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73A - 식기선반 - Google Patents

식기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73A
KR20210054973A KR1020200076067A KR20200076067A KR20210054973A KR 20210054973 A KR20210054973 A KR 20210054973A KR 1020200076067 A KR1020200076067 A KR 1020200076067A KR 20200076067 A KR20200076067 A KR 20200076067A KR 20210054973 A KR20210054973 A KR 20210054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lf
extension
withdrawal
di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범
Original Assignee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아트와이어 filed Critical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to KR102020007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973A/ko
Publication of KR2021005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선반에 관한 것으로,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받이; 상기 선반부를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서 이격지도록 설치하기 위한 걸이구; 및 상기 선반부의 길이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반부에서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선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과 이격져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식기거치대; 및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선반{Shelf for Dishes}
본 발명은 식기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식기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는 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한 후, 세척된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여 세척된 식기에 묻어있는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용 선반은 크게 싱크대의 상면 일측에 안착 설치되는 바구니식 선반과,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선반으로 대별된다.
위와 같은 선반들 중에서 싱크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싱크대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고정식 선반이 널리 사용되며, 이러한 고정식 선반은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 하방으로 스크류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양단부가 지지프레임에 하단부에 고정되며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선반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선반은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선반부가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정해진 크기로 제작되게 되므로 선반부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식기류는 한정될 수 밖에 없고, 더욱이 수납장의 저면 공간이 충분히 활용 가능한 상황에서도 위와 같은 고정식 선반은 수납장의 저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9-0009552 A KR 10-200247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선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식기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부의 일측에 인출가능한 연장선반부에 식기류를 올려 놓더라도 연장선반부에 올려 놓은 식기류에서 유출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선반부쪽에 설치된 물받이로 유입되도록 하는 식기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부에 걸이구를 결합시킬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선반부에 걸이구를 편리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식기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부와 선반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선반부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연장선반부가 선반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식기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받이; 상기 선반부를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서 이격지도록 설치하기 위한 걸이구; 및 상기 선반부의 길이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반부에서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선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과 이격져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식기거치대; 및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식기선반을 제공한다.
상기 연장선반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인출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인출프레임; 및 상기 전방인출프레임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을 결합하면서, 상기 전방인출프레임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이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식기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식기거치대는, 상기 전방인출프레임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일측에서 상기 전방인출프레임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 사이로 연장되어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거치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식기거치대는 상기 연장거치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을 따라 상기 연장거치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거치판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 위에 식기가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구는.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선반부의 측면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선반부가 상기 수납장의 저면과 이격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전방인출프레임이 상기 전방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전방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인출프레임이 상기 후방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후방레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전방인출프레임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기선반에 따르면,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식기선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의 일측에 인출가능한 연장선반부에 식기류를 올려 놓더라도 연장선반부에 올려 놓은 식기류에서 유출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선반부쪽에 설치된 물받이로 유입되도록 하는 식기선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에 걸이구를 결합시킬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선반부에 걸이구를 편리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식기선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와 선반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선반부가 조립되었을 때에는 연장선반부가 선반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식기선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의 펼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의 접은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의 접은 상태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의 주요부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기선반의 측면프레임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기선반의 연장선반부와 측면프레임이 결합된 조립체와 걸이구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기선반의 연장선반부와 측면프레임이 결합된 조립체에 걸이구를 조립하는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7의 도면에서 조립체에 걸이구를 더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의 도면에서 조립체에 걸이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선반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기선반은 주방 등에서 사용하는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 물받이(30), 걸이구(40), 및 연장선반부(50)로 이루어진다.
선반부(10)는 그릇이나 접시와 같이 주방 등에서 사용되는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1), 전방프레임(12), 식기거치대(13),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후방프레임(1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부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을 보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11a)에는 결합구멍(11b, 11c)과 후방레일부(11d)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전방프레임(12)을 향하는 쪽에 거치턱(11e)과 안내부(11f)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멍(11b, 11c)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1)의 측면에 후술하는 측면프레임(20)의 일측을 볼트(15, 16)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방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구멍(11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측면프레임(20)의 결합구멍(21b)과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15)에 의하여 고정되며, 결합구멍(11c)은 후술하는 측면프레임(20)의 결합구멍(21a)과 정렬된 상태에서 볼트(16)에 의하여 고정된다.
