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217B1 - 행거 - Google Patents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217B1
KR101738217B1 KR1020140186683A KR20140186683A KR101738217B1 KR 101738217 B1 KR101738217 B1 KR 101738217B1 KR 1020140186683 A KR1020140186683 A KR 1020140186683A KR 20140186683 A KR20140186683 A KR 20140186683A KR 101738217 B1 KR101738217 B1 KR 10173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pedal
moving
up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092A (ko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정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석 filed Critical 정태석
Publication of KR2015008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행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옷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이동걸이를 복수로 구비하고, 이동걸이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측레일 및 하측레일을 이용함으로써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의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HANGER FOR CLOTHES}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한 의복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행거에 관한 것이다.
패션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과거에 비하여 개개인이 다량의 의복을 보유하게 되는 추세에 따라, 의복 매장뿐만 아니라 가정에도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는 행거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대량의 수납이 가능한 행거의 경우 필요한 의복을 찾고자 할 때 다수의 의복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814호에는 옷장 내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횡봉이 설치된 의복 걸이대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의복 걸이대에는 대량의 의복을 보관하기 어려우며, 의복 걸이대 내부에 다수의 의복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요한 의복을 찾기 위해 의복 사이를 밀면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의복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행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814호(고안의 명칭: 의복 걸이대, 등록일자: 2000년 8월 1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의복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량의 의복을 행거에 거치하였을 때에도 용이하게 이동걸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형상의 외각선을 갖는 하측레일과, 상기 하측레일과 상응하는 외각선을 갖고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과,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하측레일에 대하여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와, 하측은 상기 하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상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는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걸이는 장방형의 이동걸이프레임과,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호차와,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측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하측이 평평한 다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호차는 상기 상측레일의 중공부 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리브와, 상단은 상기 수평리브에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상측레일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수평리브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측방롤러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방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측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하측이 평평한 다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호차는 지지축과,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블록과, 상기 한 쌍의 블록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측면 및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은 상기 상측레일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차는 상기 블록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는 베어링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안착홈에 안착된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레일의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경사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호차는 평판 형상의 호차프레임과, 상단부는 상기 호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호차프레임의 일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홈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롤러와, 상기 호차프레임의 일면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홈부가 형성된 보조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롤러의 경사홈부에는 상기 상측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롤러의 경사홈부에는 상기 상측레일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돌출부에는 한 쌍의 돌출경사면과 상기 돌출경사면 사이에 배치된 롤러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홈부에는 한 쌍의 홈경사면과 상기 홈경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면에 접하는 레일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한 쌍의 홈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지지면 또는 상기 레일지지면에는 탄성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행거는, 레일본체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벨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홈에 안착되는 전동벨트와, 상기 전동벨트를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벨트구동수단과, 상기 호차프레임 및 상기 전동벨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가이드는 상단은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측레일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가이드롤러축과, 상기 가이드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패달축과 일단부는 상기 패달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패달이 구비된 패달로드와 상기 패달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구비한 패달모듈과, 톱니 형상의 돌기부를 갖는 래칫이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내부에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가동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동하우징의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레일 또는 상기 하측레일에 연결된 가동모듈과, 상기 패달모듈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을 연결하는 전동케이블과,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걸이에 연결된 가동편을 구비한 킥스타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달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전동케이블에 의해 전달된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동하우징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동편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패달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하우징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래칫의 회동으로 상기 걸림돌기와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행거는, 상기 복수의 이동걸이 중 이웃한 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걸이는 복수의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양측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자력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옷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이동걸이를 복수로 구비하고, 이동걸이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이용함으로써 대량의 의복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걸이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원하는 의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체중을 이용한 킥스타터 또는 이동걸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다량의 의복을 거치하였을 때에도 이동걸이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걸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A로 표시된 호차의 사시도
도 4는 상측레일의 구조 및 호차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하측레일의 구조 및 하측가이드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호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호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킥스타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킥스타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9는 상측레일 및 호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1)에는 지지본체(100) 및 복수의 이동걸이(200)가 포함된다.
지지본체(100)에는 상측레일(110), 복수의 지지대(130) 및 하측레일(150)이 포함된다. 하측레일(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외각선을 가지며, 상측레일(110)은 하측레일(150)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각선을 갖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측레일(150)의 외각선은 타원형 외에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측레일(110) 또한 하측레일(150)의 형상에 상응한 외각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레일(110)에는 레일본체(111)가 포함되는데, 상측레일(110)의 형상에 따라 레일본체(1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11a) 및 곡선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레일(150)은 도시되지 않은 지면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측레일(110)은 하측레일(150)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지지대(130)는 상측레일(110) 및 하측레일(15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하측레일(150)에 의해 상측레일(110)이 지지되도록 한다.
