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967B1 - 차량용 워터펌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워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967B1
KR102227967B1 KR1020200029747A KR20200029747A KR102227967B1 KR 102227967 B1 KR102227967 B1 KR 102227967B1 KR 1020200029747 A KR1020200029747 A KR 1020200029747A KR 20200029747 A KR20200029747 A KR 20200029747A KR 102227967 B1 KR102227967 B1 KR 10222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pump
chamber
vehicle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현
최성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이에프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이에프피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이에프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며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씰;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씰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워터펌프{WATER PU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워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챔버의 용량 증대로 인해 냉각수의 누수 방지가 가능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워터펌프는 엔진을 구성하는 실린더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엔진 내부로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켜 엔진을 냉각시키는 펌프이다.
워터펌프 하우징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샤프트의 일단에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와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가 설치되며, 샤프트의 타단에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임펠러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임펠러는 실린더블록 내측의 냉각수 순환통로에 설치되어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풀리 및 샤프트와 같이 회전되면서 냉각수를 펌핑하게 된다.
한편, 워터펌프는 임펠러가 실린더블록 내에 위치되어 냉각수와 직접 맞닿아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로 침투되어 베어링과 같은 부품을 고장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프트를 감싸 실링하는 씰(seal)이 설치된다.
이때, 메커니컬 씰이 설치되는 경우, 샤프트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매트링(MATE RING)과, 워터펌프 하우징측에 부착 고정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프라이머링(PRIMARY RING) 사이의 섭동에 의해 냉각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바, 냉각수의 누수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드레인챔버의 용량 증대로 인해 냉각수의 누수 방지가 가능한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며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씰;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씰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배출홀은 상기 챔버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배출홀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에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챔버는 서로 연통유로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에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챔버 중 2차 챔버는 1차 챔버보다 워터펌프의 반경방향 상 외측에 위치하거나 동일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씰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1차로 유동하는 1차 챔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1차 챔버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씰 사이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챔버는, 상기 풀리의 반경방향 상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1차 챔버를 제외한 나머지 챔버는, 상기 풀리의 반경방향 상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씰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마지막으로 유동하는 최종 챔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연통홀은 상기 최종 챔버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연통홀에는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펌프 내 드레인챔버의 용량 증대로 인해 냉각수의 누수 방지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워터펌프 내 드레인챔버가 복수 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메커니컬 씰의 습동면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복수 개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게 되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 형성된 증기배출홀을 통해 기화된 냉각수가 대기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냉각수가 워터펌프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펌프가 엔진 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워터펌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워터펌프 부품들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배면도,
도 8은 도 4에서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펌프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워터펌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펌프(1)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워터펌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프런트 커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펌프(1)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엔진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엔진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워터펌프(1)는 크게, 하우징(100), 플레이트(200), 샤프트(300), 풀리(400), 임펠러(500), 씰(600) 및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C)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플레이트(200)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엔진의 프런트 커버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과 플레이트(200)에는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샤프트(300)가 베어링(3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300)의 일단에는 풀리(400)가 설치되고, 샤프트(300)의 타단에는 임펠러(500)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풀리(4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이 샤프트(300)를 통해 임펠러(5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임펠러(500)가 회전됨에 따라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샤프트(300)에 풀리(400)가 결합되는 방향이 워터펌프의 전방, 임펠러(500)가 결합되는 방향이 워터펌프의 후방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냉각수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침투되어 베어링(320)과 같은 부품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과 샤프트(300) 사이에는 씰(600)이 구비된다. 