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70B1 -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 Google Patents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70B1
KR101977070B1 KR1020180118617A KR20180118617A KR101977070B1 KR 101977070 B1 KR101977070 B1 KR 101977070B1 KR 1020180118617 A KR1020180118617 A KR 1020180118617A KR 20180118617 A KR20180118617 A KR 20180118617A KR 101977070 B1 KR101977070 B1 KR 10197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ransmission line
static electricity
fixing clip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우
Original Assignee
성우프로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프로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프로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LCD, LED 등의 생산라인 및 제약 공정 등과 같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기계의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라인 슬리브에 있어서 사용 중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수용공간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피복;과, 상기 피복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피복의 쳐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지지블록을 포함한 지지모듈;과, 상기 지지모듈의 단부와 상기 지지모듈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피복과 고정클립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피복 및 고정클립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지면에 접지하거나 결합된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켜 방전하는 체결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Transmission line sleeves with improved electrostatic groun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LCD, LED 등의 생산라인 및 제약 공정 등과 같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기계의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라인 슬리브에 있어서 사용 중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LCD, LED 등과 같은 첨단장비의 생산라인 및 각종 약품을 생산하는 제약 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산업기계에는 신호의 전달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에어호스, 유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송라인은 외부로부터의 습기,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하고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전송라인 베이어(transmission line veyor)에 결합되고, 여기서 전송라인 베이어는 케이블 베이어(cableveyor)라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송라인 베이어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연결블록과 상기 복수의 연결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전송라인 베이어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연결블록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전송라인 베이어는 이동시 굽힘과 펴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연결블록들 간의 마찰, 연결블록과 전송라인 간의 마찰이 수반되며, 이는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전송라인 베이어가 사용되는 작업환경에서는 소음과 분진에 의한 제품 오염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슬리브(sleeve)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에 케이블을 삽입하되, 슬리브의 외측 양단에 슬리브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배치된 전송라인 슬리브가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1216117호(이하,‘종래기술 1’이라 함)와, 등록특허 제10-1100676호(이하,‘종래기술 2’라 함)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1 및 2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1 및 2는 모두 곡률반경을 제한하면서 굽혀질 수 있도록 하고, 처짐방지블록 중 일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슬리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모듈이 굽힘과 펴짐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그리고 이로 인한 정전기의 발생시 이를 해결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반도체, LCD, LED 등과 같이 정전기에 의한 제품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첨단 부품의 생산 현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자 부품 또는 전자 조립의 제조 공정 분야에서 정전하 방지를 위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靜電放電) 및 위험한 환경에서 폭발성 정전하를 방지하는 ATEX(Atmosphere Explosible, 방폭방지)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첨단 산업 분야 및 폭발성 물질 또는 제약 공정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전송라인 슬리브는 연결블록들 끼리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하고 일렬로 정렬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이는 생산성의 하락, 제조단가의 상승 등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6117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06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 중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 구조를 구비하여 정전기를 외부로 방전시킴으로써 전자 부품 또는 전자 조립의 제조 공정 분야에서 정전기에 의한 제품의 이상 발생을 원천 차단하고, 피복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복의 쳐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찰에 의한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한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슬리브를 형성하되, 피복의 내부에 배치된 지지모듈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전 또는 이송시키도록 피복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송된 정전기는 접지된 산업기계 등을 통해 방전됨으로써 정전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한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수용공간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피복;과, 상기 피복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피복의 쳐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지지블록을 포함한 지지모듈;과, 상기 지지모듈의 단부와 상기 지지모듈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 및 상기 피복과 고정클립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피복 및 고정클립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지면에 접지하거나 결합된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켜 방전하는 체결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은, 테프론계열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사이에 배치되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에는, 전도성 액체가 도포되어 형성된 전도층 또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망이 배치되어 상기 내피와 상기 지지모듈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전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지지모듈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체와, 인접한 한 쌍의 면이 개구된 함체로 이루어져 개구된 일면을 통해 지지모듈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개구된 타면은 상기 상부체의 결합에 의해 폐쇄되는 하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지지모듈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이송하기 위한 방전돌기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클램프는,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주보는 한 쌍의 테두리에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레벨몸체와, 삽입된 피복 또는 고정클립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패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클램프에는, 상기 레벨몸체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어 공간의 유격을 방지하는 레벨유지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블록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블록과 일체로 결합하는 하부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블록은, 상기 내피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융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록에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블록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를 결합공에 삽입한 후 선단부를 용융시켜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피복에 삽입된 지지모듈이 피복의 이동, 굽힘 및 펴짐 등과 같은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피복으로부터 전이시켜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 접지시키거나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켜 산업기계를 통해 생산 중인 제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제안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는 반도체, LCD, LED 등 첨단 부품 산업의 제조 공정 및 제약 회사 그리고 정전기에 의한 방폭이 필요한 다양한 제조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1)는, 피복(10)과, 지지모듈(20)과 고정클립(30) 및 체결클램프(40)를 포함한다.
