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436B1 -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 Google Patents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436B1
KR102226436B1 KR1020200132132A KR20200132132A KR102226436B1 KR 102226436 B1 KR102226436 B1 KR 102226436B1 KR 1020200132132 A KR1020200132132 A KR 1020200132132A KR 20200132132 A KR20200132132 A KR 20200132132A KR 102226436 B1 KR102226436 B1 KR 10222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onduit
food production
bellows pip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정
Original Assignee
김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정 filed Critical 김재정
Priority to KR102020013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의 식품생산장치로부터 분말가루가가 투하되는 통로인 제1 관로를 내삽시켜 연결시키는 상부연결부; 하부의 분말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조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2 관로를 내삽시켜 연결시키는 하부연결부; 상기 상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식품생산장치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식품생산장치로부터 분말가루를 하부의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벨로우즈관 본체; 상기 제1 관로와 연결된 상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는 띠 형태의 클램프로서, 다수의 LED가 내측으로 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2 관로와 연결된 하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는 띠 형태의 클램프로서, 다수의 LED가 내측으로 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말가루의 부패로 인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Bellows tube for food prod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형태의 식품을 이동시키는 벨로우즈관의 내부에서 분말형태의 식품이 틈에 끼거나 적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벨로우즈관의 내측면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낙하유도경사면이 형성된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로우즈관이란 신축하는 주름관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 산업의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관이다. 특히 반도체 설비에는 진공을 유지해야 하는 공기 흡입계열과 냉각수 공급계열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된 벨로우즈관이 요구하는 압력조건이나 불량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만에 하나 불량인 상태의 벨로우즈관이 생산설비에 투입되는 것은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벨로우즈관에 관한 기술문헌으로 10-0333783호(2002. 04. 25), "금속재 벨로우즈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벨로우즈관"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벨로우즈관은 분말형태의 식품생산장치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있는데, 분말식품의 제조공정 특성상 식품생산장치가 좌우 상하 수평으로 흔들리거나 원형 수평으로 쉐이킹(shaking)하는 작업이 동반된다. 식품생산장치를 상하좌우 또는 원형으로 흔들면 경직된 관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플렉서블(flexible)하게 움직일 수 있는 벨로우즈관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한 벨로우즈관은 천 재질을 사용하고, 벨로우즈관은 철사 등의 얇은 철심에 의해 그 형상이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천 재질의 벨로우즈관은 천의 특성상 곰팡이나 세균이 발생할 수 있다. 천 재질의 벨로우즈관은 반복된 동작으로 인한 마모로 틈이나 구멍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해충의 유입도 잦아 전체적인 식품의 품질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중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벨로우즈관은 쉐이킹하는 식품제조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므로 벨로우즈관과 식품제조장치를 연결하는 부분 및 벨로우즈관과 저장조로 연결되는 연결관을 각각 연결하는 부분을 고정시키는 금속띠 형상의 체결클램프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벨로우즈관은 잦은 고장 및 교체작업으로 인하여 체결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벨로우즈관의 내경을 식품생산장치의 연결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분말식품의 원활한 이송을 위한 쉐이킹 작업으로 인하여 이탈될 수 있으며, 벨로우즈관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주름에 분말이 적체되어 부패하는 경우 분말식품을 오염시켜 식품 전체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품생산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분말이 곱지 않게 빻여지는 경우 이를 확인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3783호(2002. 04. 25). "금속재 벨로우즈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벨로우즈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가루의 식품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벨로우즈관의 내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분말가루가 벨로우즈관에 적체되지 않고 하부로 자연적으로 이송되도록 한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의 식품제조장치와 연결되는 관로 및 하부의 저장조로 연결되는 관로와 연결하는 부분을 체결 및 이탈이 편리한 체결띠로 구성하고 체결띠의 내측에 led를 구성하여 벨로우즈관 내부의 분말가루 이송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은,
상부의 식품생산장치에 연결된 제1 관로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
하부의 분말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조로 연결되는 제2 관로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부;
상기 상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식품생산장치로부터 분말가루를 하부의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벨로우즈관 본체;
상기 제1 관로를 내삽하여 연결한 상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여 체결하고 led가 내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2 관로를 내삽하여 연결한 하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여 체결하고 led가 내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 하부연결부 및 벨로우즈관 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상기 벨로우즈관의 주름의 상부면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구성되고, 하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로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재가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로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재가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제1 돌기와 결합하되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상부연결부의 실리콘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2 돌기와 결합하되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하부연결부의 실리콘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은 분말가루의 식품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벨로우즈관의 내측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분말가루가 벨로우즈관에 적체되지 않고 하부로 자연적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분말가루의 부패로 인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의 식품제조장치와 연결되는 관로 및 하부의 저장조로 연결되는 관로와 연결하는 부분을 채결 및 이탈이 편리한 체결띠로 구성하고 체결띠의 내측에 led를 구성하여 벨로우즈관 내부의 분말가루 이송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식품생산장치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분말가루의 상태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상부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하부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상부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하부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1)은, 상부연결부(10), 하부연결부(30), 벨로우즈관 본체(20), 상부체결부(40) 및 하부체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상부연결부(10), 하부연결부(30), 벨로우즈관 본체(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상부연결부(10)는 상부의 식품생산장치(M)에 연결된 제1 관로(D1)와 연결된다. 상부연결부(10)와 제1 관로(D1)는 상부체결부(4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벨로우즈관(1)이 제1 관로(D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하부연결부(30)는 식품생산장치(M)로부터 생산된 분말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조(T)로 연결되는 제2 관로(D2)와 연결된다. 하부연결부(30)와 제2 관로(D2)는 하부체결부(5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벨로우즈관(1)이 제2 관로(D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벨로우즈관 본체(20)는 상부연결부(10) 및 하부연결부(30)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주름(22)이 형성되어 식품생산장치(M)로부터 생산된 분말가루를 하부의 저장조(T)로 이송시킨다.
