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037A -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 Google Patents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037A
KR20070085037A KR1020067010668A KR20067010668A KR20070085037A KR 20070085037 A KR20070085037 A KR 20070085037A KR 1020067010668 A KR1020067010668 A KR 1020067010668A KR 20067010668 A KR20067010668 A KR 20067010668A KR 20070085037 A KR20070085037 A KR 20070085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member
occlusal
bracket
gum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바테르 알베르토 세르베라
Original Assignee
유루토돈치아, 에스.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루토돈치아, 에스. 엘 filed Critical 유루토돈치아, 에스. 엘
Priority to KR102006701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5037A/ko
Publication of KR2007008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 모양의 클립 시스템을 안내된 강체 시스템과 결합시키는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래킷은, 2개의 조립 부재를 포함하는데, 즉, 본체로서 공지된 제1 부재, 및 폐쇄 부재로서 공지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는, 브래킷을 치아에 고정 또는 세멘팅하기 위한 수단, 앞니-어금니 방향의 아치 그루브, 표준 와이어 결찰 또는 탄성체용 플랜지, 및 러너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를 형성하는 신규의 측방향 그루브 등 임의의 브래킷의 기본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러너는, 폐쇄 부재로서 공지되었으며, 기본적으로 커버, 폐쇄 본체, 및 상기 측방향 러너를 포함하는 브래킷의 제2 부재에 속한다.

Description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SELF-LIGATING BRACKET COMPRISING LATERAL RUNNERS}
본 발명은 자가 결찰식 브라켓, 즉, 치열교정 브라켓의 일체형 부품으로서의 아치 결찰부를 닫기 위한 닫기 수단으로 구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의 특성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차에 있어서, 대응하는 치아에 거의 항상 세멘트에 의해 결합되는 다양한 브라켓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브라켓은 금속 아치가 도입되는 앞니-어금니 방향의 홈를 포함한다. 금속 아치라고 지칭하는 이유는, 치열교정의 종료시점에서 치아의 정렬의 최적 형태에 대응하는 아치 형태로 예비성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치는 치아에 원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브라켓에 고정 또는 결합되어야 한다. 이용된 제1 결합 수단은 브라켓과 아치 주위로 꼬여진 금속 와이어이었지만, 이것은 상기 와이어가 입의 연조직과 마찰되어 입안을 손상시키며,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궤양 또는 속쓰림을 발생시키고, 그것은 상기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감소시킨 탄성 재료의 결찰 또는 부착을 개발하도록 요구하였고, 자가 결찰식 브라켓이라고 지칭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브라켓이 개발되었으며, 자가 결찰식 브라켓은, 홈 내에서 아치에 고 정되며 브라켓의 일부인 록킹/셔팅 수단을 가졌다.
지난 몇 년 동안에, 구별되는 형태의 자기 결찰을 가진 여러 가지 다른 특허가 공개되었으며, 그 특허들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브라켓과 아치의 더욱 효율적인 결찰이 목적인 제안된 폐쇄의 종류이다. 1996년에 공개된 특허 US5586882(핸슨 지. 허버트)는 U자 모양의 결찰-스프링 장치로 구성되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을 제공하며, 결찰-스프링 장치의 수렴하는 암은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브라켓의 몸체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스프링은 아치를 홈 내에 유지하고, 아치와 브라켓을 비교적 효과적인 위치에 유지한다. 결찰 조직은, 둥근 에지를 가지며 두께가 0.20mm와 0.25mm 사이에 있는 초탄성(super-elastic)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다. 클로져 부재의 적어도 혀(lingual) 부분은 나머지 부분보다 견고하여야 하는데, 왜냐하면, 홈를 열고 닫기 위해 상기 록킹/셔팅을 교합 잇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또한 상기 록킹에 아치가 발생시키는 압력은 클로져 부재에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발생시키며, 상기 변형의 결과로서, 브라켓과 아치 사이의 상대 위치는 더 이상 최적이지 않게 된다.
