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799B1 -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799B1
KR102229799B1 KR1020200014670A KR20200014670A KR102229799B1 KR 102229799 B1 KR102229799 B1 KR 102229799B1 KR 1020200014670 A KR1020200014670 A KR 1020200014670A KR 20200014670 A KR20200014670 A KR 20200014670A KR 102229799 B1 KR102229799 B1 KR 10222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ly pipe
water
float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1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에서 부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 하나 이상 구성되어 수면에서 하우징을 유동케 하는 유동수단;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로 길이가 조절되며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상기 하우징 상단에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질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floa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호수, 연못 등 정체성 수역에서 자체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를 용존시키도록 장소적 제약 없이 조류제거 등 수질개선이 가능한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수, 댐 및 저수지 등의 '정체성 수역'에 있어서의 수질 악화는 개선이 어려운 환경 문제이며, 많은 댐의 건설로 하천 중에도 댐 부분에서도 정체성 수역이 형성되고, 이러한 정체성 수역은 외부와의 물의 교환이 어렵고 일반적으로 질소, 인 등의 오염원이 되는 물질이 축적되기 쉬워 부영양화가 쉽게 진행된다.
유기물(COD)이 호수나 댐의 바닥에 축적되었을 경우, 이 유기물을 미생물이 소비하게 되면 산소도 동시에 소모되기 때문에 산소가 결핍되기 쉬운 조건이 되며, 특히 여름철이 되면 호수와 댐에서는 온도약층이 출현하고 성층화 때문에 성층기에는 호수바닥의 용존산소농도(DO)가 거의 0 mg/L가 되며, 호수저부의 빈산소화는 호수저부의 저니로부터 인의 용출을 촉진시켜 조류 등의 대량 발생으로 연결되는 사례 등이 많다, 따라서 호수바닥에 있어서의 빈산소화 개선은 호수와 댐을 대표로 하는 정체성 수역의 수질 정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부영양화가 진행된 호수와 늪이나 댐에서는 호수의 호수저부에서 인의 용출과 고정이 반복되어지며 부영양화에 의해 지속적인 악순환이 일어나므로, 이러한 악순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호수저부를 호기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호수의 저부를 호기화 하면 저부로부터 인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고, 메탄이나 황화수소를 발생시키는 혐기성미생물의 활동도 억제할 수 있어 유해한 기체의 발생도 방지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5053호
이에 본 발명은 자체에너지에 의해 정체성 수역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수저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정체성 수역에서 수질이 개선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부유식 수질개선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함)는 수면에서 부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 하나 이상 구성되어 수면에서 하우징을 유동케 하는 유동수단;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로 길이가 조절되며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상기 하우징 상단에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태양광발전수단은, 양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한쌍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돌출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한쌍의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되는 태양광추적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센서와, 상기 공급관 하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산기공이 형성되는 폭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폭기구의 하단에는 수저면에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하우징 하면 중앙부에는 제 1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중공으로 공급관이 관통하도록 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설구비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중앙부에 상기 제 1중공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관통하는 부유성재질의 링부와 상기 링부 측면에서 복수로 돌출되는 날개부로 구성된 교반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제 1중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 2중공보다 직경이 큰 걸림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하방향 유동시 상기 걸림플랜지가 상기 링부 상면에 걸리면서 공급관과 교반날개가 일체로 하방향 연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호수, 댐 등 정체성 수역에 부유한 상태로 유동하면서 수역저부의 물에 산소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소적 제약없이 수질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수면에서 부유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하부에 하나 이상 구성되어 수면에서 하우징(2)을 유동케 하는 유동수단(3); 상기 하우징(2)에서 하부로 길이가 조절되며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4); 상기 하우징(2) 상단에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수단(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2)은 수면에 부유하면서 내부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약제저장고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상기 약제저장고는 수중에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제, 오염물질을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 등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약제저장고에는 펌프가 구성되어 약제저장고의 약제가 상기 토출수단에 의해 토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하우징(2)의 측면에는 센서(22)가 부착되도록 하는 바, 수면에서 형성되는 수질을 측정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유동방향을 정하거나 토출되는 약제의 종류를 정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상기 센서(22)에 의해 센싱되는 값은 ph, DO, TDS, COD, BOD, 녹조, 수온, oil 등 다양한 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동수단(3)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의 