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74B1 - 홀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홀 성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074B1 KR102228074B1 KR1020200139689A KR20200139689A KR102228074B1 KR 102228074 B1 KR102228074 B1 KR 102228074B1 KR 1020200139689 A KR1020200139689 A KR 1020200139689A KR 20200139689 A KR20200139689 A KR 20200139689A KR 102228074 B1 KR102228074 B1 KR 102228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late
- unit
- shape
- seated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성형 장치로서, 각기 다른 두께를 가진 강판이 상단에 안착 가능한 강판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에 홀을 형성시키기 위한 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부품은 다이캐스팅이나 주조로 성형된다 이렇게 형성된 부품은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거쳐 마무리 공정 후 제품화된다. 이와 같은 성형 부품은 성형과정에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하는 디버링(deburring) 가공과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연마가공 등이 있다.
위와 같이 성형 부품(예를 들면, 자동차에 적용되는 조인트 부품)들은 홀 내면에 버(Burr)의 제거와 같은 가공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를 모터와 같은 장비로서 회전시켜 홀 내면을 가공하되, 해당 부품을 지그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홀 성형 장치는 서로 다른 형상 및 사이즈가 다른 성형 부품을 고정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크기의 홀 성형 장치를 구비해야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강판을 천공함에 있어서, 강판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여 강판을 고정시키고, 홀 성형을 위하여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강판을 향하여 발광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홀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는, 각기 다른 두께를 가진 강판이 상단에 안착 가능한 강판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강판안착부의 상단에 안착된 강판의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강판을 천공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강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강판성형부; 및 상기 강판안착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넓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판안착부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상기 강판에 홀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철 찌꺼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판안착부에 상기 강판이 안착된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강판안착부의 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판안착부는, 하단에 사각 테이블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판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사각지게 형성된 홈이 다수 개 마련되어 있는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 일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강판이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되고, 상단에 안착되는 상기 강판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는 강판지지부;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다수 개의 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판지지부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상기 강판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강판을 고정시키는 강판고정부; 및 하단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사각지게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사각지게 형성된 홈의 너비, 길이 및 높이보다 작은 너비,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강판고정부의 원형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원형 홀의 너비보다 적은 지름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판지지부는, 상단에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기 강판지지부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판고정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강판지지부가 위치한 너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판성형부는, 삼면으로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보호판의 양단 고정되며 상기 보호판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고, 내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안착하여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강판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강판의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강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이 송곳과 같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 성형 장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강판안착부를 향하여 발광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양단이 각각 ']' 및'['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일정한 크기의 홈에 안착되고,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 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이 안착 가능한 넓이를 갖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상기 연결부와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LED기판이 마련되어 있어 입력에 의하여 발광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하단 중앙에 마련되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완충부; 스프링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완충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제2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 방향으로 길게 뻗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부터 상기 레일부의 하단 외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에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돌기; 상기 본체부의 중앙 양측에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하단 외측면에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레일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홀 성형 장치는, 강판의 크기 또는 두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강판을 고정시킬 수 있고, 홀 성형을 위하여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며 강판을 향하여 일정하게 발광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강판성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조명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일부 구성인 제1 완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강판성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조명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일부 구성인 제1 완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10)는 강판안착부(900), 강판성형부(500) 및 보호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강판안착부(900)는 각기 다른 두께를 가진 강판이 상단에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강판성형부(5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하여 강판안착부(900)의 상단에 안착된 강판의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고,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하도록 강판을 천공할 수 있고,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의 형성이 완료되면 강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보호판(100)은 강판안착부(90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넓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강판안착부(900)의 상단에 안착되어 강판성형부(500)에 의해 강판에 홀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철 찌꺼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강판안착부(900)에 강판이 안착된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강판안착부(900)의 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강판안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안착부(900)는 하단지지부(910), 강판지지부(930), 강판고정부(970) 및 높이조정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지지부(910)는 하단에 사각 테이블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에 위치하는 강판(S)이 강판성형부(500)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사각지게 형성된 홈이 다수 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강판지지부(930)는 하단지지부(910)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지지부(910)의 상단 일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강판(S)이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고, 상단에 안착되는 강판(S)이 강판성형부(500)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강판지지부(930)는 상단에 하단지지부(910)의 상단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하단지지부(910)의 상단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강판(S)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기 강판지지부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할 수 있다.