상기 피복(10)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수용공간(11)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양단부에 각각 커넥팅 처리가 되어 상기 수용공간(11)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1)은 피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수용공간(11) 중 양측단의 수용공간에는 후술하는 지지모듈(20)이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모듈(20)이 삽입되는 양측단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부위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모듈(20)의 단부는 피복(10)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체결클램프(4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피복(10)의 일 실시예로서 양단에 각각 지지모듈(20)이 삽입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모두 4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특별히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피복(10)이 중첩 배치될 수 있는데, 중첩 배치되는 다수의 피복(10) 중 어느 하나의 피복(10)에만 지지모듈(20)을 삽입하여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면서도 피복(10)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복(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와 내피(13)로 구성되되, 상기 외피(12)는 통상 테프론(Teflon)으로 지칭되는 불소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13)는 통상 우레탄으로 지칭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피(12)는 상기 내피(13)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13)를 중앙에 배치하고 외피(12)가 내피(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형태로 구성한다.
이는 뛰어난 내열성과 내부식성 및 내마찰성을 가지고 있으며 마찰력이 적은 물질 중 하나인 테프론을 통해 피복(10)의 외부로부터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지지모듈(20) 또는 케이블(C)과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이동시 또는 이동에 의한 굽힘 및 펴짐 등의 동작에서 마찰력에 의한 속도 저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지지모듈(20) 및 케이블(C)과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피(13)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은 성질이 부드럽고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서 피복(10)이 이동, 굽힘, 펴짐 등의 동작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레탄을 이용하여 전체 피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를 테프론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분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피(12)와 지지모듈(20)은 피복(10)의 이동, 굽힘 및 펴짐 동작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12)를 테프론 재질로 구성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최소화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소량의 정전기는 발생한다.
따라서, 외피(12)와 지지모듈(20)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흡수하거나 또는 이동시켜 피복(10)의 단부에 처리된 커넥팅모듈 또는 후술하는 고정클립(30) 등으로 전이시켜 이를 방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피(13)에 전도성 액체를 도포하여 전도층을 형성하거나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망을 우레탄에 일체로 성형하여 발생한 정전기가 전도층 또는 금속망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전도층을 형성하는 액체는 전해질이 첨가된 물(Water) 또는 수은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액체로 전기가 통과하여도 분해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액상 도전체이다.
상기 지지모듈(20)은, 상기 피복(10)의 수용공간(11)에 삽입되어 피복(10)의 쳐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결합된 지지블록(22)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얇은 박판의 형태로 구성되고, 양단부에 각각 후술하는 고정클립(30)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21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록(22)은 상기 플레이트(21)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각각의 지지블록(22)이 플레이트(21)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22)은 플레이트(21)에 일체로 결합한 상태, 즉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지지블록(22)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틀 내에 플레이트(21)를 배치하고, 여기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지지블록(22)과 플레이트(21)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사출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플레이트(21)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하부블록(222) 또는 상부블록(22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돌기(224)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타측 블록에는 상기 결합돌기(224)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공(223)을 형성한 후 결합돌기(224)를 결합공(223)에 삽입한 후 그 선단부를 용융시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선단부의 용융 이외에 결합돌기(224)와 결합공(223)의 억지 끼움을 통해 결합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22)을 상부블록(221)과 하부블록(222)으로 구성함으로써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을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지블록(22)을 구성하는 원재료의 값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단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블록의 경우 해당 원재료를 용융시켜 이를 성형하기 때문에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고,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부블록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값의 원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지지블록(22)을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결합돌기(224) 및 결합공(223)은 암수체결에 따른 하나의 방법이며 본 발명에서 상부블록(221)과 하부블록(222)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블록(221)은 피복(10)의 외피(12)와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225)의 좌우측은 융기부(225)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225)만이 외피(12)에 맞닿도록 한다.