상부체결부(40)는 제1 관로(D1)를 내삽하여 연결한 상부연결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띠를 둘러 견고하게 체결시킨다. 상부체결부(40)에는 LED(42)가 내측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LED(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44)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LED(42)로 공급하는 전선(46)을 포함한다. 상부체결부(40)에 구성된 다수의 LED(42)에 빛이 켜지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벨로우즈관(1)을 따라 빛이 전달된다.
하부체결부(50)는 제2 관로(D1)를 내삽하여 연결한 하부연결부(30)의 외주면을 따라 띠를 둘러 견고하게 체결시킨다. 하부체결부(50)에는 다수의 LED(52)가 내측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있으며 LED(5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54) 및 상기 전지(54)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다수의 LED(52)로 연결하는 전선(5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부체결부(50)에 구성된 다수의 LED(52)에 전지(5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벨로우즈관(1)을 따라 빛이 전달된다. 즉, 빛이 전달되어 밝혀지면 식품생산장치(M)에 의해 가려져 어두운 상태에서도 벨로우즈관(1) 내부의 분말가루의 이송상태 및 분말가루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생산장치(M)에서 생산된 분쇄하는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분말가루가 아닌 덩어리 상태로 벨로우즈관(1)를 통해 이송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벨로우즈관(1)이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이며 특히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체결부(40) 및/또는 하부체결부(50)에 구성된 LED(42, 52)의 빛이 벨로우즈관(10)을 타고 밝게 밝혀진다. LED들(42, 52)에 의해 밝혀진 빛이 벨로우즈관을 따라 확산되므로 벨로우즈관(1) 내부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는 실리콘 재질의 벨로우즈관(1)을 상부의 제1 관로(D1)과 제2 관로(D2)에 각각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그 재질은 금속재질일 필요는 없다. 즉, 실리콘 재질의 벨로우즈관(1) 자체의 탄성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절연체 재질에 LED(42, 52), 전지(44, 54) 및 도체인 전선(46, 56)을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즉, 금속 재질의 벨로우즈관과 제1 관로나 제2 관로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마찰력이 낮기 때문에 강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의 연성 및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실리콘 재질의 벨로우즈관에 의해 충분한 마찰력으로 체결된 상태의 벨로우즈관(1)을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체결부(40) 및 하부체결부(5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체결하므로 충분한 결속력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벨로우즈관(1)를 구성하는 상부연결부(10), 하부연결부(30) 및 벨로우즈관 본체(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특히, 반투명한 벨로우즈관(1)은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벨로우즈관(1)의 주름(22)의 상부면(2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구성되고, 하부면(25)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부면(23)에는 분말가루가 적층되지 않으며, 하부면(25)에는 적층된 분말가루가 경계면을 따라 흘러 내린다. 또한, 식품생산장치(M)의 쉐이킹으로 인하여 하부면(25)에 적층된 소량의 분말가루도 제1 관로(D2)를 통해 저장조(T)로 이송된다. 상부면(23)과 하부면(25)은 라운드 형태로 연결하여 식품생산장치(M)의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벨로우즈관(1)에 의해 완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움직이는 물체에는 공기와의 계속적인 마찰로 인한 경계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경계층의 발생으로 인하여 먼지를 잡아두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름의 상부면(23)은 수평한 형태로 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먼지가 달라 붙은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대응하여 마주보는 하부면(25)은 일정한 각도로 형성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경계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관(1)은 실리콘 재질이어서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하지 못하며, 벨로우즈관(1)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찢어져 구멍이 생기는 경우에는 LED(42, 52)에서 발생한 빛이 확산하지 않고 분산되어 외부에서 쉽게 관찰될 수 있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부연결부(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로(D1)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P1)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재(C1)가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하부연결부(1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관로(D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재(P2)와 결합하는 제2 오목부재(C2)가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 돌출부재(P1)는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1 돌기(S1)가 형성된다. 상부연결부(10)는 제1 관로(D1)의 다수의 제1 돌기(S1)와 결합한다. 즉, 제1 돌기(S1)가 상부연결부(10)와 결합 시 제1 돌기(S1)가 상부연결부(10)의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재(P2)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2 돌기(S2)가 형성된다. 하부연결부(30)는 제2 관로(D2)의 다수의 제2 돌기(S2)와 결합한다. 즉, 제2 돌기(P2)가 하부연결부(30)와 결합 시 제2 돌기(P2)가 하부연결부(30)의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즉, 제1 돌기(P1) 및 제2 돌기(P2)는 각각 실리콘 재질의 상부연결부(10)와 하부연결부(30)에 결합하며, 상부연결부(10)와 하부연결부(30)는 각각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이기 때문에 내측이 압착되면서 각각 제1 돌출부재(P1) 및 제2 돌출부재(P2)에 구성된 제1 돌기(S1) 및 제2 돌기(S2)와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측정과 안면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면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M : 식품생산장치기 D : 관로