복수의 이동걸이(200)의 상측은 상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레일(110)에 각각 연결되고, 그 하측은 하측레일(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레일(150)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이동걸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로 표시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걸이(200)에는 이동걸이프레임(210), 옷걸이봉(220), 호차(230) 및 하측가이드가 포함된다.
이동걸이프레임(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옷걸이봉(220)은 이동걸이프레임(210)의 내측에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옷걸이봉(220)에는 의복을 걸기 위한 복수의 옷걸이(도시되지 않음) 등이 결합될 수 있는데, 옷걸이봉(220)의 형상 및 수는 거치할 의복(도시되지 않음)의 형태나 수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호차(230)는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걸이프레임(210)에 설치되는 호차(230)의 수는 이동걸이프레임(210)에 가해지는 하중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 양쪽에 한 쌍의 호차(230)가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측가이드에는 가이드롤러(240) 및 가이드롤러축(241)이 포함되며, 하측가이드는 이동걸이프레임(210)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레일(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걸이프레임(210)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하측가이드의 수는 호차(230)의 수와 상응하는 수가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호차(230)가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 양쪽에 설치될 경우 하측가이드 또한 이동걸이프레임(210)의 하측 양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측레일(110) 및 하측레일(150)이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측레일(110) 및 하측레일(1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걸이(200)의 상측 및 하측 이동궤적을 일치시켜서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 중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걸이프레임(210)에는 지지브라켓(231), 수평리브(233), 측방롤러(234, 235) 및 지지롤러(236, 237)가 포함된다.
지지브라켓(231)은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지지브라켓(231)의 하단부는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단부에 용접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 및 '수직'은 수학적인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 각종 오차를 감안한 '나란함' 및 '수직'을 의미함을 밝힌다.
지지브라켓(231)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수평리브(233)가 결합된다.
지지롤러(236, 2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5)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236, 237)는 지지브라켓(23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지지브라켓(231)에 설치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방롤러(234, 2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리브(233)의 상측 양쪽에 나란히 배치된다. 측방롤러(234, 235)는 리브(233)의 상측 양단부에 수직방향, 즉 지지브라켓(2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측가이드의 가이드롤러축(241)은 이동걸이프레임(210)의 하측에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가이드롤러(240)는 가이드롤러축(24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재(250)는 복수의 이동걸이(200)가 동시에 상측레일(150) 및 하측레일(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되도록 복수의 이동걸이(200)를 서로 연결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50)는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는데, 연결부재(250)으로는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의 체인이나 로프, 피혁 소재의 끈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250)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걸이(200) 중 이웃한 것들이 충돌할 수 있다. 즉, 이동걸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면 복수의 연결부재(250)를 통하여 이 힘들이 전달되면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이동걸이(200) 사이의 유격들이 중첩된다.
이 중첩된 유격이 복수의 이동걸이(20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의 간격보다 클 경우에는 이동걸이(200) 중 힘을 가한 것이 그 이웃한 것에 충돌하게 된다.
만약 이동걸이(200)에 다량의 의복이 거치되어 그 중량이 클 경우에는 위와 같이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이동걸이(200)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연결부재(250)에 인장력이 작용될 경우 형성되는 중첩된 유격의 크기가 상술한 이동걸이(200)의 등간격 배치 시의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다만, 연결부재(250)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하면 이동걸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할 때 복수의 이동걸이(200) 중 힘을 가한 것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연결된 연결부재(250), 즉 가장 처음 인장력이 작용되는 것에 최대의 인장력이 작용된다.
이때 다량의 의복이 이동걸이(200)에 거치되어 복수의 이동걸이(200)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커질수록 연결부재(250)에 가해지는 최대 인장력의 크기 또한 증가되므로, 연결부재(250)가 파단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50)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연결부재(250)의 노후화 등에 의해 예상이 불가능하게 파단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걸이(200)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이동걸이프레임(210)들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완충을 위한 범퍼를 설치할 수 있다.
범퍼로는 도시되지 않은 스펀지나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탄성부재를 범퍼로 사용할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범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범퍼(26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내장될 수 있다.
자력범퍼(260)는 인접한 이동걸이(20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동일한 극이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이동걸이프레임(210)이 매우 가까이 근접하게 되면 자력범퍼(260)들 사이의 척력에 의해 충돌이 방지되거나 충돌 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자력범퍼(260)로는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기력이 매우 강한 자성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의복 주머니 등에 시계나 신용카드 등의 물품이 보관된 경우 자기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범퍼(26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제외한 방향은 철이나 니켈과 같은 강자성체로 제조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등을 배치하여 자기력이 의복 방향으로는 작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측레일의 구조 및 호차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측레일(110)에는 레일본체(111)가 포함된다.
