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24Y1 -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 Google Patents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24Y1
KR200485024Y1 KR2020170002487U KR20170002487U KR200485024Y1 KR 200485024 Y1 KR200485024 Y1 KR 200485024Y1 KR 2020170002487 U KR2020170002487 U KR 2020170002487U KR 20170002487 U KR20170002487 U KR 20170002487U KR 200485024 Y1 KR200485024 Y1 KR 200485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long side
bracke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일
Original Assignee
전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일 filed Critical 전한일
Priority to KR2020170002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은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및 레일부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선반이 안착되는 선반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A SHELF FOR A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상부장 하부에 마련되어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수대와 수납장이 구비된 주방가구다. 최근에는 주방이 단순히 식사를 준비하고 정리하는 공간이 아니라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머물게 되는 생활 공간으로 인식되면서, 싱크대의 기능적 측면 또는 인테리어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도 1은 기존 싱크대 세트(1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싱크대 세트(10)는 상부장(11)과 하부장(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장(11)은 주방의 상부 공간에 마련되는 복수의 수납장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종 주방 용품들을 수납한다. 하부장(12)은 주방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부장(1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납장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장(12)에는 개수대가 마련되며 상부에는 조리 공간 등을 제공하는 상판이 결합된다.
한편, 상부장(11)의 하부면에는 싱크대용 선반(1)이 마련될 수 있다. 싱크대용 선반(1)은 상부장(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프레임(미표기)과,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는 선반(미표기, 보통 물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봉재가 간격을 두어 짜여진 형태로 형성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용 선반(1)은 식기 수납 또는 식기 건조 공간으로 사용하거나, 각종 주방 용품을 일시 수납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의 싱크대용 선반(1)은 상부장(11)에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다. 즉 싱크대용 선반(1)의 프레임이 통상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부장(11) 하부면에 고정되는 식이다. 따라서 싱크대용 선반(1)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싱크대용 선반(1)을 상부장(11)으로부터 탈착하고, 위치를 옮겨 다시 재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싱크대용 선반(1)이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 선택할 수 있는 디자인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뿐더러, 선반의 크기 역시 고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싱크대용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선반의 크기를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롤러부재가 상부에 설치된 제1롤러 브라켓과, 제1 롤러 브라켓과 하기 제1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1 지지부재와,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프레임(제1 프레임은 하기 제2 프레임을 안쪽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는 제1 선반을 포함하는 제1 선반브라켓;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 이상의 제2 롤러부재가 상부에 설치된 제2롤러 브라켓과, 제2 롤러 브라켓과 하기 제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2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안쪽에 수용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는 제2 선반을 포함하는 제2 선반브라켓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프레임은 안쪽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과, 제1 장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제1 선반을 안착시키는 제1 선반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장변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과, 제2 장변 프레임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되어 제1 장변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재와, 제2 장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제2 선반을 안착시키는 제2 선반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은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과 한 쌍의 제1 단변 프레임이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변 프레임은 내측 상부분에 형성되어 제1 선반이 결합되는 제1 선반결합부와, 내측 하부분에 형성되어 제2 선반브라켓을 수용하는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와,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장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과 1 이상의 제2 단변 프레임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 프레임은 내측에 형성되어 제2 선반이 결합되는 제2 선반결합부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에 수용되어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는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몸체와, 레일 몸체의 양측부 중앙에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제1 롤러부재 및 제2 롤러부재에 의해 파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슬릿으로 투입되어 제1 선반의 하부에 거치되는 물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침대는 장슬릿 쪽 측단부가 장슬릿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받침대가 제1 선반의 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측단부가 장슬릿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예들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은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지점에 싱크대용 선반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선반프레임이 다른 하나의 선반프레임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형성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선반의 길이를 2배 가까이 확장시킬 수 있어 필요시 주방용품 등의 거치공간을 용이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싱크대 세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에서 제1 선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싱크대용 선반에서 제2 선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싱크대용 선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의 제1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의 제2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싱크대용 선반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100)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확대도는 레일부(110)와 제2 롤러 브라켓(131)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싱크대용 선반(100)은 레일부(110), 제1 선반브라켓(120), 제2 선반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10)는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11, 도 1 참고)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레일부(110)는 레일 몸체(111)와 레일 몸체(111)의 양측부 중앙 부근에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의 확대도 참고). 즉, 레일부(110)의 단면은 십자형이랑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선반브라켓(120)은 제1 롤러 브라켓(121), 제1 지지부재(123), 제1 프레임(124), 제1 선반(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 브라켓(121)의 상부면에는 1 이상의 제1 롤러부재(122)가 설치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롤러 브라켓(121)은 전체적으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 부분이 레일부(110)의 레일 몸체(111)의 하부분과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롤러 브라켓(121)의 상부면 중 레일 몸체(111)의 하부분과 접하는 부분에는 레일 몸체(111)의 하부면 일부를 수용하는 소정 깊이의 홈(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을 통해 제1 롤러 브라켓(121)이 레일 몸체(111)와 보다 안정적으로 접하게 된다.