1998년에, 핸슨 지. 허버트는 특허 US5711666을 공개하였으며, 그 특허에서, 브라켓의 몸체는, 앞니-어금니 방향의 홈, 및 아치를 홈 내에 록킹 또는 셔팅시키는 결합-스프링 장치를 구비한다. 결찰 조직은 얇고 좁은 판을 가진다. 결찰 조직은, 일단에서는 앵커 또는 바인드로 구성되고, 중앙에서는 굽혀지는 예비 성형된 아치 모양의 부재로 구성되며, 타단에서는 클래습(clasp)으로 구성된다. 앵커는 브라켓 몸체의 여러 개의 슬롯에 걸린다. 앵커는, 타단 또는 클래습이 브라켓 몸 체의 홈에 걸린 때, 전방 섹션이 굽혀져 아치를 홈 내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걸림 강도를 발생시키는 작은 아치를 얻도록, 어금니-앞니 축에서 피봇된다. 걸림(hook-up)은 결찰 부재에 대해 손가락으로 간단히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며, 풀림(unhooking)은 클래습이 나올 때까지 클래습을 아래로 누르는 공구를 브라켓의 몸체 내의 슬롯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결찰 부재가 아치에 전달하는 힘은 상기 결찰 부재의 제조 시에 크거나 작은 각도 또는 곡률 반경을 제공하도록 여러 가지 다른 예비 부하 크기로 조정될 수 있다. 결찰 부재의 제조에 스테인레스강이 이용되지만, 상기 결찰 부재가 상기 후크-업을 발생시키기에 필요한 강도 또는 힘을 받을 때에는, 결찰 부재의 접힘 부분에서, 상기 스테인레스강은 탄성 한계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탄성 한계를 초과함으로써 탄성이 손실되면, 상기 결찰 부재를 대치한다는 것은 복잡한 작업이기 때문에 브라켓 전체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시리즈 300 스테인레스강보다 탄성 특성이 우수하고 부식에 대한 특성은 유사한 50%의 니켈-티탄 합금이 이용되었다.
자가 결찰(self-ligating)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먼(Dwight H. Damon)은 2000년도의 미국 특허 제 6071118호에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과 같이 임의의 적합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한 자가결찰식 브라켓을 개시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몰딩에 의해, 치열교정의 과정 동안에 아치(arch)의 후킹(hooking)을 제공할 수 있는 기계 구조를 얻기 위해 금속이 사용된다. 브라켓은 플랫폼 및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일체형으로 조립된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결찰자(ligature) 또는 탄성체 링을 위치시키기 위한 플랜지와 같이 돌출된 복수의 벌지(bulge)를 포 함한다. 홈은, 아치의 삽입을 위해 혀(lingual) 벽, 교합(occlusal) 벽, 잇몸(gingival) 벽이 입술측(labial side)에 놓여진 상태로 브라켓의 홀(hole) 폭을 따라 이어져 있다. 하부 결찰자 플랜지는 서로 대면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guides/tracks)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캡이 결합될 수 있고, 캡은 삽입되어 브라켓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갖는 방법으로 가이드를 따라서만 미끄러져서,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즉, 홈이 아치를 삽입하거나 입수하기 쉬운 개방 위치와 아치가 홈의 펌(firm)을 지지하는 밀폐 위치가 그것이다. 캡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전면은 개방 위치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돌출된 벌지를 갖고, 후면은 캡을 밀폐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브라켓의 본체의 노치 상에서 잠기는 벌지를 갖는다. 개방 위치에서 밀폐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캡을 약간 구부려야 한다. 노치는 유지될 수 없어서 조정하기가 힘들며, 따라서 불필요하게 느슨해지게 된다.