레일본체(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13)가 형성된 중공 사각봉 형상을 갖는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본체(111)의 단면은 하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레일본체(111)의 단면 형상은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사각형 외에 하측이 평평하게 배치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나 반원형, 반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리브 등이 레일본체(111) 내의 중공부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본체(111)의 내부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차(230)가 배치된다. 이때 지지브라켓(231)은 그 상측이 절개부(113)를 통하여 레일본체(111) 내로 삽입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롤러(236, 237)는 절개부(113) 양측에 배치된 레일본체(111)의 내측 저면(117)에 의해 지지되고, 한 쌍의 측방롤러(234, 235)는 레일본체(111)의 내부 양측면(115)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이동걸이(200)가 상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한 쌍의 지지롤러(236, 237)에 의해 이동걸이(200)의 하중이 상술한 내측 저면(117)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롤러(236, 237)의 회전에 의해 이동걸이(200)가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측방롤러(234, 235)는 상술한 양측면(115)의 표면에 접하여,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안 지지브라켓(231)의 측면이 레일본체(111)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호차(230)가 레일본체(111)의 곡선부(111a)를 주행하게 될 때 지지브라켓(231)이 절개부(113)의 양측과 충돌하거나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롤러(236, 237) 및 한 쌍의 측방롤러(234, 235)에 의해 이동걸이(200)는 상측레일(110)의 레일본체(1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롤러(236, 237) 및 한 쌍의 측방롤러(234, 235)의 표면에는 탄성소재가 코팅되어,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레일본체(111)와의 구름접촉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하측레일의 구조 및 하측가이드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하측레일(150)에는 레일본체(151)가 포함된다.
레일본체(151)는 상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53)가 형성된 중공 사각봉 형상을 갖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본체(151)의 단면은 상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측레일(150)의 레일본체(151)에는 지지대(130)를 통하여 상측레일(110) 및 이동걸이(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레일본체(151)의 단면 형상은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사각형 외에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나 반원형, 반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리브 등이 레일본체(151) 내의 중공부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롤러축(241)은 절개부(153)를 통하여 하측이 삽입된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롤러(240)는 레일본체(151)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240)는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걸이(200)의 하측이 레일본체(15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즉, 가이드롤러(240)는 가이드롤러축(2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롤러(240)가 레일본체(151)의 양쪽 내측면 중 어느 한 곳에 접촉될 경우 구름접촉 되면서 이동걸이(2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이드롤러(240)의 표면에도 탄성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도 6에는 호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도 6에 도시된 호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차(400)에는 지지축(440), 한 쌍의 블록(410, 420), 베어링(430), 복수의 지지롤러(418, 428), 회전지지부재(450) 및 고정부재(460) 등이 포함된다.
지지축(4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확장된 형상의 헤드를 가지며, 지지축에는 고정부재(460)가 결합되는 고정홈(442)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이동걸이(200)의 이동걸이프레임(210)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부(441)가 형성된다.
한 쌍의 블록(410, 420)은 중간 부분이 지지축(44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한 쌍의 블록(410, 420)에는 복수의 지지롤러(418, 428)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블록(410, 420)을 편의상 제1 블록(410) 및 제2 블록(420)이라 하면, 제1 블록(410)에는 블록본체(411)가 포함되고, 블록본체(411)의 일측에는 지지롤러(418)가 결합되는 지지롤러축(417)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회동연결부(412)가 형성된다.
제2 블록(420)에는 블록본체(421)가 포함되고, 블록본체(421)의 일측에는 회동연결부(42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지지롤러(428)가 회동연결부(422)가 형성된다.
회동연결부(421, 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 부분에 지지축(440)이 삽관통하는 축공(415, 425)이 각각 형성되고, 회동연결부(421, 422)는 블록본체(411, 421)보다 상하 방향 두께가 절반 정도로 형성되어 회동연결부(421, 422)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블록본체(421, 422)와 그 두께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쪽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동연결부(421, 422)에는 베어링안착홈(426)이 형성되어 제1 블록(410) 및 제2 블록(420)의 상대적인 회동을 지지하는 베어링(430)이 여기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축(440)이 축공(415, 425) 및 베어링(430)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제1 블록(410) 및 제2 블록(420)에 결합된 후에는 고정홈(442)에 고정부재(460)가 결합되어 제1 블록(410) 및 제2 블록(4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재(460) 및 제2 블록(420)의 블록본체(421) 사이에는 회전지지부재(450)가 개재되어 제1 블록(420) 및 제2 블록(430)이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블록본체(421) 및 고정부재(46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제1 블록(420) 및 제2 블록(430)이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회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차(400)가 레일본체(도 1의 111)의 직선부(11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참고로, 직선부(111a)는 앞에서 설명한 상측레일(110)의 일부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직선부(111a)의 단면은 하측이 평평한 다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고, 도시된 사각형 외에 하측이 평평하게 배치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나 반원형, 반타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롤러(418, 428)은 상측레일의 내측 저면(도 4의 117 참조)뿐만 아니라 양측면(도 4의 115 참조)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지지롤러(418, 428)가 불소수지와 같이 마찰력이 매우 적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롤러((418, 428)의 특성에 의해 호차(4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111b)를 주행하게 될 경우, 제1 블록(410) 및 제2 블록(420)은 지지축(440)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호차(400)는 상측레일(110)의 레일본체(111)를 이루는 직선부(111a) 및 곡선부(111b)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즉, 여기에 연결된 복수의 이동걸이(200)가 상측레일(11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지지축(440)의 하측, 즉 체결부(441)는 상측레일(110)의 절개부(도 4의 113 참조)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자중 외에 여기에 거치되는 의복의 하중이 지지축(440)에 작용된다.
