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138B1 -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138B1
KR102225138B1 KR1020200132882A KR20200132882A KR102225138B1 KR 102225138 B1 KR102225138 B1 KR 102225138B1 KR 1020200132882 A KR1020200132882 A KR 1020200132882A KR 20200132882 A KR20200132882 A KR 20200132882A KR 102225138 B1 KR102225138 B1 KR 10222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lifting
pressure
sensor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51799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251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안전하고, 생산공정을 앞당기기 위해서 설치중량물을 단위중량물(모듈)로 제작하여 통합 설치를 위한 양중시의,
양중 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유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며, 개별 유공압잭은 파워유닛으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이를 메인컨트롤판넬(MCP)을 개별 제작하여,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기술구성의,‘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Lifting Heavy Goods}
본 발명은,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사용되는 중량물(모듈)을 안전하게 양중하기 위한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안전하고, 생산공정을 앞당기기 위해서 설치중량물을 단위중량물(모듈)로 제작하여 통합 설치를 위한 양중시의,
양중 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유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며, 개별 유공압잭은 파워유닛으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이를 메인컨트롤판넬(MCP)을 개별 제작하여,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중량물의 양중장치와 양중공법으로 구성된;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24111호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2014. 07. 22. 등록)의 게재사항을 인용 및, 추가 문제점을 기술 하였다.
최근 경제 성장과 더불어 지가 상승과 효율적인 토지 사용 요구가 야기되면서 건축물의 고층화, 대규모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사무소, 대형 상가 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이러한 건축물들은 시공의 단순화 및 경제성 등의 이유로 동일한 구조의 반복적인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건축물들은 빠른 시공을 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대형 거푸집이나 테이블 폼 등의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닥 테이블 폼은 건물 각층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것으로, 거푸집판에 동바리, 장선, 멍에 등을 일체화하여 수직,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대형 슬래브 거푸집이다.
이러한 바닥 테이블 폼을 이용한 공법은 바닥 테이블 폼의 인양시간 및 효율에 의해 골조 공사의 공기가 크게 좌우된다.
건물의 천장 또는 건물의 상부에 각종 배관설비들의 설치를 위한 작업자들이 이용할 비계(족장발판)를 설치하고, 건물의 바닥 면에서 배관설비들을 크레인 또는 리프트를 투입하여 낱개로 각기 구성된 다수개의 배관설비들을 건물의 바닥 면에서 비계의 상부로 이동시켜, 작업자들이 건물의 천장 또는 건물의 상부에 설치된 비계 위에서 각각의 배관설비들을 일일이 설치하고,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설치된 비계를 철거하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각종 배관설비들을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계를 건물의 천장 또는 건물의 상부에 가설치하여 고소의 장소에서 비계를 발판으로 삼아 작업 목적인 각기 구성된 다수개의 배관설비들을 일일이 설치하는 방법은,
비계(족장발판)를 가설치하는 데에 따른 투하공수와 설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작업 목적인 배관설비들의 설치 후에는 설치된 비계(족장발판)가 외부로 해체되는 작업이 필요함에 인하여 경제적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 설치된 고소의 비계 위에서 작업하게 됨으로 많은 작업 위험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각기 구성된 다수개의 배관설비들을 높은 곳에 설치된 고소의 비계 위에서 각각의 배관설비들을 크레인이나 리프트를 이용하여 일일이 설치함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설 및 조선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의 공사 작업장에서 각종 중량물을 설치위치로 인양시에, 통상적으로 스트랜드 잭을 사용하여 인양하며;
도 1은 종래기술의 양중장치(100)가 구조물(S1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조물(S10)은 상부층(S11), 하부층(S12) 및 이들과 결합된 벽체(S13)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양중장치(100)는 파이프랙 모듈(PR+P)에 러그(110)를 부착시켜 고정하고, 스트랜드 잭(120)을 이용하여 파이프랙 모듈(PR+P)을 직접 양중하는 장치이다.
