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141B1 - 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141B1
KR102226141B1 KR1020190028130A KR20190028130A KR102226141B1 KR 102226141 B1 KR102226141 B1 KR 102226141B1 KR 1020190028130 A KR1020190028130 A KR 1020190028130A KR 20190028130 A KR20190028130 A KR 20190028130A KR 102226141 B1 KR102226141 B1 KR 10222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fixed
space
auxiliar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081A (ko
Inventor
이두면
강성준
라인숙
임정규
김성우
임재혁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9002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41B1/ko
Priority to EP20770614.4A priority patent/EP3939474A4/en
Priority to PCT/KR2020/003368 priority patent/WO2020184970A1/ko
Priority to US17/432,756 priority patent/US11800929B2/en
Publication of KR2020010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47Simultaneous movement of rails within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movement with all rail elements moving at the same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43Successive movement of rails within drawer slides, i.e. at least one rail element is not moving during the movement of oth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Three slide synchr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2Coordinating mechanisms for sequential drawer slides, e.g. by c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8Drawers with parallel guidance or synchronization by pinion-shaft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는 동기화 바, 및 일단부는 상기 롤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연결되는 편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롤러부의 회전량만큼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 시스템 {PULL-OUT SYSTEM}
본 발명은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양측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을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식기 세척기, 오븐, 서랍 등의 장착구조물에는 물체를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서랍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조립체에는 서랍이 장착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드레일은 볼 또는 롤러 형태의 구름 수단이 구비되어 슬라이딩 시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통상 슬라이드레일은 서랍 설치 공간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함으로써 서랍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랍 양측의 슬라이드레일은 서로에 대해 구속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서랍의 자세가 틀어져서 인출입에 보다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끼임 동작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이동량 차이를 줄이고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하는 동기화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8-0010559 (2018.01.3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양측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을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는 동기화 바, 및 일단부는 상기 롤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연결되는 편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롤러부의 회전량만큼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레일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삽입부는 상기 고정레일에 끼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보조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부는 제1 보조롤러 및 제2 보조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는 상기 제1 보조롤러 및 상기 제2 보조롤러에 롤라마이트(rolamite)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부는 상기 제1 보조롤러 또는 상기 제2 보조롤러의 중축과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제1 박스부와 상기 제1 박스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박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박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롤러부는 상기 제2 박스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롤러와 상기 제2 보조롤러는 각각 상기 제2 박스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을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중심축에 동기화 바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제1 중간판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 공간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는 서로 평행한 제2 중간판 및 외곽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 및 제3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 공간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2 공간부에 'S' 자 모양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3 공간부에는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외측 둘레면에 제1 톱니부를 갖고, 상기 제2 롤러는 외측 둘레면에 상기 제1 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와 외곽판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부를 갖고, 상기 사이 공간부에는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출 시스템은 슬라이드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된 동기화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수단은 롤러부, 롤러부에 연결되는 동기화 바, 및 일단부는 롤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이동레일에 연결되는 편향가능한 요소를 통해 슬라이드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편향가능한 요소의 장력을 롤러부에 구비된 판스프링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보다 감성적인 슬라이드레일 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드레일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드레일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출 시스템(1000)은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00)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서랍,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의 장착구조물 측벽에 브라켓(112)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레일(1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1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물체를 인입 및 인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간레일(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레일(120)과 이동레일(130)은 움직이는 레일로서, 고정레일(110)에 중간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레일(120)에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레일(110)에 대해 상대이동한 중간레일(120)에서 이동레일(130)의 상대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슬라이드레일(100)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은 다양한 크기의 서랍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20) 및 이동레일(130)의 사이에는 볼, 롤러 등의 구름수단이 설치되어 레일간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레일(100)에는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하는 동기화 바(280)를 포함하는 동기화수단(20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에 각각 장착되고, 동기화 바(28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오픈(open)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도 오픈 동작을 하고,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이 클로즈(close) 동작을 하면 타측 슬라이드레일(100)도 클로즈 동작을 하게 되도록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을 동기화한다.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레일(110)에 구비되는 'ㄴ' 형상의 브라켓(112)과 슬라이드레일(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기화수단(2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일측면에 레일 삽입부(2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동기화수단(200)의 본체는 고정레일(110)에 구비되는 'ㄴ' 형상의 브라켓(112)과 슬라이드레일(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삽입부(212)는 상기 고정레일(110)에 형성된 중공(111)에 끼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삽입부(212)의 단면 형상은 상기 고정레일(110)의 중공(111)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일측면에 상기 레일 삽입부(212)의 지나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는 삽입 지지부(2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기화수단(200)은 상기 슬라이드레일(100)에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되고, 인출 시스템(1000)의 조립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드레일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기화수단(200)은 제1 박스부(210)와 상기 제1 박스부(2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박스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박스부(210)는 내부에 롤러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부(250)는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25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250)에는 편향가능한 요소(4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이동레일(130)의 고정 롤러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레일(130)에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전달하며, 이동레일(130) 인출시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를 제공해준다.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와이어, 밴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탈 밴드일 수 있다.