따라서, 한 쌍의 블록(410, 420) 간의 회동 가능한 연결 부분은 높은 견고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회동연결부(412, 42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리브(413, 423) 및 여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회동홈(414, 424)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홈(414, 424)에 회동리브(413, 423)이 각각 결합되면 지지축(440)에 작용되는 하중이 고정부재(460)로 집중되지 않고 회동리브(413, 423)과 회동홈(414, 424)으로 분산되므로, 한 쌍의 블록(410, 420) 사이의 회동 가능한 결합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는 킥스타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더의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킥스타터(3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행거(1)의 규모가 증가되어 이동걸이(200)의 수가 많아지고 여기에 거치되는 의복의 양이 증가될수록 이동걸이(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이동걸이(200)에 작용하는 관성이 증가되므로, 이동걸이(200)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필요한 의복을 찾기 위하여 이동걸이(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데에는 많은 힘을 요하게 된다.
반면, 일단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을 시작한 후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지속되도록 하는 데에 보다 적은 힘을 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지되어 있는 이동걸이(200)를 좀 더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기 시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1)에는 킥스타터(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킥스타터(300)에는 패달모듈(310), 전동케이블(330) 및 가동모듈(350)이 포함되고, 가동모듈(350)에는 가동하우징(360) 및 슬라이더(370)가 포함된다.
패달모듈(310)에는 패달하우징(311), 패달(312), 패달로드(313), 패달축(315) 및 복귀스프링(316)이 포함된다.
패달하우징(311)은 지지대(130)의 하측이나 하측레일(150)의 일부분과 같이 행거(1)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요소에 배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패달(312)을 용이하게 밟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패찰축(315)은 패달하우징(311) 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 양단부가 패달하우징(31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패달로드(313)의 일단부는 패달축(315)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패달로드(313)의 일단부가 패달축(31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달축(3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패달보스(3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패달로드(313)의 타단부에는 패달(312)이 구비된다. 패달(312)은 사용자가 발로 밟는 부분으로, 행거(1)가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됨을 감안하여 패달(312)은 맨발이나 양말만 착용한 상태로 밟을 수 있도록 과도한 요철은 형성되지 않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에 실리콘 고무 등을 코팅하여 신체의 일부에 접촉되었을 때 통증 및 극심한 온도차가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귀스프링(316)은 패달(312)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패달(312)을 밟는 등의 방법으로 패달(312)에 하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패달(31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패달(312)이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슬라이더(3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을 갖는 개구(372)가 형성된 슬라이더하우징(371), 복수의 래칫(373), 복수의 회동제한턱(374), 복수의 래칫축(377) 및 복수의 토션스프링(378)이 포함된다.
복수의 래칫축(377)은 슬라이더하우징(37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간격을 형성하며 설치되며, 여기에 복수의 래칫(373)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칫(373)의 일측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부(37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회동제한턱(374)이 형성된다. 회동제한로드(37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75)가 개구를 통하여 최대한 돌출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래칫축(377)에는 양단부가 래칫(373) 및 슬라이더하우징(371)에 각각 결합되어 래칫(373)이 도면에 곡선화살표로 표시한 방향과 반대방향, 즉 래칫축(377)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톱날형 돌기부(375) 중 곡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때, 회동제한로드(37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제한턱(374)이 회동제한로드(376)에 안착되어 래칫(373)이 토션스프링(378)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래칫(373)은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여기서 일방향은 도면에 곡선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즉 토션스프링(378)이 래칫(373)을 탄성지지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힘 중 래칫(373)의 톱니형 돌기부(375) 중 평면 형상을 가진 부분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래칫(373)은 회동되지 않으나, 반대로 돌기부(375) 중 곡면이 형상을 가진 부분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래칫이 회동되어 돌기부(375)가 개구(372) 내로 이동된다.
