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618B1 - 쿠킹 장치 - Google Patents

쿠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618B1
KR102226618B1 KR1020190107652A KR20190107652A KR102226618B1 KR 102226618 B1 KR102226618 B1 KR 102226618B1 KR 1020190107652 A KR1020190107652 A KR 1020190107652A KR 20190107652 A KR20190107652 A KR 20190107652A KR 102226618 B1 KR102226618 B1 KR 10222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d
bowl
ancho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621A (ko
Inventor
이광룡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0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6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결합되는 뚜껑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달성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쿠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쿠킹 장치{COOKER HAVING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쿠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결합되는 뚜껑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달성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쿠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등의 조리를 수행하는 쿠킹 장치는, 구체적으로 소정의 동력 장치가 내장되는 본체부와,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조리 재료 등이 투입되는 믹싱 보울, 및 믹싱 보울 상에 놓여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쿠킹 장치의 뚜껑부를 결합, 분리시킬 때, 과도한 힘이 들거나 또는 뚜껑부가 안전하게 결합되지 아니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소비자의 부주의 또는 외력(내용물의 회전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외력 등)으로 인해 믹싱 보울이 분리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의 개폐가 간편하게 달성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쿠킹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311121호
본 발명의 과제는,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결합되는 뚜껑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달성되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쿠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킹 장치는, 본체부; 소정의 보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믹싱 보울; 및 상기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은, 음식물이 투입되는 보울 본체,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는 보울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보울 본체를 덮는 뚜껑 본체, 및 상기 보울 핸들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울 핸들부와 결합되는 뚜껑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 상에 상기 뚜껑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가 선회되면 상기 보울 핸들부와 상기 뚜껑 핸들부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되, 상기 뚜껑 핸들부는,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버튼부, 상기 핸들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된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 핸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앵커부가 투입되는 앵커 홈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가 하강하면 상기 앵커부가 상승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승하면 상기 앵커부가 하강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시소 운동 가능한 시소 바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시소 바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시소 바의 후단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소 바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시소 빔과, 측 방향으로 돌출된 시소 축을 포함하며, 상기 시소 빔은,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전방의 제1 부분과 후방의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직교하게 돌출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제3 부분과 직교하게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 핸들부와 상기 보울 핸들부가 서로 결합될 때에는, 상기 뚜껑 핸들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뚜껑 핸들부와 상기 보울 핸들부가 서로 분리될 때에는, 상기 뚜껑 핸들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앵커부는, 전면부에 형성된 빗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앵커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울 핸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앵커 홈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딩 로킹부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되고 후방으로 오픈되는 슬라이딩 로킹 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본체의 양 측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에 의하면,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 상에 결합되는 뚜껑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가 믹싱 보울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과 본체부 및 뚜껑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의 외관을 각각 아래, 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의 시소 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12 는 버튼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 및 14 는 버튼부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는 믹싱 보울에 구비된 보울 핸들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와 보울 핸들부 사이의 결합 및 분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20)과 본체부(10) 및 뚜껑부(30)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는, 본체부(10), 믹싱 보울(20), 및 뚜껑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는 내부에 각종 동력 장치, 및 쿠킹 장치 등이 내장되어 동력을 제공하거나, 고온을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이다. 또한, 본체부(10)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제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 상에는 믹싱 보울(20)이 투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함몰 투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양 측에는 믹싱 보울(20)의 보울 핸들부(200)가 놓여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2)에는 믹싱 보울(20)이 로킹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잠금 돌부(14)를 가질 수 있다.
믹싱 보울(20)은 본체부(10) 내에 투입될 수 있는 보울(bowl)형태의 부재이다. 믹싱 보울(20)은 조리 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보울 본체(22), 및 보울 본체(22) 상에 구비되는 보울 핸들부(200)를 구비한다.
