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988B1 -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988B1
KR102224988B1 KR1020190051502A KR20190051502A KR102224988B1 KR 102224988 B1 KR102224988 B1 KR 102224988B1 KR 1020190051502 A KR1020190051502 A KR 1020190051502A KR 20190051502 A KR20190051502 A KR 20190051502A KR 102224988 B1 KR102224988 B1 KR 10222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tl
final
extract
n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424A (ko
Inventor
김선여
이미경
조양희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9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ㆍ분획물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s)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을 분해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최종당화산물에 의해 유발되는 당뇨 합병증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과 같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related diseases comprising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유전적ㆍ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져, 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출하는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에 의해 체내 혈당이 높아진 상태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당화 산물이 망막, 신장, 신경 또는 전신의 크고 작은 혈관들을 침범하면서 만성 합병증이 발병하게 된다. 당뇨병은 그 자체보다 당뇨 합병증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오늘날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큰 목표는 당뇨 합병증의 유발이나 진행을 억제하는 데에 있다.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으로는 망막변증, 신증, 신경증 등이 있다. 이런 질병을 포함하여 현재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네 번째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을 만큼 현대에 접어들면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만성 질병이다.
이러한 당뇨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전으로는 크게 단백질의 비효소적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 of protein)과 폴리올 경로(polyol pathway)의 기작 변화에 의한 삼투압 스트레스 및 자유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단백질의 당화는 단백질과 당이 반응해서 먼저 쉬프 베이스(schiff base)를 형성하고, 반응이 더 진행되면 아마도리 생성물(amadori product)이 생성되며 계속해서 응축, 탈수 과정을 거치면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이하 간략하게 ‘AGEs’로 약칭함)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반응 시작 단계에서 에너지 공급 없이 거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므로 식품이나 우리의 신체 내에서 일어나며, 일정단계 이후 비가역적인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최종당화산물은 일단 생성되면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되어도 분해되지 않고, 단백질 생존 기간 동안 조직에 축적되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처럼 비효소적 단백질 당화반응에 의하여 기저막, 혈장 알부민, 수정체 단백질, 피브린, 콜라겐 등의 단백질에서 당화가 일어나며,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은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켜 만성 당뇨 합병증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이 폴리올 경로, 비효소적 당화 반응 및 산화적 스트레스 작용 기전들이 서로 연관되어 당뇨 합병증을 유발하므로, 당뇨 합병증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최종당화산물의 형성 억제 및 분해 효과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최종당화산물은 당뇨 합병증 외에도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최근 밝혀졌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발병 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식이 및 운동 등 생활습관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의 복합 작용으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면, 간에서 과도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AA)이 생성된다. 유리 지방산은 간세포 안에서 독성이 없는 중성 지방(triglyceride, TG)으로 전환되어 일차적으로 단순 지방증의 상태가 된다. 다양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추가되면서 지방과산화와 염증 사이토카인의 과생성으로 간세포 손상 및 염증반응이 일어나 비알콜성 지방간염으로 발전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미롭게도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또 다른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질환인 제2형 당뇨병을 흔히 동반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당뇨 합병증의 주요 원인 물질로 알려진 최종당화산물과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연관성을 제안한다. 특히 글리세르알데하이드(glyceraldehyde, GA) 유래 최종당화산물(GA-AGEs)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최종당화산물 중 가장 독성이 높아, TAGEs(toxic AGEs)라고 불리는데, 최근 TAGEs가 비알콜성 지방간염 환자의 혈청 및 간 조직에서 고농도로 존재한다고 밝혀졌다. 글리세르알데하이드뿐만 아니라 글리옥살 (glyoxal, GO), 메틸글리옥살 (methylglyoxal, MGO)과 같은 디카보닐 (dicarbonyl) 화합물로 유도된 최종당화산물의 경우도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촉진할 것이다.
현재, 체내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질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 피리독사민(pyridoxamin), ALT-711, 티아졸리디네디온(thiazolidinediones) 등이 있다(Am J Nephrol 2009;30:323-35.). 이 중, 단백질 당화 억제제로서 합성제제로 사용되는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은 친핵성 히드라진(hydrazine)으로 아마도리 산물과 결합하여 단백질과의 교차결합을 방지함으로써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합병증으로 진전되는 것을 지연 또는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iences, 232, 1629-1632; Diabetes, 41, 26-29). 아미노구아니딘은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유망한 합성 의약품이지만 장기간 투여시 독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중단되었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경남, 전남, 제주 등 우리나라 남쪽 지방에서 흔히 분포하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병충해에 강하여 농림업 분야에서 좋은 소득작목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식용이 가능한 잎과 열매에는 항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으로 위암, 식도암, 간암 등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꾸지뽕나무의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치료 효과는 밝혀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약재를 이용한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과 관련한 치료제를 개발하던 중 꾸지뽕나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이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최종당화산물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최종당화산물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213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213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꾸지뽕나무의 미숙과 열매 추출물 또는 잎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a)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서로 분획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각각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a) 꾸지뽕나무 잎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서로 분획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각각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프루네틴; 7,4'-디페톡시-5-하이드록시이소프라본; 3-(3,5-디하이드록시페닐)-5,7-디하이드록시-4에이치-1-벤조피란-4-원; 5,7-디하이드록시-6-(2-하이드록시에틸)-3-(4-메톡시페닐)-4H-크로멘-4-원; 간카오닌 에이; 5,7-디하이드록시-6-(2′′-하이드록시-3′′-메틸부트-3′′-엔일)-4′-메톡시이소플라본; 간카오닌 엠; 5,7,8-트리하이드록시-6-(3-하이드록시-4-메틸펜트-4-엔-1-일)-3-(4-메톡시페닐)-4H-크로멘-4-원; 메틸 3-(3,4-디하이드록시페닐)-5,7-디하이드록시-6-(3-메틸부트-2-엔-1-일)-4-옥소-4H-크로멘-8-카르복실레이트; 에리세네갈렌세인 이; 이소에리세네갈렌세인 이; 6,8-디프레닐제인스테인; 6,8-디프레닐오로볼; 4'-O-메틸에리트리닌씨; 5-하이드록시-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3-(4-메톡시페닐)-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4'-O-메틸-2''-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알피눔이소플라본; 알피눔이소프랄본; 4'-O-메틸알피눔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7-(4-메톡시페닐)-2-메틸-2H,6H-피라노[3,2-g]크로멘-6-원; 5,3',4'-트리하이드록시-6'',6''-디메틸피라노-[2'',3'';7,6]이소플라본; 3'-하이드록시-4'-O-메틸알피눔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6-(메톡시메틸)-8,8-디메틸-7,8-디하이드로-4H-벤조[h]크로멘-4-원; 유크레논 비10; 세네갈렌신; 푸로와닌 에이; 푸로와닌 비;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9-(4-메틸펜트-3-엔-1-일)-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3-(3,4-디하이드록시펜틸)-5-하이드록시-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9-(4-메틸펜트-3-엔-1-일)-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3-(3,4-디하이드록시펜틸)-5-하이드록시-6-(3-메틸부트-2-엔-1-일)-4H-퓨로[2,3-h]크로멘-4-원; 5,3′,4′,2′′′-테트라하이드록시-2′′,2′′-디메틸피라노-(5′′6′′:7,8)-6-(3′′′-메틸-3′′′-부테닐)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8,8-디메틸-6-(4-메틸-3-옥소펜트-4-엔-1-일)-4H,8H-피라노[2,3-f]크로멘-4-원; 7-(4-하이드록시페닐)-10-(2-하이드록시프로판-2-일)-11-메톡시-2,2-디메틸-2,9,10,11-테트라하이드로-8H-사이클로펜타[f]피라노[2,3-h]크로멘-8-원; 11-(3,4-디하이드록시펜틸)-3,4-디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2H,6H,12H-디피라노[2,3-f:2',3'-h]크로멘-12-원; 및 제리쿠드라닌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은 노화, 당뇨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및 최종당화산물 분해 촉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과자류, 면류, 떡류, 빵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및 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ㆍ분획물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s)의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최종당화산물을 분해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최종당화산물에 의해 유발되는 당뇨 합병증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과 같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꾸지뽕나무 잎의 추출 및 분획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2f는 꾸지뽕나무 잎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의 추출 및 분획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a 내지 4e는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5a: MGO-AGEs 생성, 5b: GO-AGEs 생성).
도 6은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6a: MGO-AGEs 생성, 6b: GO-AGEs 생성).
도 7은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7a: MGO-AGEs 생성, 7b: GO-AGEs 생성).
도 8은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8a-8c: MGO-AGEs 생성, 8d-8f: GO-AGEs 생성).