파이프랙 모듈(PR+P)은 파이프랙(PR)에 복수개의 파이프(PR), 덕트 또는 전기 등의 무거운 설비를 적재하여 모듈화한 것을 의미한다.
러그(110)는 파이프랙 모듈(PR+P)에 결합되어 스트랜드 잭(120)의 스트랜드 와이어(122)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스트랜드 잭(120)은 러그(110)를 통해 파이프랙 모듈(PR+P)을 중력의 역방향으로 끌어올리는 장치이다.
스트랜드 잭(120)은 중공형의 유압 실린더(121), 유압 실린더(121)의 중공을 관통하는 스트랜드 와이어(122) 및 유압 실린더(12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하나씩 장착된 한쌍의 클램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스트랜드 잭(120)은 구조물(S10)의 상부층(S11)에 홀(h)을 형성하는 단계, 중공형의 유압 실린더(121)를 상부층(S11)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스트랜드 와이어
(122)를 홀(h)로 통과시킨 후 러그(11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거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층(S11)과 유압 실린더(121) 사이에 스트랜드 와이어(122) 통과용 홀(미도시)을 갖는 보강 프레임(130)을 설치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양중장치(100)의 경우 스트랜드 와이어(122)를 구조물(S10)의 하부층(S12)쪽으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슬래브 또는 보와 같은, 구조물(S10)의 상부층(S11)에 홀(h)을 형성하는 타공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이 상부층(S11)이 타공됨으로써 구조물(S10)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타공부, 즉 홀(h)의 마감 문제 및 상기 타공작업이 상부층(S11)의 공사 일정과 겹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랜드 잭(120)은 무게 제약 없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유공압잭 시스템으로, 스트랜드 와이어(122)가 상하부 앵커와 센터홀을 통과하는 것으로 양중시, 잭스트로크가 확장할 때는 상부 앵커에서는 와이어를 잡고 올려주며, 잭스트로크가 수축 시에는 하부 앵커에서 스트랜드 와이어(122)를 잡고 양중중량물의 상태가 지탱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각종 중량물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효과는 있으나;
고중량의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공압잭인 스트랜드잭(120)의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가 없으며, 다중의 잭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가 불가 함으로 인하여,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중량물을 수평상태로 인양이 어려우며, 설치가 곤란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며,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 구성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생산공정을 앞당기기 위해서 설치중량물을 단위중량물(모듈)로 제작하여 통합 설치를 위한 양중시의,
특히, 중량물(모듈)의 양중이 안전하고 용이하며,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다중의 유공압잭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가 가능하며,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중량물(모듈)의 양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 단축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며, 안전사고가 방지된; 구성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양중 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유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며, 개별 유공압잭은 파워유닛으로 부터 유압 혹은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이를 메인컨트롤판넬(MCP)을 개별 제작하여,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양중장치로 구성된:
단위중량물(모듈)을 설치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다중(다수개)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되어, 다중의 유공압잭에 균일하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POWER UNIT)과;
상기 파워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파워유닛(유공압펌프)이 개별적으로 각기 설치된 다중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과;
상기 유공압잭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공압잭에 공급되는 압력이 감지되는 압력센서와,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 및,
단위중량물(모듈)의 외부에 설치되어, 단위중량물의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레이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파워유닛과,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의 센서부에 연결되어, 단위중량물 양중시의 압력,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가 제어되는 제어부인 메인컨트롤판넬(MCP: MAIN CONTROL PANEL)의 양중장치와;
S1 단계:
조립된 중량물(모듈)의 양중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각기 설치된 다중의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다중의 유공압잭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다중의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는 단계;와,
S2 단계:
유공압잭의 외부에 압력센서와 와이어센서가 설치되고, 중량물의 외부에 레이저센서가 설치되는 단계;와,
S3 단계:
메인컨트롤판넬(MCP)에 다중의 유공압잭 및 다중의 파워유닛,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를 케이블로 연결 후, 각 유공압잭의 양중포인트 축당 센스 값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S4 단계:
다중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된 다중의 파워유닛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잭으로 유입되어 중량물(모듈)의 인양 및, 인양시에 압력센서에서 압력값 감지, 와이어센서에서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감지, 레이저센서에서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단계;와,
S5 단계: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의 변위길이,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메인컨트롤판넬(MCP)에 입력 및,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중량물(모듈)의 양중조건(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과 다중의 유공압잭이 통합 양중시스템으로 양중 포인트 축당 ±10mm 범위에서 동조 제어되어, 중량물이 상부로 인양되는 단계;의 양중공법으로 구성된,‘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생산공정을 앞당기기 위해서 설치중량물을 단위중량물(모듈)로 제작하여 통합 설치를 위한 양중시의,
중량물(모듈)의 양중이 안전하고 용이한 효과와;
중량물(모듈)의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다중의 유공압잭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가 가능한 효과와;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중량물(모듈)의 양중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한 효과와;
중량물(모듈)의 수직인양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효과와;
공사기간 단축 및 설치비용이 절감된 효과와;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며, 안전사고가 방지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양중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공압잭 및 유공압잭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공압잭에 설치된 와이어센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중모듈에 설치된 레이저센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발명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S1 내지 S4 단계의 양중공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위중량물(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공법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양중 포인트 축당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개별 유공압잭은 파워유닛으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를 메인 컨트롤판넬(MCP)을 개별 제작하여 특히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동조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양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어는 다중의 유공압잭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공압잭 및 유공압잭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사용되는 중량물(모듈)을 안전하게 양중하기 위한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1000)'에 관한 것으로,
1) 단위중량물(600:모듈)을 설치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다중(다수개)의 유공압잭(300)에 각기 설치되어, 다중의 유공압잭에 균일하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200:POWER UNIT)과;
2) 상기 파워유닛(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파워유닛(유공압펌프)이 개별적으로 각기 설치된 다중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300)과;
3) 상기 유공압잭(3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공압잭에 공급되는 압력이 감지되는 압력센서(410)와, 스트랜드와이어(421)의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 (420) 및,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외부에 설치되어, 단위중량물의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레이저센서(430)로 구성된 센서부(400)와;
4) 상기 파워유닛(200)과, 압력센서(410), 와이어센서(420), 레이저센서(430)의 센서부(400)에 연결되어, 단위중량물(600)의 양중시의 압력,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가 제어되는 제어부인 메인컨트롤판넬(500:MCP: MAIN CONTROL PANEL)로 구성된다.