보울 본체(22)는 조리 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보울 형태로 구성된다. 보울 본체(22)는 본체부(10)에 구비된 각종 동력 장치와 연결되어, 보울 본체(22) 내에 투입된 조리 재료의 절단, 분쇄, 가열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조리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보울 핸들부(200)는 믹싱 보울(2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믹싱 보울(20)을 잡아서 옮기고 본체부(10) 내에 투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울 핸들부(200)는 보울 본체(22)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게 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울 핸들부(20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뚜껑부(30)는 믹싱 보울(20) 상에 덮여지는 소정의 뚜껑으로 구성된다. 뚜껑부(30)는 뚜껑 바디(32) 및, 뚜껑 핸들부(100)를 갖는다. 뚜껑 바디(32)는 믹싱 보울(20)을 덮는 부분으로서, 믹싱 보울(20)의 외형에 따라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뚜껑 바디(32)는 상부를 구성하는 탑 뚜껑과, 하부를 구성하는 이너 뚜껑을 구비하며, 탑 뚜껑과 이너 뚜껑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뚜껑부(30)를 믹싱 보울(20) 상에 덮었을 때 이너 뚜껑이 믹싱 보울(20) 상에 밀착할 수 있으며, 탑 뚜껑이 믹싱 보울(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뚜껑 핸들부(100)는 사용자가 뚜껑부(30)를 옮길 때 잡을 수 있는 부분이면서, 동시에 믹싱 보울(20)의 보울 핸들부(200) 상에 놓여져 보울 핸들부(200)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뚜껑부(30)의 뚜껑 핸들부(100)와 믹싱 보울(20)의 보울 핸들부(200)가 서로 고정되면 믹싱 보울(20)과 뚜껑부(3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핸들부(100)는, 뚜껑 바디(32)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뚜껑 바디(32)의 중심점 P 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뚜껑 핸들부(100A, 100B)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버튼부(130A, 130B)의 위치 또한, 뚜껑 바디(32)의 중심점 P 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의 외관을 각각 아래, 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의 시소 바(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10 을 참조하여, 뚜껑 핸들부(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은 각각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뚜껑 핸들부(100)는, 핸들 하우징(110), 시소 바(120), 버튼부(130), 앵커부(140), 탄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하우징(110)은 뚜껑 핸들부(100)의 외관을 구성한다. 핸들 하우징(110)의 전방부 상면에는 버튼부(13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버튼 홀(112)이 형성된다. 핸들 하우징(110)의 후방부 하면에는 앵커부(14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앵커 홀(114)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 홀(114)의 측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로킹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 하우징(110)의 전방부 하면에는, 스위치 투입 라인(116)이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 투입 라인(116)의 상면은 경사면(11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울 핸들부(200)와 핸들 하우징(110)이 결합될 때, 보울 핸들부(200)의 상단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안전 스위치(미도시)가 상기 스위치 투입 라인(116)에 투입되되, 스위치 투입 라인(116) 내의 일정 위치까지 안전 스위치가 투입된 후,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30)가 믹싱 보울(20) 상에 완전히 결합된 후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소 바(120)는 핸들 하우징(110) 내에 내장된다. 시소 바(12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소 빔(121)과, 상기 시소 빔(121)의 중간 부분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시소 축(122)을 구비한다. 따라서, 시소 빔(121)은 시소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시소 빔(121)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시소 빔(121)은 일자형 바가 아닌, 부분적으로 절곡된 입체형 바일 수 있다.
예컨대, 시소 빔(121)은 도 9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시소 빔(121)의 전반부(S1)(전체 길이의 중간 지점과 전방 단부 사이를 구성하는 부분)를 구성하는 제1 부분(123)은 일자형 바로 구성된다. 아울러, 전체 길이의 중간 부분에 제1 절곡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소 빔(121)의 후반부(S2)(후방 단부와 전체 길이의 중간 지점의 사이를 구성하는 부분)는 제1 절곡부(12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분(123)과 연결된다.
시소 빔(121)의 후반부(S2)는, 전방 부분(S2-1)을 구성하는 제2 부분(125)과 후방 부분(S2-2)을 구성하는 제3 부분(127)을 포함한다.
제2 부분(125)은, 시소 빔(121)의 전체 길이의 중간 위치와 후반부의 중간 위치 사이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제2 부분(125)은 하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
후반부(S2)의 중간 위치에는 제2 절곡부(1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부분(127)은 상기 제2 절곡부(126)를 사이에 두고 제2 부분(125)과 연결된다. 제3 부분(127)은 제1 부분(123)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자형 바일 수 있다.