도 9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파쇄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9a: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추출물, 9b: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도 10은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파쇄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11a 내지 11c는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파쇄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꾸지뽕나무의 미숙과 열매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의 미숙과 열매 또는 잎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꾸지뽕나무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분획물은 (a)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서로 분획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각각의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분획물은 (a) 꾸지뽕나무 잎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순서로 분획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각각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프루네틴; 7,4'-디페톡시-5-하이드록시이소프라본; 3-(3,5-디하이드록시페닐)-5,7-디하이드록시-4에이치-1-벤조피란-4-원; 5,7-디하이드록시-6-(2-하이드록시에틸)-3-(4-메톡시페닐)-4H-크로멘-4-원; 간카오닌 에이; 5,7-디하이드록시-6-(2′′-하이드록시-3′′-메틸부트-3′′-엔일)-4′-메톡시이소플라본; 간카오닌 엠; 5,7,8-트리하이드록시-6-(3-하이드록시-4-메틸펜트-4-엔-1-일)-3-(4-메톡시페닐)-4H-크로멘-4-원; 메틸 3-(3,4-디하이드록시페닐)-5,7-디하이드록시-6-(3-메틸부트-2-엔-1-일)-4-옥소-4H-크로멘-8-카르복실레이트; 에리세네갈렌세인 이; 이소에리세네갈렌세인 이; 6,8-디프레닐제인스테인; 6,8-디프레닐오로볼; 4'-O-메틸에리트리닌씨; 5-하이드록시-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3-(4-메톡시페닐)-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4'-O-메틸-2''-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알피눔이소플라본; 알피눔이소프랄본; 4'-O-메틸알피눔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7-(4-메톡시페닐)-2-메틸-2H,6H-피라노[3,2-g]크로멘-6-원; 5,3',4'-트리하이드록시-6'',6''-디메틸피라노-[2'',3'';7,6]이소플라본; 3'-하이드록시-4'-O-메틸알피눔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6-(메톡시메틸)-8,8-디메틸-7,8-디하이드로-4H-벤조[h]크로멘-4-원; 유크레논 비10; 세네갈렌신; 푸로와닌 에이; 푸로와닌 비;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9-(4-메틸펜트-3-엔-1-일)-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3-(3,4-디하이드록시펜틸)-5-하이드록시-7-(2-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9-(4-메틸펜트-3-엔-1-일)-7,8-디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g]크로멘-4(6H)-원; 3-(3,4-디하이드록시펜틸)-5-하이드록시-6-(3-메틸부트-2-엔-1-일)-4H-퓨로[2,3-h]크로멘-4-원; 5,3′,4′,2′′′-테트라하이드록시-2′′,2′′-디메틸피라노-(5′′6′′:7,8)-6-(3′′′-메틸-3′′′-부테닐)이소플라본; 5-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8,8-디메틸-6-(4-메틸-3-옥소펜트-4-엔-1-일)-4H,8H-피라노[2,3-f]크로멘-4-원; 7-(4-하이드록시페닐)-10-(2-하이드록시프로판-2-일)-11-메톡시-2,2-디메틸-2,9,10,11-테트라하이드로-8H-사이클로펜타[f]피라노[2,3-h]크로멘-8-원; 11-(3,4-디하이드록시펜틸)-3,4-디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2H,6H,12H-디피라노[2,3-f:2',3'-h]크로멘-12-원; 및 제리쿠드라닌 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 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 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예시한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이란, 최종당화산물의 자극에 의해 혈중의 단핵구가 혈관내피세포에 부착, 축적됨으로써 발병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질환으로는, 노화, 당뇨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 등을 들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당뇨합병증은 대표적인 최종당화산물 축적에 의한 질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당뇨합병증"이란, 당뇨병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유발되는 증상을 의미한다.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의 발병 기준 및 판단 기준과 상이하며, 당뇨합병증 치료제는 당뇨병 치료제와는 별개로 사용되고 있다(국제공개특허 제2014-077424호). 당뇨합병증 유병의 원인은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및, 알도스환원효소(aldose reductase)의 비정상적인 활성과 가속화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므로, 당뇨합병증의 치료제로서의 개발 시 최종당화산물 및 알도스환원효소의 활성과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여 치료제의 효능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뇨합병증의 비제한적인 예로 당뇨성 망막병증, 당뇨성 백내장, 당뇨성 신증, 당뇨성 신경병증, 족부궤양, 당뇨성 심장병, 동맥경화증, 심혈관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당뇨합병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목적상, 구체적으로는 동맥경화증 또는 심혈관계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당뇨합병증의 대표적인 질병인 상기 동맥경화증은 혈관내피 장애로서 혈중의 단핵구가 최종당화산물의 자극에 의해 혈관내피세포에 부착되고, 연접 부위를 침투하여 동맥내경이 좁아지고 혈류의 장애가 오래되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각한 심혈관계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상기 조성물에 의해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이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은 조성물에 0.1 내지 10000μ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01㎎/kg~1000㎎/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용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과 종래 알려진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 치료제를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은 식용가능한 식물로부터 추출된 소재로서 화학약품과 같은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개선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우수한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및 최종당화산물 분해 촉진 효과를 갖는바, 당뇨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동맥경화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 등과 같은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기기 및 시약
○ 기기
Polarimeter : JASCO DIP-1000 polarimeter (Tokyo, Japan)
IR : JASCO FT-IR 4100 (Tokyo, Japan)
UV: JASCO UV-550 (Tokyo, Japan)
ESI-MS: LCQ Fleet Ion Trap MS (Thermo Scientific, USA)
High Resolution ESI TOF Mass Spectrometer : maXis 4G (Bruker, Germany)
1D-NMR (1H-, 13C-NMR)과 2D-NMR (COSY, HMQC, HMBC, NOESY) : BRUKER (AVANCE III 400 MHz, AVANCE 500 MHz, Germany)
1D-NMR (1H-, 13C-NMR, DEPT)과 2D-NMR (COSY, HMQC, HMBC, NOESY) : BRUKER (AVANCE III HD 700 MHz, AVANCE III HD 800 MHz, AVANCE II HD 900 MHz,, Germany)
Rotary vacuum evaprator: IKA RV10 (IKA, Germany)
Low Temp. Circulator: EYELA CA-1100 (Tokyo Rikakikai Co., Ltd., Japan)
UV lamp detector (254 nm, 365 nm) : UVGL-25 (UVP. INC. San Gabriel, CA 91778 USA)
Vacuum Dry Oven: VO-10X (JEIO TECH. Co., Ltd, Korea)
Vacuum Pump: GLD-050 (Sinku Kiko Co., Ltd.)
Cold Trap Bath: CTB-10 (JEIO TECH. Co., Ltd, Korea)
Semi-prep HPLC: Waters HPLC system (USA), 515 HPLC Pump, Waters 996 Photodiode-array detector, Column: Phenomenex Gemini-NX 5μ C18 110A (150×10mm, USA), Software: Empower system
○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200-400 Mesh, Fisher Scientific)
Diaion HP-20P (Mitsubishi Kasei. Chemical Co., Japan)
Lichroprep RP-18 (40~63 μm, Merck, Germany)
Kieselgel 60 F254 plate (0.2 mm, Merck, USA)
Spray reagent: 10% Vanilline-H2SO4 및 10% H2SO4 (in EtOH)
기타 본 실험의 시약 및 용매는 분석용 특급 또는 1급 시약을 사용하였고, HPLC용 용매는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잎 유래 화합물 분리
<1-1> 추출 및 용매분획
건조된 꾸지뽕나무 잎 0.8 kg을 실온에서 100% MeOH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100% MeOH 추출물 102.4 g을 얻었으며, 이를 증류수에 현탁한 후 n-hexane, CH2Cl2, EtOAc, n-BuOH 순서로 분획하여 n-hexane (12.2 g), CH2Cl2 (15.2 g), EtOAc (4.7 g), n-BuOH (17.7 g)을 얻었다. 추출 및 분획 과정은 도 1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1-2> 성분 분리
먼저, CH2Cl2 분획층을 silica gel C.C. (CH2Cl2 : MeOH = 100:1 ~ 1:1, step gradient)를 시행하여 총 10개의 분획 (CTL-M-1 ~ CTL-M-10)으로 구분하였다. CTL-M-2 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4개의 소분획 (CTL-M-2-1 ~ CTL-M-2-4)을 얻었다. 이 중 CTL-M-2-2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70:3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8, CTL-20, CTL-48을 얻었다. CTL-M-3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3개의 소분획 (CTL-M-3-1 ~ CTL-M-3-3)을 얻었다. 이 중 CTL-M-3-2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70:3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21과 CTL-41을 얻었다
CTL-M-4분획은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5개의 소분획 (CTL-M-4-1 ~ CTL-M-4-5)을 얻었다. 이 중 CTL-M-4-2분획을 Sephadex LH-20 (n-hexane : CH2Cl2 : MeOH = 10:10:1)를 수행하여 총 8개의 소분획 (CTL-M-4-2-1 ~ CTL-M-4-2-8)을 얻었다. 이 중 CTL-M-4-2-3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45:55)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37을 얻었고, CTL-M-4-2-5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49를 얻었고, CTL-M-4-2-6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45를 얻었다.
CTL-M-4-3분획은 Sephadex LH-20 (n-hexane : CH2Cl2 : MeOH = 10:10:1)를 수행하여 총 10개의 소분획 (CTL-M-4-3-1 ~ CTL-M-4-3-10)을 얻었다. 이 중 CTL-M-4-3-6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23과 CTL-24를 얻었고, CTL-M-4-3-9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소분획 CTL-M-4-3-9-1과 화합물 CTL-26을 얻었다.
CTL-M-4-4분획은 Sephadex LH-20 (n-hexane : CH2Cl2 : MeOH = 10:10:1)를 수행하여 총 12개의 소분획 (CTL-M-4-4-1 ~ CTL-M-4-4-12)을 얻었다. 이 중 CTL-M-4-4-1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47을 얻었고, CTL-M-4-4-2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31을 얻었고, CTL-M-4-4-3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7을 얻었고, CTL-M-4-4-4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60:4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53, 54, 57을 얻었다. 또한 CTL-M-4-4-6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55:45)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62를 얻었고, CTL-M-4-4-7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70:3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14와 CTL-34를 얻었다.
