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93B1 - 의류용 행거 - Google Patents

의류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93B1
KR102228893B1 KR1020190026014A KR20190026014A KR102228893B1 KR 102228893 B1 KR102228893 B1 KR 102228893B1 KR 1020190026014 A KR1020190026014 A KR 1020190026014A KR 20190026014 A KR20190026014 A KR 20190026014A KR 102228893 B1 KR102228893 B1 KR 10222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es
rail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221A (ko
Inventor
정세진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정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진 filed Critical 정세진
Priority to KR102019002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47G25/145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이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옷걸이봉,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행거용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하측레일,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는 움직임이 부드럽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이 손쉬운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용 행거{Clothes Hanger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행거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와 같은 행거는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두기 위한 수단으로, 대개 옷이나 넥타이를 걸어 보관하는 행거는 장롱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실내의 벽면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간격으로 걸이구가 구비된 행거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실내의 구석진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워 다수의 옷을 여러 방향에서 걸어 둘 수 있는 기둥 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 행거는 옷을 보관하거나 외출 시 편리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적은 양의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밖에 없어 공간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사 또는 행거의 위치를 옮기거나 할 경우 행거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벽면에 박힌 못이나 나사를 빼내어야 하고 옮겨진 위치의 벽면에 다시 행거를 고정하기 위해 못이나 나사를 박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행거가 설치된 벽면 주변이 퇴색되거나 또는 구멍이 발생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공간인 도어를 이용하여 옷과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다.
한편, 패션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과거에 비하여 개개인이 다량의 의복을 보유하게 되는 추세에 따라, 의복 매장뿐만 아니라 가정에도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는 행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대량의 수납이 가능한 행거의 경우 필요한 의복을 찾고자 할때 다수의 의복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814호에는 옷장 내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횡봉이 설치된 의복 걸이대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20610호(발명의 명칭 :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에서는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1지지체;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의 제1고정가이드홈 상단에 연결되어 제1지지체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1걸이체; 상기 제2지지체의 제2고정가이드홈 상단에 연결되어 제2지지체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2걸이체;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를 따라 상부와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포함하는 의복 걸이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복 걸이대에는 대량의 의복을 보관하기 어려우며, 의복 걸이대 내부에 다수의 의복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의복을 찾기 위해 의복 사이를 밀면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의복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행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움직임이 부드럽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이 손쉬운 의류용 행거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몸체, 상기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 회전축, 상기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회전축, 상기 수평 회전축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높이 조절용 너트,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상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행거용 롤러 및 복수의 파트로 구성된 레일을 이용하여 의류용 행거를 제작할 경우 이동걸이의 움직임이 매우 부드럽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행거의 설치를 위한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용 행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 행거용 레일파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 행거용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의류용 행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움직임이 부드럽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이 손쉬운 의류용 행거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몸체, 상기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 회전축, 상기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회전축, 상기 수평 회전축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높이 조절용 너트,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상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행거용 롤러 및 복수의 파트로 구성된 레일을 이용하여 의류용 행거를 제작할 경우 이동걸이의 움직임이 매우 부드럽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행거의 설치를 위한 조립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이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옷걸이봉,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행거용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하측레일,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류용 행거’는 의류 및 잡화를 보관할 수 있는 일체의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행거용 롤러’는 의류용 행거에 부착된 구성을 이동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롤러 또는 바퀴가 부착된 일체의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상측레일’은 행거에 부착된 레일 중 저면을 기준으로 저면 상측에 위치한 레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하측레일’은 행거에 부착된 레일 중 저면을 기준으로 저면에 위치한 레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직선파트’는 의류용 행거에 사용된 복수의 레일 파트 중 직선 형태 또는 일견하여 직선 형태로 보이는 레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곡선파트’는 의류용 행거에 사용된 복수의 레일 파트 중 곡선 형태 또는 일견하여 곡선 형태로 보이는 레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내측파트’는 곡선파트에 사용된 한 쌍의 파트 중 의류용 행거 내측 방향을 향해 위치하는 파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외측파트’는 곡선파트에 사용된 한 쌍의 파트 중 의류용 행거 외측 방향을 향해 위치하는 파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행거용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몸체, 상기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 회전축, 상기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회전축, 상기 수평 회전축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및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높이 조절용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행거용 롤러가 수평 회전축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 및 수직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한 쌍의 바퀴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바퀴를 이용하여 행거용 롤러의 균형을 유지할 경우 이동걸이의 부드러운 구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행거용 