즉, 종래 전송라인 슬리브에서 지지모듈은 상부블록(221)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피복(10)과 맞닿는 형태가 면접촉 형태로 이루어져 이동, 접힘 및 펴짐 동작시 마찰이 발생하는 부위가 상부블록(221)의 편평한 면 전체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블록(221)에 융기부(225)를 돌출시켜 피복의 이동, 굽힘 및 펴짐 동작에 연동하여 지지모듈(20)이 이동 및 변형될 때 상부블록(221)과 외피(12)가 맞닿는 형태를 점접촉 형태로 형성하여 마찰 발생 부위를 최소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225)가 피복(10)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피복(10)의 동작과 연동하는 반응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블록(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 5의 변형예 중 일부에서는 상술한 융기부(225)가 미도시 되었으나, 이는 도면 중 미도시된 것이며 융기부(225)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융기부(225)가 중앙에 배치되는 기본적인 형태 이외에도 한 쌍이 상부블록(221)의 상면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부블록(221)의 상면을 연속적인 파(波)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지지모듈(20)의 단부가 결합되어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모듈(20)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체(31)와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체(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체(31) 또는 하부체(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인접한 한 쌍의 면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간(31)에 지지모듈(20)의 선단부 및 지지블록(22)이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개구된 한 쌍의 면 중 상기 지지모듈(20)이 삽입되지 않은 일측면을 폐쇄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부체(31)에는 테두리에 다수개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판(311)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311)에는 각각 체결공(312)이 형성되고, 하부체(32)에는 상기 체결공(312)에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는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고 후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체결쐐기(321)가 구비되어 결합의 편의성은 높이고, 결합 후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상부체(31)와 하부체(32)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방전돌기(34)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방전돌기(34)는 지지모듈(20) 및 지지블록(22)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가 고정클립(30)을 따라 이동한 후 후술하는 체결클램프(40)측으로 전이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체(31)와 하부체(32)가 체결클램프(40)와 맞닿는 면을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나, 이는 마찰에 의한 또 다른 정전기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클립(30)과 체결클램프(40)가 맞닿는 면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전된 정전기는 체결클램프(40)측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3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상기 지지모듈(20)이 삽입되는 어느 하나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전이된 정전기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31) 또는 하부체(3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플레이트(21)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클램프(40)는 피복(10)과 고정클립(30)을 일체로 결합하고, 이를 산업기계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와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레벨몸체(43)와, 상기 레벨몸체(4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레벨유지블록(44) 및 삽입된 피복(10) 또는 고정클립(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패드(4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는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체결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411)에는 체결나사(413)가 삽입되는 체결홈(4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홈(412)에는 체결나사(413)와 치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고정을 위한 체결볼트(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피복(10) 및 고정클립(30)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전달받아 별도의 접지라인을 통해 접지시키거나 결합된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킨다. 여기서 별도의 접지라인은 도면 중 미도시 되었지만 일단이 상부몸체(41) 또는 하부몸체(4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 또는 바닥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레벨몸체(43)는,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나사(413)가 결합하는 체결홈(431)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벨몸체(43)는 하나의 체결클램프(40)에 복수의 피복(10)을 결합할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결합된 피복(10)이 분리된 공간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피복에 삽입된 케이블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하나의 피복(10)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맞닿은 상부몸체(41) 또는 하부몸체(42)측으로 개별적으로 전이하여 정전기가 일측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피복(10) 및 고정클립(30)에 맞닿아 이를 가압함으로써 산업기계의 동작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서도 피복(10) 및 고정클립(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벨유지블록(44)은 상기 레벨몸체(43)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피복(10) 또는 고정클립(30)이 배치되는 않은 공간에 삽입되어 상부몸체(41)와 레벨몸체(43) 또는 하부몸체(42)와 레벨몸체(43)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레벨유지블록(44)의 형태 및 두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사각바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패드(45)는, 상부몸체(41) 또는 하부몸체(42) 또는 레벨몸체(43)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되어 삽입된 피복(10)과 고정클립(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완충패드(45)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져 산업기계의 동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피복(10)과 고정클립(30)을 보호하며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 중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체결클램프(40)에는 상기 피복(10)에 삽입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케이블 및 신호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블록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블록은 상술한 레벨유지블록(44)을 대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피복에 삽입된 지지모듈이 피복의 이동, 굽힘 및 펴짐 등과 같은 동작시 발생하는 마찰,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피복으로부터 전이시켜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 접지시키거나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켜 산업기계를 통해 생산 중인 제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제안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는 반도체, LCD, LED 등 첨단 부품 산업의 제조 공정 및 제약 회사 그리고 정전기에 의한 방폭이 필요한 다양한 제조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접지 구조가 개선된 전송라인용 슬리브
10 : 피복
11 : 수용공간 12 : 외피
13 : 내피
20 : 지지모듈
21 : 플레이트 22 : 지지블록
221 : 상부블록 222 : 하부블록