상기 씰(600)은 샤프트(300)를 감싸 밀봉하게 되며,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씰(600)은 샤프트(30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매트링(MATE RING)과, 하우징(100)에 부착 고정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프라이머링(PRIMARY RING)으로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커니컬 씰의 습동면에서 냉각수가 누수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씰(600)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워터펌프 내에서 순차적으로 유동하며 저장될 수 있도록 워터펌프 내에는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챔버(C)는 워터펌프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씰(600)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곳으로, 상기 하우징(100) 또는 플레이트(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워터펌프의 내부에 3개의 드레인 챔버(C1, C2, C3)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씰(600)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3개의 드레인 챔버(C1, C2, C3)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만, 드레인 챔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워터펌프의 크기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드레인 챔버(C1, C2, C3) 중 상기 씰(600)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1차로 유동하는 1차 챔버(C1)는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1차 챔버(C1)는, 샤프트(300)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보스부(102)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 돌출부에 플러그(120)가 끼워짐으로써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부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1차 챔버(C1)는 상기 하우징의 보스부(102)보다는 반경방향 상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400)의 반경방향 상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워터펌프 내 공간활용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1차 챔버(C1)는 샤프트(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20)과 씰(60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며, 이로 인해 상기 씰(600)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베어링(32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1차 챔버(C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320)과 씰(600) 사이의 공간과 상기 1차 챔버(C1)를 연통시키는 드레인유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챔버(C1)에는 1차 챔버(C1)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대기로 배출되기 위한 제1 증기배출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증기배출홀(H1)은 1차 챔버(C1)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1차 챔버(C1)로부터 하우징(100)의 전방면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120)는 제1 증기배출홀(H1)을 막지 않도록 하우징(100)에 끼워지며, 이로 인해 1차 챔버(C1)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제1 증기배출홀(H1)을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드레인 챔버(C1, C2, C3) 중 상기 씰(600)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2차로 유동하는 2차 챔버(C2)는 상기 하우징(100)과 플레이트(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2차 챔버(C2)는, 하우징(100)의 후방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104)와, 이와 마주보도록 플레이트(200)의 전방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204)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부에 해당한다.
상기 1차 챔버(C1)와 2차 챔버(C2)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연통유로(160)를 통해 서로 연통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씰(600)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베어링(320)과 씰(60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드레인유로(140)를 통해 1차 챔버(C1)로 유동되고, 1차 챔버(C1)로부터 제1 연통유로(160)를 통해 2차 챔버(C2)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2차 챔버(C2)는 1차 챔버(C1)보다 워터펌프의 반경방향 상 외측에, 즉 도면을 기준으로 1차 챔버(C1)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1차 챔버(C1) 내에 저장되는 냉각수가 제1 연통유로(160)를 통해 2차 챔버(C2) 내로 흘러갈 수 있으므로, 1차 챔버(C1) 내의 냉각수가 제1 증기배출홀(H1)을 통해 워터펌프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드레인 챔버(C1, C2, C3) 중 상기 씰(600)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3차로 유동하는 3차 챔버(C3) 또한 상기 하우징(100)과 플레이트(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3차 챔버(C3)는, 하우징(100)의 후방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106)와, 이와 마주보도록 플레이트(200)의 전방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206)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부에 해당한다.
상기 2차 챔버(C2)와 3차 챔버(C3)는 상기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제2 연통유로(220)를 통해 서로 연통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2차 챔버(C2) 내의 냉각수가 제2 연통유로(220)를 통해 3차 챔버(C3)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연통유로(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0)의 후방면까지 연장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플레이트(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3차 챔버(C3)는 2차 챔버(C2)에 대해 워터펌프의 반경방향 상 동일한 위치에, 그리고 외측에 형성되고 있다. 즉, 상기 3차 챔버(C3)는 도면을 기준으로 2차 챔버(C2)와 나란하게 배치된 후 아래쪽으로 더 연장 형성되고 있다.