가동하우징(360)은 일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상술한 슬라이더(370)가 안착되는 슬라이더안착공간(362)이 형성된다. 슬라이더(370)는 슬라이더안착공간(362) 내에 슬라이더(37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가동하우징(360)의 일측에는 리턴스프링(360)이 설치되는데, 리턴스프링(360)의 일단부는 가동하우징(36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리턴스프링(360)의 타단부는 가동하우징(360) 내에 안착된 슬라이더(37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리턴스프링(360)은 슬라이더(370)를 가동하우징(360)의 일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리턴스프링(360)은 가동하우징(360)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70)의 일단부를 가동하우징(360)의 일측 방향으로 견인하는 탄성력을 가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리턴스프링(360)이 가동하우징(360) 내의 타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370)의 타단부를 가동하우징(360)의 타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동케이블(330)에는 전동와이어(331), 지지피복(332) 및 고정부재(333, 334)가 포함된다.
전동와이어(331)로는 인장강도가 높은 와이어가 사용된다. 지지피복(332)은 전동와이어(331)의 표면을 감싸되 전동와이어(331)의 외주면과 지지피복(332)의 내주면이 밀착되거나 결합되지 않아서 전동와이어(331)가 지지피복(332)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재(333, 334)는 지지피복(33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중간부분에는 전동와이어(331)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피복(332)의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333)는 패달하우징(311)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재(334)는 가동하우징(36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와이어(331)의 일단부는 패달로드(313) 또는 패달(312)에 결합되고 와이어(331)의 타단부는 슬라이더(370)의 타측에 결합된다.
도 11 및 도 12에는 킥스타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킥스타더(300)의 작동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사용자가 패달(312)을 밟는 등의 방법으로 패달(31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 와이어(331)의 일단부가 패달로드(313)의 이동에 따라 견인된다. 이때, 지지피복(332)의 일단부 결합된 고정부재(333)는 패달하우징(3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동와이어(331)는 전동케이블(330)에 대하여 일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전동와이어(331)의 타단부에 타측이 결합된 슬라이더(370)는 가동하우징(360) 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리턴스프링(363)은 신장된다. 즉, 패달(31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12에 점선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더(360)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킥스타터(300)에는 래칫(373)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걸림돌기(381)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가동편(380)이 더 포함된다.
가동편(380)은 지지브라켓(도 3의 231), 지지축(도 7의 440) 또는 이동걸이프레임(210) 등 이동걸이(2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가동편(3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돌기(381)가 배치되는 방향이 슬라이더(37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 즉 복수의 래칫(373)이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걸림돌기(381)와 복수의 래칫(373)이 치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동하우징(360)은 지지본체(100), 즉 상측레일(110), 지지대(130) 또는 하측레일(150)에 고정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패달(312)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걸림돌기(381)는 치합된 래칫(373)에 의해 슬라이더(37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받게 되어 가동편(380)은 실선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37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편(380)이 연결된 이동걸이(220)는 패달(312)이 외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측레일(110) 및 하측레일(1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걸이(220)에 다량의 의복이 거치되어 그 중량이 클 경우에는 관성에 의해 이동걸이(220)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시작하도록 하는 데에 큰 힘이 드는 반면, 이동걸이(220)가 일단 슬라이딩 이동되기 시작한 다음에는 이동걸이(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속시키는 데에는 보다 적은 힘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킥스타터(300)는 사용자의 체중을 패달(312)에 가하면 되므로, 정지되어 있던 이동걸이(22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노약자와 같이 이동걸이(2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시작하는 것이 곤란한 사용자도 행거(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패달(312)에 가해지던 체중 등의 외력이 해제되면, 복귀스프링(316)에 의해 패달(312)이 상방향으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리턴스프링(360)에 의해 슬라이더(370)가 가동하우징(360)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되어 있던 래칫(373) 및 걸림돌기(381)에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래칫(373)은 이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돌기부(375)가 개구(372) 내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도 11에 점선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슬라이더(37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는 래칫(373)에 의하여 걸림돌기(381)로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가동편(380)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이동걸이(220)가 슬라이딩 이동 중이었다면 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지속될 수 있고, 이동걸이(220)가 정지상태였다면 슬라이더(370)가 슬라이딩 이동되더라도 이동걸이(220)는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래칫(373) 및 걸림돌기(381)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슬라이더(370)가 슬라이딩 이동 되는 동안, 래칫(373)이 회동 및 복귀를 반복하면서 돌기부(375)의 곡면이 형성된 부분과 걸림돌기(381)가 충돌 및 마찰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도록, 래칫(373)이나 걸림돌기(381)의 표면은 탄성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걸이(200)에 다량의 의복이 거치되어 하중이 큰 경우, 슬라이딩 이동 중인 복수의 이동걸이(200) 중에서 찾고자 하는 의복이 사용자의 전방에 다다랐을 때 그 의복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동걸이(200)를 즉시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 많은 힘이 소요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행거(1)에는 이동걸이(200)가 슬라이딩 이동 중일 때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는 브레이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는 킥스타터(300)의 패달모듈(310) 및 전동케이블(330)에 도시되지 않은 락커를 결합하고, 락커는 전동케이블(330)로 외력이 전달되면 고무와 같이 마찰계수가 큰 물체가 가동편(380)에 접촉되도록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는 상측레일 및 호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상측레일에 호차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표시된 B-B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측레일(500)에는 레일본체(510)가 포함된다. 레일본체(510)는 단면이 전반적으로 장방형을 갖는 부재가 상하방향의 방향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고, 레일본체(5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둘출된 한 쌍의 경사돌출부가 레일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호차(600)에는 평판 형상의 호차프레임(610), 호차프레임(61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지지브라켓(611), 호차프레임(610)의 일면에 결합된 지지롤러축(625) 및 보조롤러축(645), 지지롤러축(625,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롤러(620, 640), 보조롤러축(6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보조롤러(640) 등이 포함된다.