상기 파워유닛(200:POWER UNIT)은;
단위중량물(600:모듈)을 설치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다중(다수개)의 유공압잭(300)에 각기 설치되어, 다중의 유공압잭(300)에 균일하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200:POWER UNIT)으로서,
금속재질의 본체(210) 및,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된 유공압잭 본체(310)의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는 개방홀인 유공압유입홀(220)과,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 및 제어되는 압력라인(230:PRESS LINE)과,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된 유공압잭 본체(310)와 볼트인 체결구로 체결 결합되는 볼트체결홀(240)과, 케이블(530)이 압력라인(230) 및 메인컨트롤판넬(500:MCP)에 연결된 구성으로,
메인컨트롤판넬(500)에서 압력라인(230)에 입력되는 압력값을 통해 유압 또는 공압이 제어 됨으로서,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압력라인(230)에 입력된 압력값에 의한 균일한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잭(300)으로 유입되는, 파워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200)은;
메인컨트롤판넬(500:MCP)에 연결된 다중(다수개)의 파워유닛(200)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다중(다수개)의 유공압잭(300)으로 균일하게 유입 됨으로서, 유공압잭(300)에 의한 단위중량물(600)의 양중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양중되는 기술구성의 파워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공압잭(300)은;
파워유닛(200)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파워유닛(200)이 개별적으로 각기 설치된 다중(다수개)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300)으로서,
금속재질의 본체(310) 및, 본체(310)의 상부에 구비된 파워유닛(200)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는 압력라인(320:PRESS LINE)과, 압력라인(320)의 외부에 구비된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상,하이동을 위한 실린더(330)와, 본체(310)의 외부에 구비된 압력센서(410)가 장착되는 압력센서장착구(340) 및 스트랜드와이어(421)의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장착구(350)와, 본체(3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파워유닛(200)의 볼트체결홀(240)과 대응 체결되는 볼트체결홀(360)과, 상기 압력라인(320)과 메인컨트롤판넬(500)이 케이블(530)로 연결되어 압력라인(320)으로 유입된 유압 또는 공압이 제어 가능한 유공압잭(3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300)은;
메인컨트롤판넬(500:MCP)에 연결된 다중의 파워유닛(200)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다중의 유공압잭 본체(310)의 압력라인(320)으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잭의 외부에 설치된 압력센서(410)에서 감지되며, 유공압잭의 압력라인(320)과 메인컨트롤판넬(500)이 케이블(530)로 연결되어 압력라인(320)으로 유입된 유압 또는 공압이 제어 가능한 구성으로,
다중(다수개)의 실린더(330)가 균일하게 상,하 이동 및,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양중작업이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양중되는 기술구성의 유공압잭(30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공압잭에 설치된 와이어센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양중모듈에 설치된 레이저센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전체 구성도: 도 2, 압력센서: 도 3 참조)
상기 센서부(400)는;
양중 포인트(축)당 각각 3개의 센서가 설치되어 동조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 되었으며, 센서부(4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양중 포인트(축)당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410), 스트랜드잭을 포함한 유공압잭(300)의 스트로크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와이어센서(420), 양중 모듈의 인양높이/수평제어를 판단하기 위한 레이저센서(430)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410:PRESSURE SENSOR)는,
유공압잭(300)의 압력센서장착구(340)에 장착되어, 유공압잭에 공급되는 압력이 감지되는 금속재질의 본체(411)와, 본체(411)의 외부에 구비된 센서(412)로서, 유공압잭(300)의 압력센서장착구(340)에 본체(411)가 장착되어, 유공압잭의 압력라인(320:PRESS LINE)에 입력되는 압력값을 통해 각 유공압잭(300)에 걸리는 부하를 톤으로 환산하고, 실제 양중작업에 예상되는 부하 값에 최대한 근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압력센서(410)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센서(420:WIRE SENSOR)는,
유공압잭(300)의 와이어센서장착구(350)에 장착되어, 스트랜드와이어(421)의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420)로서, 유공압잭(300)의 업(UP)시에 와이어센서(420)의 길이가 변위되고, 변위값은 아날로그 시그널로 메인컨트롤판넬(500:MCP)의 제어프로그램에 입력이 가능하다.
이때 와이어센서(420)의 길이 변위값은 유압잭(300) 스트로크 변위값과 동일하다.