크리스토프(christoff) 등은 2002년도의 미국 특허 제6071119호에서 자가결찰식 캡이 세 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세 가지 기능이 가능한 브라켓을 제안하였다. 개방 위치는 전술한 브라켓과 유사하여 아치를 삽입하거나 입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치열교정의 수동적인 치료를 위한 밀폐 위치에서, 아치는 홈 내부에서 구속되지만, 캡은 아치 상에 하중이나 압력을 부과하지 않는다. 반면에 치열교정의 능동적인 치료를 위한 밀폐 위치에서, 아치는 홈 내부에서 구속되지만, 캡은 아치 상에 하중이나 압력을 부과한다. 상기 특허 공보에서, 가장 먼저 언급한 특허 공보에서 사용된 다른 잠금/밀폐 방법이 도시되어 있어서, 홈이 개방되거나 밀폐된 상태로 캡이 이동될 때 캡의 변형 문제에 대한 어떠한 개선도 없다.
본 발명은, 변형 발생을 억제하고, 변형에 의해 생기는 캡에서의 헐거움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U자형 클립 시스템과 안내된 견고한 밀폐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자가결찰 시스템을 갖는 브라켓을 제공한다.
치열교정 치료를 위한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은 두 개의 조립되는 부품들을 갖는 데, 첫째로 몸체는 임의의 브라켓의 기본 부품, 즉 치아에 고정 또는 접착하기 위한 수단, 앞니-어금니 방향의 아치형 홈, 통상적인 와이어 또는 탄성 결찰자, 및 러너가 슬라이드 하는 가이드 또는 트랙으로서 기능하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러너-상기 브라켓의 두 번째 부품, 소위 클로징 캡로 불리는 러너는 클로징 캡, 클로징 캡의 몸체 및 상기 횡방향 러너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부품들이 일단 결합된 후, 두 가지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바, 첫째는 두 개의 부품들이 결합되고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 러너 베이스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 바가 항상 접착되어, 상기 홈과 클로징 캡에 의해 정의되는 아치를 위한 가용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는 상기 러너 베이스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하여, 상기 클로저 부재에 대해서 상기 몸체가 분리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하여 치열교정 치료 도중에 클로징 캡를 교체하여 상기 클로저 부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첫번째 경우는 수동적인 치열교정 치료(passive orthodontic treatments )에 사용되며, 두번째 경우는 능동적인 치열교정 치료(active orthodontic treatments)에 사용된다. 일단 브라켓의 두 개의 부품이 조립되면, 홈이 닫힌 경우에 클로저 부재를 교합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폐쇄 기구 및 상기 몸체는 고정되어 치열교정용 아치의 분리를 저지한다. 홈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러너 도는 폐쇄 바의 특정 지점에 압력을 가하는 기구가 사용된다. 상기 압력은 상기 가이드에 위치하는 러너를 이동시키는 작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상기 러너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치가 고정 클립에 고정될 때까지 상기 러너는 횡방향 단면에서의 잇몸측 단부 교합측 단부에 두 개의 쐐기 형태의 영역을 갖는 연장된 다각형 형태를 갖는 횡방향 단면에 의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쐐기형의 고정 클립의 경사진 평면 위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유리한 다수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아치의 고정(fastening)은 그 자신의 형상을 통하여 아치가 캡에 발생하는 압력이 크면 클수록 닫히려고 하는 경향이 더 크게 되는 강성 캡(rigid cap)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러너의 쐐기 형상 때문에 캡의 압력은 러너의 바닥을 향하거나, 또는 실제로 동일한, 로킹/닫힘 위치를 향하여 변위 효과를 발생한다.
- 기구를 이용하여 러너의 베이스 상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이한 열림.
- 제조를 단순화시키는 것 이외에,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서 발생되는 전기 소모(electrical corrosion)를 방지하는 동일한 재질의 투피스 시스템(two piece system).
- 외측 방향이 이빨 방향을 따르도록 하는, 보디의 측면에 트랙을 갖거나, 또는 안내 러너.