지지브라켓(611)의 하측은 이동걸이(도 2의 200)의 이동걸이프레임(210)의 상측에 결합되는데, 지지브라켓(611)은 앞에서 설명한 지지브라켓(도 3의 231)에 상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레일본체(510)의 상측에 형성된 경사돌출부에는 한 쌍의 지지롤러(620, 630)가 배치되고, 레일본체(510)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돌출부에는 보조롤러(640)가 배치된다.
도 15에는 도 14에 C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롤러(620)의 외주면에는 경사홈부(621)가 형성되고, 레일본체(510)의 상측에는 경사돌출부(511)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롤러(620)는 경사홈부(621)에 경사돌출부(511)가 삽입되는 형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경사돌출부(511)에는 레일본체(510)의 양측으로 한 쌍의 돌출경사면(512, 513)이 형성되고, 돌출경사면(512, 513) 사이에는 롤러지지면(514)이 형성된다.
경사홈부(621)에는 지지롤러(620)의 외주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홈경사면(622, 623)이 형성되고, 홈경사면(622, 623) 사이에는 레일지지면(624)이 형성된다.
롤러지지면(514) 및 레일지지면(6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 롤러지지면(514) 및 레일지지면(624)은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돌출경사면(512, 513)이 형성하는 각도(θ1)은 한 쌍의 홈경사면(622, 623)이 형성하는 각도(θ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돌출부(511)는 경사홈부(621)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가 레일본체(510)의 곡선부(510a, 510b)를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지지롤러(630) 및 보조롤러(640)는 상술한 지지롤러(62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고, 설명하지 않은 레일본체(510)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돌출부(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또한 상술한 레일본체(510) 상측의 경사돌출부(511)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따라서, 지지롤러(630), 보조롤러(640) 및 레일본체(510) 하측의 경사돌출부에 관한 설명은 지지롤러(620) 및 경사돌출부(51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돌출경사면(512, 513)이 형성하는 각도(θ1)와 한 쌍의 홈경사면(622, 623)이 형성하는 각도(θ2)의 차이에 의해 레일본체(510)의 중심선(CR)이 일측으로 경사각(θ3)을 가진 상태로도 지지롤러(620)가 레일본체(5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호차(600)는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차프레임(610)의 일면 방향에 배치된 중심점(O1)에 대하여 곡률반경(R1)을 갖는 원호가 중심선(CR1)이 되는 곡선형상의 레일본체(510a)를 따라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차프레임(610)의 타면 방향에 배치된 중심점(O2)에 대하여 곡률반경(R2)를 갖는 원호가 중심선(CR2)이 되는 곡선형상의 레일본체(510b)를 따라서도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도 16에 예시된 경우에서 곡률반경(R1)이 지나치게 작아질 경우에는 호차프레임(610)의 일면에 레일본체(510a)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곡선형 레일본체(510a)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레일본체(510a)와 호차프레임(610) 사이의 거리, 즉 지지롤러축(625) 및 보조롤러축(645)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 예시된 경우에서 곡률반경(R2)이 지나치게 작아질 경우에는 호차프레임(610)의 양측 가장자리가 레일본체(510b)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곡선형 레일본체(510b)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호차프레임(610)의 폭, 또는 호차프레임(610)에 한 쌍의 지지롤러(620, 630)가 배치된 위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롤러(620)가 레일본체(51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지지면(624)에 탄성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도 19에는 지지롤러(620)의 레일지지면(624)에 요철(626)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호차(600)가 동력에 의해 상측레일(500)을 따라 자동으로 주행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호차프레임(610)의 타면에 전동기 등의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구동수단의 축을 지지롤러축(625)에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회전력이 지지롤러(620)로 전달되게 할 경우, 구동수단을 제어함에 따라 호차(6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롤러(6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지롤러(620)의 레일지지면(624) 및 레일본체(510)의 롤러지지면(514)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지지면(624)에 요철이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롤러지지면(514)에도 상응하는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면, 지지롤러(620)의 구동에 의한 호차(6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게 될 경우 미끄러짐에 의한 위치오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단, 이럴 경우에는 고정되어 있는 상측레일(500)에 대하여 이동되는 호차(600)에 구동수단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호차(600)의 하중이 증가되는 동시에 호차(600)를 따라 이동되는 구동수단에 전원 등의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는 곤란함이 발생된다.