후방레일부(11d)는 후술하는 후방인출프레임(51)이 후방프레임(1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후방프레임(11)의 내부 공간부(11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거치턱(11e)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식기거치대(13)의 후방가로봉(13a)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후방프레임(11)의 외면에 전방프레임(12)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안내부(11f)는 후술하는 연장거치판(55)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연장거치판(55)의 가이드부(58)가 끼워지게 되는 부분으로서, 거치턱(11e)과 이격져서 후방프레임(1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전방프레임(12)은 후방프레임(11)과 이격져서, 후방프레임(11)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후방프레임(11)과 위치 상의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조는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식기거치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이나 접시와 같이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가 실제로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2)과 후방프레임(11)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후방가로봉(13a), 전방가로봉(미도시), 다수의 연결봉(13b), 및 중간가로봉(13c)으로 이루어진다.
후방가로봉(13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1)의 거치턱(11e)에 얹혀져서 설치되며, 전방가로봉(미도시)은 전방프레임(12)의 거치턱(12e)에 얹혀져서 설치된다.
다수의 연결봉(13b)은 후방가로봉(13a)과 전방가로봉(미도시)을 서로 연결하며, 중간가로봉(13c)은 연결봉(13b)들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봉(13b)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미설명부호 14는 접시 등을 세워놓기 위한 보조거치구이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선반부(10)의 측면부 즉, 전방프레임(12)과 후방프레임(11)의 측면부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프레임(20)이 전방프레임(12) 및 후방프레임(11)의 측면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 측면프레임(20)의 전면 부분(21)은 전방프레임(12)의 측면과 결합되고, 측면프레임(20)의 후면 부분(22)은 후방프레임(11)의 측면과 결합되며, 측면프레임(20)의 후면 부분(22)을 후방프레임(11)의 측면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후방프레임(11)의 결합구멍(11b, 11c)과 측면프레임(20)의 결합구멍(21b, 21a)를 서로 맞춘 상태에서 볼트(15, 16)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20)의 전면 부분(21)과 전방프레임(12)의 측면도 측면프레임(20)의 후면 부분(22)과 후방프레임(11)의 측면의 결합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측면프레임(20)은 후술하는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안내구멍(24)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걸이구(40)의 결합부(42), 즉 받침부(44)와 연장부(45)와 후크부(46)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 관련 구성이 형성되며, 결합 관련 구성은 다양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결합부(25)와 후크걸이부(26)와 하부받침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결합부(25)는 후방프레임(11) 쪽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20)의 외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벽체(25a, 25b)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벽체(25a, 25b)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부에는 후술하는 걸이구(40)의 후크부(46) 아래에 형성되는 연장부(45)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지게 된다.
후크걸이부(26)는 측면결합부(25)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는 핀부로서, 핀부에는 걸이구(40)의 후크부(46)가 끼워지게 된다.
하부받침부(27)는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걸이구(40)의 받침부(44)에 의해서 받쳐지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벽체(28)와 수직벽체(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벽체(28)는 선반부(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벽체로서, 수평벽체(28)는 걸이구(40)의 받침부(44)와 접촉하여 받침부(44)가 수평벽체(28), 즉 선반부(10)를 지지하게 된다.
수직벽체(29)는 수평벽체(28)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로서, 수직벽체(29)에는 걸이구(40)의 받침부(44)와 접촉하여 받침부(44)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벽체(29)의 일측에는 수평벽체(28)와 이격진 지점에서 돌출턱(6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벽체(28)와 돌출턱(61) 사이에 걸이구(40)의 받침부(44) 단부가 끼워지게 되면, 걸이구(40)의 받침부(44)는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62는 연장거치판(55)의 단부에 형성한 스토퍼(64)가 걸어지도록 하기 위한 홈부이다.
또한, 측면프레임(20)에는 하부에 후술하는 물받이(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물받이 가이드부(3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다.
연장선반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에서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부분으로서, 선반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인출프레임(51), 전방인출프레임(52), 연장식기거치대(53)로 이루어진다.
후방인출프레임(51)은 후방프레임(11)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51a)가 형성되고, 공간부(51a)의 상측과 하측에는 후술하는 결합판(54)과 결합될 수 있는 홈부(51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측에는 후방프레임(11)의 후방레일부(11d)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63)가 설치된다.
전방인출프레임(52)은 전방프레임(12)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방인출프레임(51)과 위치 상의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조는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연장식기거치대(5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을 결합하면서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이 인출될 때,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과 함께 인출되어,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거치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결합판(54)과 연장거치판(55)을 구비한다.
결합판(54)은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의 각 단부를 마감하면서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을 볼트(67) 등에 의해서 결합한다.
연장거치판(55)은 결합판(54)의 일측에서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판으로서, 연장거치판(55)에 식기가 올려 졌을 때, 식기에서 유출되는 물이 물받이(30)로 흐를 수 있도록 연장거치판(55)의 바닥면(56)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거치판(55)은 바닥면(56)에 다수개의 돌출부(57)가 형성되어 돌출부(57) 위에 식기가 올려지게 되며, 돌출부(57)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식기에서 유출되는 물이 물받이(3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장거치판(55)은 연장거치판(55)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장거치판(55)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5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58)는 연장거치판(55)의 양측에 형성한 각 측벽(59)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방프레임(12)과 후방프레임(11)에 각각 설치된 안내부(11f)를 따라 연장거치판(55)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연장거치판(55)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66은 연장거치판(55)의 가이드부(58)를 안내하기 위하여 측면프레임(20)에 형성한 가이드이다.
