제공부(211)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가압 돌기(1124)에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elastic force)을 작용할 수 있다.
상측 방향의 탄성력은 가압 돌기(1124) 내지 면도기 카트리지(110)를 반 시계방향으로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100)는 중립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결합부(213)는 면도기 카트리지(100)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를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는, 외팔보(cantilever)라는 보다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100)에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원력 제공부(211)는 외팔보 이외의 다른 형상 내지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211)는 기저부(2112), 연결부(2114), 및 접촉부(211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2112)는 하벽(21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2114)는 기저부(2112)의 일단으로부터 굽어진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접촉부(2116)는 연결부(2112)의 일단으로부터 굽어진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116)의일단은 면도기 카트리지(100)의 일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복원력 제공부(211)는 지그재그(zigzag)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11)는, 지그재그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복원력 제공부(211) 상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은, 기저부(2112), 연결부(2114), 및 접촉부(2116)에 나누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복원력 제공부(211)가, 특정 영역에 발생된 과도한 탄성 변형에 의해, 피로 파괴(fatigue failure)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RA)은 가압 돌기(1124)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 돌기(1124) 상에서 접촉부(2116)와 접촉하는 영역과 회전축(RA) 사이의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면도기 카트리지(100)가 회전할 때, 가압 돌기(1124)가 접촉부(2116)를 가압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복원력 제공부(211) 상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다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가 크거나 강성(stiffness)이 큰 재료를 이용하여 복원력 제공부(211)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원력 제공부(2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핸들이 카트리지 커넥터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5(b)의 Ⅶ-Ⅶ' 방향을 따른, 면도기 조립체(1)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는 핸들 결합부(32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장착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핸들 결합부(320)는 결합부 본체(coupling portion body, 322), 래치 돌기(latch protrusion, 324), 캠면(cam surface, 3242), 및 걸림면(locking surface, 3246)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본체(322)의 일단에서, 제1결합부(213)를 향해,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래치 돌기(3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방향은, 핸들 결합부(32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부 본체(322)가 하벽(214)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래치 돌기(324)의 전방에는 제1결합부(213)와 캠 작용할 수 있는 캠면(32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 돌기(324)의 후방에는 제1결합부(213)와 래치 결합할 수 있는 걸림면(324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결합부 본체(322)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수용공간(220) 내에 삽입되는 중에, 래치 돌기(324)는 제1결합부(213)의 자유단(free end, 2132)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래치 돌기(324)에 형성된 캠면(3242)과 자유단(2132) 사이에서 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캠 작용에 의해, 자유단(2132)은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결합부 본체(322)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수용공간(220) 내에서, 전방을 향해, 더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 본체(322)가 전방으로 계속 삽입되면서, 래치 돌기(324)는 자유단(2132)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캠면(3242)과 자유단(2132) 사이에서는 더 이상 캠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자유단(2132)은, 제1결합부(213) 내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측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 경우, 래치 돌기(324)에 형성된 걸림면(3246)은 자유단(2132)과 대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래치 돌기(324)는 자유단(2132)과 래치 결합할 수 있다.
래치 결합 통해, 핸들 결합부(320)는,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면도기 핸들(300)에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카트리지 커넥터(200)가 면도기 핸들(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 버튼(도 3의 340)을 전방으로 미는 동작을 통해, 자유단(2132)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치 돌기(324)와 자유단(2132) 사이의 래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카트리지 커넥터(200)는 면도기 핸들(3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결합부(213)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의 하벽(214)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213)는 카트리지 커네터(200)의 커버부(212)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래치 돌기(324)는, 결합부 본체(322)의 일단에서, 제1결합부(213)를 향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은 하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핸들 결합부(320)가 카트리지 커넥터(200)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부 본체(322)가 커버부(212)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후술될 도 8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복원력 제공부가 커넥터 본체의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110)가 카트리지 커넥터(220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면도기 카트리지(210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면도기 카트리지(2100)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 회전(pivot)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면도기 핸들(미도시)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복원력 제공부(2211)는 기저부(2213), 연결부(2215), 및 접촉부(2217)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2213)는 커버부(2212)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2215)는 기저부(2213)의 일단으로부터 굽어진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접촉부(2217)는 연결부(2213)의 일단으로부터 굽어진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217)의 일단은 면도기 카트리지(2100)의 일측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복원력 제공부(2211)는 지그재그(zigzag)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2100)는, 블레이드 하우징(2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가압 돌기(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2100)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가압 돌기(2112)는 복원력 제공부(211)의 접촉부(2217)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돌기(2112)는, 접촉부(2217)의 상측에 걸쳐짐으로써, 접촉부(2217)와 접촉할 수 있다.
중립위치에서, 복원력 제공부(2211) 상에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복원력 제공부(2211)는 면도기 카트리지(2100)에 복원력을 제공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2100)가 카트리지 커넥터(2200)에 대해 회전할 때, 복원력 제공부(2211)는, 가압 돌기(2112)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기 카트리지(2100)는, 도 8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 돌기(2112)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 돌기(2112)는, 접촉부(2217)의 상측에서, 접촉부(2116)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복원력 제공부(2211)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복원력 제공부(2211)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가압 돌기(2112)에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elastic force)을 작용할 수 있으며, 그 상측 방향의 탄성력은 가압 돌기(2112) 내지 면도기 카트리지(2110)를 반 시계방향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2100)는, 복원력 제공부(2211)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면도기 카트리지(2100)가 카트리지 커넥터(2200)에 대해 회전할 때, 제1결합부(미도시)는 면도기 카트리지(2100)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를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2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2)는, 외팔보(cantilever)라는 보다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면도기 카트리지(2100)에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원력 제공부(2211)는 외팔보 이외의 다른 형상 내지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면도기 조립체 100: 면도기 카트리지
110: 블레이드 하우징 112: 가이드 하우징
114: 블레이드 장착부 119: 구동 수신부
120: 면도 블레이드 130: 클립
200: 카트리지 커넥터 210: 커넥터 본체
211: 복원력 제공부 212: 커버부
213: 제1결합부 214: 하벽
216: 측벽 220: 수용공간
300: 면도기 핸들 310: 핸들 본체
320: 핸들 결합부 322: 결합부 본체
324: 래치 돌기 330: 그립부
340: 이탈 버튼 350: 전원 버튼
360: 기능 제공부 362: 편심캠 헤드
364: 편심캠 본체 1124: 가압 돌기