P : 돌출부재 C : 오목부재
S : 돌기 1 : 벨로우즈관
10 : 상부연결부 20 : 벨로우즈관 본체
22 : 주름 23 : 상부면
25 : 하부면 30 : 하부연결부
40 : 상부체결부 42, 52 : LED
44, 54 : 전지 46, 56 : 전선
50 : 하부체결부

Claims (3)

  1. 상부의 식품생산장치로부터 분말가루가가 투하되는 통로인 제1 관로를 내삽시켜 연결시키는 상부연결부;
    하부의 분말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조로 연결되는 통로인 제2 관로를 내삽시켜 연결시키는 하부연결부;
    상기 상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식품생산장치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식품생산장치로부터 분말가루를 하부의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벨로우즈관 본체;
    상기 제1 관로와 연결된 상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는 띠 형태의 클램프로서, 다수의 LED가 내측으로 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상부체결부; 및
    상기 제2 관로와 연결된 하부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는 띠 형태의 클램프로서, 다수의 LED가 내측으로 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상기 LED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하부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 하부연결부 및 벨로우즈관 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상기 벨로우즈관의 주름의 상부면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구성되고, 하부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인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는, 내측에 상기 제1 관로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재와 결합하는 제1 오목부재가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내측에 상기 제2 관로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재와 결합하는 제2 오목부재가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제1 돌기와 결합하되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상부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스파이크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2 돌기와 결합하되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하부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침투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KR1020200132132A 2020-10-13 2020-10-13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KR10222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32A KR102226436B1 (ko) 2020-10-13 2020-10-13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32A KR102226436B1 (ko) 2020-10-13 2020-10-13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436B1 true KR102226436B1 (ko) 2021-03-11

Family

ID=7514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132A KR102226436B1 (ko) 2020-10-13 2020-10-13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692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주름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용 호스
KR100333783B1 (ko) 1999-09-17 2002-04-25 박태중 금속재 벨로우즈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벨로우즈관
JP2018537638A (ja) * 2015-09-24 2018-12-20 レンロ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ズ エルエルシーLenlok Holdings, LLC センサを備えた管継手
KR20190001700U (ko) * 2017-12-27 2019-07-05 김재정 식품생산장치에 사용되는 벨로우즈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692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주름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용 호스
KR100333783B1 (ko) 1999-09-17 2002-04-25 박태중 금속재 벨로우즈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벨로우즈관
JP2018537638A (ja) * 2015-09-24 2018-12-20 レンロ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ズ エルエルシーLenlok Holdings, LLC センサを備えた管継手
KR20190001700U (ko) * 2017-12-27 2019-07-05 김재정 식품생산장치에 사용되는 벨로우즈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829B2 (ja) 繊維の搬送可撓菅を備える繊維貼付機械
US8960749B2 (en) Vacuum suction apparatus
US9144945B2 (en) Fiber application machine including flexible fibre-conveying tubes provided with flexible blades
JP6134270B2 (ja) 接続要素を処理ユニットに自動送給するための装置
KR102226436B1 (ko) 식품생산장치용 벨로우즈관
US10975988B2 (en) Fastening device for hoses
US7650055B2 (en) Terminal with internal environmental seal
TW201416301A (zh) 用於吸引式供料器之計時皮帶
KR101993804B1 (ko) 케이블베어
CN109049001B (zh) 机器人管线包
JP2008202659A (ja) クランプ付ホースアッセンブリおよびバンドホルダ
CN101920247A (zh) 测试分选机用拾放模块
JP638625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US8813307B2 (en) Vacuum cleaner
JP7100714B2 (ja) ケーブル及び該ケーブルの支持体を備える組立体
MY113790A (en) Separating device
US7939769B2 (en) Sensor pass through assembly
CN211310025U (zh) 一种波纹管生产用自动送料机构
KR101977070B1 (ko)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JP2019014510A (ja) テーピング装置
JP2016063656A (ja) 通信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のガス漏洩補修具及びガス漏洩補修工法
KR20190001700U (ko) 식품생산장치에 사용되는 벨로우즈관
CN207349941U (zh) 一种支架夹紧式led蓬顶灯
CN210762596U (zh) 一种附带管路的皮带
CN211371486U (zh) 一种单管管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