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100B1 - 빌트인 수납장 - Google Patents

빌트인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100B1
KR102552100B1 KR1020230000148A KR20230000148A KR102552100B1 KR 102552100 B1 KR102552100 B1 KR 102552100B1 KR 1020230000148 A KR1020230000148 A KR 1020230000148A KR 20230000148 A KR20230000148 A KR 20230000148A KR 102552100 B1 KR102552100 B1 KR 10255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built
protrusion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호
김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담인
Priority to KR102023000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선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다수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거치부재(130);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판거치부재(150);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판거치부재(150)에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마련하여 외측판유닛에 결합된 내측판유닛을 상승시켜 빌트인 가구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납장과 빌트인 가구를 일체화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빌트인 가구와 수납장의 높이가 맞지 않더라도 수납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내측판유닛에 체결된 볼트머리를 외측판유닛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선반에 다수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구공간부에 국자 등을 걸어두어 수납장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빌트인 수납장{Built-in storage}
본 발명은 빌트인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장식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빌트인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장을 빌트의 내부 높이에 맞추어 수납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빌트인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장, 장식장, 붙박이장 및 책장 등을 포함하는 수납장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차지하는 공간은 작되 수납은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가구를 말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수납장은 전면이 개방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수납장 본체와, 상기 수납장 본체의 전면에서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수납장 본체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은 통상 가로 및 세로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에 의해 여러 구획공간으로 나누어지고, 도어는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이 적용되어 사용된다.
그에 따라 종래 통상적인 수납장은 물품의 특성상 수납 용도 이외에는 별도의 활용도가 그리 높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건축물의 실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납장이 설치되어진다. 수납장의 용도에 따라서 대표적으로, 부엌, 침실, 거실, 현관 등에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수납장을 설치하는 방법은 벽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시공목을 측면 패널 양측에 형성된 시공목 삽입홈에 대응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납장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먼저 싱크대와 같은 주방 가구로서 수납장을 설치하는 경우 내부에 적재된 물건으로 인한 지속적인 하중 과부하로 인한 수납장의 측판이 갈라진다거나, 주방 가구의 특성상 습기 노출에 따른 내구성 저하 그리고 가구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해 연결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로 하여 설치 과정에서 파손, 설치 후 수납장의 뒤틀림, 수납장 문짝의 뒤틀림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심한 경우 주방가구가 추락하여 자칫 큰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내에 설치되는 수납장은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게 되는 경우 실내의 다른 물품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수납장이 실내 인테리어를 해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수납장 등을 빌트인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수납장을 빌트인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 빌트인 크기에 맞추어 제작된 수납장을 설치하게 되더라도 빌트인과 수납장의 높이가 달라 수납장과 빌트인을 일체화시킨 상태로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빌트인은 실내의 바닥면과 수평을 맞추어 설치하게 되는데, 실내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빌트인의 높이를 다소 높여 시공하게 되고, 수납장은 미리 측정된 치수에 맞추어 제작하게 됨에 따라 수납장과 빌트인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는 벽면에 고정되며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함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는 2개의 걸이봉이 돌출되어 수평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벽의 외면에 상기 걸이봉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서랍장이 구비되는 인출식 주방 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서랍장이 구비되는 인출식 주방 가구는 주방 벽쪽에 배치되는 본체의 수납구를 통해 슬라이딩이동되어 인출되는 측판에 형성되며, 수납구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장착되는 서랍장이 구비되는 인출식 주방 가구에 적용되고, 상기 측판의 내측면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높이조절공 중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공에 고정핀이 결합되어 대향되는 한 쌍의 제1고정구와, 제1고정구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제1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임의 높이의 제1물품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지주 중 일측 지주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 중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공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 일단이 상기 제2고정구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고정구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레일 및 제2받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물품보다 낮은 높이의 제2물품을 수납하는 제2수납부와, 상기 지주 중 타측 지주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 중 임의높이의 높이조절공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제4고정구와, 일단이 상기 제3고정구의 타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4고정구에 고정되는 제3가이드레일 및 제3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품과 제2물품사이의 중간 높이의 제3물품을 수납하는 제3수납부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1223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13748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569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빌트인 내부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높이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수납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빌트인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장의 측면에 선반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된 볼트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수납장을 보다 미려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빌트인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장의 선반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국자 등의 물품을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빌트인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은 선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다수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거치부재(130);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거치부재(150);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판유닛(111);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면에 결합되는 외측판유닛(121);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수납장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112);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113); 상기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홈부(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114);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115); 상기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홈부(115)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6); 상기 제1 수직판(112)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수직판(112)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17);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판유닛(12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판(122);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부(113)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일측에 제1 홈부(11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내측돌기(123);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홈부(115)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타측에 