EtOAc 분획층을 silica gel C.C. (CH2Cl2 : MeOH = 50:1 ~ 5:1, step gradient)를 시행하여 총 9개의 분획 (CTL-E-1 ~ CTL-E-9)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CTL-E-4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8개의 소분획 (CTL-E-4-1 ~ CTL-E-4-8)을 얻었다. 이 중 CTL-E-4-7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25:75)를 사용하여 화합물 CTL-12를 얻었다
자세한 성분 분리 과정은 도 2a 내지 2f에서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유래 화합물 분리
<2-1> 추출 및 용매분획
신선한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2.8 kg을 실온에서 75% EtOH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75% EtOH 추출물 508.2 g을 얻었으며, 이를 증류수에 현탁 한 후 n-hexane, CH2Cl2, EtOAc, n-BuOH 순서로 분획하여 n-hexane (30.1 g), CH2Cl2 (44.6 g), EtOAc (7.5 g), n-BuOH (35.8 g)을 얻었다. 추출 및 분획 과정은 도 3에서 자세히 나타내었다.
<2-2> 성분 분리
먼저, CH2Cl2 분획층을 silica gel C.C. (n-hexane : EtOAc = 50:1 ~ 0:100, step gradient)를 시행하여 총 11개의 분획 (CTU-M-1 ~ CTU-M-11)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CTU-M-6분획을 MPLC (CH2Cl2 : MeOH = 50:1 ~ 0:100, step gradient)를 수행하여 총 11개의 소분획 (CTU-M-6-1 ~ CTU-M-6-11)을 얻었다. 이 중 CTU-M-6-4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57:43)를 사용하여 화합물 CTU-37을 얻었다.
CTU-M-7분획은 재결정과 Sephadex LH-20 (MeOH = 100)을 수행하여 4개의 소분획 (CTU-M-7-1 ~ CTU-M-7-4)을 얻었다. 이 중 CTU-M-7-1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40:6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U-51을 얻었다.
CTU-M-9분획은 Sephadex LH-20 (MeOH = 100)을 수행하여 총 4개의 소분획 (CTU-M-9-1 ~ CTU-M-9-4)을 얻었다. 이 중 CTU-M-9-2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2개의 소분획 (CTU-M-9-2-1 ~ CTU-M-9-2-2)을 얻었다. 이 중 CTU-M-9-2-1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57:43)를 사용하여 CTU-M-9-2-1-1 소분획과 화합물 CTU-40 과 CTU-47을 얻었다. CTU-M-9-4분획은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45:55)를 사용하여 화합물 CTU-36 과 CTU-46을 얻었다.
EtOAc 분획층을 silica gel C.C. (CH2Cl2 : MeOH = 50:1 ~ 5:1, step gradient)를 시행하여 총 8개의 분획 (CTU-E-1 ~ CTU-E-8)으로 구분하였다. CTU-E-4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6개의 소분획 (CTU-E-4-1 ~ CTU-E-4-6)을 얻었다. 이 중 CTU-E-4-5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30:7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U-68을 얻었다.
CTU-E-6분획을 Sephadex LH-20 (CH2Cl2 : MeOH = 1:1)를 수행하여 총 5개의 소분획 (CTU-E-6-1 ~ CTU-E-6-5)을 얻었다. 이 중 CTU-E-6-2분획을 semi-preparative HPLC (MeCN : H2O = 30:70)를 사용하여 화합물 CTU-55를 얻었다.
자세한 성분 분리 과정은 도 4a 내지 4e에서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꾸찌봉나무 잎 및 미숙과 열매 유래 화합물의 구조동정
<3-1> 화합물 1
CTL-7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59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6 (1H, s, H-2), 7.41 (2H, d, J = 8.5 Hz, H-2', 6'), 6.87 (2H, d, J = 8.5 Hz, H-3', 5'), 6.58 (1H, d, J = 2.0 Hz, H-8), 6.40 (1H, d, J = 2.5 Hz, H-6), 3.91 (3H, s, OCH3)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은 ‘Prunetin’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1’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1
<3-2> 화합물 2
CTL-8 : white crystal; UV (MeOH) λmax : 259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7 (1H, s, H-2), 7.51 (2H, dd, J = 9.0, 2.0 Hz, H-2', 6'), 7.01 (2H, dd, J = 9.0, 2.0 Hz, H-3', 5'), 6.58 (1H, d, J = 2.0 Hz, H-6), 6.40 (1H, d, J = 2.5 Hz, H-8), 3.91 (3H, s, 7-OCH3), 3.86 (3H, s, 4'-OCH3)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는 ‘7,4'-Dimethoxy-5-hydroxyisoflav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2’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2
<3-3> 화합물 3
CTL-12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59 nm; ESI-MS m/z 285 [M-H]-; 1H-NMR (methanol-d4, 400 MHz) δH 8.08 (1H, s, H-2), 7.01 (1H, d, J = 2.0 Hz, H-4'), 6.87 (2H, brs, H-2', 6'), 6.30 (1H, d, J = 2.0 Hz, H-8), 6.20 (1H, d, J = 2.0 Hz, H-6)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은 ‘3-(3,5-Dihydroxyphenyl)-5,7-dihydroxy-4H-1-benzopyran-4-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3’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3
<3-4> 화합물 4
CTL-14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4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5
-0.8° (c 0.4, MeOH); UV (MeOH) λmax : 212, 261 nm; IR νmax 3327, 1542 cm-1; HRESI-TOF-MS m/z 351.0850 [M+Na]+ (calcd. for C18H16NaO6, 351.0845); 1H-NMR (methanol-d4, 700 MHz); 13C-NMR (methanol-d4, 176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4는‘5,7-dihydroxy-6-(2-hydroxyethyl)-3-(4-methoxyphenyl)-4H-chromen-4-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cusisoflavone C’라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1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4’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6
화합물 4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10 (1H, s) 153.4
3 - 123
4 - 180.8
4a - 104.9
5 - 159.9
6 - 108.5
7 - 163.1
8 6.43 (1H, s) 92.7
8a - 156.5
1' - 123.3
2' 7.49 (1H, dd, J= 9.1, 2.1) 130
3' 7.01 (1H, dd, J= 8.4, 2.1) 113.5
4' - 159.8
5' 7.01 (1H, dd, J= 8.4, 2.1) 113.5
6' 7.49 (1H, dd, J= 9.1, 2.1) 130
1'' 3.71 (2H, t, J= 7.7) 25.4
2'' 2.96 (2H, t, J= 7.7) 60.4
OCH3 3.85 (3H, s) 54.3
<3-5> 화합물 5
CTL-20 : light yellow syrup; UV (MeOH) λmax : 212, 264 nm; 1H-NMR (CDCl3, 500 MHz) δH 13.19 (1H, s, OH), 7.87 (1H, s, H-2), 7.48 (2H, dd, J = 8.5, 2.0 Hz, H-2', 6'), 7.01 (2H, dd, J = 9.0, 2.0 Hz, H-3', 5'), 6.42 (1H, s, H-8), 5.31 (1H, t, J = 7.5 Hz, H-2''), 3.87 (3H, s, OCH3), 3.50 (2H, d, J = 7.0 Hz, H-1''), 1.87 (3H, s, H-4''), 1.81 (3H, s, H-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5는‘Gancaonin A’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5’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7
<3-6> 화합물 6
CTL-21: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10, 264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08 (1H, s, H-2), 7.49 (2H, d, J = 8.5 Hz, H-2', 6'), 7.00 (2H, d, J = 8.5 Hz, H-3', 5'), 6.41 (1H, s, H-8), 4.79 (1H, s, H-4''a), 4.73 (1H, s, H-4''b), 4.43 (1H, t, J = 6.5 Hz, H-2''), 3.85 (3H, s, OCH3), 3.05 (1H, dd, J = 13.5, 6.0 Hz, H-1''a), 2.91 (1H, dd, J = 13.5, 7.0 Hz, H-1''b), 1.85 (3H, s, H-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6은‘5,7-Dihydroxy-6-(2′′-hydroxy-3′′-methylbut-3′′-enyl)-4′-methoxylisoflavon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6’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8
<3-7> 화합물 7
CTL-23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61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9 (1H, s, H-2), 7.51 (2H, d, J = 8.5 Hz, H-2', 6'), 7.01 (2H, d, J = 9.0 Hz, H-3', 5'), 6.30 (1H, s, H-6), 5.23 (1H, t, J = 7.0 Hz, H-2''), 3.85 (3H, s, OCH3), 3.44 (2H, d, J = 7.5 Hz, H-1''), 1.83 (3H, s, H-4''), 1.70 (3H, s, H-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1 (C-4), 161.9 (C-7), 160.1 (C-5), 159.8 (C-4'), 155.4 (C-8a), 153.6 (C-2), 131.1 (C-3''), 130.0 (C-2', 6'), 122.7 (C-3), 123.3 (C-1'), 122.0 (C-2''), 113.5 (C-3', 5'), 106.6 (C-8), 105.0 (C-4a), 98.2 (C-6), 54.3 (OCH3), 24.5 (C-5''), 20.9 (C-1''), 16.5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7은‘Gancaonin M’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7’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09
<3-8> 화합물 8