제1 롤러부재(122)는 상기 홈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형태로 한 쌍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롤러 브라켓(121)의 상기 홈을 기준으로 좌측에 일렬로 2개의 제1 롤러부재(122)가 설치되고, 이와 대칭되도록 우측에 2개의 제1 롤러부재(122)가 설치될 수 있다(총 4개). 이 때, 각 제1 롤러부재(122)의 측부는 안측으로 소정 정도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롤러부재(122)의 측부는 레일부(110)의 돌출부(112)를 상기 인입된 부분에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롤러 브라켓(121)이 레일부(1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롤러부재(122)는 돌출부(112)를 따라 구름운동한다. 레일부(110)의 돌출부(112)가 제1 롤러부재(122)의 측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는 바, 제1 롤러부재(122)가 레일부(110)를 이탈하지 않는다.
제1 지지부재(123)는 상단이 제1 롤러 브라켓(12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1 프레임(124)의 상부에 결합된다. 결합 방식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볼트-너트 등의 통상의 결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1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분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봉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분은 "∩" 형태를 갖는 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의 하단이 간격을 두어 제1 프레임(12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1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형의 봉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예컨대 도 8 참고).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12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부재(123)는 2개의 부재가 상하부로 결합되되 하부 부재가 상부 부재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부재는 상부분에 측방향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미도시)가 탄성부재(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하고, 상부 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재가 상기 홀 중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지지됨으로써 하부 부재를 상부 부재의 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3)는 제1 롤러 브라켓(121)과 제1 프레임(124)을 결합시키고, 제1 프레임(124)의 상부 공간에 주방 용품 등을 배치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면 충분하고 그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제1 프레임(124)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24)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125)과, 제1 장변 프레임(125)의 일측 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 단변 프레임(12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123)의 하단은 제1 단변 프레임(127)의 상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1 단변 프레임(127)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재(123)의 하부분은 "∩" 형태로 형성되어 각 하단부가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125)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24)의 내측에는 제1 선반(20)이 안착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선반(20)은 물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봉재가 간격을 두어 짜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 제1 선반(20)의 하부는 낙하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물 받침대(미도시)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선반(20)은 복수의 홀을 갖는 타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반(20)은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싱크대용 선반의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프레임(124)은 후술할 제2 선반브라켓(130)의 제2 프레임(134)을 안쪽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선반브라켓(130)은 제2 롤러 브라켓(131), 제2 지지부재(133), 제2 프레임(134), 제2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러 브라켓(131)은 앞에서 설명한 제1 롤러 브라켓(1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2 롤러 브라켓(131)의 상부면에는 1 이상의 제2 롤러부재(132)가 설치되고, 제2 롤러 브라켓(131)이 레일부(1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2 롤러부재(132)는 돌출부(112)를 따라 구름운동한다. 마찬가지로 레일부(110)의 돌출부(112)가 제2 롤러부재(132)의 측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는 바, 제2 롤러부재(132)가 레일부(110)를 이탈하지 않는다. 관련하여 도 2의 확대도에는 제2 롤러 브라켓(131)과 레일부(110)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지지부재(133)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지지부재(12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지지부재(133)는 제2 롤러 브라켓(131)과 제2 프레임(134)을 결합시키고, 제2 프레임(134)의 상부 공간에 주방 용품 등을 배치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면 충분하고 그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물론 제1 지지부재(123)와 제2 지지부재(133)가 동일한 높이를 가져야 싱크대용 선반(10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것임은 자명하다.