제2 홈부(115)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내측돌기(124);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형성된 인서트돌기(133, 152)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거치부재(13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수직으로 세워 결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중간거치본체(131);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인서트홈부(132);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홈부(132)에 형성되는 인서트돌기(133);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거치판(134);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거치판(134)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거치홈부(135);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6);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치판(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거치홈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측면거치본체(151);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에 형성되는 제1 인서트돌기(152);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본체(153);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면거치본체(153)에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홈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71);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72);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7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보강판(173);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내측판유닛(11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보강판(173)에 형성되는 볼트고정구(174);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의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구공간부(175); 상기 걸이구공간부(175)에 물건을 끼워 걸어둘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76);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71, 172)에 형성되는 볼트구멍(177);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물수용홈부(1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에 의하면, 외측판유닛에 결합된 내측판유닛을 상승시켜 빌트인 가구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납장과 빌트인 가구를 일체화시킨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빌트인 가구와 수납장의 높이가 맞지 않더라도 수납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내측판유닛에 체결된 볼트머리를 외측판유닛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선반에 다수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구공간부에 국자 등을 걸어두어 수납장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중간거치부재와 측면거치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중간거치부재와 측면거치부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선반플레이트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은 선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와, 다수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거치부재(150)와,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빌트인 수납장은 수납장의 벽체를 형성하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거치부재(150)와,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거치되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판유닛(111)과,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면에 결합되는 외측판유닛(121)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수납장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높이조절측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112)과,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113)와, 상기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홈부(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114)와,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115)와, 상기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홈부(115)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6)와, 상기 제1 수직판(112)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수직판(112)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17)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제1 수직판(112)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판(112)의 일측에는 제1 홈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홈부(113)에는 제1 결합돌기(11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직판(112)의 타측에는 제2 홈부(115)와 제2 결합돌기(116)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판(112)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돌기(117)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판유닛(12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판(122)과,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부(113)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일측에 제1 홈부(11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내측돌기(123)와,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홈부(115)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타측에 제2 홈부(115)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내측돌기(124)와,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형성된 인서트돌기(133, 152)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2 수직판(122)의 일측에는 제1 홈부(1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 내측돌기(123)가 형성되고, 제2 수직판(122)의 타측에는 제2 내측돌기(12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판(121)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가 형성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판유닛(111)과 외측판유닛(121)의 제1 홈부(113)에는 제1 내측돌기(123)가 끼워져 결합되고, 제2 홈부(115)에는 제2 내측돌기(124)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내측판유닛(111)과 외측판유닛(121)은 헐겁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보강돌기(117)는 삽입돌기(125, 126)의 일측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외측판유닛(121)의 내측에 헐겁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외측판유닛(121)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중간거치부재와 측면거치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중간거치부재와 측면거치부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상기 중간거치부재(13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수직으로 세워 결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중간거치본체(131)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인서트홈부(132)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홈부(132)에 형성되는 인서트돌기(133)와,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거치판(134)과,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거치판(134)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거치홈부(135)와,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6)과,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치판(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거치홈부(137)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거치부재(130)는 다수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수납장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의 중간거치본체(131)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저면에는 높이조절측판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게 인서트홈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홈부(132)에는 삽입돌기(125, 126) 사이에 끼워지는 인서트돌기(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인서트돌기(133)는 삽입돌기(125, 126)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측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거치시킬 수 있게 제1 거치판(1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거치판(134)의 상면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안치되는 제1 거치홈부(1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제1 거치홈부(135)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타측에는 제2 거치판(13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거치판(136)의 상면에는 제2 거치홈부(137)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거치홈부(137)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측면거치본체(151)와,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에 형성되는 제1 인서트돌기(152)와,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본체(153)와,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면거치본체(153)에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홈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수납장의 