CTL-24 : brown syrup;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0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1
+2.9° (c 0.1, MeOH); UV (MeOH) λmax : 261 nm; IR νmax 3331, 1651, 1447 cm-1; HRESI-TOF-MS m/z 369.1333 [M+H]+ (calcd. for C21H21O6, 369.1338); 1H-NMR (methanol-d4, 500 MHz) and 13C-NMR (methanol-d4,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8은‘5,7,8-trihydroxy-6-(3-hydroxy-4-methylpent-4-en-1-yl)-3-(4-methoxyphenyl)-4H-chromen-4-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cusisoflavone D’라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2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8’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2
화합물 8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18 (1H, s) 153.5
3 - 122.7
4 - 181.1
4a - 104.8
5 - 160.5
6 6.30 (1H, s) 98.4
7 - 162.9
8 - 103.9
8a - 156.1
1' - 123.2
2' 7.51 (1H, d, J = 9.0) 129.9
3' 7.01 (1H, d, J = 8.5) 113.5
4' - 159.8
5' 7.01 (1H, d, J = 8.5) 113.5
6' 7.51 (1H, d, J = 9.0) 129.9
1''a 3.08 (1H, dd, J = 13.5, 6.5) 28.4
1''b 3.00 (1H, dd, J = 14.0, 7.5) 130
2'' 4.39 (1H, t, J = 7.0) 74.9
3'' - 147.2
4''a 4.78 (1H, s) 109.9
4''b 4.75 (1H, s) 60.4
5'' 1.87 (3H, s) 16.3
OCH3 3.85 (3H, s) 54.3
<3-9> 화합물 9
CTL-26 : white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3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4
-7.2° (c 0.1, MeOH); UV (MeOH) λmax : 221, 266 nm; IR νmax 3296, 1655, 1432 cm-1; HRESI-TOF-MS m/z 435.1050 [M+Na]+ (calcd. for C22H20NaO8, 435.1056); 1H-NMR (CDCl3, 800 MHz) and 13C-NMR (CDCl3, 201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9는‘methyl 3-(3,4-dihydroxyphenyl)-5,7-dihydroxy-6-(3-methylbut-2-en-1-yl)-4-oxo-4H-chromene-8-carboxylat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cusisoflavone J’라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3에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9’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9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5
화합물 9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01 (1H, s) 152.4
3 - 124.1
4 - 180.7
4a - 105.6
5 - 163.9
6 - 112.7
7 - 167.2
8 - 93.5
8a - 156.3
1' - 122.9
2' 7.14 (1H, brs) 116.2
3' - 143.5
4' - 144.4
5' 6.95 (1H, brs) 115.6
6' 6.95 (1H, brs) 121.7
1'' - 170.7
1''' 3.42 (2H, d, J = 6.4) 21.3
2''' 5.27 (1H, t, J = 7.2) 121.2
3''' - 132.7
4''' 1.83 (3H, s) 17.9
5''' 1.71 (3H, s) 25.8
OCH3 4.04 (3H, s) 52.7
5-OH 14.05 (1H, s) -
7-OH 12.84 (1H, s) -
<3-10> 화합물 10
CTL-28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68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4 (1H, s, H-2), 7.40 (2H, d, J = 8.5 Hz, H-2', 6'), 6.87 (2H, d, J = 8.5 Hz, H-3', 5'), 5.26 (1H, t, J = 7.5 Hz, H-2'''), 4.98 (1H, s, H-4''a), 4.84 (1H, s, H-4''b), 4.35 (1H, dd, J = 8.0, 2.5 Hz, H-2''), 3.39 (2H, d, J = 7.0 Hz, H-1'''), 3.19 (1H, dd, J = 14.5, 2.5 Hz, H-1''a), 2.99 (1H, dd, J = 15.0, 8.0 Hz, H-1''b), 1.86 (3H, s, H-5''), 1.81 (3H, s, H-4'''), 1.68 (3H, s, H-5'''); 13C-NMR (methanol-d4, 100 MHz) δC 181.3 (C-4), 161.3 (C-7), 157.6 (C-5), 157.4 (C-4'), 153.6 (C-8a), 153.1 (C-2), 146.9 (C-3''), 130.7 (C-3'''), 130.0 (C-2', 6'), 123.0 (C-3), 122.1 (C-1'), 122.1 (C-2'''), 114.8 (C-3', 5'), 112.5 (C-6), 109.6 (C-4''), 104.9 (C-4a), 104.0 (C-8), 76.0 (C-2''), 28.9 (C-1''), 24.6 (C-5'''), 21.2 (C-1'''), 17.0 (C-5''), 16.5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0은‘Erysenegalensein 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10’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6
<3-11> 화합물 11
CTL-29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70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3 (1H, s, H-2), 7.39 (2H, d, J = 8.5 Hz, H-2', 6'), 6.86 (2H, d, J = 8.5 Hz, H-3', 5'), 5.23 (1H, t, J = 7.0 Hz, H-2''), 4.99 (1H, s, H-4'''a), 4.82 (1H, s, H-4'''b), 4.32 (1H, d, J = 6.5 Hz, H-2'''), 3.47 (2H, d, J = 7.0 Hz, H-1''), 3.12 (1H, dd, J = 14.5, 2.5 Hz, H-1'''a), 2.88 (1H, dd, J = 15.0, 8.5 Hz, H-1'''b), 1.85 (3H, s, H-5'''), 1.83 (3H, s, H-4''), 1.69 (3H, s, H-5''); 13C-NMR (methanol-d4, 100 MHz) δC 181.3 (C-4), 161.2 (C-7), 157.4 (C-5), 157.3 (C-4'), 153.9 (C-8a), 153.3 (C-2), 147.0 (C-3'''), 130.9 (C-3''), 130.0 (C-2', 6'), 122.9 (C-3), 122.2 (C-1'), 122.1 (C-2''), 114.8 (C-3', 5'), 109.4 (C-4'''), 109.1 (C-6), 107.1 (C-8), 104.7 (C-4a), 75.9 (C-2'''), 28.7 (C-1'''), 24.5 (C-5''), 21.3 (C-1''), 17.2 (C-5'''), 16.6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1은‘Isoerysenegalensein 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11’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7
<3-12> 화합물 12
CTL-31 : yellow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18, 271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00 (1H, s, H-2), 7.29 (2H, d, J = 7.0 Hz, H-2', 6'), 6.77 (2H, d, J = 7.0 Hz, H-3', 5'), 5.11 (2H, m, H-2'', 2'''), 3.39 (2H, d, J = 7.0 Hz, H-1'''), 3.31 (2H, d, J = 7.0 Hz, H-1''), 1.74 (3H, s, H-4'''), 1.72 (3H, s, H-4''), 1.61 (6H, s, H-5'', 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3 (C-4), 159.3 (C-7), 157.3 (C-5), 157.0 (C-4'), 153.4 (C-8a), 153.2 (C-2), 131.5 (C-3'''), 131.4 (C-3''), 130.0 (C-2', 6'), 122.9 (C-1'), 121.9 (C-3), 121.8 (C-2'', 2'''), 114.8 (C-3', 5'), 111.7 (C-6), 106.3 (C-8), 105.1 (C-4a), 24.6 (C-5'''), 24.5 (C-5''), 21.2 (C-1'', 1'''), 16.6 (C-4'', 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2는‘6,8-Diprenylgenistein’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12’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8
<3-13> 화합물 13
CTL-34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68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3 (1H, s, H-2), 7.05 (1H, d, J = 2.0 Hz, H-2'), 6.88 (1H, dd, J = 8.0, 2.0 Hz, H-6'), 6.84 (1H, d, J = 8.5 Hz, H-5'), 5.21 (2H, m, H-2'', 2'''), 3.50 (2H, d, J = 6.5 Hz, H-1''), 3.26 (2H, d, J = 7.0 Hz, H-1'''), 1.84 (3H, s, H-5''), 1.82 (3H, s, H-5'''), 1.71 (3H, s, H-4''), 1.70 (3H, s, H-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3은‘6,8-Diprenylorobol’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13’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19
<3-14> 화합물 14
CTL-37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13, 262 nm; 1H-NMR (CDCl3, 500 MHz) δH 13.12 (1H, s, OH), 7.88 (1H, s, H-2), 7.48 (2H, d, J = 9.0 Hz, H-2', 6'), 7.01 (2H, d, J = 8.5 Hz, H-3', 5'), 6.40 (1H, s, H-8), 4.82 (1H, t, J = 8.0 Hz, H-2''), 3.87 (3H, s, OCH3), 3.23 (1H, dd, J = 15.5, 9.5 Hz, H-1''a), 3.15 (1H, dd, J = 15.5, 8.0 Hz, H-1''b), 1.38 (3H, s, H-4''), 1.27 (3H, s, H-5''); 13C-NMR (CDCl3, 125 MHz) δC 180.1 (C-4), 166.0 (C-5), 159.8 (C-7), 158.2 (C-4'), 157.2 (C-8a), 152.5 (C-2), 130.2 (C-2', 6'), 123.5 (C-3), 123.0 (C-1'), 114.1 (C-3', 5'), 109.2 (C-4a), 106.6 (C-6), 91.9 (C-8), 88.9 (C-2''), 72.0 (C-3''), 55.4 (OCH3), 26.8 (C-1''), 25.9 (C-5''), 23.9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4는‘4'-O-Methylerythrinin C’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14’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0
<3-15> 화합물 15
CTL-41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1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2