223 : 결합공 224 : 결합돌기
225 : 융기부
30 : 고정클립
31 : 상부체 32 : 하부체
33 : 삽입공간 34 : 방전돌기
40 : 체결클램프
41 : 상부몸체 42 : 하부몸체
43 : 레벨몸체 44 : 레벨유지블록
45 : 완충패드

Claims (7)

  1.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수용공간(11)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피복(10);과,
    상기 피복(10)의 수용공간(11)에 삽입되어 피복(10)의 쳐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결합된 지지블록(22)을 포함한 지지모듈(20);과,
    상기 지지모듈(20)의 단부와 상기 지지모듈(20)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30); 및
    상기 피복(10)과 고정클립(30)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피복(10) 및 고정클립(30)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지면에 접지하거나 결합된 산업기계측으로 전이시켜 방전하는 체결클램프(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클립(30)은,
    상기 지지모듈(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체(31)와,
    인접한 한 쌍의 면이 개구된 함체로 이루어져 개구된 일면을 통해 지지모듈(20)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개구된 타면은 상기 상부체(31)의 결합에 의해 폐쇄되는 하부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체(31) 또는 하부체(32)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지지모듈(20)을 통해 전이된 정전기를 이송하기 위한 방전돌기(34)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10)은,
    테프론계열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피(12)와,
    상기 외피(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13)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13)에는,
    전도성 액체가 도포되어 형성된 전도층 또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망이 배치되어 상기 내피(13)와 상기 지지모듈(20)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전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램프(40)는,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주보는 한 쌍의 테두리에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41)와 하부몸체(42)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레벨몸체(43)와,
    삽입된 피복(10) 또는 고정클립(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패드(4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램프(40)에는,
    상기 레벨몸체(43)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어 공간의 유격을 방지하는 레벨유지블록(4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22)은,
    상기 플레이트(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블록(221)과,
    상기 플레이트(21)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블록(221)과 일체로 결합하는 하부블록(2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블록(221)은,
    상기 내피(13)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융기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1)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록(222)에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돌기(224)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블록(221)에는 상기 결합돌기(224)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공(22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24)를 결합공(223)에 삽입한 후 선단부를 용융시켜 일체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KR1020180118617A 2018-10-05 2018-10-05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KR10197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17A KR101977070B1 (ko) 2018-10-05 2018-10-05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17A KR101977070B1 (ko) 2018-10-05 2018-10-05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070B1 true KR101977070B1 (ko) 2019-05-10

Family

ID=6658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17A KR101977070B1 (ko) 2018-10-05 2018-10-05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690A (ko) * 2021-06-17 2022-12-26 채성정 클린 케이블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788A (ja) * 2002-11-22 2006-03-02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センブリ用支持部材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216117B1 (ko) 2011-12-05 2012-12-27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20160125774A (ko) * 2015-04-22 2016-11-01 성문규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20170134155A (ko) * 2016-05-26 2017-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류 보호장치용 다중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류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788A (ja) * 2002-11-22 2006-03-02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センブリ用支持部材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216117B1 (ko) 2011-12-05 2012-12-27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20160125774A (ko) * 2015-04-22 2016-11-01 성문규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20170134155A (ko) * 2016-05-26 2017-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류 보호장치용 다중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류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690A (ko) * 2021-06-17 2022-12-26 채성정 클린 케이블 어셈블리
KR102532024B1 (ko) * 2021-06-17 2023-05-11 채성정 클린 케이블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0065B2 (en) Interconnection seal
CA2712152C (en) Waterproof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US5890930A (en) Replaceable contact connector
KR101977070B1 (ko) 정전기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송라인 슬리브
US874714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609990B2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CN100445594C (zh) 电缆或类似物的保护和导向装置
US201300509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ater resistance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or flexible wire device
WO2012113223A1 (zh) 一种户外线缆防水密封组件
KR102071891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EP1675243A2 (en) Waterproof bag
CN216145820U (zh) 一种集成防水密封连接器及集成防水端口密封件
KR101566973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프리몰드 접속함의 코로나 쉴드
KR101995954B1 (ko) 장축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US9954347B1 (en) Wire harness assembly and seal retainer therefore
KR10223500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950034913A (ko) 콘넥터용 일체형 시일 및 스트레인 릴리이프 부재
CN214379019U (zh) 一种集成防水密封套管
KR101917307B1 (ko) 다수 케이블 고정용 케이블 그랜드
JP2016140226A (ja) 分岐部用保護具
US20220069558A1 (en) Connection system
CN213366896U (zh) 一种防护套、光伏接线盒套件及光伏组件
CN201054489Y (zh) 电缆接头密封结构
KR102100578B1 (ko) 방수형 기기에 장착 가능한 방수 전기 단자대
CN217292405U (zh) 具备分体式固定结构的电子皮肤装置、机械臂和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