또한, 인출 시스템(1000)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으로 슬라이드레일(100)의 전체적인 운동을 구동하며, 이동레일(130)과 연결된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부(250)에는 판스프링(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출 시스템(1000)은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250)가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25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양측 롤러부(250)의 회전량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롤러부(250)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230)와 제2 롤러(2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230)의 상측에 제2 롤러(240)가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롤러(230)는 중심축에 동기화 바(28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제1 중간판(23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232)에는 판스프링(50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여분의 판스프링(500)이 롤링되어 감겨 있다.
상기 제2 롤러(240)는 서로 평행한 제2 중간판(241) 및 외곽판(24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243) 및 제3 공간부(24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공간부(243)에는 판스프링(50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500)은 상기 제1 공간부(232) 및 제2 공간부(243)에 'S'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공간부(244)에는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가 롤링되어 감겨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 인출시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편향가능한 요소(40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이 인출되면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일단부가 고정된 제2 롤러(2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롤러(230)와 상기 제2 롤러(240)에 'S' 자 모양으로 연결된 판스프링(500)이 와인딩되면서 제1 롤러(230) 또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제1 롤러부(230)는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제1 롤러부(23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양측 롤러부(250)의 회전량만큼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스프링(500)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인출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판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입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계속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박스부(2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홈(221)과 제2 가이드홈(22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홈(221)과 제2 가이드홈(222)은 상하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박스부(220)의 내부에는 제1 보조롤러(261)와 제2 보조롤러(262)로 구성된 보조 롤러부(2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보조롤러(261)의 중축은 상기 제1 가이드홈(221)을 따라, 상기 제2 보조롤러(262)의 중축은 상기 제2 가이드홈(2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보조 롤러부(260)는 상기 제1 보조롤러(261)의 중축과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재(270)를 통해 중간레일(120)에 결합되어 중간레일(120) 이동시 중간레일(12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상기 제1 보조롤러(261) 및 상기 제2 보조롤러(262)에 롤라마이트(rolamite) 방식으로 장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보조롤러(262)는 중간레일(120)과 연결된 상기 제1 보조롤러(261)의 이동시 편향가능한 요소(400)에 의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보조 롤러부(260)는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운동 방향을 전환시켜 주고,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레일(100)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 연결부재(270)는 지지부(271)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제1 다리부(272)와 제2 다리부(27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부(272)와 상기 제2 다리부(273) 사이에는 끼움 공간부(274)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레일(120)은 상기 끼움 공간부(274)에 끼움 장착 및/또는 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71)는 고정핀(275)을 통해 상기 제1 보조롤러(261)의 중축과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일단부가 제1 롤러(240)에 고정된 채 시작하여 이동레일(13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 롤러부(131)에 의해 거의 180도 편향된 후 보조 롤러부(260)로 나아가며, 상기 보조 롤러부(260)에서 롤라마이트 방식에 의해 'S' 자 모양으로 방향이 전환된 다음 타단부가 제1 박스부(210) 또는 제2 박스부(220)에 고정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은 상기 롤러부(250)에 장착된 판스프링(500)에 의해 유지된다. 이를 통해, 슬라이드레일(100) 인출시 동기화 바(280)에 의한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동기화 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을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수단이 적용된 슬라이드레일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기화수단(200)은 제1 박스부(210)와 상기 제1 박스부(2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박스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박스부(210)는 내부에 롤러부(3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부(350)는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35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롤러부(350)에는 편향가능한 요소(4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레일(130)의 고정 롤러부(131)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레일(130)에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전달하며, 이동레일(130) 인출시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를 제공해준다.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는 와이어, 밴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탈 밴드일 수 있다.