+4.4° (c 0.09, MeOH); UV (MeOH) λmax : 210, 261 nm; IR νmax 3382, 1654, 1454 cm-1; HRESI-TOF-MS m/z 421.1258 [M+Na]+ (calcd. for C22H22NaO7, 421.1263); 1H-NMR (CDCl3, 500 MHz) ; 13C-NMR (CDCl3,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5는‘5-hydroxy-7-(2-hydroxypropan-2-yl)-6-methoxy-3-(4-methoxyphenyl)-7,8-dihydrocyclopenta[g]chromen-4(6H)-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prenylisoflavone B’라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4에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5’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3
화합물 15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7.88 (1H, s) 152.6
3 - 123.6
4 - 181.3
4a - 106.6
5 - 159.9
6 - 109.6
7 - 167.1
8 6.43 (1H, s) 89.2
8a - 159.5
1' - 122.8
2' 7.48 (1H, dd, J= 9.0, 2.0) 130.2
3' 7.01 (1H, dd, J= 8.5, 2.0) 114.2
4' - 159.7
5' 7.01 (1H, dd, J= 8.5, 2.0) 114.2
6' 7.48 (1H, dd, J= 9.0, 2.0) 130.2
1'' 5.14 (1H, d, J= 3.0) 78.6
2'' 4.55 (1H, d, J= 3.0) 96.6
3'' - 71.4
4'' 1.34 (3H, s) 25.2
5'' 1.28 (3H, s) 24.8
4'-OCH3 3.87 (3H, s) 55.4
1''-OCH3 3.59 (3H, s) 57.1
OH 13.55 (1H, s) -
<3-16> 화합물 16
CTL-45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10, 264 nm; 1H-NMR (CDCl3, 500 MHz) δH 13.23 (1H, s, OH), 7.86 (1H, s, H-2), 7.48 (2H, d, J = 9.0 Hz, H-2', 6'), 7.00 (2H, d, J = 9.0 Hz, H-3', 5'), 6.42 (1H, s, H-8), 3.92 (1H, t, J = 5.5 Hz, H-2''), 3.87 (3H, s, OCH3), 3.01 (1H, dd, J = 17.5, 5.0 Hz, H-1''a), 2.79 (1H, dd, J = 17.5, 6.0 Hz, H-1''b), 1.43 (3H, s, H-4''), 1.39 (3H, s, H-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6은‘4'-O-Methyl-2''-hydroxydihydroalpinumisoflavon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16’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6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4
<3-17> 화합물 17
CTL-47 : yellow crystal; UV (MeOH) λmax : 226, 282 nm; ESI-MS m/z 337 [M+H]+; 1H-NMR (acetone-d6, 500 MHz) δH 13.45 (1H, s, OH), 8.54 (1H, s, OH), 8.20 (1H, s, H-2), 7.48 (2H, dd, J = 9.0, 2.5 Hz, H-2', 6'), 6.93 (2H, dd, J = 8.5, 2.0 Hz, H-3', 5'), 6.70 (1H, d, J = 10.0 Hz, H-1''), 6.39 (1H, s, H-8), 5.79 (1H, d, J = 10.0 Hz, H-2''), 1.49 (6H, s, H-4'', 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7은‘Alpinumisoflav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17’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7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5
<3-18> 화합물 18
CTL-48 : light brown needless; UV (MeOH) λmax : 225, 281 nm; ESI-MS m/z 351 [M+H]+; 1H-NMR (CDCl3, 500 MHz) δH 13.19 (1H, s, OH), 7.85 (1H, s, H-2), 7.48 (2H, dd, J = 8.5, 2.0 Hz, H-2', 6'), 7.01 (2H, dd, J = 8.5, 2.0 Hz, H-3', 5'), 6.75 (1H, d, J = 10.0 Hz, H-1''), 6.36 (1H, s, H-8), 5.65 (1H, d, J = 10.0 Hz, H-2''), 3.87 (3H, s, OCH3), 1.50 (6H, s, H-4'', 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8은‘4'-O-Methylalpinumisoflav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18’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8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6
<3-19> 화합물 19
CTL-49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7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8
+1.8° (c 0.3, MeOH); UV (MeOH) λmax : 227, 281 nm; IR νmax 3384, 1654, 1458 cm-1; HRESI-TOF-MS m/z 367.1179 [M+H]+ (calcd. for C21H19O6 367.1182); 1H-NMR (CDCl3, 500 MHz); 13C-NMR (CDCl3,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19는 ‘5-hydroxy-2-(hydroxymethyl)-7-(4-methoxyphenyl)-2-methyl-2H,6H-pyrano[3,2-g]chromen-6-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Cudraprenylisoflavone H’라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5에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9’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19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29
화합물 19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7.85 (1H, s) 152.6
3 - 123.6
4 - 180.9
4a - 106.3
5 - 157.2
6 - 105.2
7 - 159.2
8 6.38 (1H, s) 94.8
8a - 157.4
1' - 122.9
2' 7.47 (1H, dd, J= 8.5, 2.0) 130.1
3' 7.00 (1H, dd, J= 8.5, 2.0) 114.1
4' - 159.8
5' 7.00 (1H, dd, J= 8.5, 2.0) 114.1
6' 7.47 (1H, dd, J= 8.5, 2.0) 130.1
1'' 6.92 (1H, d, J= 10.5) 118.3
2'' 5.60 (1H, d, J = 10.0) 123.9
3'' - 81
4''a 3.73 (1H, d, J= 12.0) 67
4''b 3.68 (1H, d, J= 12.0) 24.8
5'' 1.45 (3H, s) 23.1
1''' - -
OCH3 3.87 (3H, s) 55.4
OH 13.22 (1H, s) -
<3-20> 화합물 20
CTU-36 : light brown powder; UV (MeOH) λmax : 225, 281 nm; ESI-MS m/z 353 [M+H]+; 1H-NMR (acetone-d6, 400 MHz) δH 13.48 (1H, s, OH), 8.18 (1H, s, H-2), 7.17 (1H, d, J = 2.0 Hz, H-2'), 6.96 (1H, dd, J = 8.0, 2.0 Hz, H-6'), 6.90 (1H, d, J = 8.0 Hz, H-5'), 6.70 (1H, d, J = 10.0 Hz, H-1''), 6.38 (1H, s, H-8), 5.79 (1H, d, J = 10.4 Hz, H-2''), 1.48 (6H, s, H-4'', 5''); 13C-NMR (acetone-d6, 100 MHz) δC 181.0 (C-4), 159.8 (C-5), 157.2 (C-7), 156.9 (C-8a), 153.6 (C-2), 145.4 (C-4'), 144.7 (C-3'), 128.5 (C-2''), 123.3 (C-3), 122.6 (C-1'), 120.6 (C-6'), 116.3 (C-2'), 115.1 (C-5'), 114.9 (C-1''), 105.8 (C-4a), 105.2 (C-6), 94.5 (C-8), 77.9 (C-3''), 27.5 (C-4'', 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0은‘5,3',4'-Trihydroxy-6'',6''-dimethylpyrano-[2'',3'';7,6]isoflav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20’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0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0
<3-21> 화합물 21
CTU-37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26, 283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0 (1H, s, H-2), 7.08 (1H, s, H-2'), 7.00 (2H, brs, H-5', 6'), 6.71 (1H, d, J = 10.0 Hz, H-1''), 6.38 (1H, s, H-8), 5.74 (1H, d, J = 10.0 Hz, H-2''), 3.91 (3H, s, OCH3), 1.48 (6H, s, H-4'', 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0.9 (C-4), 159.5 (C-7), 157.4 (C-8a), 156.4 (C-5), 153.7 (C-2), 147.9 (C-4'), 146.1 (C-3'), 128.3 (C-2''), 123.6 (C-1'), 123.3 (C-3), 120.2 (C-6'), 115.9 (C-2'), 114.7 (C-1''), 111.2 (C-5'), 105.6 (C-4a), 105.2 (C-6), 94.4 (C-8), 77.9 (C-3''), 55.0 (OCH3), 27.1 (C-4'', 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1은‘3'-Hydroxy-4'-O-methylalpinumisoflavone’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21’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1
<3-22> 화합물 22
CTU-40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2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3
+1.2° (c 0.01, MeOH); UV (MeOH) λmax : 260, 352 nm; IR νmax 3333, 1647, 1451 cm-1; HRESI-TOF-MS m/z 381.1333 [M+H]+ (calcd. for C22H21O6, 381.1338); 1H-NMR (methanol-d4, 500 MHz); 13C-NMR (methanol-d4,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2는 ‘5-hydroxy-3-(4-hydroxyphenyl)-6-(methoxymethyl)-8,8-dimethyl-7,8-dihydro-4H-benzo[h]chromen-4-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spiprenylisoflavone I’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6에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22’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4
화합물 22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18 (1H, s) 153.5
3 123.6
4 181.3
4a 104.9
5 160.9
6 108.1
7 158.2
8 100.7
8a 152.1
1’ 121.6
