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848B1 -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848B1
KR102226848B1 KR1020200025186A KR20200025186A KR102226848B1 KR 102226848 B1 KR102226848 B1 KR 102226848B1 KR 1020200025186 A KR1020200025186 A KR 1020200025186A KR 20200025186 A KR20200025186 A KR 20200025186A KR 102226848 B1 KR102226848 B1 KR 10222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wire
shaft
pie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복
공재영
권용갑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워텍
공재영
권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워텍, 공재영, 권용갑 filed Critical (주)그린파워텍
Priority to KR102020002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9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axially-movable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와이어가 감겨지는 와이어 권취부가 구비된 받침판에 제어기판을 갖는 기판 고정편이 지지로드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부 걸림구를 갖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싱의 하부에 상기 받침판이 끼워지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하부 걸림구를 갖는 승,하강편이 상기 와이어 권취부에 감겨진 와이어에 연결되어지게 구비된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는 받침판의 일측에 베어링이 삽입된 일측 지지부가 피스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지지부와 대응되는 축고정홀과 기어고정홀을 갖는 타측 지지부가 피스로 결합되고, 상기 일,타측 지지부 사이로 와이어가 2열로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휠을 가지며, 축관통홀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축이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 권취축의 일,타측 단부에 와이어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과 와이어 정렬부를 종동기어에 구비된 구동축이 관통되어 베어링과 축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종동기어에 아이들 기어 및 구동모터에 구비된 구동기어가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가 받침판에 피스로 결합된 브라켓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2 LINE WIRE WINDING TYPE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이 건 발명은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 권취부에 감겨진 와이어가 용이하게 풀리는 가운데 풀려진 와이어가 신속하며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편이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 체육관, 공장, 교회, 공연장, 예식장, 연회장, 주유소, 레스토랑, 커피숍, 백화점등과 같이 천정면이 비교적 높은 곳에는 고소 조명등이 설치 사용되고 있다.
고소 조명등은 최초 사용시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전구의 제한된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전구의 고장에 의해 새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전구의 사용 수명을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작업을 해주어야만 한다.
높은 천정면에 설치 사용되는 고소 조명등을 교환 및 청소작업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특성상 별도의 고소 작업장비 즉, 고소 작업대,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고소 작업은 지상에서의 작업 보다 많은 불편함과 숙련도가 요구될뿐 아니라, 고소 작업도중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등의 안전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었으며, 고소 작업장비 사용에 다른 경비가 증가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 10-1136097호(2012.04.05)의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자동승강 조명장치는 조명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이 조명기에 마련되어 조명기와 함께 승강함으로써, 승강유닛 및 조명기를 지상에서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구동모터가 미끄러짐에 없이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조명기의 안정적인 승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권취릴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불균일하게 권취되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부분적으로 꼬여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승강유닛이 최상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작용하게 되거나 와이어가 끊어지게 될 경우, 멈춤구 등이 없어 조명기가 그대로 바닥을 향하여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136097호(2012.04.05)
이 건 발명은 와이어가 와이어 권취부에 감겨지는 과정에서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추락방지구에 의하여 승,하강편이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어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와이어(W)가 감겨지는 와이어 권취부(10)가 구비된 받침판(20)에 제어기판(310)을 갖는 기판 고정편(30)이 지지로드(32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부 걸림구(410)를 갖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싱(40)의 하부에 상기 받침판(20)이 끼워지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20)의 하부에 하부 걸림구(510)를 갖는 승하강편(50)이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에 감겨진 와이어(W)에 연결되어지게 구비된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A)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10)는 받침판(20)의 일측에 베어링(101)이 삽입된 일측 지지부(102)가 피스(P)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지지부(102)와 대응되는 축고정홀(103)과 기어고정홀(104)을 갖는 타측 지지부(105)가 피스(P)로 결합되고, 상기 일,타측 지지부(102)(105) 사이로 와이어(W)가 2열로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휠(111)을 가지며, 축관통홀(112)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축(110)이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타측 단부에 와이어 정렬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과 와이어 정렬부(120)를 종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이 관통되어 베어링(101)과 축고정홀(1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종동기어(130)에 아이들 기어(142) 및 구동모터(140)에 구비된 구동기어(141)가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140)가 받침판(20)에 피스(P)로 결합된 브라켓(1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의 와이어 정렬부(120)는 일측 지지부(102)의 내측 상부에 링형태를 갖는 캠플레이트(121)의 상부 외측이 결합편(JP)과 힌지 볼트(HB)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일측 지지부(102)의 하부에 암나사홀(102-1)을 구비하여 조절볼트(CB)가 나사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측에 푸싱로드(112-1)가 구비되어 상기 캠플레이트(121)에 맞닿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곳에 2개의 슬라이드축(12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축(122)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10-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축(131)에 