수면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수단(3)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공급관(41)과, 상기 공급관(41)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센서(42)와, 상기 공급관(41) 하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산기공이 형성되는 폭기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공기공급수단(3)은 길이가 조절되는 공급관(41)에 의해 수중의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폭기구(43)를 통해 수중에 공기가 폭기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관(41)은 도면에서 윈치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4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공기저장조, 펌프 등 공지의 구성이 장착되어 공급관(41)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수중에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용존산소율을 높임으로써 녹조, 유기물 등의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부유시켜 수면에서 이러한 부유물을 제거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관(41)이 상기 하우징(2)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유는 전체 하우징(2)이 수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관(4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부분에 주름형태의 신장부(411)가 구성되도록 하여 수류 등에 대해 공급관(41)의 신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단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41)에도 하나 이상 센서(42)가 구성되는 바, 공급관(41)의 길이에 따라 복수의 센서(42)가 구성되어 수중에서 깊이에 따른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각 센서(42)의 센싱값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토출되는 약제의 종류를 정하거나 폭기량 등을 정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상기 센서(42)에 의해 센싱되는 값은 ph, DO, TDS, COD, BOD, 녹조, 수온, oil 등 다양한 인자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폭기구(43)의 하단에 수저면에 하우징(2)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구(44)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폭기를 위해 상기 공급관(41)을 수저면으로 신장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구(44)가 수저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하우징(2)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44)는 도면에서 무게추의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저면에 삽입되는 앵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 하면 중앙부에는 제 1중공(6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중공(61)으로 공급관(41)이 관통하도록 하고 내부에 저장공간(62)이 형성된 시설구비조(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공간(62)에는 각종 전기설비 등이 내재되도록 하여 시설구비조(6) 자체가 무게추와 같이 하우징(2)의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구성으로 작동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 상단에는 외부에 송신이 가능한 카메라(7)가 구성되도록 하여 현장상황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링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히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가 구비되어야 하며 외부의 관제센터가 구성되어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앙부에 상기 제 1중공(61)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중공(911)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41)이 관통하는 부유성재질의 링부(91)와 상기 링부(91) 측면에서 복수로 돌출되는 날개부(92)로 구성된 교반날개(9)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41)에는 상기 제 1중공(61)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 2중공(911)보다 직경이 큰 걸림플랜지(412)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41)이 하방향 유동시 상기 걸림플랜지(412) 상기 링부(91) 상면에 걸리면서 공급관(41)과 교반날개(9)가 일체로 하방향 연동을 하는 예를 제시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교반날개(9)는 부유성재질의 링부(91)와 링부(91)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날개부(9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교반날개(9)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 유동시 등에는 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설구비조(6) 하면에 접한상태로 상기 공급관(41)의 길이조절에 의해 폭기구(43)에 의해 시설구비조(6) 하면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다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관(41)을 하방향 수저면으로 신장시 공급관(41)에 구성된 상기 걸림플랜지(412)가 상기 링부(91) 상면에 걸리면서 공급관(41)의 하방향유동과 같이 상기 교반날개(9)도 하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공급관(41)의 신장후 공급관(41)을 통해 상기 폭기구(43)로 공기가 공급되면서 수중에서 폭기가 이루어지는 바, 폭기가 이루어진 기포는 상향으로 유동을 하는데 이렇게 상향하는 기포는 상기 날개부(92)를 타격하게 되어 상기 교반날개(9)는 걸림플랜지(412)에 접한상태에서 회전연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반날개(9)의 회전연동에 의해 수중에서는 폭기와 동시에 교반이 이루어져 수중에서 폭기된 기포의 용존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날개부(92)는 상기 링부(1)에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상향하는 기포의 타격에 의해 교반날개(9)가 회전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교반날개(9)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폭기된 수중에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폭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기작을 위해 상기 제 1중공(61)의 직경(d2), 제 2중공(911)의 직경(d1) 및 걸림플랜지(412)의 직경(d3)은 d2 > d3 > d1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하우징(2)의 수면에서 유동, 수중에서 폭기 등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상기 태양광발전수단(5)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여 전기공급시설이 없는 오지 등에서도 자체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발전수단(5)은, 양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한쌍의 태양전지모듈(51)과, 상기 하우징(2) 상단에 돌출되는 고정바(52)와, 상기 고정바(5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한쌍의 태양전지모듈(51)이 고정되는 태양광추적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51)은 각각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양방향에서 태양광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태양광추적구(53)에 의해 고정바(52)에 고정이 되도록 하여 조사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광추적구(53)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장치 2 : 하우징