또한, 인출 시스템(1000)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으로 슬라이드레일(100)의 전체적인 운동을 구동하며, 이동레일(130)과 연결된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부(350)에는 판스프링(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출 시스템(1000)은 일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350)가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슬라이드레일(100)의 롤러부(35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양측 롤러부(350)의 회전량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롤러부(350)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330)와 제2 롤러(3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330)의 상측에 제2 롤러(340)가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롤러(330)는 중심축에 동기화 바(28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 제1 톱니부(3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롤러(340)는 외측 둘레면에 상기 제1 톱니부(331)와 맞물리는 제2 톱니부(3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톱니부(341)와 상기 제2 톱니부(341)에 평행한 외곽판(342)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부(3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사이 공간부(343)에는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가 롤링되어 감겨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 인출시 여분의 편향가능한 요소(4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340)의 내측 공간에는 판스프링(500)이 롤링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50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롤러(340)의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롤러(34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즉, 편향가능한 요소(40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이 인출되면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일단부가 고정된 제2 롤러(3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롤러(330)의 제1 톱니부(331)와 상기 제2 롤러(340)의 제2 톱니부(341)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1 롤러(330) 또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제1 롤러부(330)는 동기화 바(280)를 통해 짝을 이루는 타측 제1 롤러부(33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양측 롤러부(350)의 회전량만큼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양측 슬라이드레일(100)의 이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스프링(500)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레일(130)은 인출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판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입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인출 시스템(1000)은 슬라이드레일(10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된 동기화수단(200)을 구비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으로 전체적인 슬라이드레일(100)의 운동이 구동되고, 이동레일(130)과 연결된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4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판스프링(400)이 적용된 롤러부(250, 350) 및 상기 롤러부(250, 350)에 연결되는 동기화 바(28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드레일(100)의 운동이 동기화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인출 시스템
100 슬라이드레일
110 고정레일
120 중간레일
130 이동레일
200 동기화수단
210 제1 박스부
220 제2 박스부
230, 330 제1 롤러
240, 340 제2 롤러
250, 350 롤러부
260 보조 롤러부
270 레일 연결부재
280 동기화 바

Claims (9)

  1.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중간레일, 그리고 상기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드레일; 및
    각각의 상기 이동레일의 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롤러부,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는 동기화 바, 및 일단부는 상기 롤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연결되는 편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롤러부의 회전량만큼 이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장력을 유지시켜주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레일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삽입부는 상기 고정레일에 끼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보조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부는 제1 보조롤러 및 제2 보조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는 상기 제1 보조롤러 및 상기 제2 보조롤러에 롤라마이트(rolamite)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부는 상기 제1 보조롤러 또는 상기 제2 보조롤러의 중축과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중간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수단은 제1 박스부와 상기 제1 박스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박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박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롤러부는 상기 제2 박스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롤러와 상기 제2 보조롤러는 각각 상기 제2 박스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을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서로 이격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중심축에 동기화 바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제1 중간판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 공간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는 서로 평행한 제2 중간판 및 외곽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 및 제3 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 공간부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2 공간부에 'S' 자 모양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3 공간부에는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외측 둘레면에 제1 톱니부를 갖고,
    상기 제2 롤러는 외측 둘레면에 상기 제1 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 톱니부 및 상기 제2 톱니부와 외곽판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부를 갖고,
    상기 사이 공간부에는 상기 편향가능한 요소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시스템.