한편, 자가결찰식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다른 브라켓들의 종래의 특징을 유지한다. 즉, 결함이 있어도, 브라켓의 대체가 필요하지 않게 개방 시스템을 밀폐시키는 종래의 결찰자용 플랜지 디자인, 횡방향으로 브라켓을 구동하는 체인 스티치(stitch) 또는 기구를 사용할 가능성, 막(membrane)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라운드형 외부면이 그것이다. 치아의 백악질은 드릴링, 레이저 또는 전기 화학적 과정을 위해 제공되는 수평 슬롯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횡방항 러너(lateral runner)를 가진 자가결찰식 브라켓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클로저 요소가 U자형의 스프링 형태이지만, 종래의 스프링 보다 훨씬 작은 질량을 가지면서도 강성이 크고, 변형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클로저 요소가, 변형 없이 클립이 잠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횡방향 러너에 의해 안내되고, 클로저 또는 락이 단순한 캡이 아니라 전체 부분(whole piece)이기 때문이다. 이는 바람직한 제작용 재료가 스테인리스 강 혼합조직(SAF 2205) 또는 플라스틱임에도, 금속, 열가소성 재료 또는 포셀린(porcelain) 등의 사출(injection), 여과/정제(filtered/refined), 소결(synterization)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완벽히 캡을 포함한 클로저 요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특징은 종래의 브라켓 형태에서는 치수의 축소로 인해 불가능하다.
실제의 발명은 다음의 도면과 함께 실시예란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로저 부재의 캡이 열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로저 부재의 캡이 닫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클로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몸체와 클로져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고정 바 또는 스틱을 포함하는 도 4 상당도이다.
도 6은 클로져 부재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닫힌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측부 러너를 구비한 자가결찰식 브라켓은, 스테인리스강 블록 듀플렉스(SAF 2205)의 냉간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여러 기계적 특성을 갖고, 다른 강재 또는 다른 제조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것에 비해 내부식성이 탁월하다. 또한, 심미적인 이유로 인해 종종 다른 합금, 열가소성 소재, 또는 자기 공정(porcelain process)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을 구성하는 상기 2개의 부품은 각각 몸체(1) 및 클로저 부재(4)이다.
브라켓의 몸체(1)는 하나의 기계가공된 부품만으로 만들어지며, 플랫폼(2) 및 홈을 갖는 몸체(3)인 2개의 부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랫폼은, 치아에 브라켓이 접합된 부품이며, 편평한 잇몸측 표면(gingival surface)(20), 마찬가지로 편평한 교합 표면(21), 치열에 알맞은 표면을 구비하며 접합된 슬롯(26)이 제공되는 덴탈 표면(22), 앞니측 표면(25), 시형봉합면(sagittal plane)에 대하여 앞니측 표면(25)과 동일하게 대칭인 어금니측 표면, 및 일반적으로 편평한 입술측 표면(23)으로 구분되며, 어금니측 표면은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입술측 표면(23)에는 쐐기 형상의 고정 클립(27)과 홈을 갖는 몸체(3)가 돌출된다.
홈을 갖는 몸체(3)는, 덴탈-입술 방향으로 몸체(1)의 입술측 표면(23)으로부터 돌출되며, 3개의 벽, 즉, 편리한 결찰부(ligature)(34)를 위해 교합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교합 방향으로 동시에 연장되는, 덴탈 벽(32), 잇몸측 벽(31), 및 교합 벽(33)으로 구성된다. 덴탈 벽(32)은 T자 형상이며 그 중간 섹션에 의해 몸체(1)의 입술측 표면(23)과 결합되어 입술측 표면(23) 쪽의 잇몸-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에서 한 쌍의 가이드(35)를 제공한다. 아치형 홈(37)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지만, 그 형상은 치열교정에 의해 교정될 수 있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잇몸측 벽(31)의 교합 표면, 덴탈 벽(32)의 입술측 표면, 및 교합 벽(33)의 잇몸측 표면에 의해 정해진다.
브라켓의 몸체의 외측 에지를 구성하는 표면들의 집합은, 구강막의 궤양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완전히 둥글게 되어 있다. 종래의 바인드(34)를 위한 교합 플랜지의 입술측 표면에는, ID 데이터 번호(36)가 레이저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번호는 국제치과연합에 의해 사용되는 코드에 따라 구강 내에 점유하는 치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진료를 위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적절하지 않은 치아에 브라켓이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로저 부재(4)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짧으며 전체 폭의 약 1/3을 차지하는 기다란 쪽에 개구부를 가지는 U자 형상이다. U자 형상의 베이스는 클로저 부재(45)의 몸체라고 하며, 한쪽으로부터는 클로징 캡(41)이 연장되고, 다른 쪽으로부터는 러너(42)가 연장된다. 클로저 부재(45)의 몸체는, 입술쪽에 편평한 면의 베이스를 가지고 잇몸쪽에 종래의 결찰부(44)용 잇몸측 플랜지를 가지는 클로징 캡(46), 및 덴탈 표면 전체의 훅킹 노치(49)로 구성된다.