도 20 및 도 2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전동벨트(520), 벨트구동수단 및 연결핀(612)이 더 포함된다. 벨트구동수단에는 피니언(530), 피니언축(531) 및 피니언축에 회전력을 가하는 피니언축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포함된다
레일본체(51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벨트홈(516)이 형성되고, 그 중간 부분에는 피니언(53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피니언삽입구(518)가 형성된다. 그리고, 벨트홈(516)의 상측 및 하측에는 벨트홈(516)에 안착된 전동벨트(520)가 레일본체(5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돌기(517)가 돌출 형성된다.
전동벨트(520)의 일면에는 피니언(530)의 치형에 상응하는 랙기어(521)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핀지지공(523)이 중심부에 형성된 핀지지부(522)가 돌출 형성된다.
핀지지공(523)에는 호차프레임(6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거나 돌출되도록 결합된 연결핀(612)이 구비되며, 연결핀(612)의 단부는 핀지지공(523)에 삽입되어 핀지지부(52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피니언축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피니언축(531)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피니언(5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동벨트(520)가 레일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전동벨트(520)에 연결된 호차(600)가 레일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벨트구동수단, 즉 피니언축 구동수단, 피니언축(531) 및 피니언(531)이 상측레일(50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면, 벨트구동수단에 용이하게 전력 등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호차(600)의 무게 증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여러 개의 호차(600)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벨트구동수단의 회전여부,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을 조종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하면, 다량의 의복을 차례로 수납하거나 필요한 의복을 찾는 작업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행거 100: 지지본체
110: 상측레일 111: 레일본체
111a: 직선부 111b: 곡선부
113: 절개부 115: 양측면
117: 저면 130: 지지대
150: 하측레일 151: 레일본체
153: 절개부 200: 이동걸이
210: 프레임 220: 옷걸이봉
230: 호차 231: 지지브리켓
233: 수평리브 234, 235: 측방롤러
236, 237: 지지롤러 240: 가이드롤러
241: 가이드롤러축 250: 연결부재
260: 자력범퍼 300: 킥스타터
310: 패달모듈 311: 패달하우징
312: 패달 313: 패달로드
314: 패달보스 315: 패달축
316: 복귀스프링 330: 전동케이블
331: 전동와이어 332: 지지피복
333, 334: 고정부재 350: 가동모듈
360: 가동하우징 361: 개방부
362: 슬라이더안착부 363: 견인스프링
370: 슬라이더 371: 슬라이더하우징
372: 개구 373: 래칫
374: 회동제한턱 375: 돌기부
376: 회동제한로드 377: 래칫축
378: 토션스프링 380: 가동편
381: 걸림돌기 400: 호차
410: 제1 블록 411: 블록본체
412: 회동연결부 413: 회동리브
414: 회동홈 415: 축공
417: 지지롤러축 418: 지지롤러
420: 제2 블록 421: 블록본체
422: 회동연결부 423: 회동리브
424: 회동홈 425: 축공
426: 베어링안착홈 428: 지지롤러
430: 베어링 440: 지지축
441: 체결부 442: 고정홈
450: 회전지지부재 460: 고정부재
500: 상측레일 510: 레일본체
511: 경사돌출부 512, 513: 경사면
514: 롤러지지면 516: 벨트홈
517: 지지돌기 518: 피니언삽입구
520: 전동벨트 521: 랙기어부
522: 핀지지부 523: 핀지지공
530: 피니언 531: 피니언축
600: 호차 610: 호차프레임
611: 지지브라켓 612: 연결핀
620, 630: 지지롤러 621: 경사홈부
622, 623: 경사면 624: 레일지지면
626: 요철 625, 635: 지지롤러축
640: 보조롤러 645: 보조롤러축

Claims (13)

  1. 원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형상의 외각선을 갖는 하측레일;
    상기 하측레일과 상응하는 외각선을 갖고, 상기 하측레일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측레일;
    상기 하측레일 및 상기 상측레일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하측레일에 대하여 상기 상측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 및
    하측은 상기 하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상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복수의 이동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걸이는 장방형의 이동걸이프레임;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호차; 및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측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하측이 평평한 다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호차는 지지축;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블록; 및 상기 한 쌍의 블록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측면 및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은 상기 상측레일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행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는
    상기 상측레일의 중공부 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리브;
    상단은 상기 수평리브에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상측레일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브라켓;
    상기 수평리브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측방롤러;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측레일의 내측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방롤러;를 포함하는 행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는
    상기 블록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는 베어링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안착홈에 안착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행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레일의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경사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호차는
    평판 형상의 호차프레임;
    상단부는 상기 호차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브라켓;
    상기 호차프레임의 일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홈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롤러; 및
