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73B1 -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73B1
KR102230273B1 KR1020210003605A KR20210003605A KR102230273B1 KR 102230273 B1 KR102230273 B1 KR 102230273B1 KR 1020210003605 A KR1020210003605 A KR 1020210003605A KR 20210003605 A KR20210003605 A KR 20210003605A KR 102230273 B1 KR102230273 B1 KR 10223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self
elastic loop
l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Priority to KR102021000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73B1/ko
Priority to PCT/KR2021/009277 priority patent/WO2022149678A1/ko
Priority to CN202180088684.3A priority patent/CN116669655A/zh
Priority to JP2023533793A priority patent/JP2023551941A/ja
Priority to EP21917840.7A priority patent/EP4275649A1/en
Priority to US17/470,023 priority patent/US11395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에 고정되어 교정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은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브라켓 본체와; 브라켓 본체의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롯을 개폐하는 도어와; 브라켓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도어에 소정 힘을 인가 시 탄성 변형되면서 도어가 이동되도록 하는 클램퍼를 포함한다. 클램퍼는, 일단부가 가이드부 상으로 돌출 되도록, 브라켓 본체에 설치되는 결합핀과;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속이 빈 단일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탄성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BRACKET FOR SELF-LIGATING CORRECTION}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 구조의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이란 슬롯을 가지는 결찰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슬롯 내에 교정용 와이어를 결찰하여 부정치열을 바르게 교정하는 시술을 가리킨다. 결찰 브라켓 중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은 추가적인 장치없이 교정용 와이어를 결찰 할 수 있도록, 브라켓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타입 자가 결찰 브라켓이 시술된 치아 모형을 보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가 결찰 브라켓에 적용된 클램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자가 결찰 브라켓(10)은 치아(D)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브라켓 본체(11), 도어(15) 및 클램퍼(17)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11)는 교정용 와이어(W)가 결찰되는 슬롯을 가진다. 도어(15)는 브라켓 본체(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클램퍼(17)에 의하여 개방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클램퍼(17)는 도어(15)와 브라켓 본체(1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말발굽 구조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5)를 여닫는 방향으로 소정 힘을 인가 시, 판스프링(17)이 탄성 변형되면서 도어(15)가 개폐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17) 구조로 이루어진 클램퍼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인장/압축 등 재료에 미치는 변형 하중을 받는 방향은 판스프링(17)의 닫힌 고리 쪽에 집중된 반면, 판스프링(17)의 변형 방향은 열린 위치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17)의 개폐를 위한 변형 과정에서 판스프링의 탄성 복원 성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여닫는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더 드는 문제점과, 브라켓 본체를 제거 및 재 시술 과정이 추가되므로 치아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11)는 일반적으로 반투명한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반면, 판스프링(17)은 검정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므로,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판스프링(17)이 검은 얼룩 점 형태로 브라켓 본체(11)의 외부로 드러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심미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소재의 브라켓 본체의 장점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85037호(2007.08.27.) 한국 등록특허 제10-1693239호(2016.12.30.) 미국 등록특허 제8113828호(2012.02.14.) 미국 등록특허 제10085824호(2018.10.02.)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에 대해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클램퍼의 탄성 변형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퍼가 자가 결찰 브라켓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된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은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기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브라켓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도어에 소정 힘을 인가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도어가 이동되도록 하는 클램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에 설치되는 결합핀과; 상기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속이 빈 단일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탄성루프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루프는, 상기 도어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이 위치되는 곳으로,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된 파킹부와; 상기 파킹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핀과 상기 탄성루프 사이의 상대 운동시 탄성 변형되는 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루프는, 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루프는, 50㎛ 내지 1㎜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루프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소정 두께로 코팅 된 금속 소재의 코팅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코팅재는, 10㎚ 내지 2㎛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퍼는, 상기 도어의 하면과 상기 탄성루프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루프를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루프는, 상기 결합핀과 마주하는 일면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루프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탄성루프의 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절개 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은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루프를 폐곡선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변형 하중 방향이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시 탄성루프가 탄성 변형 및 복원 과정에서 탄성 복원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여닫는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실되더라도 그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은 클램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캡부재 또는 캡부를 마련하여, 탄성루프와 결합핀이 도어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타입 자가 결찰 브라켓이 시술 된 치아 모형을 보인 사진.