코일 스프링(123)이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하여 푸싱로드(112-1)의 단부가 캠플레이트(121)에 항상 맞대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20)은 와이어 인,입출홀(210)이 구비된 하부에 접점단속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접점단속부(220)는 외부에 관통홀(221-1)을 갖는 플랜지(221)가 구비되며, 내부에 와이어 관통홀(22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222)에 비접촉식 상부 스위치(223)가 구비되어 승하강편(50)에 구비된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520)가 근접됨과 동시에 동작되게 구비되어지고, 하부에 스프링(224)이 삽입된 접점핀(22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상,하부 스위치(223)(520)는 마그네틱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편(50)은 중앙에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편(520)이 구비되어지고, 외부면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위치결정돌부(53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0)에 구비된 위치결정홈부(230)에 상기 위치결정돌부(53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20)과 승하강편(50)에 추락방지구(60)가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구(60)는 받침판(20)의 하부 양측에 요부 걸림부(610)가 마주보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 걸림부(610) 사이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기 승하강편(50)에 철부 걸림부(6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구(60)의 철부 걸림부(620)는 전자석 로드(621)의 단부에 래치(622)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와이어 권취부로부터 풀려진 와이어가 다시 와이어 권취부로 감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 권취축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와이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완전히 감겨짐과 동시에 와이어의 하부에 구비된 승,하강편이 추락방지구에 잠겨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와이어의 단선이나,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인 지진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승,하강편이 분리되어 하부로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와이어 권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접점단속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와이어 권취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접점단속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에 있어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A)는 와이어(W)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W)의 단선이나,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인 지진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와이어(W)의 끝에 구비된 승,하강편(50)이 분리되어 하부로 추락하는 막아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부(10), 받침판(20), 기판 고정편(30), 케이싱(40) 및 승,하강편(50)이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소정 길이를 갖는 와이어(W)가 감겨지는 와이어 권취부(10)가 받침판(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의 상부로 제어기판(310)을 갖는 기판 고정편(30)이 위치되도록 지지로드(320)에 의하여 받침판(2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20)에 상부 걸림구(410)를 갖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싱(40)의 하부가 기워지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20)의 하부에 하부 걸림구(510)를 갖는 승,하강편(50)이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에 감겨진 와이어(W)에 연결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부(10)는 받침판(20)의 일측에 베어링(101)이 삽입된 일측 지지부(102)가 피스(P)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지지부(102)와 대응되는 축고정홀(103)과 기어고정홀(104)을 갖는 타측 지지부(105)가 피스(P)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일측 지지부(102)와 타측 지지부(105) 사이에는 와이어(W)가 2열로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휠(111)을 가지며, 축관통홀(112)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축(11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와이어 정렬부(1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과 와이어 정렬부(120)를 종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이 관통되어 베어링(101)과 축고정홀(1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정렬부(120)는 일측 지지부(102)의 내측 상부에 링형태를 갖는 캠플레이트(121)의 상부 외측이 결합편(JP)과 힌지 볼트(HB)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캠플레이트(121)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일측 지지부(102)의 하부에 암나사홀(102-1)을 구비하여 조절볼트(CB)가 나사결합되게 구비되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측에 푸싱로드(112-1)가 구비되어 상기 캠플레이트(121)에 맞닿게 구비되어짐으로써, 상기 조절볼트(CB)의 단부가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캠플레이트(121)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와이어(W)가 감겨지는 길이가 같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곳에 2개의 슬라이드축(12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축(122)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10-1)이 구비되어짐으로써, 구동기어(130)의 회전력에 의하여 와이어 권취축(110)이 같이 회전되도록 하는 가운데 권취축(110)이 슬라이드축(122)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는 와이어 권취축(110)이 회전되는 가운데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W)가 균일하게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축(131)에 코일 스프링(123)이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하여 푸싱로드(112-1)의 단부가 캠플레이트(121)에 항상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130)에는 아이들 기어(142) 및 구동모터(140)에 구비된 구동기어(141)가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140)가 받침판(20)에 피스(P)로 결합된 브라켓(150)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0)은 와이어 인,입출홀(210)이 구비된 하부에 접점단속부(220)가 구비된 것으로, 점접핀(225)의 접속에 따라 미도시한 배터리로 충전용 A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승하강 장치의 하부로 매달리는 투광기나 공기정화기로 A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DC 0~12V의 디밍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접점단속부(220)는 외부에 관통홀(221-1)을 갖는 플랜지(221)가 구비되어 받침판(20)의 하부에 피스로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와이어 관통홀(2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관통홀(222)에 비접촉식 상부 스위치(223)가 구비되어 승,하강편(50)에 구비된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520)가 근접됨과 동시에 동작되게 구비되어있다.