    상기 호차프레임의 일면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홈부가 형성된 보조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롤러의 경사홈부에는 상기 상측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롤러의 경사홈부에는 상기 상측레일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돌출부가 삽입된 행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출부에는 한 쌍의 돌출경사면과, 상기 돌출경사면 사이에 배치된 롤러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홈부에는 한 쌍의 홈경사면과, 상기 홈경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면에 접하는 레일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한 쌍의 홈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보다 작은 행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면 또는 상기 레일지지면에는 탄성소재가 코팅된 행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레일본체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벨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홈에 안착되는 전동벨트;
    상기 전동벨트를 상기 상측 레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벨트구동수단; 및
    상기 호차프레임 및 상기 전동벨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행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면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가이드는
    상단은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측레일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 가이드롤러축; 및
    상기 가이드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행거.
  11. 제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패달축과, 일단부는 상기 패달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패달이 구비된 패달로드와, 상기 패달로드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구비한 패달모듈;
    톱니 형상의 돌기부를 갖는 래칫이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내부에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 가동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동하우징의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레일 또는 상기 하측레일에 연결된 가동모듈;
    상기 패달모듈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을 연결하는 전동케이블; 및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걸이에 연결된 가동편;을 구비한 킥스타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달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전동케이블에 의해 전달된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동하우징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동편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패달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하우징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래칫의 회동으로 상기 걸림돌기와의 치합이 해제되는 행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걸이 중 이웃한 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행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이는
    복수의 상기 이동걸이프레임의 양측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자력범퍼;를 더 포함하는 행거.
KR1020140186683A 2014-01-07 2014-12-23 행거 KR101738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577 2014-01-07
KR1020140001577 201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92A KR20150082092A (ko) 2015-07-15
KR101738217B1 true KR101738217B1 (ko) 2017-05-29

Family

ID=5379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683A KR101738217B1 (ko) 2014-01-07 2014-12-23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21A (ko) * 2019-03-06 2020-09-16 정세진 의류용 행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78Y1 (ko) * 2022-12-30 2023-06-23 주식회사 동화속나무 상판 확장형 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69B1 (ko) * 2012-09-18 2013-06-20 하헌석 이송용 대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69B1 (ko) * 2012-09-18 2013-06-20 하헌석 이송용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21A (ko) * 2019-03-06 2020-09-16 정세진 의류용 행거
KR102228893B1 (ko) * 2019-03-06 2021-03-18 정세진 의류용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092A (ko)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2975C1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я багажной полки
EP1809143B1 (en) Self closing apparatus mounted to a slide
CN100457508C (zh) 具有被制动的滑动件的卷帘系统
US7465000B2 (en) Automatic drawer slide homing apparatus
EP3023719B1 (en) Refrigerator
KR20110015331A (ko) 닫힘조절장치
KR101738217B1 (ko) 행거
JP2007537378A5 (ko)
AU2009307206B2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JP2019502339A (ja) 索形状の部材を固定及び/又は案内する装置
US11337520B2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US20080006744A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monitor
US20120205058A1 (en) Semi-automatic sunshade device
JP2004176262A (ja) 引戸の戸締装置
KR101183724B1 (ko) 미닫이 장치
JP5416294B1 (ja) ベルト取付治具
KR200446199Y1 (ko) 가구용 레일 댐핑장치
JP4726203B2 (ja) 開閉部材閉止装置
CN216406453U (zh) 门锁结构及电器
TWM413401U (en) Adjustable wedging device of sliding rail
CN106232926A (zh) 加速或制动装置
TWI404604B (zh) Power clutch device for electric nail gun
KR101601858B1 (ko) 도어 힌지
KR101414794B1 (ko) 문서 고정대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JP2012223423A (ja) 引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