도 2는 도 1의 자가 결찰 브라켓에 적용된 클램퍼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아래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탄성루프에 미치는 힘의 방향을 보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클램퍼 중 탄성루프와 캡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클램퍼의 일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 각각은 도 8의 클램퍼의 다른 변형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위와 아래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탄성루프에 미치는 힘의 방향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100)은 브라켓 본체(110), 도어(130) 및 클램퍼(150)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110)는 슬롯(113)과 가이드부(114)를 구비한다. 슬롯(113)에는 교정용 와이어(미도시)가 삽입되는 것으로, 브라켓 본체(110)에 대해 제1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롯(113)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와이어가 슬롯(113) 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14)는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 본체(110)에는 위치결정 가이드홈(110a)과 기구 수용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 가이드홈(110a)은 브라켓 본체(110)의 저면부(115)를 치아(미도시)에 부착하는 경우, 그 부착 방향을 시술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기구 수용부(110b)는 상기 슬롯(113) 주변에 인입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1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브라켓 본체(11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이 기구 수용부(110b)에는 오프닝 기구(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30)를 열린 위치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기구 수용부(110b)에 오프닝 기구를 삽입하는 도어(1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도어(130)가 제2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130)는 상기 가이드부(114)에 제2방향을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위치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도어(130)는 상기 슬롯(113)을 개폐한다. 즉, 와이어를 슬롯(113) 내에 삽입하거나, 삽입된 와이어를 슬롯(113)에서 제거 내지 위치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어(130)는 개방된다. 반면, 슬롯(113) 내에 와이어를 결찰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130)의 단부는 슬롯(113)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도어(130)의 하면에는 소정 깊이 인입 형성된 설치홈(1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홈(130a) 내에 상기 클램퍼(150)의 요부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퍼(150)는 브라켓 본체(110)와 도어(130) 사이에 설치된다. 이 클램퍼(150)는 도어(130)를 열린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서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130)에 제2방향으로 소정 힘이 인가되면서, 열린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도어(130)의 위치 변경 시 탄성 변형된다. 이 클램퍼(150)는 결합핀(151)과, 탄성루프(15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핀(151)은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14) 상으로 돌출되도록, 브라켓 본체(110)에 설치된다. 즉, 브라켓 본체(110)에는 그 저면부(115)에서 상기 가이드부(114)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1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홀(115a)에 결합핀(151)이 삽입 체결 된다.