롤러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행거용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상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상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상단에 베어링을 결합할 경우 상기 이동걸이에 무거운 하중의 의류가 장시간 걸려있는 경우라도 이동걸이의 구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높이 조절용 너트 및 상기 베어링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동걸이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직선파트 및 곡선파트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을 각각 직선파트 및 곡선파트로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측레일 및 하측레일을 곡선파트 및 직선파트로 구성할 경우 조립 및 시공이 간편하고, 제작을 위한 금형의 크기를 줄여 제작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장소에 따라 의류용 행거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직선파트 및 상기 곡선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선파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직선파트 결합부 및 상기 곡선파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곡선파트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직선파트 및 상기 곡선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된 후 보강덮개에 의해 결합부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곡선파트는 바람직하게는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곡선파트를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로 구성한 다음 서로 결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금속으로 제작된 레일의 직선파트의 경우 압출공정 등을 통해 손쉽게 제조가 가능하나, 곡선파트의 경우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직선파트를 전용 지그를 이용하여 휨 작업을 진행해야 하고 휨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곡선파트를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로 제작하여 서로 결합시킬 경우 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제작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내측파트 또는 외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 및 상기 외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는 금속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이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옷걸이봉,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행거용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하측레일,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는 움직임이 부드럽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이 손쉬운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에 포함된 상측레일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에 포함된 행거용 롤러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에 포함된 행거용 롤러가 이동걸이에 결합된 모습을 노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에 포함된 내측파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인 의류용 행거에 포함된 외측파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의 결합모습과 관련된 참고도를 나타낸다.
도 8은 곡선파트에 형성된 결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행거(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레일(1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롤러(40)의 정면도, 측면도 및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파트(60) 중 내측파트(62)의 사시도, 외측파트(63)의 사시도 및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의 결합과 관련된 참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행거(1)는 지지본체(10), 상측레일(11), 지지대(13), 하측레일(15) 및 이동걸이(30)를 포함하고, 레일은 직선파트 결합부(51)가 형성된 직선파트(50), 곡선파트 결합부(61)가 형성된 곡선파트(60) 및 보강덮개(70)를 포함한다.
지지본체(10)에는 상측레일(11), 복수의 지지대(13) 및 하측레일(15)이 포함된다. 상측레일(11) 및 하측레일(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을 갖는다.
하측레일(15)은 도시되지 않은 지면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을 가진다. 상측레일(11)은 하측레일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레일(15)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지지대(13)는 상측레일(11) 및 하측레일(15)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하측레일(15)에 의해 상측레일(11)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동걸이(30)의 상측은 상측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레일(11)에 결합되고, 이동걸이(30)의 하측은 하측레일(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레일(15)에 결합된다.
이동걸이(30)에는 프레임 및 옷걸이봉이 포함된다.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옷걸이봉은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는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옷걸이봉에는 의복을 걸기 위한 복수의 옷걸이(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1)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행거용 롤러(40)가 결합될 수 있다.
행거용 롤러(40)는 이동걸이(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행거용 롤러(40)의 하단부는 프레임의 상단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 및 ‘수직’은 수학적인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 각종 오차를 감안한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함을 밝힌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용 롤러(40)는 몸체(41), 수평 회전축(42), 수직 회전축(43), 한 쌍의 바퀴(44), 바퀴(45), 높이 조절용 너트(46) 및 베어링(47)을 포함한다.
한 쌍의 바퀴(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용 롤러(40)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바퀴(44)는 행거용 롤러(4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행거용 롤러(40)에 설치된 수평 회전축(42)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퀴(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퀴(44)의 상측에 배치된다. 바퀴(45)는 한 쌍의 바퀴(44)의 상측에 수직방향, 즉 행거용 롤러(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결합된 수직 회전축(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직 회전축(43)은 프레임의 하측에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측레일(11)에는 레일본체가 포함된다. 레일본체는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중공 사각봉 형상을 갖는다. 즉, 레일본체의 단면은 하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레일본체의 내부에는 행거용 롤러(40)의 한 쌍의 바퀴(4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행거용 롤러(40)는 그 상측이 절개부를 통하여 레일본체 내로 삽입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바퀴(45)는 절개부의 양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이동걸이(30)가 상측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한 쌍의 바퀴(44)에 의해 이동걸이(30)의 하중이 상술한 내측 저면에 의해 지지되며, 한 쌍의 바퀴(44)의 회전에 의해 이동걸이(30)가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바퀴(45)는 상술한 양측면의 표면에 접하여, 이동걸이(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안 행거용 롤러(40)의 측면이 레일본체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한 쌍의 바퀴(44) 및 바퀴(45)에 의해 이동걸이(30)는 상측레일(11)의 레일본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바퀴(44) 및 바퀴(45)의 표면에는 탄성소재가 코팅되어, 이동걸이(3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레일본체와의 구름접촉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하측레일(15)에는 하측 레일본체가 포함된다.
하측 레일본체는 상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중공 사각봉 형상을 갖는데, 하측 레일본체의 단면은 상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하측 레일본체에 형성된 절개부에는 이동걸이(30)의 하단에 결합된 롤러 또는 가이드수단이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파트(60)는 끼움돌기(65)가 형성된 내측파트(62) 및 끼움홈(66)이 형성된 외측파트(63)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파트(60)에는 곡선파트 결합부(61)가 형성된다.
행거 1 지지본체 10
상측레일 11 지지대 13
하측레일 15 이동걸이 30
프레임 31 옷걸이봉 33
행거용 롤러 40 몸체 41
수평 회전축 42 수직 회전축 43
한 쌍의 바퀴 44 바퀴 45
높이 조절용 너트 46 베어링 47
직선파트 50 직선파트 결합부 51
곡선파트 60 곡선파트 결합부 61
내측파트 62 외측파트 63
결합수단 64 끼움돌기 65
끼움홈 66 보강덮개 70

