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503B1 -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503B1
KR102227503B1 KR1020140006316A KR20140006316A KR102227503B1 KR 102227503 B1 KR102227503 B1 KR 102227503B1 KR 1020140006316 A KR1020140006316 A KR 1020140006316A KR 20140006316 A KR20140006316 A KR 20140006316A KR 102227503 B1 KR102227503 B1 KR 10222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573A (ko
Inventor
임재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503B1/ko
Priority to PCT/KR2014/012361 priority patent/WO2015108286A1/ko
Priority to US15/111,683 priority patent/US20160350807A1/en
Priority to CN201480073468.1A priority patent/CN105917368A/zh
Publication of KR2015008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5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고, 포함된 경우 공유권을 생성하고, 컨텐츠와 공유권 결합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컨텐츠 관리부에 의해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관리하고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공유권과 매칭시키는 공유권 관리부 및 컨텐츠,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Contents providing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of contents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공유할 권리(공유권)를 생성하고, 컨텐츠와 공유권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컨텐츠 공유에 따라 공유 내역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여러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RM은 콘텐츠 식별자인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인덱스(INDECS), 불법복제와 변조방지를 위한 워터마킹 기술을 뒷받침으로 하고 있다. DOI는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하는 식별번호이며, 워터마킹은 기밀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에 숨긴 후 저작권 분쟁이 발생했을 때 디지털 저작권자가 누구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콘텐츠마다 보안인증시스템을 장착하여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으면 그 콘텐츠를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
DRM에 따라 정당 구매자만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이 보호되는 장점이 있으나, 컨텐츠를 직접 구매해야만 활용할 수 있으므로, DRM은 컨텐츠가 확산되는 장벽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단말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컨텐츠가 원활하게 확산되면서 동시에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1630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98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작권을 보호한 상태에서 사용자 간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유권이라는 특수한 정보를 생성시키고 이를 컨텐츠와 결합시키며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간에 컨텐츠가 공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유권을 관리함으로써 발생하는 공유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제공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는 단계,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공유권을 결합하는 단계, 공유권이 결합된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컨텐츠 및 공유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 간에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공유 내역 정보에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또는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 공유시, 상기 카운터 정보가 갱신된다.
한편,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업데이트 정보, 관련 컨텐츠 발매 정보 또는 컨텐츠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암호화되고, 상기 공유권에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별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공유권 구매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고, 포함된 경우 공유권을 생성하고, 컨텐츠와 공유권 결합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컨텐츠 관리부에 의해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관리하고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공유권과 매칭시키는 공유권 관리부 및 컨텐츠,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공유 내역 정보에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또는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 공유시, 카운터 정보가 갱신된다.
한편,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업데이트 정보, 관련 컨텐츠 발매 정보 또는 컨텐츠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공유권에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시키는 컨텐츠 암호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 관리부는 공유권 생성시, 상기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간에 컨텐츠 확산이 용이하므로, 컨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바이럴 마케팅에 의해 컨텐츠를 확산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양질의 컨텐츠를 공유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작권을 보호한 상태에서 컨텐츠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처리되는 공유 내역 정보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시스템은 크게 컨텐츠 제공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구현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되,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와 공유권을 결합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 공유 여부를 파악하여,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들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기 1과 사용자 단말기 2는 상호 간에 컨텐츠를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컨텐츠가 공유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 1 또는 2로부터 컨텐츠 제공 장치로 공유 내역 정보가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고 컨텐츠의 표시/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현재 널리 통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이 그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는 단계,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공유권을 결합하는 단계, 공유권이 결합된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컨텐츠 및 공유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 간에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가 공유권을 컨텐츠와 함께 구매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상기 식별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공유권 구매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 구매 여부 만을 결정하여 구매/결제 단계를 진행하였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은 컨텐츠와 함께 해당 컨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구매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컨텐츠 제공 장치가 컨텐츠 판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에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컨텐츠만을 구매할 수도 있고,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컨텐츠와 함께 구매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함께 구매하기로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된다. 이 때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에는 공유 기간, 공유 횟수, 공유된 컨텐츠의 수명 등 다양한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기간을 1개월, 공유 횟수는 5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를 식별한다. 공유권 구매 여부, 공유 조건에 관한 다양한 옵션 등을 식별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공유권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컨텐츠와 결합한다. 공유권은 공유 조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데이터 블록으로 컨텐츠 파일 내의 특정 섹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컨텐츠 파일과는 병렬적으로 저장, 처리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한편,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카운터 정보는 컨텐츠가 공유되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 컨텐츠가 공유됨에 따라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으며, 이는 컨텐츠 공유를 확인하는 방식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공유권과 컨텐츠를 결합한 이후에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컨텐츠를 표시/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는 컨텐츠와 공유권이 결합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가 공유 가능한 것인지, 공유 횟수, 공유 대상, 공유 기간 등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활용하던 중 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 싶은 때에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컨텐츠에 공유권 정보가 매칭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에는 컨텐츠의 불법 복제 등을 막기 위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 고유의 식별 번호 또는 사용자 ID 등과 매칭되는 DRM 모듈 등이 컨텐츠 파일에 설치되어 특정 단말기에서만 컨텐츠가 활용될 수 있었다. 