상기 러너(42)는 그 중앙에 위치되는 편평부, 소위 슬라이딩 면(43)을 가지며 길이 방향 단면의 잇몸(gingival) 및 교합 단부(occlusal ends)에 2개의 쐐기 영역을 나타내는 길이 방향의 기다란 다각형상, 및 클로져 부재 몸체(45)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 노치(joining notch)(47)를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 노치(47)는, 보디(1)와 클로져 부재(4)가 조립되면, 수동 치열교정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 바(retention bar) 또는 스틱(stick)(50)을 통합하도록 한다. 클로징 캡(41)은 치아의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레이저 또는 위치 인디케이터(48)에 의하여 새겨지는 수직 마크를 가지고 있는데, 이 마크는 임상시 접착의 순간에 브라켓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이미 조립된 고정 바(50)와 함께 보디(1) 및 클로져 부재(4)를 갖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도시하는데, 상기 브라켓은 두 부품을 다시 분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브라켓은 수동 치열교정 처리에 사용된다. 열린 위치는, 금속 치열교정 아치(arch)를 상기 홈(37)로부터 뽑아내거나 또는 삽입하도록 아치의 홈(37)를 자유로운 상태로 놓아둔 위치이다. 고정 클립(27)이 걸림 노치(hooking notch)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보디(1)와 상기 클로져 부재의 상대 위치는 전체적으로 안정된다.
도 2는 고정된 위치에서 도 1과 동일한 브라켓을 도시한다. 이 브라켓 때문에, 클로징 캡(41)을 교합 방향으로 충분히 누를 수 있으며, 이것은, 리미트(46)를 덮는 클로져 부재(4)가 홈(3)의 보디의 잇몸 벽(31)을 칠 때까지 가이드(35) 상에 러너(42)를 슬라이드시키는 걸림 노치(49)와 고정 클립(27) 사이의 후킹 강도를 억제하며, 이것은 가이드(35)에 설치되는 러너(42)의 쐐기 형상 때문에 이 위치에 브라켓을 몰아 넣는다.
도 6은 고정/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이동하는 기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캡이 얇고 단지 한층만을 가져서 그로 인한 캡의 헐거움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서는 문제되었던 부분이다. 도 6은, 화살표 F의 인가력이 클로징 캡(41)뿐만 아니라 전체 클로져 부재(4)를 변위시키는데, 이것은 고정 클립(27)이 걸림 노치(49)에 삽입될 때 끝나는 변위에서 전혀 변형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클로져 부재(4)의 형상 때문에, 클로져 부재가 열린 위치로 변위되면, 클로징 캡은 화살표 D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거나, 또는 그 운동 가이드가 클로져 부재가 브라켓의 보디 자체 내에 은폐되도록 하는 다른 브라켓의 운동과 반대 방식 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도 7에서, 브라켓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대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마크 라인(48)에 평행하기 때문에, 그 측면이 치아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캡의 형상이 잇몸 방향으로 열려 있도록 설계되어도, 보디(1)는 캡이 교합 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캡의 폐쇄가 씹기(chewing)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디(1)의 마킹은 덴탈(22), 잇몸(20), 교합(21), 앞니(25) 및 어금니측 표면(참조 부호 없음)을 동일하게 유지하지만, 상기 홈(3)을 갖는 보디가 상기 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180°회전되는 곳에서 및 상기 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180°회전되는 입술 표면(23)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치아는 캡 및 보디의 치아 축에 마킹되거나 또는 표시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하면, 이러한 변형과 같은 모든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당업자가 명백히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

  1. 치아에 고정되는 플랫폼(2), 치료(treatment)를 위한 아치를 갖는 아치형 홈(37), 자체 결찰 시스템을 갖는 상기 치료를 위한 아치의 클로징 캡(41) 및 통상적인 결찰자(34, 44)를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으로서,
    상기 플랫폼(2)을 갖는 몸체(1)와 홈을 갖는 몸체(3); 및
    클로저 부재(4)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2)은
    치아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 슬롯(26)을 가지며, 곡선 형태를 갖는 덴탈 표면(22);
    평평하게 형성되고 각 접합이나 결합 엣지가 라운드(round) 형태를 갖는 앞니측 표면(25), 어금니측 표면, 잇몸측 표면(20) 및 교합 표면(21); 및