상기 접점핀(225)은 내부에 스프링(224)이 삽입되어 항상 스프링(2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된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접촉식 상,하부 스위치(223)(520)는 마그네틱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편(50)은 중앙에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편(520)이 구비되어지고, 외부면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위치결정돌부(530)가 구비되어짐으로써, 상기 받침판(20)에 구비된 위치결정홈부(230)에 상기 위치결정돌부(530)가 삽입되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0)과 승,하강편(50)에는 추락방지구(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추락방지구(60)는 받침판(20)의 하부 양측에 요부 걸림부(610)가 마주보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 걸림부(610) 사이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기 승,하강편(50)에 철부 걸림부(6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철부 걸림부(620)는 전자석 로드(621)의 단부에 래치(622)가 결합되어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전자석 로드(621)에 의하여 래치(622)가 구동됨으로써, 철부 걸림부(620)가 요부 걸림부(610)에서 분리됨에 따라 언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와이어 권취부 20:받침판
30:기판 고정편 40:케이싱
50:승,하강편 101:베어링
102:일측 지지부 103:축고정홀
104:기어고정홀 105:타측 지지부
110:와이어 권취축 111:와이어 권취휠
112:축관통홀 120:와이어 정렬부
130:종동기어 131:구동축
140:구동모터 141:구동기어
142:아이들 기어 150:브라켓
310:제어기판 320:지지로드
410:상부 걸림구 510:하부 걸림구

Claims (7)

  1. 와이어(W)가 감겨지는 와이어 권취부(10)가 구비된 받침판(20)에 제어기판(310)을 갖는 기판 고정편(30)이 지지로드(32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부 걸림구(410)를 갖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싱(40)의 하부에 상기 받침판(20)이 끼워지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20)의 하부에 하부 걸림구(510)를 갖는 승,하강편(50)이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에 감겨진 와이어(W)에 연결되어지게 구비된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A)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10)는 받침판(20)의 일측에 베어링(101)이 삽입된 일측 지지부(102)가 피스(P)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지지부(102)와 대응되는 축고정홀(103)과 기어고정홀(104)을 갖는 타측 지지부(105)가 피스(P)로 결합되고, 상기 일,타측 지지부(102)(105) 사이로 와이어(W)가 2열로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휠(111)을 가지며, 축관통홀(112)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축(110)이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타측 단부에 와이어 정렬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과 와이어 정렬부(120)를 종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이 관통되어 베어링(101)과 축고정홀(1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종동기어(130)에 아이들 기어(142) 및 구동모터(140)에 구비된 구동기어(141)가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140)가 받침판(20)에 피스(P)로 결합된 브라켓(1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10)의 와이어 정렬부(120)는 일측 지지부(102)의 내측 상부에 링형태를 갖는 캠플레이트(121)의 상부 외측이 결합편(JP)과 힌지 볼트(HB)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일측 지지부(102)의 하부에 암나사홀(102-1)을 구비하여 조절볼트(CB)가 나사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일측에 푸싱로드(112-1)가 구비되어 상기 캠플레이트(121)에 맞닿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종동기어(130)에 구비된 구동축(13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곳에 2개의 슬라이드축(12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권취축(110)의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축(122)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10-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구동축(131)에 코일 스프링(123)이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하여 푸싱로드(112-1)의 단부가 캠플레이트(121)에 항상 맞대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은 와이어 인,입출홀(210)이 구비된 하부에 접점단속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접점단속부(220)는 외부에 관통홀(221-1)을 갖는 플랜지(221)가 구비되며, 내부에 와이어 관통홀(222)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관통홀(222)에 비접촉식 상부 스위치(223)가 구비되어 승,하강편(50)에 구비된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520)가 근접됨과 동시에 동작되게 구비되어지고, 하부에 스프링(224)이 삽입된 접점핀(22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상,하부 스위치(223)(520)는 마그네틱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편(50)은 중앙에 비접촉식 하부 스위치편(520)이 구비되어지고, 외부면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위치결정돌부(53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0)에 구비된 위치결정홈부(230)에 상기 위치결정돌부(53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과 승,하강편(50)에 추락방지구(60)가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구(60)는 받침판(20)의 하부 양측에 요부 걸림부(610)가 마주보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 걸림부(610) 사이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기 승,하강편(50)에 철부 걸림부(6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구(60)의 철부 걸림부(620)는 전자석 로드(621)의 단부에 래치(622)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KR1020200025186A 2020-02-28 2020-02-28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KR10222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86A KR102226848B1 (ko) 2020-02-28 2020-02-28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86A KR102226848B1 (ko) 2020-02-28 2020-02-28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848B1 true KR102226848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186A KR102226848B1 (ko) 2020-02-28 2020-02-28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8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094U (ko) * 1984-10-09 1986-05-09
KR101136097B1 (ko) 2011-12-20 2012-04-17 이왕건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US20160338310A1 (en) * 2014-01-21 2016-11-24 Gea Farm Technologies Canada Inc. Cable Drive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094U (ko) * 1984-10-09 1986-05-09
KR101136097B1 (ko) 2011-12-20 2012-04-17 이왕건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US20160338310A1 (en) * 2014-01-21 2016-11-24 Gea Farm Technologies Canada Inc. Cable Driv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728B1 (ko)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EP1384030B1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JP2002104785A (ja) 昇降装置
KR102226848B1 (ko) 2줄 와이어 권취식 승하강 장치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20050082833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CN110630940B (zh) 灯具
KR200227951Y1 (ko) 자동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
KR100983078B1 (ko) 승강식 조명기구의 안전장치
KR102553893B1 (ko) 스프링 밸런스
KR100867207B1 (ko)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100454819B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용 스톱퍼.
JPH06236703A (ja) 照明装置
KR200279723Y1 (ko) 고 천장 램프 교체장치
WO2009108991A1 (en) An item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