제2 프레임(134)은 제1 프레임(124)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제1 프레임(124)이 도 2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우측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면, 제2 프레임(134)은 그와는 반대로 좌측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4)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135)와, 제2 장변 프레임(135)의 일측 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2 단변 프레임(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지지부재(133)의 하단은 제2 단변 프레임(137)의 상부면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2 단변 프레임(137)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재(133)의 하부분은 "∩" 형태로 형성되어 각 하단부가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135)에 각각 결합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34)의 내측에는 제2 선반(30)이 안착된다. 제2 선반(30)은 제1 선반(2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뒤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34)은 제1 프레임(124)의 안쪽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124)에 안착된 제1 선반(20)과 제2 프레임(134)에 안착된 제2 선반(30)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프레임(134)에 안착된 제2 선반(30)이 제1 프레임(124)에 안착된 제1 선반(20)보다 상대적으로 윗 방향에 위치된다.
통상의 싱크대용 선반에 있어서는 식기를 세로로 세워 배치할 수 있도록 위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식기 가이드부가 선반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예컨대 선반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 이와 같은 식기 가이드부는 본 고안에 있어서 보다 윗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제2 선반(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기 가이드부가 제1 선반(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선반(30)이 제1 선반(20)의 상부분에 놓여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식기 가이드부는 제1 선반(20)의 좌측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34)은 제1 선반브라켓(120)의 제1 프레임(124)의 안쪽에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100)에서 제1 선반 브라켓(1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선반 브라켓(120)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선반(20)이 안착되는 제1 프레임(124)과, 제1 프레임(124)의 일측 상부면에 하단이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재(123)와, 제1 지지부재(123)의 상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1 롤러부재(122)가 배치되는 제1 롤러 브라켓(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롤러 브라켓(121)의 상부 중앙부에는 부호 121a로 표기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21a)은 레일부(110)의 레일 몸체(111)의 하부분을 수용하는 형태로 레일 몸체(111)와 접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프레임(124)은 앞에서 설명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125)과, 제1 단변 프레임(127)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프레임(124)은 제1 장변 프레임(125)의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선반 안착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변 프레임(125)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변 프레임(125)은 윗면(125a), 바깥쪽 측면(125b), 바닥면(125c), 안쪽 측면(125d)이 일체형으로 바(bar)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바닥면(125c)과 안쪽 측면(125d)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한다. 상기 틈을 통해 제2 프레임(134)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선반 안착부(126)는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바닥면(125c)의 안쪽 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선반 안착부(126)의 상기 절곡된 부분에 제1 선반(20)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싱크대용 선반(100)에서 제2 선반 브라켓(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선반 브라켓(130)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2 선반(30)이 안착되는 제2 프레임(134)과, 제2 프레임(134)의 일측 상부면에 하단이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133)와, 제2 지지부재(133)의 상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2 롤러부재(132)가 배치되는 제2 롤러브라켓(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롤러 브라켓(131)의 상부 중앙부에는 부호 131a로 표기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31a)은 레일부(110)의 레일 몸체(111)의 하부분을 수용하는 형태로 레일 몸체(111)와 접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프레임(134)은 앞에서 설명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135)과, 제2 단변 프레임(137)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단, 제1 프레임(124)과는 개방된 부분을 달리함). 