시소 빔(121)은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절곡부를 갖는 입체형 바로 구성됨으로서, 후술하는 탄성부(150)가 버튼부(130)의 하부에 대해 탄성력을 가할 때, 시소 빔(121)의 제1 부분(123)의 상면부가 핸들 하우징(110)의 내면에 닿아 지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앵커부(140)는 시소 빔(121)의 제3 부분(127)과 직교할 수 있으며, 버튼부(13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앵커부(140)가 직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 및 걸림 효과면에서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시소 축(122)은 상기 제1 절곡부(124)가 형성된 위치에 위치하며, 양 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시소 바(120)는 시소 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즉, 시소 바(120)의 전방 단부가 상방향으로 선회하면, 시소 바(120)의 후방 단부는 하방향으로 선회한다. 반대로, 시소 바(120)의 전방 단부가 하방향으로 선회하면, 시소 바(120)의 후방 단부는 상방향으로 선회한다.
버튼부(130)는 시소 바(120)의 전방 단부 상부에 구비된다. 버튼부(130)는 버튼 홀(112)을 통해서 핸들 하우징(110)의 상방향으로 노출되며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버튼부(130)는 둥근 노브 형태일 수 있다.
버튼부(130)는 상기 시소 바(120)의 제1 부분(123)에 대해서 직교하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앵커부(140)는 시소 바(120)의 후방 단부 하부에 구비된다. 앵커부(140)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이 형태의 부분이다. 앵커부(140)는 앵커 홀(114)을 통해서 핸들 하우징(110)의 하방향으로 노출되며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앵커부(140)는 상기 시소 바(120)의 제3 부분(127)에 대해서 직교하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앵커부(140)는 하단부의 전면부에 빗면(142)을 구비할 수 있다. 빗면(142)은 반드시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빗면(142)에 한정하지 않고, 라운딩을 가질 수도 있다.
탄성부(150)는 핸들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130) 아래에 배치된다. 탄성부(150)는 예컨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150)는 버튼부(130) 아래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버튼부(130)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따라서, 버튼부(130)에 별도의 외력이 없으면, 버튼부(130)는 버튼 홀(112)을 통해서 핸들 하우징(110)의 상면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버튼부(130)와 반대로, 앵커부(140)는 외력이 없으면 핸들 하우징(110)의 하면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14 를 참조하여, 버튼부(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와,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각각 비교 설명한다. 도 11 및 12 는 버튼부(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 및 14 는 버튼부(130)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 및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150)가 시소 바(12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버튼부(130)에 대해 상방향 탄성을 가하여, 버튼부(130)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앵커부(140) 또한 하방향으로 돌출(K)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부(140)는 걸림 돌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소 빔(121)의 제1 부분(123)은 핸들 하우징(110)의 내면에 닿아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 상태에서, 앵커부(140)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되 직립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앵커부(140)의 후방 부분은 직립면을 구성하며, 따라서 앵커부(140)의 후방부의 지지 및 걸림 효과가 안정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이 상태에서 앵커부(140)의 전방부에 대해서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면, 앵커부(140)의 빗면(142)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앵커부(14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시소 바(120)가 회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3 및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0)에 P1 과 같이 누르는 형태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150)가 압축되고, 버튼부(130)가 하강한다. 시소 바(120)가 시소 운동을 함으로서, 앵커부(140)는 P2 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140)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130)를 누른 상태로 뚜껑 핸들부(1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화살표 Q 와 같은 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된다.
도 15 는 믹싱 보울(20)에 구비된 보울 핸들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믹싱 보울(20)에 구비된 보울 핸들부(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울 핸들부(200)는 앵커 홈(210), 및 슬라이딩 로킹 홈(220)을 갖는다.
앵커 홈(210)은 보울 핸들부(200)의 후방부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앵커 홈(210)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으로 구성된다. 보울 핸들부(200) 상에 뚜껑 핸들부(100)가 위치하면, 상기 뚜껑 핸들부(100)의 하부로 돌출된 앵커부(140)가 앵커 홈(210) 내에 투입되어 걸려질 수 있다.