2’ 7.41 (1H, d, J = 8.5) 130.0
3’ 6.87 (1H, d, J = 9.0) 114.9
4’ 157.6
5’ 6.87 (1H, d, J = 9.0) 114.9
6’ 7.41 (1H, d, J = 8.5) 130.0
1“ 6.77 (1H, d, J = 10.0) 108.1
2“ 5.75 (1H, d, J = 10.0) 127.5
3“ 78.4
4“ 1.52 (3H s) 27.0
5“ 1.52 (3H s) 27.0
1“’ 4.59 (2H, s) 61.0
OCH3 3.40 (3H, s) 56.8
<3-23> 화합물 23
CTL-53 : brown amorphous powder; UV (MeOH) λmax : 214, 267 nm; 1H-NMR (methanol-d4, 400 MHz) δH 8.15 (1H, s, H-2), 7.38 (2H, d, J = 8.4 Hz, H-2', 6'), 6.84 (2H, d, J = 8.8 Hz, H-3', 5'), 5.25 (1H, t, J = 7.2 Hz, H-2''), 4.78 (1H, t, J = 8.4 Hz, H-2'''), 3.42 (2H, d, J = 7.6 Hz, H-1''), 3.17 (2H, d, J = 8.4 Hz, H-1'''), 1.80 (3H, s, H-4''), 1.68 (3H, s, H-5''), 1.27 (3H, s, H-4'''), 1.26 (3H, s, H-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4 (C-4), 164.5 (C-7), 157.4 (C-4'), 155.3 (C-8a), 154.5 (C-5), 153.3 (C-2), 131.6 (C-3''), 130.0 (C-2', 6'), 123.1 (C-3), 122.0 (C-1'), 121.4 (C-2''), 114.9 (C-3', 5'), 108.6 (C-6), 106.0 (C-4a), 102.0 (C-8), 91.1 (C-2'''), 71.0 (C-3'''), 26.3 (C-1'''), 24.5 (C-5''), 24.4 (C-5'''), 23.3 (C-4'''), 21.4 (C-1''), 16.5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3은‘Euchrenone b10’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23’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3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5
<3-24> 화합물 24
CTL-54 : light brown powder; UV (MeOH) λmax : 268 nm; 1H-NMR (methanol-d4, 400 MHz) δH 8.06 (1H, s, H-2), 7.37 (2H, d, J = 8.4 Hz, H-2', 6'), 6.84 (2H, d, J = 8.4 Hz, H-3', 5'), 5.26 (1H, t, J = 7.6 Hz, H-2'''), 4.80 (1H, t, J = 8.8 Hz, H-2''), 3.35 (2H, d, J = 7.6 Hz, H-1'''), 3.28 (2H, d, J = 8.8 Hz, H-1''), 1.78 (3H, s, H-4'''), 1.67 (3H, s, H-5'''), 1.28 (3H, s, H-4''), 1.26 (3H, s, H-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0 (C-4), 164.9 (C-7), 159.5 (C-5), 157.4 (C-4'), 152.9 (C-2), 151.0 (C-8a), 131.2 (C-3'''), 130.1 (C-2', 6'), 123.2 (C-1'), 122.1 (C-3), 121.4 (C-2'''), 114.8 (C-3', 5'), 107.2 (C-6), 105.2 (C-4a), 102.9 (C-8), 91.0 (C-2''), 71.0 (C-3''), 26.4 (C-1''), 24.7 (C-5'''), 24.5 (C-5''), 23.1 (C-4''), 21.3 (C-1'''), 16.5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4는‘Senegalensin’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24’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4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6
<3-25> 화합물 25
CTL-55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14, 267 nm; 1H-NMR (methanol-d4, 400 MHz) δH 8.13 (1H, s, H-2), 7.05 (1H, d, J = 1.6 Hz, H-2'), 6.88 (1H, dd, J = 8.0, 1.6 Hz, H-6'), 6.84 (1H, d, J = 8.0 Hz, H-5'), 5.26 (1H, t, J = 7.2 Hz, H-2''), 4.78 (1H, t, J = 8.8 Hz, H-2'''), 3.42 (2H, d, J = 7.6 Hz, H-1''), 3.18 (1H, d, J = 8.8 Hz, H-1'''), 1.82 (3H, s, H-4''), 1.70 (3H, s, H-5''), 1.29 (3H, s, H-4'''), 1.27 (3H, s, H-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3 (C-4), 164.5 (C-7), 155.3 (C-5), 154.5 (C-2), 153.3 (C-8a), 145.4 (C-4'), 144.8 (C-3'), 131.6 (C-3''), 123.2 (C-3), 122.5 (C-1'), 121.4 (C-6'), 120.3 (C-2''), 116.1 (C-2'), 114.9 (C-5'), 108.5 (C-6), 105.9 (C-4a), 102.0 (C-8), 91.1 (C-2'''), 71.0 (C-3'''), 26.3 (C-1'''), 24.5 (C-5'', 4'''), 23.3 (C-5'''), 21.4 (C-1''), 16.6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5는‘Furowanin A’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25’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5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7
<3-26> 화합물 26
CTL-56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14, 268 nm; 1H-NMR (methanol-d4, 400 MHz) δH 8.05 (1H, s, H-2), 7.04 (1H, brs, H-2'), 6.85 (2H, brs, H-5', 6'), 5.28 (1H, t, J = 7.2 Hz, H-2'''), 4.81 (1H, t, J = 8.4 Hz, H-2''), 3.29 (1H, d, J = 8.8 Hz, H-1''), 1.80 (3H, s, H-4'''), 1.69 (3H, s, H-5'''), 1.30 (3H, s, H-4''), 1.28 (3H, s, H-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0 (C-4), 164.9 (C-7), 159.5 (C-5), 152.9 (C-2), 151.0 (C-8a), 145.4 (C-4'), 144.8 (C-3'), 131.2 (C-3'''), 123.3 (C-3), 122.6 (C-1'), 121.4 (C-6'), 120.4 (C-2'''), 116.2 (C-2'), 114.9 (C-5'), 107.1 (C-6), 105.2 (C-4a), 102.8 (C-8), 91.0 (C-2''), 71.0 (C-3''), 26.4 (C-1''), 24.7 (C-5'''), 24.5 (C-4''), 23.2 (C-5''), 21.3 (C-1'''), 16.5 (C-4''')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6은‘Furowanin B’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26’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6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8
<3-27> 화합물 27
CTL-57 : light brown syrup;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39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0
+5.6° (c 0.02, MeOH); UV (MeOH) λmax : 266 nm; IR νmax 3352, 1657, 1429 cm-1; HRESI-TOF-MS m/z 475.1727 [M+Na]+ (calcd. for C26H28NaO7, 475.1733); 1H-NMR (methanol-d4, 500 MHz) and 13C-NMR (methanol-d4,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7은 ‘5-hydroxy-3-(4-hydroxyphenyl)-7-(2-hydroxypropan-2-yl)-6-methoxy-9-(4-methylpent-3-en-1-yl)-7,8-dihydrocyclopenta[g]chromen-4(6H)-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prenylisoflavone C’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7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27’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7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1
화합물 27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21 (1H, s) 153.5
3 - 123.2
4 - 181.7
4a - 105.9
5 - 157
6 - 108.9
7 - 165.3
8 - 102.4
8a - 156.5
1' - 121.7
2' 7.42 (1H, d, J= 8.0) 130
3' 6.87 (1H, d, J= 8.5) 114.9
4' - 157.5
5' 6.87 (1H, d, J= 8.5) 114.9
6' 7.42 (1H, d, J= 8.0) 130
1'' 3.47 (2H, d, J= 8.0) 21.2
2'' 5.26 (1H, t, J= 7.0) 121.1
3'' - 131.8
4'' 1.83 (3H, s) 16.6
5'' 1.71 (3H, s) 24.5
1''' 5.20 (1H, d, J= 2.0) 78.8
2''' 4.50 (1H, d, J= 2.0) 96.3
3''' - 70.2
4''' 1.34 (3H, s) 25.3
5''' 1.12 (3H, s) 22.7
OCH3 3.55 (3H, s) 55.9
<3-28> 화합물 28
CTL-59 :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2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3
+11.0° (c 0.09, MeOH); UV (MeOH) λmax : 265 nm; IR νmax 3383 cm-1; HRESI-TOF-MS m/z 491.1676 [M+Na]+ (calcd. for C26H28NaO8 491.1682); 1H-NMR (methanol-d4, 400 MHz) and 13C-NMR (methanol-d4, 100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8은 ‘3-(3,4-dihydroxyphenyl)-5-hydroxy-7-(2-hydroxypropan-2-yl)-6-methoxy-9-(4-methylpent-3-en-1-yl)-7,8-dihydrocyclopenta[g]chromen-4(6H)-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prenylisoflavone D’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8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28’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8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4
화합물 28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18 (1H, s) 153.6
3 - 123.3
4 - 181.7
4a - 105.9
5 - 157
6 - 108.9
7 - 165.3
8 - 102.4
8a - 156.5
1' - 122.2
2' 7.06 (1H, d, J= 2.0) 116.1
3' - 145.5
4' - 144.8
5' 6.84 (1H, d, J= 8.0) 114.9
6' 6.90 (1H, dd, J= 8.4, 2.0) 120.3
1'' 3.44 (2H, d, J= 6.8) 21.1
2'' 5.26 (1H, t, J= 7.2) 121.1
3'' - 131.7
4'' 1.83 (3H, s) 16.6
5'' 1.70 (3H, s) 24.5
1''' 5.20 (1H, d, J= 2.4) 78.7
2''' 4.49 (1H, d, J= 2.4) 96.3
3''' - 70.2
4''' 1.34 (3H, s) 25.3
5''' 1.11 (3H, s) 22.7