Claims (10)

  1.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의류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이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옷걸이봉,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행거용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하측레일,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레일 및 상기 하측레일은 각각 직선파트 및 곡선파트로 구성되고,
    상기 직선파트 및 상기 곡선파트는 상기 직선파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직선파트 결합부 및 상기 곡선파트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곡선파트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곡선파트는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파트 또는 외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는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는 상기 내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 및 상기 외측파트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파트 및 상기 외측파트는 금속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행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6014A 2019-03-06 2019-03-06 의류용 행거 KR10222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14A KR102228893B1 (ko) 2019-03-06 2019-03-06 의류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14A KR102228893B1 (ko) 2019-03-06 2019-03-06 의류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21A KR20200107221A (ko) 2020-09-16
KR102228893B1 true KR102228893B1 (ko) 2021-03-18

Family

ID=7266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14A KR102228893B1 (ko) 2019-03-06 2019-03-06 의류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939B1 (ko) * 2014-07-18 2015-12-31 손명관 커튼 레일 커넥터
KR101738217B1 (ko) * 2014-01-07 2017-05-29 정태석 행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07B1 (ko) * 2010-06-23 2013-01-03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217B1 (ko) * 2014-01-07 2017-05-29 정태석 행거
KR101581939B1 (ko) * 2014-07-18 2015-12-31 손명관 커튼 레일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21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084A (en) Glide runner support
KR20200002858U (ko)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KR102228893B1 (ko) 의류용 행거
KR102228890B1 (ko) 의류용 행거
US7396092B2 (en) Sliding guide for drawers and other furniture parts slide out of the body of a piece of furniture
ITAN960007U1 (it) Intelaiatura componibile porta-cestelli per mobili d'angolo destri o sinistri
KR20230021333A (ko) 수평프레임 보강대 및 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KR20100010729A (ko) 포스트형 행거의 커튼 설치 구조
EP3564473B1 (en) Perimeter frame for glass doors
CN204483536U (zh) 滑动导轨系统
KR102346740B1 (ko) 선반 랙 조립구조
KR200470666Y1 (ko) 선반 지지 장치
KR200465305Y1 (ko) 스탠드형 옷걸이
KR101071114B1 (ko)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AU2005200825B2 (en) Improvements in mobile storage furniture
CN211186756U (zh) 一种挂衣架及衣帽间
JP2519863B2 (ja) 冷蔵庫の棚装置
KR20060106492A (ko)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CN212307767U (zh) 洗碗机
KR20080004926U (ko)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RU72834U1 (ru) Штанга для вешалок
CN214510531U (zh) 一种用于展览的组合式门展示架
US20050103238A1 (en) High capacity movable merchandise display table
JP4823555B2 (ja) 商品陳列什器
KR200422358Y1 (ko) 미닫이장의 도어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