탄성루프(155)는 가이드부(114)와 마주하는 도어(1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속이 빈 단일 폐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탄성루프(155)는 도어(130)의 내측면에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된 설치홈(130a) 내에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루프(155)는 도어(130)가 여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130)와 함께 이동한다. 이 탄성루프(155)의 내부에 상기 결합핀(151)의 단부가 삽입된다. 여기서, 결합핀(151)는 브라켓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므로, 도어(130)를 여닫을 때, 탄성루프(155)는 결합핀(151)에 대해 상대 운동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루프(155)는 파킹부(155a)와, 네크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파킹부(155a)는 도어(130)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서 결합핀(151)이 위치되는 곳으로,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파킹부(155a)의 내부 직경은 결합핀(151)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크게 형성되어, 파킹부(155a) 내에 위치된 결합핀(151)에 의하여 탄성루프(155)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파킹부(155a)로서 2개의 공간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3개 이상의 공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파킹부(155a)의 내측 곡선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핀(151)이 복수의 파킹부 중 어느 파킹부(155a)에 위치되는지와 곡선의 정도에 따라 도어의 여닫힘의 정도와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파킹부(155a)의 개수는 5개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5개 이상의 파킹부(155a)를 형성하는 경우, 도어(130)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이물감과 탈락률이 증가하여 치료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네크부(155b)는 복수의 파킹부(155a)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어(130)의 여닫힘 동작시 탄성 변형된다. 즉, 네크부(155b)의 내부 폭은 결합핀(15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핀(151)이 일 파킹부에서 다른 파킹부로 상대 운동시, 네크부(155b)는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핀(151)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어(130)를 여닫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루프(155)에 있어서, 인장/압축 등 재료에 미치는 변형 하중을 받는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파킹부(155a) 내부에서 변형 하중 방향은 탄성루프의 변형 방향과 같이 외부로 향하고, 파킹부(155a)의 외부에서 변형 하중 방향은 탄성루프의 변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폐곡선 형태의 탄성루프(155)의 경우는 변형 하중 방향이 대칭 구조를 이루므로, 도어의 개폐시, 탄성루프(155)가 탄성 변형 및 복원 과정에서 탄성 복원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여닫는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실되더라도 그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 탄성루프(155)의 높이(H)는 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의 높이가 3mm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제품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므로 그로 인해 이물감과 탈락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탄성루프(155)는 두께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판스프링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탄성루프(155)의 크기를 작게 함과 아울러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경우는 도어(130)의 설치홈(130a)을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어(130) 상대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도어(13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탄성루프(155)의 두께는 50㎛ 내지 1㎜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가 50㎛ 보다 작으면,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도어(130)가 작동하는데 충분한 탄성 유지력을 제공할 수 없다. 반면, 1㎜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과도한 탄성 유지력으로 인하여, 도어(130)를 이동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두께 증가로 인하여, 도어(130)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그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루프(155)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基材)와, 이 기재 상에 소정 두께로 코팅 된 금속 소재의 코팅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코팅재의 예로서, 듐, 금, 백금, 질화티타늄(TiN), 질화지르코늄(ZrN) 등이 있다. 상기 코팅재는 10㎚ 내지 2㎛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팅 두께가 10㎚ 미만이면, 사용 중에 코팅재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코팅 두께가 2㎛ 이상이면 기재와의 밀착도가 떨어져 코팅재가 박리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상승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브라켓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클램퍼 중 탄성루프와 캡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100')은 브라켓 본체(110), 도어(130) 및 클램퍼(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브라켓 본체(110)와 도어(130)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의 브라켓 본체 및 도어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동일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클램퍼(250)는 도어(130)를 열린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서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130)에 제2방향으로 소정 힘이 인가되면서, 열린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도어(130)의 위치 변경 시 탄성 변형된다. 클램퍼(250)는 결합핀(251)과 탄성루프(255) 및 캡부재(257)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램퍼(250)은 캡부재(257)를 더 포함한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 브라켓의 클램퍼(150)와 구별된다. 캡부재(257)는 도어(130)의 하면과 탄성루프(255)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탄성루프(255)의 상면을 덮는다. 