또는 DRM 모듈과 같은 보안 수단이 포함되지 않아 불특정 다수의 단말에서 컨텐츠를 향유할 수 있었고 이는 컨텐츠 불법 복제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유권과 컨텐츠를 결합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컨텐츠의 공유, 확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암호화 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수단을 공유권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컨텐츠와 공유권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표시/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정당하게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 및 정당하게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 만 컨텐츠를 재생/표시할 수 있고 그 결과 컨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컨텐츠의 건전한 확산이 가능해진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 간에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공유 내역 정보를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 공유 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는 컨텐츠를 공유해 준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간에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송수신 된 경우, 컨텐츠 공유와 관련된 정보인 공유 내역 정보가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또는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공유 내역 정보의 일 예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처리되는 공유 내역 정보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예에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컨텐츠를 공유하고 공유 받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공유 내역 정보를 매개로 수신한다. 따라서, 현재 어느 단말기가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지, 어떠한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고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공유는 최초에 컨텐츠 및 공유권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편의상 제 1 사용자 단말기라 함)만 가능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편의상 제 2 사용자 단말기라 함)가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편의상 제 3 사용자 단말기)로 재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선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를 공유한 후에는 컨텐츠와 매칭된 공유권 내의 카운터 정보가 변경되고, 제 1 사용자 단말기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되는 공유 내역 정보에는 상기 변경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변경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된 공유 내역 정보를 최초 발급된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해당 공유권과 결합된 컨텐츠가 몇 번 공유되었는지를 기록/관리한다.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를 재공유할 수 있는 실시 예의 경우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제 2 사용자 단말기)의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 및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제 3 사용자 단말기)의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가 모두 변경되고, 제 2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 3 사용자 단말기는 변경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된 공유 내역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공유권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동일한 공유권을 가지고 있는 다른 단말기(제 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공유받은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여, 각 단말기의 카운터 정보를 갱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출처(제 1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롯된 컨텐츠를 공유 받은 모든 단말기의 카운터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컨텐츠 제공 장치는 공유 내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카운터 정보 및 공유권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가 공유되면, 컨텐츠와 매칭된 공유권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카운터 정보가 갱신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업데이트 정보, 관련 컨텐츠 발매 정보 또는 컨텐츠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혜택을 누리게 함과 동시에 컨텐츠 제공 장치의 운영자 입장에서는 관련 컨텐츠를 제공/판매/확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컨텐츠 홍보, 추천, 관련 정보 제공은 컨텐츠를 직접 구매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은 공유 내역 정보 내에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번호를 포함시키고 이를 기초로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도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의 공유/확산에 따른 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 내에 포함된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지도록 한다.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의 일 예로, 0에서 시작해서 컨텐츠가 공유될 때마다 카운터 정보가 1 씩 증가하도록 셋팅되어 있고, 컨텐츠 공유 횟수가 5회로 제한되어 있을 때, 상기 카운터 정보가 5가 되면, 달리 말해 기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진다.
컨텐츠의 공유를 제한하는 방식의 예로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공유권 자체를 삭제시켜 기설정된 조건이 충족된 후에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단을 제공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공유권 내에 컨텐츠 파일을 덮어 씌우거나(overwrite) 컨텐츠 파일을 재생 불가능(disable)하게 만드는 별도의 파일을 포함시키고, 기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위 파일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공유 횟수가 제한된 이후에 컨텐츠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컨텐츠가 표시/재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장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고, 포함된 경우 공유권을 생성하고, 컨텐츠와 공유권 결합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컨텐츠 관리부에 의해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관리하고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공유권과 매칭시키는 공유권 관리부 및 컨텐츠,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컨텐츠, 공유권, 공유 내역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고, 컨텐츠 관리부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공유할 권리를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 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공유권을 생성하여 컨텐츠와 공유권을 결합하는 구성이다.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고, 공유권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가 공유됨에 따라 관리되어야 할 상세한 정보등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공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컨텐츠 관리부, 컨텐츠 제공부 및 공유권 관리부는 모두 일종의 프로세서이다. 위 세 구성은 각각 독립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컨텐츠 구매와 관련하여, 구매, 결제, 인증 등을 처리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위와 같은 기능을 처리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에서 생성되는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내역 정보에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또는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카운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간에 컨텐츠가 공유되는 것에 맞추어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부는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업데이트 정보, 관련 컨텐츠 발매 정보 또는 컨텐츠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 지속적으로 등록, 수집,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컨텐츠 제공 장치를 운영하는 주체가 입력, 수집한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즉, 정보의 카테고리, 종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공유권에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시키는 컨텐츠 암호화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적합한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만 재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관리부는 관리부는 공유권 생성시, 상기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지도록 한다. 조건 충족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를 막는 상세한 예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컨텐츠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에 상기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공유권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공유권이 결합된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결합된 컨텐츠 및 공유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간에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될 때 상기 카운터 정보가 변경되며,