나아가 제2 프레임(134)은 제2 장변 프레임(135)의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선반 안착부(136)와, 제2 장변 프레임(135)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변 프레임(135)는 전체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1 장변 프레임(125)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단, 제2 장변 프레임(135)은 제1 장변 프레임(125)의 안쪽에 수용되는 바, 제2 장변 프레임(135)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제1 장변 프레임(125)보다 작으며 각 면의 치수 역시 비례적으로 차이가 있다. 제2 장변 프레임(135)은 제1 장변 프레임(125)의 안쪽에 수용되며,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도 마찬가지로 제1 장변 프레임(125)의 안쪽에 수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는 통상의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장변 프레임(135)의 측부에서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는 제1 장변 프레임(125)으로부터 제2 장변 프레임(135)을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선반 안착부(136)는 제2 장변 프레임(135)의 바닥면의 안쪽 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선반 안착부(136)의 상기 절곡된 부분에 제2 선반(30)이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싱크대용 선반(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한 제1 프레임(124)의 안쪽에 도 4에서 설명한 제2 프레임(134)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프레임(124)의 제1 장변 프레임(125) 및 제1 선반 안착부(126), 제2 프레임(134)의 제2 장변 프레임(135) 및 제2 선반 안착부(136)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134)의 제2 장변 프레임(135)은 제1 프레임(124)의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장변 프레임(135)의 측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는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바닥면(125d)에 의해 지지되고, 바닥면(125d)을 따라 구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장변 프레임(135)은 슬라이딩 롤러부재(138)의 구름운동에 의해 제1 장변 프레임(125)에 후방측이 일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는 제2 장변 프레임(135)을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바닥면(125d)으로부터 살짝 들리게 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제2 장변 프레임(135)이 간섭없이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바닥면(125d)에는 슬라이딩 롤러부재(138)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부호 h로 표기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24)의 제1 선반 안착부(126)에는 제1 선반(20)이 안착되고, 제2 프레임(134)의 제2 선반 안착부(136)에는 제2 선반(30)이 안착되는 바, 상술한 것처럼 제2 선반(30)이 제1 선반(20)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100)의 제1 동작도이고, 도 7은 도 2의 싱크대용 선반(100)의 제2 동작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100)은 레일부(110)를 따라 선반브라켓(120,1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도 2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싱크대용 선반(100)의 후방에 위치한 제1 선반브라켓(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롤러 브라켓(미표기)가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싱크대용 선반(100)의 전방에 위치한 제2 선반브라켓(1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롤러 브라켓(미표기)가 마찬가지로 레일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싱크대용 선반(100)은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10, 도 1 참고)의 하부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부장(10)의 다양한 지점에 싱크대용 선반(100)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100)은 제1 선반브라켓(120)을 기준으로 제2 선반브라켓(130)이 제1 선반브라켓(120)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제2 선반브라켓(130)의 제2 프레임(134)이 제1 선반브라켓(120)의 제1 프레임(124)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2 프레임(134)의 바깥쪽 측부에 마련된 슬라이딩 롤러부재(138)가 제1 프레임(124)의 바닥면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운동하기 때문이다. 즉, 제1 선반브라켓(120)을 기준으로 제2 선반브라켓(130)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선반브라켓(130)에 안착된 제2 선반(30)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 선반브라켓(120)에 안착된 제1 선반(20)이 제2 선반(30)으로 길이가 확장되는 효과를 낳는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다시 제1 선반(20) 만큼의 길이로 축소된다. 이와 같이 선반의 길이를 2배 가까이 확장시킬 수 있는 바, 필요시 주방용품 등의 거치공간을 용이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제2 선반브라켓(130)이 전방 이동할 때에 제1 선반브라켓(12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1 선반브라켓(120)의 제1 장변 프레임(125)의 바닥면(125d)의 전방에는 제2 선반브라켓(130)의 제2 장변 프레임(135)의 측부에 마련된 슬라이딩 롤러부재(138)의 이탈을 막는 스톱퍼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 부재는 예컨대 돌기 부재로 슬라이딩 롤러부재(138)가 스톱퍼 부재를 넘어가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제2 선반브라켓(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선반브라켓(130)이 후방 이동할 때에는, 제2 프레임(134)의 제2 단변 프레임(137)이 제1 프레임(124)의 제1 장변 프레임(125) 전단부에 의해 막힘으로써 제2 선반브라켓(130)이 제1 선반브라켓(120)보다 후방으로 이동할 수는 없게 된다(도 2 참고).