또한, 연장거치판(55)은 측면프레임(20)의 상부쪽에 형성한 홈부(62)와 접촉되어 연장거치판(55)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64)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스토퍼(64)는 연장거치판(55)의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연장거치판(55)의 일단부에 스토퍼(64)를 형성하게 되면, 연장선반부(50)를 선반부(10)에서 인출하게 될 때, 연장거치판(55)의 스토퍼(64)가 측면프레임(20)의 홈부(62)에 걸려져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으므로 연장선반부(50)가 선반부(10)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선반부(50)가 선반부(10)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의 일측에 설치한 롤러(63)에 의해서도 구성할 수 있으며, 롤러(63)에 의해서 스토퍼(64)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롤러(63)가 측면프레임(20)에 접촉하게 될 때, 롤러(63)는 측면프레임(20)의 벽 부분에 부딪혀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위의 롤러(63) 역시 스토퍼(64)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걸이구(40)는 선반부(10)를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서 이격지도록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걸이구들이 이용될 수 있고, 그 일 예로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1), 결합부(42), 연결부(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41)는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수납장의 저면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트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2)는 고정부(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선반부(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선반부(10)의 측면프레임(2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일 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44), 연장부(45), 및 후크부(46)로 이루어진다.
받침부(44)는 측면프레임(20)의 하부를 받치기 위한 부분으로서,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벽체(28)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되어 수평벽체(28)를 지지함으로써, 선반부(10)를 지지하게 된다.
연장부(45)는 받침부(44)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받침부(44)와 후크부(46)를 연결하게 되며, 받침부(44)가 수평벽체(28)의 하부에 접촉되었을 때, 연장부(45)는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한 한 쌍의 벽체(25a, 25b) 사이의 슬롯부에 끼워져서 지지되게 된다.
후크부(46)는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한 슬롯부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는 핀부에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연장부(45)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연결부(43)는 선반부(10)가 수납장의 저면과 이격지게 설치되도록 고정부(41)와 결합부(42)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연결부(43)의 길이에 따라 선반부(10)가 수납장의 저면에 설치되는 간격이 정해지게 된다.
물받이(30)는 선반부(10)의 하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서 식기거치대(13)에 올려 놓은 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물받이 가이드부(31)를 따라 끼워지게 된다.
이때, 물받이(30)는 식기거치대(13) 전체의 폭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거치대(13)를 양분하여 2개의 물받이(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2개의 물받이(3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식기거치대(13)의 중앙에 별도의 물받이 지지대(32)가 구비된다,
물받이 지지대(32)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가로봉(13c)에 각각 끼울 수 있는 걸림부(33)가 설치되며, 걸림부(33)의 하단에는 물받이(30)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2개로 구분되어 형성된 물받이(30)는 측면프레임(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물받이 가이드부(31)와 물받이 지지대(32)의 안내부(34)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물받이 지지대는 중간가로봉(13c)에 각각 끼울 수 있는 걸림부(33)와 걸림부(33)의 하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부(3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식기거치대(13)의 중앙에 물받이 지지대(32)를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들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36은 물받이(30)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선반부(50)가 선반부(10)에서 인출되게 되면,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부분이 선반부(10) 뿐만 아니라 연장선반부(50) 위에도 식기류를 올려 놓을 수 있게 되므로 선반부(10)의 폭이 보다 넓은 것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연장선반부(50) 위에 식기류가 올려 놓아질 때에도 식기류는 연장거치판(55)의 바닥면(56)에 형성한 다수의 돌출부(57) 위에 올려지게 되고, 또 바닥면(56)은 물받이(30)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연장선반부(50) 위에 올려진 식기류에서 유출되는 물은 연장거치판(55)의 바닥면(56)에서 물받이(30) 쪽을 향하여 자연스럽게 유출되므로 연장선반부(50) 위에 올려진 식기류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선반부(50)가 선반부(10) 내로 수납되도록 하면, 식기류를 선반부(10) 위에서만 수납하게 되며, 이 때에는 설치 장소가 협소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선반의 폭을 펼칠 때에 비해서 줄여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을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선반부(50)를 선반부(10)에 인출가능하도록 조립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걸이구(40)를 선반부(10)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고, 다음에 걸이구(40)의 고정부(41)를 수납장의 저면에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이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연장선반부(50)를 선반부(10)에 인출가능하도록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을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0)의 안내구멍(24)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전방인출프레임(52)과 후방인출프레임(51)의 단부를 연장식기거치대(53)의 결합판(54)에 볼트(67) 등을 통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선반부(50)와 측면프레임(20)이 결합된 조립체(5)가 얻어지게 된다.