슬라이딩 로킹 홈(220)은 앵커 홈(21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로킹 홈(220)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으로 구성되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후방이 오픈된 리세스(recess) 형태의 홈일 수 있다. 상기 앵커부(140)가 앵커 홈(210) 내에 투입될 때 슬라이딩 로킹부(160)가 슬라이딩 로킹 홈(22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보울 핸들부(200)의 전방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전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울 핸들부(200)와 핸들 하우징(110)이 결합될 때, 보울 핸들부(200)의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안전 스위치(미도시)가 상기 스위치 투입 라인(116)에 투입되되, 스위치 투입 라인(116) 내의 일정 위치까지 안전 스위치가 투입된 후, 눌려질 수 있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과 보울 핸들 사이의 결합 및 분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과 보울 핸들 사이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과 보울 핸들 사이의 결합은 도 16 의 (a) 와 같다.
도 16 및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 사이의 결합 및 분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 사이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 사이의 결합은 도 16 의 (a) 와 같다.
이때, 버튼부(130)를 눌러서 앵커부(140)를 상승시킨 상태로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앵커부(140)의 전면부에는 빗면(1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앵커부(140)가 완전히 상승하지 않아서 보울 핸들부(200)와 앵커부(140)의 전면부가 부분적으로 맞닿을 경우에도, 큰 힘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빗면(142)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앵커부(14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반면에, 앵커부(140)의 후면부에는 이와 같은 빗면(142)이 없다. 따라서, 앵커부(140)가 앵커 홈(210)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는, 버튼부(130)를 누르지 않는 한,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뚜껑 핸들부(100)가 이탈하지 않는다. 즉, 뚜껑 핸들부(1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앵커부(140)와 앵커 홈(210)이 서로 걸려져 있으므로, 뚜껑 핸들부(100)가 의도하지 않게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앵커부(140)의 후면부는 직립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걸림 효과가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과 보울 핸들 사이의 분리는 도 16 의 (c) 와 같다.
상기 뚜껑 핸들부(100)와 상기 보울 핸들부(200)를 서로 분리시킬 때에는, 버튼부(130)를 눌러서 앵커부(14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뚜껑 핸들부(100)를 화살표 R 과 같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된다. 뚜껑 핸들부(100)는 후방부(앵커부(140)가 위치하는 위치)부터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분리 과정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과정에서, 버튼부(130)를 누르면 시소 바(120)의 전방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뚜껑 핸들부(100)가 이탈할 때 버튼부(130)를 누른 상태에서 보울 핸들부(2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뚜껑 핸들부(10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시소 바(120)의 전방이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버튼부(130)의 상면부가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전방 및 하방으로 미는 힘을 가함으로서 뚜껑 핸들부(100)가 보울 핸들부(200)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이다. 즉, 버튼부(130)를 누른 상태로 뚜껑 핸들부(1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4 의 화살표 Q 와 같은 방향의 외력을 가하게 되며, 사용자의 힘의 수평 방향 분력과 뚜껑 핸들부(100)의 이동 방향이 같으므로, 자연스러운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쿠킹 장치의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 사이의 분리는 도 16 의 (c) 와 같다.