나아가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제1 선반브라켓(120)과 제2 선반브라켓(130)의 구분 없이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와,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선반이 안착되는 선반브라켓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싱크대용 선반은 상술한 선반의 확장 기능은 없지만, 선반의 이동 기능은 구비하며 선반의 이동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구체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2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싱크대용 선반(200)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선반(200)은 레일부(210), 제1 선반브라켓(220), 제2 선반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구체예는 전술한 구체예와 제1 선반브라켓(220)의 형태, 그리고 제1 선반브라켓(220) 및 제2 선반브라켓(230)의 결합관계에서 차이를 갖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레일부(210)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선반브라켓(220)은 제1 롤러 브라켓(221), 제1 지지부재(223), 제1 프레임(224), 제1 선반(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 브라켓(221)은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롤러 브라켓(221)의 상부면에는 1 이상의 제1 롤러부재(222)가 설치되고, 제1 롤러부재(222)의 구름운동에 의해 제1 롤러 브라켓(221)이 레일부(2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23)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는 제1 지지부재(223)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제1 롤러 브라켓(221)의 하부와 제1 프레임(224)의 상부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제1 프레임(224)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225)과, 너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단변 프레임(226)이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속이 빈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쪽 제1 단변 프레임(226)의 상부에는 제1 지지부재(223)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단변 프레임(226)의 크기는 상호 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쪽에 위치한 제1 단변 프레임(226)은 제2 장변 프레임(225)의 측부 전체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전방쪽에 위치한 제1 단변 프레임(226)은 제2 장변 프레임(225)의 측부 일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34)가 제1 프레임(224)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 제2 프레임(234)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제1 장변 프레임(225)은 제1 선반결합부(225a),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 및 장슬릿(22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225a)는 제1 장변 프레임(225)의 내측 상부분에 형성된다. 제1 선반결합부(225a)는 제1 장변 프레임(225)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된 장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225a)에는 제1 선반(20)의 양측부가 결합함으로써 제1 선반(20)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는 제1 장변 프레임(225)의 내측 하부분에 형성된다.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는 제1 장변 프레임(225)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최내측에 위치한 면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틈이 형성된다. 상기 틈을 통해 제2 선반브라켓(230)의 제2 프레임(234)이 삽입될 수 있다.
장슬릿(225c)은 제1 선반결합부(225a)와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 사이에 형성된다. 장슬릿(225c)은 제1 선반(20)의 하부에 거치되는 1 이상의 제1 물받침대(도 8의 부호 21 참고)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장슬릿(225c)을 통해 제1 물받침대(21)를 제1 선반(20)의 하부에 거치시키거나, 또는 제1 선반(20)으로부터 제1 물받침대(21)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물받침대(21)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물받침대(21)의 장슬릿(225c) 쪽 측단부가 장슬릿(225c)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선반브라켓(230)은 제2 롤러 브라켓(231), 제2 지지부재(233), 제2 프레임(234), 제2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러 브라켓(231)은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롤러 브라켓(231)의 상부면에는 1 이상의 제2 롤러부재(232)가 설치되고, 제2 롤러부재(232)의 구름운동에 의해 제2 롤러 브라켓(231)이 레일부(2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33)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는 제2 지지부재(233)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제2 롤러 브라켓(231)의 하부와 제2 프레임(234)의 상부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제2 프레임(234)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235)과, 너비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단변 프레임(236)이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속이 빈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쪽 제2 단변 프레임(236)의 상부에는 제2 지지부재(233)가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후방쪽 제2 단변 프레임(236)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장변 프레임(235)은 제2 선반결합부(235a) 및 슬라이딩 롤러부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결합부(235a)는 앞서 설명한 제1 프레임(224)의 제1 선반결합부(225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선반결합부(235a)는 제2 장변 프레임(235)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된 장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선반결합부에는 제2 선반(30)의 양측부가 결합함으로써 제2 선반(3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선반(30)의 하부에는 제2 물받침대(31)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롤러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술한 구체예에서의 슬라이딩 롤러부재(도 5의 부호 138 참고)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롤러부재는 제2 장변 프레임(235)의 외측 후방측에 1이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롤러부재는 제1 장변 프레임(225)로부터 제2 장변 프레임(235)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본 구체예에 있어서 제2 프레임(234)의 제2 장변 프레임(235)은 제1 프레임(224)의 제1 장변 프레임(225)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변 프레임(225)의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제2 장변 프레임(235)의 외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롤러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롤러부재는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225b)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프레임(234)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체예의 경우는 전술한 구체예와는 달리 제2 프레임(234)이 제1 프레임(224)의 하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전후방 이동하게 되므로, 제2 프레임(234)에 안착된 제2 선반(30)이 항상 제1 프레임(224)에 안착된 제1 선반(2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200: 싱크대용 선반