강판고정부(970)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에 다수 개의 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강판지지부(930)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강판(S)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어 강판(S)을 고정시킬 수 있다.
강판고정부(97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강판지지부(930)가 위치한 너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강판고정부(970)는 서로 마주보고 있도록 위치한 두 개의 강판지지부(930) 사이의 거리와 각 강판지지부(930)의 너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마주보고 있도록 위치한 두 개의 강판지지부(93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높이조정부(950)의 하단은 하단지지부(91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사각지게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되, 사각지게 형성된 홈의 너비, 길이 및 높이보다 작은 너비,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정부(950)의 상단은 강판고정부(970)의 원형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 홀의 너비보다 적은 지름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강판성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성형부(500)는 레일부(530), 승강부(550) 및 회전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530)는 삼면으로 마련되어 있는 보호판(100)의 양단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호판(100)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내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승강부(550)는 레일부(5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안착하여 레일부(53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강판안착부(900)에 안착된 강판(S)의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강판(S)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승강부(55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 등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하강 또는 상승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부(570)는 승강부(5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하단이 송곳과 같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회전부(57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 등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조명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 성형 장치의 일부 구성인 조명부(590)는 연결부(591), 고정부(595) 및 광원부(59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91)는 양단이 각각 ']' 및'['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5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한 크기의 홈에 안착될 수 있고, 레일부(530)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부(550)의 구동 또는 회전부(57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연결부(591)는 제1 완충부(5915), 제2 완충부(5917), 본체부(5911), 상단돌기(59111a, 59111b) 및 하단돌기(59113a, 59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5915)는 연결부(591)의 하단 중앙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완충부(5917)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완충부(5915)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부(5911)는 제1 완충부(5915)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 방향으로 길게 뻗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레일부(5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부터 레일부(530)의 하단 외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돌기(59111a, 59111b)는 본체부(5911)의 상단 양측에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레일부(530)의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돌기(59113a, 59113b)는 본체부(5911)의 중앙 양측에 상단돌기(59111a, 59111b)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레일부(530)의 하단 외측면에 맞물리도록 위치할 수 있어 레일부(53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레일부(53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5911)는 레일부(530)의 하단으로 뻗어나와 있을 수 있고, 본체부(5911)의 상단에 위치한 상단돌기(59111a, 59111b)부터 중앙에 위치한 하단돌기(59113a, 59113b)까지의 형태가 레일부(530)의 홈으로부터 레일부(530)의 하단까지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595)는 연결부(591)의 하단이 안착 가능한 넓이를 갖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부(591)의 하단에 연결부(591)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599)는 고정부(595)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에 LED기판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온(on) 입력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599)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장치는 LED기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온(on) 입력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일부 구성인 제1 완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일부 구성인 제1 완충부(5915)는 관통홀(59152), 스프링부(59153),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제1 마찰방지부(59157) 및 내부지지부(59158)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59152)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되 타단은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591)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5911)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관통홀(59152)의 일단에는 스프링부(59153),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제1 마찰방지부(59157) 및 내부지지부(59158)가 관통홀(59152)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관통지지부(591521)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지지부(591521)는 관통홀(59152)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홀(59152)의 비어 있는 내부로 스프링부(59153) 등의 모듈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너비를 갖는 비어 있는 공간이 원의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홀(59152)은 관통홀(59152)의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제1 마찰방지부(59157) 및 내부지지부(59158)를 관통하여 중심을 고정시키는 중앙기둥부(591524)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스프링부(59153)은 탄성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꼬아져 있는 용수철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스프링강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할 수 있고, 자체적인 탄성에 의하여 이완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프링부(59153)은 제1 관통홀(59152)의 비어 있는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갈 수 있는 너비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59154)는 스프링부(59153)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돌기(59154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고정부(59155)는 제1 고정부(59154)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는 관통홀(59152)로의 삽입을 용이하기 하기 위하여 중앙기둥부(591524)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실린더부(59156)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는 실린더와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고정부(59155)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으며 중앙기둥부(591524)가 중앙에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마찰방지부(59157)는 실린더부(59156)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2 고정부(59155) 및 실린더부(59156)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중앙기둥부(591524)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지지부(59158)는 관통홀(59152)의 내부에 관통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홀(5915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및 제1 마찰방지부(59157)가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성될 수 있다.