외측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측판부재(17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제1 측면거치본체(151)와 제2 측면거치본체(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에는 삽입돌기(125, 126)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인서트돌기(15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측면거치본체(153)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거치될 수 있게 제2 측면거치홈부(15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의 제1 인서트돌기(152)는 삽입돌기(125, 126)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면거치본체(153)의 제2 측면거치홈부(154)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안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의 선반플레이트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7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7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7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보강판(173)과,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내측판유닛(11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보강판(173)에 형성되는 볼트고정구(174)와,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의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구공간부(175)와, 상기 걸이구공간부(175)에 물건을 끼워 걸어둘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76)와,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71, 172)에 형성되는 볼트구멍(177)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물수용홈부(178)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중간거치부재(130)와 측면거치부재(150)에 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측면거치부재(150)에 의해 마감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하부플레이트(172)는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하부플레이트(172)는 빌트인 가구(미도시) 내에 설치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하부플레이트(172) 사이에는 다수의 수직보강판(173)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판(173)에는 볼트 또는 피스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게 볼트고정구(17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판유닛(111)에는 상기 볼트고정구(17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판유닛(121)에는 볼트 또는 피스 등의 고정수단이 노출되지 않게 볼트구멍이 없는 평판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의 일측에는 국자, 컵 등을 걸어둘 수 있게 걸이구공간부(175)가 형성되고, 상기 국자, 컵 등을 걸이구(미도시) 등에 의해 걸어둘 수 있게 개구부(176)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부(176)는 걸이구(미도시) 등을 끼워 넣을 수 있게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는 걸이구공간부(175) 내에 걸어둘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수납장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에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빌트인 가구 등에 고정시킬 수 있게 다수의 볼트구멍(177)이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의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볼트에 의해 빌트인 가구에 고정된다.
이는 수납장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상단의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빌트인 가구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구멍(177)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물수용홈부(178)에는 상부에 설치된 선반플레이트부재(170)에 걸린 국자 또는 컵 등으로부터 떨어진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수용홈부(178)에 떨어진 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높이조절측판부재 111: 내측판유닛
112: 제1 수직판 113: 제1 홈부
114: 제1 결합돌기 115: 제2 홈부
116: 제2 결합돌기 117: 보강돌기
121: 외측판유닛 122: 제2 수직판
123: 제1 내측돌기 124: 제2 내측돌기
125: 제1 삽입돌기 126: 제2 삽입돌기
130: 중간거치부재 131: 중간거치본체
132: 인서트홈부 133: 인서트돌기
134: 제1 거치판 135: 제1 거치홈부
136: 제2 거치판 137: 제2 거치홈부
150: 측면거치부재 151: 제1 측면거치본체
152: 제1 인서트돌기 153: 제2 측면거치본체
154: 제2 측면거치홈부
170: 선반플레이트부재 171: 상부플레이트
172: 하부플레이트 173: 수직보강판
174: 볼트고정구 175: 걸이구공간부
176: 개구부 177: 볼트구멍
178: 물수용홈부

Claims (7)

  1. 선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다수의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거치부재(130);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 중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거치부재(150);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각각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거치부재(13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수직으로 세워 결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중간거치본체(131);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인서트홈부(132);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홈부(132)에 형성되는 인서트돌기(133);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거치판(134);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거치판(134)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거치홈부(135);
    상기 중간거치본체(13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거치판(136);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끼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거치판(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거치홈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판유닛(111);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면에 결합되는 외측판유닛(121);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수납장의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112);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113);
    상기 제1 내측돌기(123)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홈부(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114);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 수직판(1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115);
    상기 제2 내측돌기(124)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홈부(115)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116);
    상기 제1 수직판(112)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수직판(112)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17);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판유닛(111)은 상기 외측판유닛(12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판유닛(12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유닛(121)은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판(122);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부(113)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일측에 제1 홈부(11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내측돌기(123);
    상기 내측판유닛(1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홈부(115)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의 타측에 제2 홈부(115)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 내측돌기(124);
    상기 중간거치부재(130)와 상기 측면거치부재(150)에 형성된 인서트돌기(133, 152)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2 수직판(12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치부재(150)는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측면거치본체(151);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에 형성된 제1 삽입돌기(125)와 제2 삽입돌기(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에 형성되는 제1 인서트돌기(152);
    상기 제1 측면거치본체(151)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본체(153);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면거치본체(153)에 형성되는 제2 측면거치홈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71);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172);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7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보강판(173);
    상기 높이조절측판부재(110)의 내측판유닛(11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보강판(173)에 형성되는 볼트고정구(174);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의 일측에 물건을 걸어둘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구공간부(175);
    상기 걸이구공간부(175)에 물건을 끼워 걸어둘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76);
    상기 선반플레이트부재(17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71, 172)에 형성되는 볼트구멍(177);
    상기 상부플레이트(17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물수용홈부(1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수납장.