OCH3 3.55 (3H, s) 55.9
<3-29> 화합물 29
CTL-62 : light brown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5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6
+11.4° (c 0.2, MeOH); UV (MeOH) λmax : 259 nm; IR νmax 3308, 1649, 1432 cm-1; HRESI-TOF-MS m/z 379.1176 [M+H]+ (calcd. for C22H19O6 379.1182); 1H-NMR (methanol-d4, 500 MHz) and 13C-NMR (methanol-d4,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29는 ‘3-(3,4-dihydroxyphenyl)-5-hydroxy-6-(3-methylbut-2-en-1-yl)-4H-furo[2,3-h]chromen-4-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draprenylisoflavone K’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9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29’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29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7
화합물 29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29 (1H, s) 153.3
3 - 124.4
4 - 181.8
4a - 107.6
5 - 154.9
6 - 108.3
7 - 158
8 - 107.8
8a - 148.5
1' - 122.3
2' 7.10 (1H, d, J= 2.0) 116.2
3' - 144.9
4' - 145.6
5' 6.87 (1H, d, J= 8.0) 115
6' 6.93 (1H, dd, J= 8.5, 2.5) 120.5
1'' 7.11 (1H, d, J= 2.0) 103.3
2'' 7.82 (1H, d, J= 2.0) 144.5
3'' - 21.4
4'' - 121
5'' - 131.9
1''' 3.62 (2H, d, J= 7.0) 16.5
2''' 5.37 (1H, t, J= 7.5) 24.5
3''' - -
4''' 1.86 (3H, s) -
5''' 1.70 (3H, s) -
<3-30> 화합물 30
CTU-46 : brown syrup; UV (MeOH) λmax : 271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8.15 (1H, s, H-2), 7.06 (1H, d, J = 2.0 Hz, H-2'), 6.88 (1H, dd, J = 8.0, 2.0 Hz, H-6'), 6.85 (1H, d, J = 8.0 Hz, H-5'), 6.77 (1H, d, J = 10.0 Hz, H-1''), 5.72 (1H, d, J = 10.0 Hz, H-2''), 4.70 (1H, s, H-4'''a), 4.70 (1H, s, H-4'''b), 4.45 (1H, t, J = 7.5 Hz, H-2'''), 3.01 (1H, dd, J = 13.0, 7.5 Hz, H-1'''a), 2.88 (1H, dd, J = 13.0, 6.5 Hz, H-1'''b), 1.87 (3H, s, H-5'''), 1.53 (6H, s, H-4'', 5''); 13C-NMR (methanol-d4, 125 MHz) δC 181.1 (C-4), 157.5 (C-5), 157.1 (C-7), 153.3 (C-2), 150.8 (C-8a), 147.2 (C-3'''), 145.5 (C-4'), 144.9 (C-3'), 127.0 (C-2''), 123.5 (C-3), 122.2 (C-1'), 120.3 (C-6'), 116.1 (C-2'), 114.9 (C-5'), 114.2 (C-1''), 110.2 (C-6), 109.2 (C-4'''), 101.3 (C-8), 106.0 (C-4a), 78.2 (C-3''), 74.6 (C-2'''), 28.0 (C-1'''), 27.1 (C-4'', 5''), 16.1 (C-5''')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0은‘5,3′,4′,2′′′-Tetrahydroxy-2′′,2′′-dimethylpyrano-(5′′6′′:7,8)-6-(3′′′-methyl-3′′′-butenyl)isoflavon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 ‘화합물 30’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0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8
<3-31> 화합물 31
CTU-47 : light yellow needless;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49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0
-48.6° (c 0.01, MeOH); UV (MeOH) λmax : 217, 260, 353 nm; IR νmax 3366, 1647, 1439 cm-1; HRESI-TOF-MS m/z 441.1309 [M+Na]+ (calcd. for C25H22NaO6, 441.1314); 1H-NMR (CDCl3, 500 MHz) and 13C-NMR (CDCl3,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1은‘5-hydroxy-3-(4-hydroxyphenyl)-8,8-dimethyl-6-(4-methyl-3-oxopent-4-en-1-yl)-4H,8H-pyrano[2,3-f]chromen-4-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spiprenylisoflavone K’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10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31’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1
화합물 31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7.82 (1H, s) 152.4
3 - 123.2
4 - 180.8
4a - 105.6
5 - 159.8
6 - 106.6
7 - 157.5
8 - 100.6
8a - 151.2
1' - 122.8
2' 7.33 (1H, d, J= 8.0) 129.9
3' 6.77 (1H, d, J= 8.0) 115.5
4' - 156.2
5' 6.77 (1H, d, J= 8.0) 115.5
6' 7.33 (1H, d, J= 8.0) 129.9
1'' 6.70 (1H, d, J= 10.0) 114.7
2'' 5.59 (1H, d, J= 10.0) 127
3'' - 78.5
4''a 1.45 (6H, s) 28.3
5''
1''' 4.10 (2H, s) 31.6
2''' - 199.7
3''' - 144.4
4'''a 6.24 (1H, s) 124.9
4'''b 5.89 (1H, s)
5''' 1.99 (3H, s) 17.9
OH 13.27 (1H, s) -
<3-32> 화합물 32
CTU-51 : light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2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3
+10.2° (c 0.06, MeOH); UV (MeOH) λmax : 267, 346 nm; IR νmax 3343, 1632, 1433 cm-1; HRESI-TOF-MS m/z 473.1571 [M+Na]+ (calcd. for C26H26NaO7, 473.1576); 1H-NMR (methanol-d4, 500 MHz) and 13C-NMR (methanol-d4, 125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2는‘7-(4-hydroxyphenyl)-10-(2-hydroxypropan-2-yl)-11-methoxy-2,2-dimethyl-2,9,10,11-tetrahydro-8H-cyclopenta[f]pyrano[2,3-h]chromen-8-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spiprenylisoflavone Q’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11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32’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2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4
화합물 32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10 (1H, s) 152.2
3 - 125.1
4 - 176.1
4a - 105.3
5 - 161.2
6 - 111.2
7 - 154.9
8 - 102.7
8a - 154.1
1' - 122.4
2' 7.38 (1H, d, J= 8.5) 130.1
3' 6.85 (1H, d, J= 8.5) 114.8
4' - 157.3
5' 6.85 (1H, d, J= 8.5) 114.8
6' 7.38 (1H, d, J= 8.5) 130.1
1'' 6.79 (1H, d, J= 10.5) 114.5
2'' 5.74 (1H, d, J= 10.5) 127.4
3'' - 78.8
4'' 1.55 (3H, s) 27.2
5'' 1.53 (3H, s)
1''' 5.08 (1H, d, J= 3.0) 78.6
2''' 4.57 (1H, d, J= 3.0) 97.4
3''' - 70.4
4''' 1.24 (6H, s) 23.7
5''' 23.3
OCH3 3.52 (3H, s) 55.7
<3-33> 화합물 33
CTU-55 : brown syrup;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5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6
+10.7° (c 0.03, MeOH); UV (MeOH) λmax : 210, 266, 344 nm; IR νmax 3335, 1632, 1432 cm-1; HRESI-TOF-MS m/z 453.1544 [M+H]+ (calcd. for C25H25O8, 453.1549); 1H-NMR (methanol-d4, 900 MHz), see Table 32; 13C-NMR (methanol-d4, 226 MHz).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2는‘11-(3,4-dihydroxyphenyl)-3,4-dihydroxy-2,2,6,6-tetramethyl-3,4-dihydro-2H,6H,12H-dipyrano[2,3-f:2',3'-h]chromen-12-one’로 규명하였고,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물질로서 ‘Cuspiprenylisoflavone F’로 명명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하기 표 12에서 자세히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33’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3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7
화합물 33의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 데이터
Carbon NO. δH δC
2 8.00 (1H, s) 150.9
3 - 126
4 - 176.4
4a - 108.4
5 - 154.3
6 - 108.8
7 - 156.9
8 - 102.1
8a - 153.7
1' - 123.4
2' 6.98 (1H, s) 116.4
3' - 144.7
4' - 145.2
5' 6.82 (2H, brs) 114.7
6' 120.6
1'' 6.79 (1H, d, J = 9.9) 114.3
2'' 5.73 (1H, d, J= 9.9) 127.4
3'' - 78.6
4'' 1.58 (3H, s) 27
5'' 1.53 (3H, s) 27
1'''a 4.74 (1H, d, J= 4.5) 65.4
1'''b
2''' 3.73 (1H, d, J = 4.5) 73.7
3''' - 79.3
4''' 1.52 (3H, s) 23.9
5''' 1.40 (3H, s) 20.7
<3-34> 화합물 34
CTU-68 : brown amorphous powder;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8
]
Figure 112019045222605-pat00059
+14.4° (c 0.01, MeOH); UV (MeOH) λmax : 225, 294 nm; 1H-NMR (methanol-d4, 500 MHz) δH 7.37 (2H, dd, J = 8.5, 2.0 Hz, H-2', 6'), 7.12 (2H, dd, J = 8.5, 2.0 Hz, H-3'', 7''), 6.85 (2H, dd, J = 8.5, 2.0 Hz, H-3', 5'), 6.64 (2H, dd, J = 8.5, 2.0 Hz, H-4'', 6''), 5.93 (1H, s, H-8), 4.98 (1H, d, J = 11.5 Hz, H-2), 4.56 (1H, d, J = 12.0 Hz, H-3), 3.79 (2H, s, H-1'') ppm.