따라서, 와이어센서(420)를 설치하여 각 유압잭(300)의 스트로크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해당 파라메터(스트로크 변화량)을 확인하여 미세한 개별, 그룹 동조제어가 가능한 와이어센서(420)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저센서(430:LASER SENSOR)는,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본체(431) 및 본체(431)의 외부에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외부에 설치, 고정되는 클램프지그(432)가 구비된 레이저센서(430)로 구성되어;
단위중량물(600)의 어디든지 탈부착이 가능하고,
레이저센서(430)의 설치목적은 단위중량물(600)이 인양되는 높이를 측정하고, 단위중량물(600)이 수평으로 안전하게 양중되고 있는지를 확인 가능한 레이저센서(4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롤판넬(500:MAIN CONTROL PANEL)은;
파워유닛(200), 유공압잭(300) 및 센서부(400)인 압력센서(410), 와이어센서(420), 레이저센서(430)에 연결되어, 단위중량물(600)의 양중시의 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 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가 제어되는 제어부인 메인컨트롤판넬(500: MAIN CONTROL PANEL)로서,
파워유닛(200), 유공압잭(300) 및 센서부(400)인 압력센서(410), 와이어센서(420), 레이저센서(430)에 케이블(530)로 연결된 본체(510)와, 본체(510)의 상부에 단위중량물(600)의 양중시의 해당수치가 모니터링 되는 모니터(520)로 구성되며, 통합 양중시스템으로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양중 공법 적용 시에 양중 포인트 축당 ±10mm 범위에서 동조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1000)'은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수직인양은 물론이고,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수평이동 또한 가능한 구성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1000)'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메인컨트롤판넬(500)에 연결된 파워유닛(200)의 작동에 의하여 파워유닛(200)에서 유공압잭(300)의 압력라인(320)으로 미제어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고,
유공압잭(300)의 압력라인(320)으로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이 메인컨트롤판넬(500)에서 유공압잭(300)의 압력라인(330)에 입력되는 압력값을 통해 제어 됨으로서,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압력라인(330)에 입력된 압력값에 의한 균일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실린더(330)가 균일하게 상,하 이동되는 구성의 유공압잭(300)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인 볼트로 결합된 파워유닛(200)과 유공압잭(300)이, 일체로 구성된 파워유닛(200)과 유공압잭(300)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1000)'은;
상기 구성의 파워유닛(200), 유공압잭(300) 및, 센서부(400)인 압력센서(410)와 와이어센서(420), 레이저센서(430)가 메인컨트롤판넬(500:MCP)에 연결, 제어 됨으로서,
특히, 양중 포인트 축당 유공압잭(300)이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200)이 개별로 설치되며, 개별 유공압잭(300)은 파워유닛
(200)으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통합하여 동조 제어가 가능한 기술구성과;
다중의 유공압잭(300)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가 가능한 기술구성과;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양중이 용이하고, 안전한 기술구성과;
설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 단축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며,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기술구성과;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수직인양은 물론이고, 단위중량물(600:모듈)의 수평이동 또한 가능한 양중장치 구성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10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양중공법에 대하여 설명키로 하며, 도 6은 본발명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양중공법의 S1 내지 S5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장치구성: 도 2 내지 도 5 참조)
본 발명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양중공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5 단계의 공법으로 중량물(모듈)이 상부로 인양된다.
S1 단계:
조립된 중량물(모듈)의 양중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각기 설치된 다중의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다중의 유공압잭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다중의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는 단계;와,
S2 단계:
유공압잭의 외부에 압력센서와 와이어센서가 설치되고, 중량물의 외부에 레이저센서가 설치되는 단계;와,
S3 단계:
메인컨트롤판넬(MCP)에 다중의 유공압잭 및 다중의 파워유닛,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를 케이블로 연결 후, 각 유공압잭의 양중포인트 축당 센스 값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S4 단계:
다중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된 다중의 파워유닛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잭으로 유입되어 중량물(모듈)의 인양 및, 인양시에 압력센서에서 압력값 감지, 와이어센서에서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감지, 레이저센서에서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단계;와,
S5 단계: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의 변위길이,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메인컨트롤판넬(MCP)에 입력 및,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중량물(모듈)의 양중조건(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과 다중의 유공압잭이 통합 양중시스템으로 양중 포인트 축당 ±10mm 범위에서 동조 제어되어, 중량물이 상부로 인양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1 단계의 이전단계로,
S11 단계: 중량물 설치구역 지면에 모듈을 조립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장에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설치하여 에스피엠티(SPMT)로 설치구역의 지면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S12 단계: 중량물 설치구역 기둥 보의 선행 설치되어 있는 패드아이에 커넥팅피스를 설치하고, 스트랜드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 와,
S13 단계: 조립된 통합모듈의 하부로, 양중시에 통합모듈을 떠 받칠수 있는 로딩빔과 양중작업을 위한 지그를 설치하고, 스트랜드잭을 포함한 유공압잭의 내부에 스트랜드와이어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S5 단계의 이후단계로,
S51 단계: S1 내지 S4 단계로 상부로 인양된 중량물(모듈)을 리프트를 타고 작업자가 설치위치에 볼팅 또는 용접작업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S52 단계: 로딩빔과 지그를 해체 및 유공압잭을 포함한 양중장치가 설치 역순으로 해체하여 설치구역을 정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의 양중공법은;
S1 내지 S5 단계의 , 파워유닛, 유공압잭 및, 센서부인 압력센서와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가 메인컨트롤판넬(MCP)에 연결, 제어 됨으로서,
특히, 양중 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며, 개별 유공압잭은 파워유닛으로 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작동이 가능한 양중공법으로;
단위중량물(모듈)의 양중 포인트를 다중으로 통합하여 동조 제어가 가능한 양중공법과;
다중의 유공압잭을 개별, 조별 및 전체를 동조 제어가 가능한 양중공법과;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다양한 단위중량물(모듈)의 양중이 더욱 용이하고, 안전한 양중공법과;
설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 단축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양중공법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S1 단계의 이전단계인 S11 내지 S13 단계에 의하여, 중량물의 양중을 위한 사전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S5 단계의 이후단계인 S51 단계와 S52 단계에 의하여, 중량물이 설치위치에 설치 고정 및,
로딩빔과 지그를 해체 및 유공압잭을 포함한 양중장치가 설치 역순으로 해체되는 양중공법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양중공법'은 단위중량물의 수직인양은 물론이고, 단위중량물의 수평이동 또한 가능한 공법의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0: 본 발명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200: 파워유닛
210: 본체 220: 유공압유입홀
230: 압력라인 240: 볼트체결홀
300: 유공압잭
310: 본체 320: 압력라인
330: 실린더 340: 압력센서장착구
350: 와이어센서장착구 360: 볼트체결홀
400: 센서부
410: 압력센서
411: 본체 412: 센서
420: 와이어센서 421: 스트랜드와이어
430: 레이저센서
431: 본체 432: 클램프지그
500: 메인컨트롤판넬(MCP)
510: 본체 520: 모니터
530: 케이블
600: 단위중량물(중량물)
100: 종래기술 양중장치
10: 스트랜드잭(STRAND JACK)
20: 베이스지그(BASE JIG)
30: 커넥팅피스(CONNECTING PIECE)
40: 스트랜드와이어(STRANDWIRE)
50: 스트랜드와이어 가이던스(STRANDWIRE GUIDANCE)

Claims (8)

  1.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사용되는 중량물(모듈)을 안전하게 양중하기 위한, 단위중량물(모듈)을 설치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다중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되어, 다중의 유공압잭에 균일하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과; 상기 파워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파워유닛이 개별적으로 각기 설치된 다중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과; 상기 유공압잭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공압잭에 공급되는 압력이 감지되는 압력센서와,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 및,