    상기 공유 내역 정보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공유받은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타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재공유하여 변경된 카운터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내역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재공유에 따른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공유 받은 모든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카운터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상기 재공유에 따른 공유 내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유 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공유 내역 정보에 식별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된 컨텐츠의 업데이트 정보, 관련 컨텐츠 발매 정보 또는 컨텐츠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가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9.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구매 요청 정보 중, 공유권 구매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식별하고, 포함된 경우 공유권을 생성하고, 컨텐츠와 공유권 결합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컨텐츠 관리부에 의해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매개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관리하고 수신된 공유 내역 정보를 공유권과 매칭시키는 공유권 관리부; 및
    컨텐츠, 공유권 또는 공유 내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권에는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의 공유 횟수에 대한 카운터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가 공유될 때 상기 카운터 정보가 변경되며,
    상기 공유 내역 정보는 컨텐츠를 공유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컨텐츠를 공유 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공유권 내 카운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권 관리부는,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공유받은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서 타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재공유하여 변경된 카운터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내역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공유권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공유권이 결합된 컨텐츠를 공유 받은 모든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카운터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상기 재공유에 따른 공유 내역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06316A 2014-01-17 2014-01-17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22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16A KR102227503B1 (ko) 2014-01-17 2014-01-17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PCT/KR2014/012361 WO2015108286A1 (ko) 2014-01-17 2014-12-15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5/111,683 US20160350807A1 (en) 2014-01-17 2014-12-15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CN201480073468.1A CN105917368A (zh) 2014-01-17 2014-12-15 线下店铺广告服务系统及其方法和应用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16A KR102227503B1 (ko) 2014-01-17 2014-01-17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573A KR20150086573A (ko) 2015-07-29
KR102227503B1 true KR102227503B1 (ko) 2021-03-15

Family

ID=5387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316A KR102227503B1 (ko) 2014-01-17 2014-01-17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460A (ja) 2001-12-28 2003-07-11 Fujitsu Ltd 供給者主導による商品/サービスの値引き方法
JP2004310464A (ja) * 2003-04-07 2004-11-04 Victor Co Of Japan Ltd 共有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更新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624A (ko) * 2002-02-15 2003-08-25 홍정기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동기화 방법
KR20060017394A (ko) * 2004-08-20 2006-02-23 홍두희 온라인 컨텐츠를 오프라인 컨텐츠로 확장하는 방법 및컨텐츠 공유 시스템
KR20070061605A (ko) * 2005-12-10 2007-06-14 배기봉 합법적 네트워크 마케팅 유통 지원 및 저작권 파일 무단전송/복제의 차단 및 탐지 가능한 저작권 보호 p2p 시스템
KR100809292B1 (ko) * 2006-02-2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01630A (ko) 2007-05-04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권리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917312B1 (ko) * 2007-09-27 2009-09-11 (주) 엘지텔레콤 재구매를 위한 디지털 저작권 컨텐츠의 정보 갱신 시스템및 그 방법과 그 기능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KR20100048726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사용권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371A (ko) * 2010-01-26 2011-08-0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제휴 상품정보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308162B1 (ko) * 2010-08-13 2013-09-12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KR101357180B1 (ko) * 2011-04-22 2014-02-03 스탠다드네트웍스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419984B1 (ko) * 2011-08-26 2014-07-15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환경에서 nfc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894394B1 (ko) 2012-01-03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컨텐츠 공유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460A (ja) 2001-12-28 2003-07-11 Fujitsu Ltd 供給者主導による商品/サービスの値引き方法
JP2004310464A (ja) * 2003-04-07 2004-11-04 Victor Co Of Japan Ltd 共有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更新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573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09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20170116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US8091137B2 (en) Transferring a data object between devices
EP1881440A1 (en)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cont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9524746B2 (en) Server device, playback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8751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JP5634337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101287929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276935B2 (en) Domain manager for extending digital-media longevity
US20130312112A1 (en) Licensing protected works within electronic information networks
US9129089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with persistently-unencrypted content
KR100773963B1 (ko)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US11086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y binding license rights to content stored on optical media
US20120290834A1 (en) Key distribu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2227503B1 (ko)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JP20071294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0917782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WO20121627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rypted media distribution
WO2011034094A1 (ja) 著作物販売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346424A (ja) コンテンツ通信方法、コンテンツ通信可否判断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通信システム。
JP4159818B2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64218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034527A1 (en) Generating and managing encrypted non-fungible tokenized assets
KR20140129666A (ko) Drm 방식으로 암호화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 거래하는 서버 장치 및 방법
JP2006121359A (ja) ライセンス情報生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配信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復号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