상기 3차 챔버(C3)는 상기 씰(600)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마지막으로 유동하는 챔버에 해당하기 때문에, 3차 챔버(C3)에는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연통홀(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통홀(180)은 상기 3차 챔버(C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3차 챔버(C3)에 냉각수가 가득찰 때까지 외부연통홀(180)을 통해 냉각수가 워터펌프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외부연통홀(180)에는 파이프(182)가, 예를 들어 니플(nipple)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182)에는 별도의 호스 등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3차 챔버(C3)에서 외부연통홀(180)을 통해 워터펌프 밖으로 배출되는 냉각수가 엔진 등으로 되돌려보낼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챔버(C2)에도 2차 챔버(C2)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대기로 배출되기 위한 제2 증기배출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증기배출홀(H2)이 2차 챔버(C2)로부터 하우징(100)의 전방면으로 연장됨으로써, 2차 챔버(C2)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제2 증기배출홀(H2)을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증기배출홀(H2)은 2차 챔버(C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차 챔버(C3)에도 3차 챔버(C3)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대기로 배출되기 위한 제3 증기배출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증기배출홀(H3)이 3차 챔버(C3)로부터 하우징(100)의 전방면으로 연장됨으로써, 3차 챔버(C3) 내에서 기화된 냉각수가 제3 증기배출홀(H3)을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증기배출홀(H3)은 3차 챔버(C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증기배출홀의 구조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 챔버(C2)와 3차 챔버(C3)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펌프 내 드레인챔버의 용량 증대로 인해 냉각수의 누수 방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워터펌프 100: 하우징
102: 보스부 104, 106: 그루브
120: 플러그 140: 드레인유로
160: 제1 연통유로 180: 외부연통홀
182: 파이프 200: 플레이트
204, 206: 그루브 220: 제2 연통유로
300: 샤프트 320: 베어링
400: 풀리 500: 임펠러
600: 씰
C, C1, C2, C3: 드레인챔버
H1, H2, H3: 증기배출홀

Claims (1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며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씰;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씰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씰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1차로 유동하는 1차 챔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1차 챔버를 제외한 나머지 챔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챔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홀은 상기 챔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홀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에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챔버는 서로 연통유로를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에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챔버 중 2차 챔버는 1차 챔버보다 워터펌프의 반경방향 상 외측에 위치하거나 동일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챔버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씰 사이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챔버는, 상기 풀리의 반경방향 상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1차 챔버를 제외한 나머지 챔버는, 상기 풀리의 반경방향 상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챔버 중 상기 씰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마지막으로 유동하는 최종 챔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통홀은 상기 최종 챔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통홀에는 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3. 삭제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며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씰; 및
    상기 씰에서 누수되는 냉각수가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1차 내지 3차 드레인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챔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2차 및 3차 챔버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챔버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연통유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2차 및 3차 챔버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 연통유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챔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1차 챔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으로 연장되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챔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KR1020200029747A 2020-03-10 2020-03-10 차량용 워터펌프 KR10222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47A KR102227967B1 (ko) 2020-03-10 2020-03-10 차량용 워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47A KR102227967B1 (ko) 2020-03-10 2020-03-10 차량용 워터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967B1 true KR102227967B1 (ko) 2021-03-16

Family

ID=7522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47A KR102227967B1 (ko) 2020-03-10 2020-03-10 차량용 워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9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546A (ja) * 2000-10-05 2002-04-19 Honda Motor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US20130064648A1 (en) * 2010-05-27 2013-03-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Water pu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546A (ja) * 2000-10-05 2002-04-19 Honda Motor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US20130064648A1 (en) * 2010-05-27 2013-03-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Water pu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868B1 (en) Engine timing gear cover with integral coolant flow passages
US11221013B2 (en) Centrifugal compressor
KR102227967B1 (ko) 차량용 워터펌프
JP2020056321A (ja) 遠心圧縮機
US3001517A (en) Centrifugal pump
JP4048601B2 (ja) 液圧歯車ポンプまたはモータ
CA2040869C (en) Pump bearing system
CN113586474B (zh) 离心压缩机
US20020182097A1 (en) Oil leak Prevention Structure for vacuum pump
US20070164624A1 (en) Positioning ring structure for motor
US6659747B2 (en) Shaft seal structure of vacuum pumps
JP7486892B2 (ja) 内燃機関の冷却水ポンプの構造
JPH0828435A (ja) 斜板型液圧回転機
KR101925793B1 (ko) 순환 유로가 형성된 로터리 베인 모터
US5178567A (en) Marine engine housing cooling apparatus
CN217206992U (zh) 一种轴承箱、轴承箱密封系统及中开泵
JP2002138940A (ja) インライン型ポンプ逆転水車
JPH07250456A (ja) 回転電機の回転子の液冷却装置
US2191917A (en) Centrifugal pump
CN111350629A (zh) 摆线液压马达
JP2528013Y2 (ja) オイルポンプ
JP2566156Y2 (ja) 湿式クラッチ用ドライブピニオン
EP0819897B1 (en) Viscous heater
JPH08296499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ケーシング構造
JP2524790Y2 (ja) 流体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