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26U -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 Google Patents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926U
KR20080004926U KR2020070006626U KR20070006626U KR20080004926U KR 20080004926 U KR20080004926 U KR 20080004926U KR 2020070006626 U KR2020070006626 U KR 2020070006626U KR 20070006626 U KR20070006626 U KR 20070006626U KR 20080004926 U KR20080004926 U KR 20080004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sket
support
fix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일
Original Assignee
한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일 filed Critical 한용일
Priority to KR2020070006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926U/ko
Publication of KR20080004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 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식기 수납대는 식기가 수납되는 바스켓과, 중공형 봉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이 고정되는 걸이를 갖는 바스켓 지지부와, 슬라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바스켓 지지부를 슬라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바스켓, 지지부 및 슬라이드부를 서로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공형 지지부를 고정돌기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식기 수납대,슬라이드,바스켓,고정돌기

Description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Dish rack with slid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의 사시도.
도2는 식기 수납대 동체부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슬라이드부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슬라이드부에 사용되는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6은 도6의 B 방향에서 본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7은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8은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가 사용된 식기 수납대 동체부의 사시도.
본 고안은 식기 수납대,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가 부착되어 있어서 식기 수납대를 수납장에 대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식기 수납대에 관한 것이다.
식기 수납대는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하여 안치시키는 주방용품이다. 식기 수납대는 통상 싱크대의 개수부 근방에 위치시켜서 사용하였으나, 미관상 및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적당한 수납장에 인입시켜서 위치시키고 사용할 때만 인출 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6-0039813호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 출구부에 가이드홈 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홈 내로 삽입되는 지지틀을 포함하는 바스켓으로 구성되어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식기 수납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식기 수납대는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식기 수납대를 위치시킬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설치장소의 폭이 넓을 경우, 가이드 레일 간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바스켓 자체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바스켓 크기가 설치장소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비실용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식기 수납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편한 식기 수납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이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그 조립이 간편한 식기 수납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바스켓을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수납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식기가 수납되는 바스켓과, 중공형 봉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이 고정되는 걸이를 갖는 바스켓 지지부와, 슬라이드 부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바스켓 지지부를 슬라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식기 수납대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는 고정레일, 이동레일 ,및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대해 활주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서 식기 수납대는 수납부에 대해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부의 중공부가 삽입되는 고정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돌기의 일측에는 외향돌기가 형성되며 고정돌기로 삽입되는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외향돌기와 맞물리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지지부는 슬라이드에 타이트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지지부는 한 쌍의 H 형 봉으로 구성되되, 봉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바스켓, 지지부 및 슬라이드부를 서로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공형 지지부를 고정돌기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수납대와 식기 수납대 동체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
식기 수납대(1)는 바스켓(3), 지지부(11) 및 슬라이드부(20)로 구성된다.
바스켓(3)은 접시와 같은 식기들이 수납되기에 적절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느다란 철봉을 절곡 및 용접하여 형성시킨 바스켓(3)을 상,하로 2개 사용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바스켓(3)을 제외한 부분이 식기 수납대 동체부(10)로, 이 동체부(10)는 지지부(11)와 슬라이드부(20)로 구성된다.
지지부(11)는 속이 빈 중공형의 봉 형상을 가지며 적당한 위치에 상기 바스켓(3)이 걸려서 고정되는 걸이(12)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걸이(12)가 상,하 2단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나 3단 또는 4단으로 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높이를 갖는 바스켓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의 적당한 위치에 걸이
(12)에 걸려지는 수단만 형성되면 되므로 사용되는 바스켓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게 된다. 또한 지지부(11)의 일측 단부에는 가늘고 긴 슬롯(13)이 형성되되 단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부(11)는 봉의 단면이 사각형을 가지나 어떤 단면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도2에는 지지부(11)가 개별적이어서 4개의 지지부(11)가 사용된 것을 보여주나, 보다 안정감있는 지지작용을 하도록 2개의 지지부를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H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지지부(11')를 사용할 수도 있다(도8 참조).
슬라이드부(20)는 고정레일(21),이동레일(30) 및 리테이너(60)로 구성된다.
고정레일(21)은 수평웨브(21'), 이 수평웨브(21')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웨브
(22) 및 수평방향 플랜지(23)로 구성된다(도4 참조). 수평웨브(21')에는 고정레일
(21)을 식기 수납대(1)가 위치될 수납장에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홈(24)이 형성된다.
이동레일(30)은 고정레일(21)의 수직웨브(22)와 플랜지(23)가 수용되도록 그 전 길이를 따라 일측이 절개된 중공형의 사각봉 형상을 갖는다. 봉의 일측면에는 홈(31)이 형성된다.
도 5는 리테이너(60)의 사시도이고,도 7은 도 6의 B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리테이터(60)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의 형태로서 다수의 활주롤러(61,63,65,67)(도 7참조)가 구비되어 있으며,일측에는 홈(68)이 형성되어 있다.이 홈(68)은,도6의 A방향에서 본 리테이너(6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ㄱ 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리테이너(60)의 홈(68)에는 고정레일(21)의 수직웨브(22)와 플랜지(23)가 삽입된다.이때,두개의 롤ㄹ로1,63)은 상기 플랜지(52)의 상,하면과 접촉하여 이 면상을 활주하고,두 개의 롤러 (65,67)는 수직웨브(22)의 내,외측 면과 접촉하며 두개의 롤러(61,63)은 플랜지(23)와 접촉한다.한편 각 롤러(61,63,65,67)는 이동레일(30)의 중공부 내측벽을 따라 활주운동을 한다.이와 같이 리테이너(60)는 이동레일(30)과 고정레일(21)을 연계시켜서 상호에 대해 활주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리테이너(60)는 좌,우 대칭적으로 제조된 것이 한 쌍으로 이동레일(30) 중공부에 삽입되어 사용되되 원활한 활주이동을 하기에 충분한 갯수(4~10 개가 적당)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동레일(30)의 중공부에는 적당한 위치에 상기 리테이너(60)가 이동 레일을 벗어나 일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며, 이러한 스톱퍼의 위치나 롤러형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슬라이드의 일반적인 사항은 슬라이드 업계에 공지된 사항으로 여기서는 더 이상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60)는 이동레일(30)이 고정레일(21)에 대해 원활하게 활주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4(편의상 리테이너는 도시하지 않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30)은 고정레일(21)에 대해 활주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레일(30),에는 지지부(11)를 슬라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된다. 이 고정수단은 지지부(11)를 슬라이드부(2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상기 고정수단은 지지부(11)의 중공부가 삽입되는 고정돌기(27)로 구성된다. 지지부(11)가 사각봉의 단면을 가지므로 고정돌기(27)도 그에 상응하도록 단면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돌기(27)에는 적당한 위치
, 바람직하게는 이동레일(30)의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돌기(27)로 삽입된 지지부(11)는 걸림턱(28)에 걸려서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돌기(27)는 슬라이드부(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고정돌기(27)를 형성한 후 슬라이드부(20)에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정돌기(27)는 별도로 형성한 후 고정돌기(27)에 형성된 고정홈(26)을 통해 볼트(29)로 이동레일(30)의 일측벽에 고정된 것을 보여준다. 이때 이동레일 일측면에 형성된 홈(31)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적당한 공구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고정이 용이하 다.
한편, 고정돌기(27)의 일측면에 외측을 향하는 외향돌기(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향돌기(25)는 임의의 형상으로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간편하게 고정돌기(27) 동체에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시켜서 형성시킨 것이다. 이 외향돌기(25)로 전술한 지지부(11)의 슬롯(13)이 맞물리도록 삽입된다. 이에 의해 지지부(11)는 보다 확실하고 안정하게 고정돌기(27)에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지지부(11)가 슬라이드부(20)의 고정돌기(27)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음에 고정레일(21)이 식기 수납대가 위치되는 적당한 곳,예를 들면 싱크대 하부의 수납장,에 고정되고, 끝으로 바스켓(3)이 지지부(11)의 걸이 안치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바스켓(3)은 간편하게 수납장 외부로 및 내부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바스켓, 지지부 및 슬라이드부를 서로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중공형 지지부를 고정돌기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Claims (4)