다음에, 위에서 조립된 조립체(5)와 걸이구(40)를 고정결합한다. 걸이구(40)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5)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0)과 연장선반부(50)가 일체로 조립된 조립체(5)와 걸이구(40)를 준비하고,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40)의 후크부(46)가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한 후크걸이부(26)에 끼워지도록 비스듬하게 끼우고,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40)의 후크부(46)를 중심으로 걸이구(40)의 연장부(45)가 회전되도록 회전시키면 연장부(45)가 회전되면서 연장부(45)가 측면프레임(20)의 슬롯부에 끼워지게 되고, 계속하여 연장부(45)가 회전되도록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45)가 측면프레임(20)의 슬롯부에 완전히 끼워지면서 걸이구(40)의 받침부(44)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0)의 수평벽체(28)에 접촉하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44)는 수평벽체(28)와 돌출턱(61) 사이에서 고정이 되어 걸이구(40)는 측면프레임(20)의 일측에 완전히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조립된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선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선반부 11 : 후방프레임
11a : 공간부 12 : 전방프레임
13 : 식기거치대 20 : 측면프레임
30 : 물받이 40 : 걸이구
41 : 고정부 42 : 결합부
43 : 연결부 44 : 받침부
45 : 연장부 46 : 후크부
50 : 연장선반부 51 : 후방인출프레임
52 : 전방인출프레임 53 : 연장식기거치대
54 : 결합판 55 : 연장거치판

Claims (8)

  1.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부(10);
    상기 선반부(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받이(30);
    상기 선반부(10)를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서 이격지도록 설치하기 위한 걸이구(40); 및
    상기 선반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반부(10)에서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선반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반부(10)는,
    내부에 공간부(11a)가 형성된 후방프레임(11);
    상기 후방프레임(11)과 이격져서 상기 후방프레임(11)의 전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방프레임(12);
    상기 전방프레임(12)과 상기 후방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되는 식기거치대(13); 및
    상기 전방프레임(12)과 후방프레임(11)의 양쪽 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선반부(50)는,
    상기 전방프레임(12)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인출프레임(52);
    상기 후방프레임(11)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인출프레임(51); 및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을 결합하면서,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이 인출되었을 때, 인출된 부분에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식기거치대(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식기거치대(53)는,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을 결합하는 결합판(54); 및
    상기 결합판(54)의 일측에서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 사이로 연장되어 식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연장거치판(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식기거치대(53)는 상기 연장거치판(55)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2)과 상기 후방프레임(11)을 따라 상기 연장거치판(5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거치판(55)은 바닥면(56)에 다수개의 돌출부(57)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57) 위에 식기가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40)는.
    주방 벽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납장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
    상기 선반부(10)의 측면프레임(20)과 결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20)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42); 및
    상기 선반부(10)가 상기 수납장의 저면과 이격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부(41)와 상기 결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2)은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이 상기 전방프레임(1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전방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11)은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이 상기 후방프레임(1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후방레일부(11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20)은 상기 전방인출프레임(52)과 상기 후방인출프레임(51)이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안내구멍(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선반.
KR1020200076067A 2020-06-22 2020-06-22 식기선반 KR20210054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67A KR20210054973A (ko) 2020-06-22 2020-06-22 식기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67A KR20210054973A (ko) 2020-06-22 2020-06-22 식기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288A Division KR102128351B1 (ko) 2019-11-06 2019-11-06 식기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3A true KR20210054973A (ko) 2021-05-14

Family

ID=759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67A KR20210054973A (ko) 2020-06-22 2020-06-22 식기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9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552A (ko) 2017-07-19 2019-01-29 진우 이 식기 건조대
KR102002476B1 (ko)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552A (ko) 2017-07-19 2019-01-29 진우 이 식기 건조대
KR102002476B1 (ko)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KR200485024Y1 (ko)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200488534Y1 (ko) 식기 건조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170107188A (ko)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KR102302530B1 (ko) 창틀용 식기선반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US20130099633A1 (en) Expandable Storage System
JP7264628B2 (ja) 物品掛け具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19397165U (zh) 托架组件、餐具架和洗碗机
CN220695605U (zh) 一种拉篮及应用有该拉篮的消毒柜
KR102552100B1 (ko) 빌트인 수납장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KR100947586B1 (ko) 벽면 고정형 선반
CN211354430U (zh) 一种内部可移动式储物衣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