110, 210: 레일부
120, 220: 제1 선반 브라켓
121, 221: 제1 롤러 브라켓
123, 223: 제1 지지부재
124, 224: 제1 프레임
130, 230: 제2 선반 브라켓
131, 231: 제2 롤러 브라켓
133, 233: 제2 지지부재
134, 234: 제2 프레임

Claims (8)

  1.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롤러부재가 상부에 설치된 제1 롤러 브라켓과, 제1 롤러 브라켓과 하기 제1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1 지지부재와,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프레임(제1 프레임은 하기 제2 프레임을 안쪽에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상기 제1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는 제1 선반을 포함하는 제1 선반브라켓;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 이상의 제2 롤러부재가 상부에 설치된 제2 롤러 브라켓과, 제2 롤러 브라켓과 하기 제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제2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안쪽에 수용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된 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내측에 안착되는 제2 선반을 포함하는 제2 선반브라켓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안쪽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과, 제1 장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제1 선반을 안착시키는 제1 선반 안착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장변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과, 제2 장변 프레임의 바깥쪽 측부에 형성되어 제1 장변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재와, 제2 장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제2 선반을 안착시키는 제2 선반 안착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한 쌍의 제1 장변 프레임과 한 쌍의 제1 단변 프레임이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변 프레임은 내측 상부분에 형성되어 제1 선반이 결합되는 제1 선반결합부와, 내측 하부분에 형성되어 제2 선반브라켓을 수용하는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와, 상기 제1 선반결합부 및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장슬릿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한 쌍의 제2 장변 프레임과 1 이상의 제2 단변 프레임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장변 프레임은 내측에 형성되어 제2 선반이 결합되는 제2 선반결합부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선반브라켓 결합부에 수용되어 구름운동하는 1 이상의 슬라이딩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싱크대 세트의 상부장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몸체와, 레일 몸체의 양측부 중앙에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제1 롤러부재 및 제2 롤러부재에 의해 파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선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는 높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싱크대용 선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슬릿으로 투입되어 제1 선반의 하부에 거치되는 물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침대는 장슬릿 쪽 측단부가 장슬릿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받침대가 제1 선반의 하부에 거치되었을 때 상기 측단부가 장슬릿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싱크대용 선반.
KR2020170002487U 2017-05-22 2017-05-22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KR200485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87U KR200485024Y1 (ko) 2017-05-22 2017-05-22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87U KR200485024Y1 (ko) 2017-05-22 2017-05-22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24Y1 true KR200485024Y1 (ko) 2017-11-20

Family

ID=6048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487U KR200485024Y1 (ko) 2017-05-22 2017-05-22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51B1 (ko) * 2019-11-06 2020-06-30 (주)대진아트와이어 식기선반
KR200493240Y1 (ko) * 2020-07-23 2021-02-23 임시주 스탠드 및 고정 겸용 확장형 주방선반
KR102303742B1 (ko) * 2021-03-16 2021-09-17 주식회사 나래 위치이동형 식기건조선반의 거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3827U (ko) * 1975-11-27 1977-06-02
US9259084B1 (en) * 2013-03-14 2016-02-16 Jennifer L. Palmer Expandable cabinet t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3827U (ko) * 1975-11-27 1977-06-02
US9259084B1 (en) * 2013-03-14 2016-02-16 Jennifer L. Palmer Expandable cabinet tr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51B1 (ko) * 2019-11-06 2020-06-30 (주)대진아트와이어 식기선반
KR200493240Y1 (ko) * 2020-07-23 2021-02-23 임시주 스탠드 및 고정 겸용 확장형 주방선반
KR102303742B1 (ko) * 2021-03-16 2021-09-17 주식회사 나래 위치이동형 식기건조선반의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725E1 (en) Laterally stabilizing drawer slide for tall cupboard pull-out
US3295471A (en) Folding-shelf
KR200485024Y1 (ko) 이동 및 확장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
US10561297B2 (en) Wire frame drying rack
CN109475265B (zh) 折叠式餐具搁架
US20170280966A1 (en) A dishwasher wire rack having an improved carrier adaptor tine assembly structure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US7954913B2 (en) Molded plastic support frame for a drawer-type dishwasher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102036017B1 (ko) 싱크대의 걸레받이 서랍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US20200107634A1 (en) Roll-out shelving system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US20030136751A1 (en) Expand-a-platter/tray
KR200363441Y1 (ko) 서브테이블을 갖춘 주방가구
CN213371507U (zh) 厨房设备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JP6490484B2 (ja) ヘッドボードおよびベッド
JP7288836B2 (ja) 多段用引出しおよび多段引出しキャビネット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