    대체로 평평하며, 쐐기(wedge) 형상의 고정 클립(27)이 돌출되는 입술측 표면(23)을 포함하며,
    상기 아치형의 홈(37)을 갖는 몸체(3)는
    상기 몸체(1)의 상기 플랫폼(2)의 상기 입술측 표면(23)에 중앙부가 결합되는 덴탈 벽(32);
    잇몸측 벽(31); 및
    통상의 결찰자(34)를 위한 교합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 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합 벽(33)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1)는 입술측 표면(23)의 측면부를 따라서 잇몸-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상기 덴탈 벽(32)과 입술측 표면(23)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위치시키며,
    상기 클로저 부재(4)는
    폐쇄 버퍼(46)를 형성하는 교합측 측면에 위치하는 평평한 표면 및 잇몸측 측면에 위치하며 통상적인 결찰자(44)를 위한 잇몸측 플랜지에 의해 구성되고, 덴탈 측면에 걸림 노치(49)를 갖는 클로저 부재 몸체(45);
    상기 클로저 부재 몸체(45)의 입술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캡(41); 및
    횡방향 단면에서의 잇몸측 단부 교합측 단부에 두 개의 쐐기 형태의 영역을 갖는 연장된 다각형 형태를 갖는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잇몸측 단부에서 상기 클로저 부재(45)와 결합되고, 중앙에 슬라이드 표면(43) 및 상기 교합측 단부에 결합 노치(47)를 갖는 다수의 러너(42)를 포함하며,
    클로저 부재(4)를 갖는 상기 몸체(1)는 상기 클로저 부재(4)의 상기 러너(42)들을 상기 몸체(1)의 가이드(35)에 잇몸-교합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되는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와 클로저 부재(4)가 결합된 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전에, 상기 클로저 부재(4)가 상기 몸체(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바 또는 스틱(50)이 상기 클로저 부재(4)의 러너(42)의 걸림 노치(49)에 용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조립시에,
    상기 입술측 표면(23)이 상기 표면에 대한 수직축에 대해서 180°회전되어 배치되고, 상기 홈을 갖는 몸체(3)가 상기 표면에 대한 수직축에 대해서 180°회전되어, 상기 몸체(1)에 상기 클로저 부재(4)를 교합면-잇몸측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KR1020067010668A 2006-05-30 2004-10-29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KR20070085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0668A KR20070085037A (ko) 2006-05-30 2004-10-29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0668A KR20070085037A (ko) 2006-05-30 2004-10-29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37A true KR20070085037A (ko) 2007-08-27

Family

ID=3861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668A KR20070085037A (ko) 2006-05-30 2004-10-29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5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3-1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3-1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US11395721B1 (en) 2021-01-11 2022-07-26 Biocetec Co., Ltd. Bracket for self-ligating cor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0948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857618B2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JP6239617B2 (ja) 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EP1813221B1 (en) Self-ligating bracket comprising lateral sliders
JPH0371896B2 (ko)
US20090061376A1 (en) Self-Locking Orthodontic Bracket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US928927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US11076936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pull strength
KR20070085037A (ko) 횡방향 러너를 갖는 자가 결찰식 브라켓
JP6726808B2 (ja) コプラナー・スプリングを備えた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WO2021224712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