캡부재(257)는 플라스틱, 실리콘, 세라믹 등의 불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캡부재(257)는 도어(130)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어(130)의 외부에서 바라볼 때, 캡부재(257)는 탄성루프(255)와 결합핀(251)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치아의 외부에서 브라켓(110')을 바라 볼 때, 클램퍼(250)의 내부 구성이 보이지 않으므로,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클램퍼의 일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클램퍼(350)의 탄성루프(355)는 일면은 개방되고, 반대면은 막힌 구조를 가진다. 즉, 탄성루프(355)의 결합핀과 마주하는 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브라켓 본체에 설치 시, 결합핀의 단부가 탄성루프(355) 내부에 삽입된다. 한편, 탄성루프(355)의 도어와 마주하는 쪽에 위치된 타면은 캡부(357)에 의해 막힌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캡부(357)는 탄성루프(35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을 받는 탄성루프(355)의 체적량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캡부(357)를 형성함에 따라 결합핀에 의하여 탄성 편형시 탄성루프(355)의 탄성 변형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불량의 발생이 적어질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 각각은 도 8의 클램퍼의 다른 변형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따른 클램퍼(45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루프(455)는 일면은 개방되고, 반대면은 캡부에 의하여 막힌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탄성루프(455)의 적어도 일측에는 탄성루프(455)의 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절개된 슬릿(45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의 폭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도 11과 같이 구성된 탄성루프의 탄성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100': 브라켓 110: 브라켓 본체
110a: 위치결정부 110b: 결찰해제부
113: 슬롯 114: 가이드부
115: 브라켓 저면부 115a: 결합홀
130: 도어 130a: 설치홈
150, 250, 350, 450: 클램퍼 151, 251: 결합핀
155, 255, 355, 455: 탄성루프 155a: 파킹부
155b: 네크부 257: 캡부재
357: 캡부 456: 슬릿

Claims (9)

  1.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브라켓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기 가이드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브라켓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도어에 소정 힘을 인가 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도어가 이동되도록 하는 클램퍼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는,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에 설치되는 결합핀과;
    상기 가이드부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속이 빈 단일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탄성루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는,
    상기 도어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이 위치되는 곳으로,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된 파킹부와;
    상기 파킹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핀과 상기 탄성루프 사이의 상대 운동시 탄성 변형되는 네크부를 포함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는,
    3㎜ 이하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는,
    50㎛ 내지 1㎜ 범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소정 두께로 코팅 된 금속 소재의 코팅재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10㎚ 내지 2㎛ 범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상기 도어의 하면과 상기 탄성루프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루프를 덮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는,
    상기 결합핀과 마주하는 일면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루프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탄성루프의 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절개 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KR1020210003605A 2021-01-11 2021-01-11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KR10223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05A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1-11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PCT/KR2021/009277 WO2022149678A1 (ko) 2021-01-11 2021-07-19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CN202180088684.3A CN116669655A (zh) 2021-01-11 2021-07-19 自结扎矫正用支架
JP2023533793A JP2023551941A (ja) 2021-01-11 2021-07-19 自己結紮矯正用ブラケット
EP21917840.7A EP4275649A1 (en) 2021-01-11 2021-07-19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17/470,023 US11395721B1 (en) 2021-01-11 2021-09-09 Bracket for self-ligating cor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05A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1-11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73B1 true KR102230273B1 (ko) 2021-03-19

Family

ID=752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605A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1-11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95721B1 (ko)
EP (1) EP4275649A1 (ko)
JP (1) JP2023551941A (ko)
KR (1) KR102230273B1 (ko)
CN (1) CN116669655A (ko)
WO (1) WO20221496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7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KR102455441B1 (ko) *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644312B1 (ko) * 2023-12-14 2024-03-06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클립 감춤형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037A (ko) 2006-05-30 2007-08-27 유루토돈치아, 에스. 엘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KR100858240B1 (ko) 2007-02-28 2008-09-1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스핀 장치
US20090155734A1 (en) * 2006-04-19 2009-06-18 Damon Dwight H Orthodontic bracket
US20090325120A1 (en) * 2007-07-23 2009-12-31 Ultradent Product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ligation cover