내부지지부(59158)의 타단은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및 마찰방지부(59157)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기둥부(591524)가 일단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도록 일단의 중심부에는 중앙기둥부(591524)의 너비와 같은 크기를 갖는 제1 기둥홈(591583)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내부지지부(59158)는 제1 이음부(591586), 제2 이음부(591582) 및 돌출홈(591581)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제2 마찰방지부(5915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음부(591586)는 제1 고정부(59154)의 외측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이음부(591586)의 내측면은 제1 고정부(59154)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기(591541)와 맞닿아 제1 고정부(59154)와 제1 이음부(591586)는 서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음부(591582)는 제2 고정부(59155)의 외측 지름보다 큰 지름은 갖는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이음부(591582)의 내측면은 제2 고정부(59155)의 외측면과 맞닿아 제2 고정부(59155)와 제2 이음부(591582)는 서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음부(591586) 및 제2 이음부(591582)는 내부지지부(59158)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관통홀(59152)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관통홀(59152)로 삽입할 수 있다.
돌출홈(591581)은 내부지지부(59158)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돌출홈(591581)의 내부에는 실린더부(59156)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지지부(59158)의 내측면은 돌출홈(591581)이 돌출되어 있는 길이만큼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실린더부(59156)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마찰방지부(591584)는 내부지지부(59158)의 일단 외측면에 내부지지부(59158)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마찰방지부(591584)의 중앙에는 내부지지부(59158)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1 기둥홈(591583)과 같은 위치에 중앙기둥부(591524)가 관통 가능하도록 제2 기둥홈(59158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마찰방지부(59157)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 또는 내부지지부(59158)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위하여 중앙기둥부(591524)의 가장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마찰방지부(591584)는 연결부(591)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5911)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 또는 본체부(5911)의 흔들림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위하여 연결부(591)의 가장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부(591)는 관통홀(59152)의 내부에 제1 고정부(59154), 제2 고정부(59155), 실린더부(59156) 및 제1 마찰방지부(59157)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내부지지부(59158)가 삽입할 수 있고, 내부지지부(59158)의 일단 외부로 나와있는 중앙기둥부(591524)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홀 성형 장치
100: 보호판
500: 강판성형부
900: 강판안착부
100: 보호판
500: 강판성형부
900: 강판안착부
Claims (2)
- 각기 다른 두께를 가진 강판이 상단에 안착 가능한 강판안착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강판안착부의 상단에 안착된 강판의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강판을 천공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된 너비 및 깊이를 갖는 홀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강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강판성형부; 및
상기 강판안착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넓적한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판안착부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상기 강판에 홀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철 찌꺼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판안착부에 상기 강판이 안착된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강판안착부의 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판안착부는,
하단에 사각 테이블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판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사각지게 형성된 홈이 다수 개 마련되어 있는 하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 일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강판이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되고, 상단에 안착되는 상기 강판이 상기 강판성형부에 의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는 것이 가능한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는 강판지지부;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다수 개의 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판지지부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상기 강판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강판을 고정시키는 강판고정부; 및
하단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사각지게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사각지게 형성된 홈의 너비, 길이 및 높이보다 작은 너비,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강판고정부의 원형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원형 홀의 너비보다 적은 지름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지지부는,
상단에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단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강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기 강판지지부의 상단에 밀착되어 안착하고,