    단위중량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단위중량물의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레이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파워유닛과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의 센서부에 연결되어, 단위중량물 양중시의 압력,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가 제어되는 제어부인 메인컨트롤판넬의; 양중장치로 구성된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워유닛이;
    단위중량물을 설치위치로 인양하기 위한 다중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되어, 다중의 유공압잭에 균일하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유공압펌프인 파워유닛으로서, 금속재질의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유공압잭 본체의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는 개방홀인 유공압유입홀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 및 제어되는 압력라인과,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유공압잭 본체와 볼트인 체결구로 체결 결합되는 볼트체결홀과, 케이블이 압력라인 및 메인컨트롤판넬에 연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압잭이;
    파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파워유닛이 개별적으로 각기 설치된 다중의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유공압잭으로서,
    금속재질의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파워유닛에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는 압력라인과, 압력라인의 외부에 구비된 단위중량물의 상,하
    이동을 위한 실린더와, 본체의 외부에 구비된 압력센서가 장착되는 압력센서장착구 및 스트랜드와이어의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와이어센서장착구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파워유닛의 볼트체결홀과 대응 체결되는 볼트체결홀과, 상기 압력라인이 메인컨트롤판넬에 케이블로 연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유공압잭의 압력센서장착구에 장착되어, 유공압잭에 공급되는 압력이 감지되는 금속재질의 본체와, 본체의 외부에 구비된 센서로 구성된 압력센서와,
    유공압잭의 와이어센서장착구에 장착되어, 스트랜드와이어의 변위길이가 감지되는 유공압잭의 업(UP)시에 길이가 변위되고, 각 유압잭의 스트로크 변위값이 측정되는 와이어센서와,
    단위중량물의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본체 및 본체의 외부에 단위중량물의 외부에 설치, 고정되는 클램프지그가 구비된 레이저센서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판넬에 연결된 파워유닛의 작동에 의하여 파워유닛에서 유공압잭의 압력라인으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고,
    유공압잭의 압력라인으로 공급된 유압 또는 공압이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유공압잭의 압력라인에 입력되는 압력값을 통해 제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7. 건설, 조선 분야를 포함한 여러분야에서 사용되는 중량물(모듈)을 안전하게 양중하기 위한, S1 단계: 조립된 중량물(모듈)의 양중포인트 축당 유공압잭이 각기 설치된 다중의 유공압잭이 설치되고, 다중의 유공압잭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는 다중의 파워유닛이 개별로 설치되는 단계;와, S2 단계: 유공압잭의 외부에 압력센서와 와이어센서가 설치되고, 중량물의 외부에 레이저센서가 설치되는 단계;와,
    S3 단계: 메인컨트롤판넬에 다중의 유공압잭 및 다중의 파워유닛,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를 케이블로 연결 후, 각 유공압잭의 양중포인트 축당 센스 값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시운전 단계;와, S4 단계: 다중의 유공압잭에 각기 설치된 다중의 파워유닛에서 유압 또는 공압이 유공압잭으로 유입되어 중량물(모듈)의 인양 및, 인양시에 압력센서에서 압력값 감지, 와이어센서에서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감지, 레이저센서에서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감지되는 단계;와, S5 단계: 압력센서, 와이어센서, 레이저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의 변위길이, 인양높이와 수평상태가 메인컨트롤판넬에 입력 및, 메인컨트롤판넬에서 중량물(모듈)의 양중조건(압력값, 스트랜드와이어 변위길이, 인양높이, 수평상태)과 다중의 유공압잭이 통합 양중시스템으로 양중 포인트 축당 ±10mm 범위에서 동조 제어되어, 중량물이 상부로 인양되는 단계;의 양중공법으로 구성된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이전단계로,
    S11 단계: 중량물 설치구역 지면에 모듈을 조립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립장에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설치하여 에스피엠티(SPMT)로 설치구역의 지면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S12 단계: 중량물 설치구역 기둥 보의 선행 설치되어 있는 패드아이에 커넥팅피스를 설치하고, 스트랜드와이어를 설치하는 단계:와,
    S13 단계: 조립된 통합모듈의 하부로, 양중시에 통합모듈을 떠 받칠수 있는 로딩빔과 양중작업을 위한 지그를 설치하고, 스트랜드잭을 포함한 유공압잭의 내부에 스트랜드와이어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S5 단계의 이후단계로,