  1. 식기가 수납되는 바스켓과,
    중공형 봉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이 고정되는 걸이를 갖는 바스켓 지지부와,
    고정레일, 이동레일 ,및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대해 활주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바스켓 지지부를 슬라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지지부의 중공부가 삽입되는 고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돌기의 일측에는 외향돌기가 형성되며 고정돌기로 삽입되는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외향돌기와 맞물리는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한 쌍의 H 형 봉으로 구성되되, 봉의 단면이 사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KR2020070006626U 2007-04-21 2007-04-21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KR200800049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26U KR20080004926U (ko) 2007-04-21 2007-04-21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26U KR20080004926U (ko) 2007-04-21 2007-04-21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26U true KR20080004926U (ko) 2008-10-24

Family

ID=4150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626U KR20080004926U (ko) 2007-04-21 2007-04-21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9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532A (zh) * 2013-12-20 2014-03-26 江苏酷太厨房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碗碟架
CN104116432A (zh) * 2014-07-23 2014-10-29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一种悬式厨具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532A (zh) * 2013-12-20 2014-03-26 江苏酷太厨房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碗碟架
CN104116432A (zh) * 2014-07-23 2014-10-29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一种悬式厨具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398B2 (ja) 道具、特に工具の収納用デバイス
EP2218355B1 (en) Vertical structure for column cabinets
US7992728B2 (en) Versatile track for storage and organization
US7607744B2 (en) Domestic refrigerator provided with shelves
US8573416B2 (en) Adjustable shelf assembly
US8261920B1 (en) Portable shelf unit supported by a towel bar
KR20150048215A (ko) 인출 가이드, 인출 가이드를 가지는, 가전 제품 및 가구의 물품, 및 부착 키트
KR20080004926U (ko) 슬라이드가 부착된 식기 수납대
KR20100000391U (ko) 보조상판이 구비된 식탁
JP3242062U (ja) 金属ラックに取り付けるレール付き引き出し用バスケットのレール装置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US9049930B1 (en) Cabinet drawer floor and fence assembly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US7900782B2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stemware
JP5284078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2010172391A (ja) 高さ変更自在な棚板の支持装置
KR200415672Y1 (ko) 코너 선반
KR20170002937U (ko) 수납장용 레일 조립체
JP2008061683A (ja) 厨房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収納構造、厨房キャビネット、厨房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および厨房キャビネット用小物入れ
JP5578741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KR20210054949A (ko) 창틀용 식기선반
KR102669523B1 (ko) 싱크대 선반
KR20160133231A (ko) 가구용 북앤드 시스템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CN103200843B (zh) 用于抽屉底部的支承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