상기 강판고정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강판지지부가 위치한 너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강판성형부는,
삼면으로 마련되어 있는 상기 보호판의 양단 고정되며 상기 보호판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있고, 내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안착하여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강판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강판의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강판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이 송곳과 같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성형 장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강판안착부를 향하여 발광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양단이 각각 ']' 및'['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일정한 크기의 홈에 안착되고,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 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이 안착 가능한 넓이를 갖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상기 연결부와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LED기판이 마련되어 있어 입력에 의하여 발광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하단 중앙에 마련되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완충부;
스프링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완충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제2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 방향으로 길게 뻗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부터 상기 레일부의 하단 외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양측에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돌기; 및
상기 본체부의 중앙 양측에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하단 외측면에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레일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하단돌기;를 포함하는, 홀 성형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689A KR102228074B1 (ko) | 2020-10-26 | 2020-10-26 | 홀 성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689A KR102228074B1 (ko) | 2020-10-26 | 2020-10-26 | 홀 성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8074B1 true KR102228074B1 (ko) | 2021-03-15 |
Family
ID=7513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9689A KR102228074B1 (ko) | 2020-10-26 | 2020-10-26 | 홀 성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807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7738B1 (ko) | 2021-05-21 | 2021-10-25 | 이광재 | 홀 성형 장치 |
KR102338743B1 (ko) * | 2021-06-16 | 2021-12-14 | 주식회사 하나하이텍 | Mct가공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929Y1 (ko) | 2007-01-02 | 2007-03-19 | 김재만 | 건드릴과 머시닝센터의 복합 공작기계 |
KR20150070337A (ko) * | 2013-01-10 | 2015-06-24 |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 드릴링 가공 방법 및 드릴링 가공용 지그 및 열교환기 |
KR102127520B1 (ko) * | 2020-01-17 | 2020-06-26 | 주식회사 혜성하이테크 | 홀 성형 장치 |
-
2020
- 2020-10-26 KR KR1020200139689A patent/KR1022280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929Y1 (ko) | 2007-01-02 | 2007-03-19 | 김재만 | 건드릴과 머시닝센터의 복합 공작기계 |
KR20150070337A (ko) * | 2013-01-10 | 2015-06-24 |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 드릴링 가공 방법 및 드릴링 가공용 지그 및 열교환기 |
KR102127520B1 (ko) * | 2020-01-17 | 2020-06-26 | 주식회사 혜성하이테크 | 홀 성형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7738B1 (ko) | 2021-05-21 | 2021-10-25 | 이광재 | 홀 성형 장치 |
KR102338743B1 (ko) * | 2021-06-16 | 2021-12-14 | 주식회사 하나하이텍 | Mct가공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8074B1 (ko) | 홀 성형 장치 | |
KR102049936B1 (ko) | 진공흡착장치 | |
CN1757833A (zh) | 施工设备驾驶室的承载装置及其制造方法 | |
KR101227619B1 (ko) | 차량용 서스펜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
CN109514295A (zh) | 一种汽车底盘护板钻孔用定位夹紧装置 | |
KR101202260B1 (ko) | 단일의 수직 샤프트를 구비하는 이동 로봇의 구동휠 어셈블리 | |
US20050174896A1 (en) | Dynamic vibration absorber, optical disk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rresponding vibration frequency of dynamic vibration absorber | |
KR102524326B1 (ko) | 플라스틱 압출물 자동절단 및 배출시스템 | |
KR102487468B1 (ko) | 피가공물 정밀 클램핑 장치 | |
ES2257478T3 (es) | Elemento de fijacion para un revestimiento. | |
RU2591539C1 (ru) | Демпфер сухого трения кочетова | |
KR20230108687A (ko) | 프레임 용접용 지그 | |
CN212098961U (zh) | 一种车辆工程用具有防护性能的轮胎运输装置 | |
US3744747A (en) | Resilient support | |
ES2400646A2 (es) | Rozadera para ascensores | |
KR100934121B1 (ko) | 마루널 고정장치 | |
ES2798573T3 (es) | Torno | |
CN214467110U (zh) | 一种机械设备安装平台 | |
KR101752882B1 (ko) | 쇽업쇼버 더스트캡의 실링부재 | |
CN219882323U (zh) | 一种摩擦轮检测用定位装置 | |
KR102543733B1 (ko) | 완충패드를 갖는 각도 조절 난간 | |
US20060168598A1 (en) | Disk drive equipped with tray | |
JP6295836B2 (ja) | 昇降装置 | |
KR102611296B1 (ko) |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무대용 리프트 장치 | |
CN210055409U (zh) | 一种用于易爆危险品运输的货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