KR20100022122A (ko) * 2007-06-28 2010-02-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자가-결찰형 치열교정 브래킷 및 이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74081A (zh) * 2011-05-09 2011-12-14 杭州西湖生物材料有限公司 牙用正畸自锁托槽系统
US8113828B1 (en) 2010-09-14 2012-02-14 Greenfield Raphael L Orthodontic bracket
KR20130138128A (ko) * 2012-06-08 2013-12-18 마이크로 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교정기의 자동잠금 위치고정장치
US20140141384A1 (en) * 2012-11-16 2014-05-22 Rolf Hagelganz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KR101693239B1 (ko)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20170140069A (ko) * 2017-04-19 2017-12-20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80107481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018736B1 (ko) * 2019-05-08 2019-09-06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WO2020246630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덴티움 치열교정용 자가 결찰식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7590B1 (en) * 1999-11-24 2001-07-31 Agion Technologies, Llc Antimicrobial dental products
US8469704B2 (en) * 2007-06-28 2013-06-25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devices for deploying same
US9730770B2 (en) * 2012-07-23 2017-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10182885B2 (en) * 2015-10-29 2019-01-22 Mem Dental Technology Co., Ltd Self-ligating bracket
US10085824B2 (en) 2015-10-30 2018-10-02 Ortho Organizers, Inc.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200390525A1 (en) * 2019-06-11 2020-12-17 Yi-Wen Chen Orthodontic device
KR102230273B1 (ko) * 2021-01-11 2021-03-1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5734A1 (en) * 2006-04-19 2009-06-18 Damon Dwight H Orthodontic bracket
KR20070085037A (ko) 2006-05-30 2007-08-27 유루토돈치아, 에스. 엘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KR100858240B1 (ko) 2007-02-28 2008-09-1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스핀 장치
KR20100022122A (ko) * 2007-06-28 2010-02-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자가-결찰형 치열교정 브래킷 및 이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US20090325120A1 (en) * 2007-07-23 2009-12-31 Ultradent Product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ligation cover
KR20160122271A (ko) * 2008-08-13 2016-10-21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US8113828B1 (en) 2010-09-14 2012-02-14 Greenfield Raphael L Orthodontic bracket
CN102274081A (zh) * 2011-05-09 2011-12-14 杭州西湖生物材料有限公司 牙用正畸自锁托槽系统
KR20130138128A (ko) * 2012-06-08 2013-12-18 마이크로 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치아교정기의 자동잠금 위치고정장치
US20140141384A1 (en) * 2012-11-16 2014-05-22 Rolf Hagelganz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KR101693239B1 (ko)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20180107481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70140069A (ko) * 2017-04-19 2017-12-20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018736B1 (ko) * 2019-05-08 2019-09-06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WO2020246630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덴티움 치열교정용 자가 결찰식 브라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7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KR102455441B1 (ko) *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WO2023113247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EP4223251A4 (en) * 2021-12-15 2024-05-22 Gni Co Ltd SELF-LIGITATING ORTHODONTIC CLAMP ARRANGEMENT OF SLIDING TYPE
KR102644312B1 (ko) * 2023-12-14 2024-03-06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클립 감춤형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8444A1 (en) 2022-07-14
WO2022149678A1 (ko) 2022-07-14
JP2023551941A (ja) 2023-12-13
US11395721B1 (en) 2022-07-26
EP4275649A1 (en) 2023-11-15
CN116669655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273B1 (ko)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US5857849A (en) Self-ligating low profile orthodontic bracket
US4609349A (en) Activ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straightening teeth
US7674110B2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US5545037A (en) Interarch orthodontic coil spring
EP1287789B1 (en) Orthodontic Bracket
US5562444A (en) Bracket
US5630716A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JP4607020B2 (ja) 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US7780443B2 (en) Self-ligating bracket with rotary cover
US20200330190A1 (en) Orthodontic bracket
US20020034715A1 (en) Orthodontic brackets and convertible buccal tubes
US20110086323A1 (en) Self-Ligat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160387B1 (ko)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5782631A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100092903A1 (en) Tooth bonding pad with wire retaining portions and related methods
EP3419553A1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US11234796B2 (en) Self-ligating bracket
EP4223251A1 (en) Sliding-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US20070113386A1 (en) Clas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S637220Y2 (ko)
KR102450201B1 (ko) 치과 교정용 브라켓
JP3640446B2 (ja) 植物用茎ホルダー
JP2002062373A (ja) 腕時計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