Claims (17)

  1.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상기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 커넥터; 및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는,
    커버부(cover portion), 상기 커버부와 대면하는 하벽(lower wall),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하벽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측벽(side wall)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connector body);
    상기 하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부로서, 상기 면도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first coupling portion); 및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중립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원력 제공부(recovering force provid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를 덮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면(bottom side)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의 단방향 폭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외팔보(cantilever)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넥터 본체 상에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핸들은,
    핸들 본체, 상기 핸들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 및 상기 핸들 결합부로부터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향해 연장되는 기능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면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기능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공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선형 운동 기능, 히팅 기능, 및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복원력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이되,
    상기 핸들 결합부가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 제공부는 두 개의 제1결합부 사이 및 두 개의 복원력 제공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second coupl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핸들은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핸들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상기 횡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 커넥터; 및
    핸들 본체, 상기 핸들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와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 및 상기 핸들 결합부로부터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를 향해 연장되는 기능 제공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는,
    커버부(cover portion), 상기 커버부와 대면하는 하벽(lower wall),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하벽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측벽(side wall)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connector body);
    상기 하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결합부로서, 상기 면도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기능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결합부를 덮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면(bottom side)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기능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 및 제1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의 단방향 폭은 상기 제1결합부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공부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에 선형 운동 기능, 히팅 기능, 및 면도 보조제 분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공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편심캠 본체; 및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편심캠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편심캠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하우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장착부로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면도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장착부; 및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와 연결된 구동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수신부가 상기 편심캠 헤드의 편심 회전 운동을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면도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는 두 개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 결합부가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 제공부는 두 개의 제1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넥터는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회전축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핸들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190155112A 2019-11-28 2019-11-28 면도기 조립체 KR10223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2A KR102230379B1 (ko) 2019-11-28 2019-11-28 면도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2A KR102230379B1 (ko) 2019-11-28 2019-11-28 면도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44A Division KR102231870B1 (ko) 2019-07-08 2019-07-08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72A KR20210006272A (ko) 2021-01-18
KR102230379B1 true KR102230379B1 (ko) 2021-03-22

Family

ID=7423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12A KR102230379B1 (ko) 2019-11-28 2019-11-28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992A1 (en) 2001-03-28 2002-10-03 Paul Richard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KR100539659B1 (ko) 1997-02-19 2005-12-29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와, 교체식 면도기 면도날 카트릿지와, 카트릿지를 핸들에 연결하는 방법과, 카트릿지를 핸들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KR101774370B1 (ko) 2016-11-21 2017-09-0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8363B1 (en) * 2017-01-17 2019-07-24 BIC-Violex S.A. A shaving handle system for holding a cartridge pivotable about two ax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59B1 (ko) 1997-02-19 2005-12-29 더 지렛트 캄파니 면도기와, 교체식 면도기 면도날 카트릿지와, 카트릿지를 핸들에 연결하는 방법과, 카트릿지를 핸들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US20020138992A1 (en) 2001-03-28 2002-10-03 Paul Richard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KR101774370B1 (ko) 2016-11-21 2017-09-0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72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870B1 (ko)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EP3131711B1 (en) Cutting head and hair cutting appliance
CN102939190B (zh) 组合式剃刮和修剪装置
JP4207080B2 (ja) 電気かみそり
US20060143926A1 (en) Hair trimmer with extendable handle and movable guide
US20050016002A1 (en) Electric shaver
WO2004078426A1 (en) Shaving implement having improved pivot axis location
CN110576458B (zh) 剃须刀
KR102230379B1 (ko) 면도기 조립체
EP3928935A2 (en) Razor assembly
US4219930A (en) Cutter head assembly for an electric dry shaver
JP3741488B2 (ja) 電気かみそり
KR102555477B1 (ko) 면도기 조립체
JP2000288267A (ja) 電気かみそり
JP3739476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5914873B2 (ja) 電気かみそり
JP4508713B2 (ja) 電気かみそり
WO2023189571A1 (ja) スリット刃ブロックおよび電気かみそり
JP5879535B2 (ja) 電気かみそり
JP5830683B2 (ja) 電気かみそり、その刃ブロック、および、その外刃
JP5891372B2 (ja) 電気かみそり
JP5877345B2 (ja) 電気かみそり
JP5834221B2 (ja) 電気かみそりおよびその刃ブロック
CN117124365A (zh) 除毛装置、配件以及除毛装置套装
JP3067493B2 (ja) 電気ひげそ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