또한,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로킹부(160)가 슬라이딩 홈 내에 투입되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뚜껑 핸들부(100)와 보울 핸들부(200) 사이의 결합이 보다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 핸들부(100)는, 뚜껑 바디(32)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뚜껑 바디(32)의 중심점 P 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130) 또한 뚜껑 바디(32)의 중심점 P 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킹 장치에 의하면, 쿠킹 장치의 믹싱 보울(20) 상에 결합되는 뚜껑부(30)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30)가 믹싱 보울(20)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부
12: 안착부
14: 잠금 돌부
20: 믹싱 보울
22: 보울 본체
30: 뚜껑부
32: 뚜껑 바디
100: 뚜껑 핸들부
110: 핸들 하우징
112: 버튼 홀
114: 앵커 홀
116: 스위치 투입 라인
118: 경사면
120: 시소 바
121: 시소 빔
122: 시소 축
123: 제1 부분
124: 제1 절곡부
125: 제2 부분
126: 제2 절곡부
127: 제3 부분
130: 버튼부
140: 앵커부
142: 빗면
150: 탄성부
160: 슬라이딩 로킹부
200: 보울 핸들부
210: 앵커 홈
220: 슬라이딩 로킹 홈

Claims (8)

  1. 본체부;
    소정의 보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 상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믹싱 보울; 및
    상기 믹싱 보울을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은,
    음식물이 투입되는 보울 본체,
    상기 보울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는 보울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보울 본체를 덮는 뚜껑 본체, 및
    상기 보울 핸들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울 핸들부와 결합되는 뚜껑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보울 상에 상기 뚜껑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가 선회되면 상기 보울 핸들부와 상기 뚜껑 핸들부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되되,
    상기 뚜껑 핸들부는,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버튼부,
    상기 핸들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된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 핸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앵커부가 투입되는 앵커 홈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가 하강하면 상기 앵커부가 상승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승하면 상기 앵커부가 하강하는 쿠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시소 운동 가능한 시소 바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시소 바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시소 바의 후단에 구비되는 쿠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바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시소 빔과, 측 방향으로 돌출된 시소 축을 포함하며,
    상기 시소 빔은,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전방의 제1 부분과 후방의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쿠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직교하게 돌출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제3 부분과 직교하게 돌출되는 쿠킹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뚜껑 핸들부와 상기 보울 핸들부가 서로 결합될 때에는
    상기 뚜껑 핸들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뚜껑 핸들부와 상기 보울 핸들부가 서로 분리될 때에는,
    상기 뚜껑 핸들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쿠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전면부에 형성된 빗면을 포함하는 쿠킹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앵커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로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울 핸들부의 상면에는,
    상기 앵커 홈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딩 로킹부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되고 후방으로 오픈되는 슬라이딩 로킹 홈을 포함하는 쿠킹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핸들부는,
    상기 뚜껑 본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본체의 양 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쿠킹 장치.
KR1020190107652A 2019-08-30 2019-08-30 쿠킹 장치 KR10222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52A KR102226618B1 (ko) 2019-08-30 2019-08-30 쿠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52A KR102226618B1 (ko) 2019-08-30 2019-08-30 쿠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21A KR20210026621A (ko) 2021-03-10
KR102226618B1 true KR102226618B1 (ko) 2021-03-11

Family

ID=7514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652A KR102226618B1 (ko) 2019-08-30 2019-08-30 쿠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6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4914A1 (en) 2016-02-25 2017-08-31 Kenwood Limited Kitchen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21B1 (ko) 2012-10-18 2013-10-14 김영준 멀티 쿠커
KR102065079B1 (ko) * 2016-06-13 2020-01-10 (주)쿠첸 다용도 음식제조기용 오븐 안전 잠금장치
KR102049564B1 (ko) * 2016-09-07 2020-01-22 (주)쿠첸 다용도 조리기의 오븐 장착조립체
FR3059533B1 (fr) * 2016-12-02 2019-06-21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a poignees de cuve et de couvercle interverrouilla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4914A1 (en) 2016-02-25 2017-08-31 Kenwood Limited Kitche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21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71836B (zh)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KR102245248B1 (ko)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CN105409066B (zh) 受限接入电插座
JP5188984B2 (ja) 1つ以上のピボットハンドル付きの料理用容器
KR10117123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8535768A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らを含むカミソリ
US10455902B2 (en) Child's safety belt connection buckle
US10640020B2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2020012899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102226618B1 (ko) 쿠킹 장치
JP5662696B2 (ja) コントローラ支持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支持システム
JPH0134601B2 (ko)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JP3179418U (ja) 携帯用飲料容器
JP2004308351A (ja) 開閉用ハンドル装置
JP6621163B1 (ja) 飲料容器のロック機構
JP2022530700A (ja) パーソナルケア機器に使用される結合アセンブリ
JP2008307132A (ja) 電気かみそり
KR101842049B1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홀딩 장치
US20210220223A1 (en) Pill splitter
CN104661881B (zh) 用于安全带的锁扣装置
JP320163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576175B2 (ja) 電気かみそり
JP3170568U (ja) 調理器具用取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