3 : 유동수단 4 : 공기공급수단
5 : 태양광발전수단 6 : 시설구비조

Claims (6)

  1. 수면에서 부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하부에 하나 이상 구성되어 수면에서 하우징을 유동케 하는 유동수단;
    상기 하우징에서 하부로 길이가 조절되며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상기 하우징 상단에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센서와, 상기 공급관 하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산기공이 형성되는 폭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하면 중앙부에는 제 1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중공으로 공급관이 관통하도록 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시설구비조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제 1중공보다 직경이 작은 제 2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관통하는 부유성재질의 링부와 상기 링부 측면에서 복수로 돌출되는 날개부로 구성된 교반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제 1중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 2중공보다 직경이 큰 걸림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이 하방향 유동시 상기 걸림플랜지가 상기 링부 상면에 걸리면서 공급관과 교반날개가 일체로 하방향 연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질개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수단은,
    양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한쌍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돌출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한쌍의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되는 태양광추적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질개선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구의 하단에는 수저면에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질개선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4670A 2020-02-07 2020-02-07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KR10222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70A KR102229799B1 (ko) 2020-02-07 2020-02-07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70A KR102229799B1 (ko) 2020-02-07 2020-02-07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799B1 true KR102229799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70A KR102229799B1 (ko) 2020-02-07 2020-02-07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7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92B1 (ko) * 2007-07-19 2009-07-02 주식회사 솔라비 호소 수질순환장치의 흡입구 원격 자동조절장치
JP2011143400A (ja) * 2009-12-17 2011-07-28 Marsima Aqua System Corp 昇降式曝気循環装置
KR101168372B1 (ko) * 2010-03-11 2012-07-24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1235053B1 (ko) 2010-07-22 2013-02-19 (주)인바이어플랜텍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1244272B1 (ko) * 2011-04-08 2013-03-18 주식회사 에프나인 수질 정화용 무인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792B1 (ko) * 2007-07-19 2009-07-02 주식회사 솔라비 호소 수질순환장치의 흡입구 원격 자동조절장치
JP2011143400A (ja) * 2009-12-17 2011-07-28 Marsima Aqua System Corp 昇降式曝気循環装置
KR101168372B1 (ko) * 2010-03-11 2012-07-24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1235053B1 (ko) 2010-07-22 2013-02-19 (주)인바이어플랜텍 녹조제거초음파장비
KR101244272B1 (ko) * 2011-04-08 2013-03-18 주식회사 에프나인 수질 정화용 무인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7761B2 (ja) 太陽光を用いた緑藻防止水循環装置
KR101794207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US20130319921A1 (en) Water circulat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 or lake
KR20150067659A (ko) 호수의 녹조방지 및 녹조제거용 수질정화장치
CN103755046B (zh) 机械混合充氧一体化湖泊水库原位水质改善装置
JP2006264343A (ja) 発電肥沃化浮体
KR102229799B1 (ko) 부유식 수질관리 장치
CN105417743B (zh) 间歇式机械混合‑表层充氧一体化中试装置
KR20150049964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333245B1 (ko) 밀도류 생성방법 및 그 장치
JP2990355B1 (ja) 回転式水質浄化装置
KR20120134651A (ko) 태양에너지와 다중순환흐름을 이용한 물순환장치
KR102595488B1 (ko) 슬러지스크린절삭효과·수중 상하층교반효과·산화구 맞춤형순환루프제어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뉴산화구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044980A (ko) 녹조 모니터링 및 제거시스템과 그 방법
JP2011007174A (ja) 気泡浮力を用いた発電装置
CN105417740A (zh) 一种深水湖泊分层增氧的方法和装置
KR102529650B1 (ko) 저낙차 방류수 및 부력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형 하수처리 시스템
JP2005334835A (ja) 気体溶解装置
JP2004351377A (ja) 有機汚泥の浄化剤拡散装置
JP2005143403A (ja) 漂流式海洋深層水利用施設
CN204151151U (zh) 一种地表水底部造流增氧的装置
KR101036508B1 (ko) 기포 부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14088178U (zh) 一种太阳能地表水环境修复装置
KR102341220B1 (ko) 용존산소공급을 통한 정체수역 수질정화 시스템
KR100459785B1 (ko) 수질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