KR1020190028130A 2019-03-12 2019-03-12 인출 시스템 KR10222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30A KR102226141B1 (ko) 2019-03-12 2019-03-12 인출 시스템
EP20770614.4A EP3939474A4 (en) 2019-03-12 2020-03-11 PULL-OUT SYSTEM
PCT/KR2020/003368 WO2020184970A1 (ko) 2019-03-12 2020-03-11 인출 시스템
US17/432,756 US11800929B2 (en) 2019-03-12 2020-03-11 Pull-o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30A KR102226141B1 (ko) 2019-03-12 2019-03-12 인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81A KR20200109081A (ko) 2020-09-22
KR102226141B1 true KR102226141B1 (ko) 2021-03-11

Family

ID=7242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30A KR102226141B1 (ko) 2019-03-12 2019-03-12 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00929B2 (ko)
EP (1) EP3939474A4 (ko)
KR (1) KR102226141B1 (ko)
WO (1) WO2020184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6226B (zh) * 2018-08-24 2023-08-18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三节式同步滑轨
KR102502477B1 (ko) * 2020-12-10 2023-02-23 (주)세고스 인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7505A1 (en) * 2008-08-07 2010-02-11 Accuride International Inc. A synchronizing/stabilizing system and self moving mechanism for drawer applications
JP2011036660A (ja) 2009-08-12 2011-02-24 Harn Marketing Sdn Bhd 引出しアセンブリ
JP2013106953A (ja) 2011-11-21 2013-06-06 Slide Mei Yao Internatl Co Ltd 引き出しスライド機構のための同期化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2964A (en) * 1971-07-07 1973-03-27 Oxford Pendaflex Corp Extensible drawer support
US4974912A (en) * 1989-04-05 1990-12-04 Standard Precision, Inc. Pocket door suspension system
DE202006000711U1 (de) * 2006-01-18 2006-04-06 Anton Schneider Gmbh & Co Kg Differentialauszug für Schubladen o.dgl.
US8360539B2 (en) * 2010-02-26 2013-01-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assembly
US8517482B2 (en) * 2010-12-13 2013-08-27 Cvg Management Corporation Friction controlled drawer slide mechanism
DE102013113672A1 (de) * 2013-06-14 2014-12-18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system
AT515313B1 (de) 2014-04-07 2015-08-15 Blum Gmbh Julius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DE102014107692A1 (de) * 2014-06-02 2015-12-03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anordnung
KR101542808B1 (ko) * 2015-05-26 2015-08-07 주식회사 두두월드 선반 장착용 슬라이딩 레일
KR20180010559A (ko) 2016-07-21 2018-01-31 (주)세고스 서랍의 가이드레일 동기 장치
KR20180099249A (ko) * 2017-02-28 2018-09-05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7505A1 (en) * 2008-08-07 2010-02-11 Accuride International Inc. A synchronizing/stabilizing system and self moving mechanism for drawer applications
JP2011036660A (ja) 2009-08-12 2011-02-24 Harn Marketing Sdn Bhd 引出しアセンブリ
JP2013106953A (ja) 2011-11-21 2013-06-06 Slide Mei Yao Internatl Co Ltd 引き出しスライド機構のための同期化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2363A1 (en) 2022-05-12
EP3939474A4 (en) 2022-11-23
WO2020184970A1 (ko) 2020-09-17
US11800929B2 (en) 2023-10-31
EP3939474A1 (en) 2022-01-19
KR20200109081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8362B2 (ja) 引戸具
US9675174B2 (en) Pull-out system
JP6480950B2 (ja) 可動家具部分の駆動装置
KR102226141B1 (ko) 인출 시스템
TWI487495B (zh) 抽屜之抽出導引裝置
KR20130055533A (ko) 피안내 슬라이드 어셈블리
WO2018010415A1 (zh) 抽屉滑动机构及具有其的冰箱
TW201320927A (zh) 抽拉同步裝置及其軸裝單元
CN104271000A (zh) 抽屉用滑轨装置
US20210321767A1 (en) Sliding element guide system
JP2014230787A (ja) 移動・移動制限装置およびその移動制限ユニット
JP4299069B2 (ja) スライドレール
TWI681736B (zh) 抽屜拉出引導件以及具有家具主體與至少一個抽屜的家具
DE50207097D1 (de) Ausziehsperre für übereinander angeordnete Schubladen
KR20130117369A (ko) 슬라이더
JP6945021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CN201282849Y (zh) 导轨回位牵引装置
TWI763950B (zh) 用於抽屜及其類似物的拉出式導軌
KR102502477B1 (ko) 인출 시스템
CN221083141U (zh) 拉出系统
TW202126226A (zh) 用於抽屜的拉出引導件
CN113163946B (zh) 抽屉抽拉引导件
JP2021053345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CN113027297A (zh) 隐藏柜门结构及柜体
KR20210153868A (ko) 슬라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