    S51 단계: S1 내지 S4 단계로 상부로 인양된 중량물(모듈)을 리프트를 타고 작업자가 설치위치에 볼팅 또는 용접작업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S52 단계: 로딩빔과 지그를 해체 및 유공압잭을 포함한 양중장치가 설치 역순으로 해체하여 설치구역을 정리하는 단계;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8. 삭제
KR1020200132882A 2020-10-14 2020-10-14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KR10222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82A KR102225138B1 (ko) 2020-10-14 2020-10-14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82A KR102225138B1 (ko) 2020-10-14 2020-10-14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138B1 true KR102225138B1 (ko) 2021-03-09

Family

ID=7517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882A KR102225138B1 (ko) 2020-10-14 2020-10-14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279B1 (ko) * 2022-02-10 2022-11-03 주식회사 글로리아 수직 인양되는 중량물의 수평유지 및 하중이 제어되는,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KR102588516B1 (ko) * 2023-03-07 2023-10-13 유종보 스트랜드 잭
KR102588537B1 (ko) * 2023-03-07 2023-10-13 유종보 양중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07Y1 (ko) * 2004-09-04 2004-12-17 포철산기주식회사 다중 동조 유압잭
KR20090111007A (ko) * 2008-04-21 2009-10-26 (주)대우건설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101185684B1 (ko) * 2011-11-30 2012-09-24 양태한 건설작업용 리프트
KR20160022498A (ko) * 2014-08-20 2016-03-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식 잭 서포터
KR101667409B1 (ko) * 2016-07-29 2016-10-20 (주)리콘 정밀 제어가 가능한 교량 동조 인상 시스템
KR102095931B1 (ko) * 2019-08-29 2020-04-01 (주) 대하 동조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포지션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07Y1 (ko) * 2004-09-04 2004-12-17 포철산기주식회사 다중 동조 유압잭
KR20090111007A (ko) * 2008-04-21 2009-10-26 (주)대우건설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101185684B1 (ko) * 2011-11-30 2012-09-24 양태한 건설작업용 리프트
KR20160022498A (ko) * 2014-08-20 2016-03-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식 잭 서포터
KR101667409B1 (ko) * 2016-07-29 2016-10-20 (주)리콘 정밀 제어가 가능한 교량 동조 인상 시스템
KR102095931B1 (ko) * 2019-08-29 2020-04-01 (주) 대하 동조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포지션 리프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279B1 (ko) * 2022-02-10 2022-11-03 주식회사 글로리아 수직 인양되는 중량물의 수평유지 및 하중이 제어되는,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KR102588516B1 (ko) * 2023-03-07 2023-10-13 유종보 스트랜드 잭
KR102588537B1 (ko) * 2023-03-07 2023-10-13 유종보 양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138B1 (ko)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CN103790234A (zh) 大跨度桁架液压多点同步提升施工方法
CN105569242A (zh) 一种叠合楼板的装配方法
CN103195256A (zh) 吊柱式钢结构胎架法施工工法
CN113982280A (zh) 一种复杂式空间桁架整体吊装系统的施工方法
CN114197634B (zh) 一种高层连体大型钢结构安装监测系统的施工方法
CN107503520A (zh) 一种用于钢结构厂房屋面系统次构件吊装的辅助提升装置
CN109610834A (zh) 多层大跨重载混凝土结构的高空施工方法
KR102063433B1 (ko) 배관설비 통합모듈 수직 인양공법
CN109138457B (zh) 用于安装装配式建筑的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324131B (zh) 一架两用大跨度劲性梁施工结构及其施工工法
KR102462279B1 (ko) 수직 인양되는 중량물의 수평유지 및 하중이 제어되는,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CN111119498A (zh) 工具式型钢悬挑卸料平台及施工方法
CN107963533B (zh) 模块化电梯井道设计方法
CN210152143U (zh) 用于混凝土外挂板吊装施工的连接结构
CN114687567B (zh) 一种超高重型预埋件吊挂施工工装的方法
CN112456348B (zh) 一种吸热器吊装方法
CN211733692U (zh) 一种具备吊装和姿态调整的设备
KR20070040345A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
CN113982281A (zh) 一种超大吨位空间桁架提升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3523223B2 (ja) 高層建築物の解体装置
CN112110367A (zh) 一种高耸结构液压同步顶升装置及施工方法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CN218912360U (zh) 地下室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38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11

Effective date: 20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