KR1020230000148A 2023-01-02 2023-01-02 빌트인 수납장 KR10255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48A KR102552100B1 (ko) 2023-01-02 2023-01-02 빌트인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148A KR102552100B1 (ko) 2023-01-02 2023-01-02 빌트인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100B1 true KR102552100B1 (ko) 2023-07-07

Family

ID=8715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148A KR102552100B1 (ko) 2023-01-02 2023-01-02 빌트인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1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5337B2 (ja) * 1995-08-25 2003-12-0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棚装置
KR200360505Y1 (ko) * 2004-05-25 2004-08-31 문재철 수납장
KR100469648B1 (ko) * 2002-01-04 2005-02-02 주식회사 새턴바스 수납장용 측판의 상단 마무리덮개
KR100605665B1 (ko) * 2004-12-06 2006-07-3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프레임 구조
KR20140112233A (ko) 2013-03-13 2014-09-23 (주) 아리나에이치에이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190056950A (ko) 2017-11-17 2019-05-27 안은영 주방용 수납 장치
KR20190103546A (ko) * 2018-02-26 2019-09-05 김성호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KR20200137482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리버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서랍장이 구비되는 인출식 주방 가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5337B2 (ja) * 1995-08-25 2003-12-0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棚装置
KR100469648B1 (ko) * 2002-01-04 2005-02-02 주식회사 새턴바스 수납장용 측판의 상단 마무리덮개
KR200360505Y1 (ko) * 2004-05-25 2004-08-31 문재철 수납장
KR100605665B1 (ko) * 2004-12-06 2006-07-3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프레임 구조
KR20140112233A (ko) 2013-03-13 2014-09-23 (주) 아리나에이치에이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190056950A (ko) 2017-11-17 2019-05-27 안은영 주방용 수납 장치
KR20190103546A (ko) * 2018-02-26 2019-09-05 김성호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KR20200137482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리버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서랍장이 구비되는 인출식 주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72B2 (en) Wall-mount rack
US6817688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storage drawer
US8733865B1 (en) Undermount slide for pull-out drawer
US20100109496A1 (en) Butter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EP3599937B1 (en) Drawer for wall mounted storage system
KR101314260B1 (ko) 가구용 서랍
JP2020527199A (ja) 複数の調整を備えたドア及びワードローブドア用スライド装置
US9504323B1 (en) Drawer slide structure
KR102552100B1 (ko) 빌트인 수납장
US4735471A (en) Adjustable height bookcase
KR200457813Y1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US10575634B1 (en) Over and under closet rod and shelf supports
KR101245170B1 (ko) 수납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킨 다용도 수납장
US8752914B1 (en) Dish rack mounted in kitchen cabinet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JP5225873B2 (ja) ボックス状体
KR20160001263U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200321265Y1 (ko) 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물품수납장
KR102302530B1 (ko) 창틀용 식기선반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KR200492131Y1 (ko) 가방 보관대
KR200384820Y1 (ko) 가구용 보조 수납함
JP3011056U (ja) 組立式収納セット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