이상의 분석 결과 화합물 34는‘Gericudranin E’로 구조동정하였다.
상기‘화합물 34’의 화학구조는 하기 화학식 34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19045222605-pat00060
< 실험예 1>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 AGEs ) 생성 억제 효과
<1-1>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꾸지뽕 미숙과 열매는 2015년 5월 전남 함평군에서 제공받은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를 증류수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미숙과 열매 100g 당 증류수 2리터를 첨가하여 80℃에서 12시간 열수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신선한 꾸지뽕나무 미숙과 열매 2.8 kg을 실온에서 75% 에탄올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75% ‘에탄올 추출물’ 508.2 g을 얻었다.
<1-2>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 미숙열매 추출물이 최종당화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을 통해 준비된 꾸지뽕 미숙열매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MGO-AGEs (methylglyoxal-AGEs) 및 GO-AGEs (glyoxal-AGEs)의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최종당화산물 (AGEs) 시약은 5 mg/ml 소 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 세균 증식을 막기 위한 0.025% 아지드화 나트륨, 및 메틸글리옥살 (methylglyoxal) 또는 글리옥살 (glyoxal)을 넣어 제조하였다. 꾸지뽕 미숙열매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 5, 10 mg/ml 농도로 최종당화산물 (AGEs) 반응 시약과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반응 생성물의 형광 강도를 VICTORTMX3 멀티라벨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을 각각 355 nm와 460 nm에서 측정하였다. 최종당화산물의 억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AG, aminoguanidine)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 미숙열매의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최종당화산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 AGEs )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를 통해 준비된 꾸지뽕 미숙열매 유래 화합물(CTU-36, CTU-37, CTU-40, CTU-46, CTU-47, CTU-51, CTU-55, CTU-68)을 이용하여 MGO-AGEs 및 GO-AGEs의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다만, 꾸열매 추출물 대신 꾸지뽕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CTU-36, CTU-37, CTU-40, CTU-46, CTU-47, CTU-51, CTU-55, CTU-68) 각각을 0.1 및 0.4 mM의 농도로 희석시킨 다음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전체적으로 MGO-AGEs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CTU-68 화합물의 경우 MGO-AGEs 생성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CTU-55 화합물의 경우 MGO-AGEs 생성 억제 효과도 있으면서, MGO-AGEs 분해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하기 실험예 5 참조).
한편, 도 6b에서는 꾸지뽕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GO-AGEs 생성 활성을 확인한 결과, 상기 MGO-AGE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하게 화합물들이 전체적으로 GO-AGEs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만, CTU-51 화합물은 GO-AGEs 생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TU-55 화합물의 경우 GO-AGEs 생성 억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CTU-68 화합물이 MGO-AGEs 및 GO-AGEs 생성에 대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 AGEs ) 생성 억제 효과
<3-1>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꾸지뽕나무 잎은 2013년 10월 전북 남원시에서 재배된 것으로 제천약초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꾸지뽕나무 잎을 증류수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꾸지뽕나무 잎 50g 당 증류수 1리터를 첨가하여 80℃에서 12시간 열수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건조된 꾸지뽕나무 잎 0.8 kg을 실온에서 75% 에탄올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75% 에탄올 추출물 102.4 g을 얻었다.
<3-2>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1>을 통해 준비한 꾸지뽕나무 잎의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각각을 이용하여 MGO-AGEs 및 GO-AGEs의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다만,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 대신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7a 및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잎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MGO-AGEs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O-AGEs 생성 억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 AGEs )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를 통해 준비된 꾸지뽕 나무 잎 유래 화합물(CTL-7, CTL-8, CTL-12, CTL-14, CTL-20, CTL-21, CTL-23, CTL-24, CTL-26, CTL-28, CTL-29, CTL-31, CTL-34, CTL-37, CTL-41, CTL-45, CTL-47, CTL-48, CTL-49, CTL-53, CTL-54, CTL-55, CTL-56, CTL-57, CTL-59, CTL-62)을 이용하여 MGO-AGEs 및 GO-AGEs의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다만,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 대신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각각을 0.1 및 0.4 mM의 농도로 희석시킨 다음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8a 및 8f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은 전체적으로 MGO-AGEs 및 GO-AGEs 생성 모두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TL-23 및 CTL-57 화합물의 경우 최종당화산물 억제뿐 아니라 MGO-AGEs 분해 효과를 보임으로써(하기 실험예 5 참조), 향후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치료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실험예 5>
꾸지뽕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파쇄 효과
<5-1>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최종당화산물 분해 효과
꾸지뽕나무 미숙열매의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였으며, 꾸지뽕나무 잎의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실험예 <3-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당화산물 분해 효과는 평가하기 위하여, 메틸글리옥살 (methylglyoxal)을 소 혈청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과 혼합하여 최종당화산물 (AGEs)을 생성한 후, 1 mg/ml 최종당화산물에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물 추출물, 20% 에탄올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물 추출물, 20%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1, 0.5, 1 m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후, TNBSA(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4% 소듐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10%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edecyl sulfate) 및 1N 염산용액을 포함하는 시약을 첨가하여, 최종당화산물의 분해 정도를 335 nm에서 측정하였다. 최종당화산물의 억제제인 아미노구아니딘(AG, aminoguanidine)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9a 및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미숙열매의 물 추출물에서만 유의적인 MGO-AGEs 분해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경우 MGO-AGEs 분해 효과는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분해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를 통해 준비된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유래 화합물(CTU-36, CTU-37, CTU-40, CTU-46, CTU-47, CTU-51, CTU-55, CTU-68)을 이용하여 MGO-AGEs 분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5-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다만, 꾸지뽕나무 추출물 대신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CTU-36, CTU-37, CTU-40, CTU-46, CTU-47, CTU-51, CTU-55, CTU-68) 각각을 0.1 및 0.4 mM의 농도로 희석시킨 다음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미숙열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전체적으로 0.4mM 농도에서 MGO-AGEs 분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TU-47 화합물의 경우 가장 우수한 최종당화산물 분해 활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CTU-55 화합물의 경우 0.1mM 농도에서도 유의성 있는 최종당화산물 분해 활성을 보여주었다.
<5-3>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 분해 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를 통해 준비된 꾸지뽕나무 잎 유래 화합물(CTL-7, CTL-8, CTL-12, CTL-14, CTL-20, CTL-21, CTL-23, CTL-24, CTL-26, CTL-28, CTL-29, CTL-31, CTL-34, CTL-37, CTL-41, CTL-45, CTL-47, CTL-48, CTL-49, CTL-53, CTL-54, CTL-55, CTL-56, CTL-57, CTL-59, CTL-62)을 이용하여 MGO-AGEs 분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5-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다만, 꾸지뽕나무 추출물 대신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각각을 0.1 및 0.4 mM의 농도로 희석시킨 다음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1a 및 1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전체적으로 0.4mM 농도에서 MGO-AGEs 분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TL-23 화합물의 경우 0.1mM 농도에서도 유의성 있는 최종당화산물 분해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은 당뇨합병증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Figure 112020110971319-pat0009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및 최종당화산물 분해 촉진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
  8.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은 당뇨합병증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Figure 112020110971319-pat00093
  9.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은 당뇨합병증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Figure 112020110971319-pat00094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과자류, 면류, 떡류, 빵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및 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90051502A 2019-05-02 2019-05-02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02A KR102224988B1 (ko) 2019-05-02 2019-05-02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02A KR102224988B1 (ko) 2019-05-02 2019-05-02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24A KR20200127424A (ko) 2020-11-11
KR102224988B1 true KR102224988B1 (ko) 2021-03-09

Family

ID=7345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502A KR102224988B1 (ko) 2019-05-02 2019-05-02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9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15B1 (ko) 2011-11-15 2012-11-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679A (ko) * 2011-08-08 2013-02-18 한창석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6846A (ko) * 2012-11-22 2014-06-02 한국식품연구원 뽕잎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72138B1 (ko) 2015-07-29 2016-11-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2135A (ko) 2017-03-30 2018-10-12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 기억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15B1 (ko) 2011-11-15 2012-11-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chemistry, 2019, 87, pp. 736-742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13, 44(4), pp. 372-3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2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0639A1 (en) Use of compounds isolated from morus bark
KR101075742B1 (ko) 지모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65113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3450A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24988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8920B1 (ko) 지페노사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296821B1 (ko) 심비어디니움 보라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7422A (ko)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44969A (ko) 암 개선 또는 예방용 모링가잎 추출물
KR101386691B1 (ko) 다이카페오일 퀴닉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47640B1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90799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1642322B1 (ko) 서덜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1662B1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US843116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or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am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pid metabolism disorder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23015B1 (ko) 심비어디니움 보라텀으로부터 추출된 신규 화합물인 보라틴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9689B1 (ko) 유근피로부터 (2R,3R)-에피카테킨-7-O-β-D-아피오퓨라노사이드를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
KR101478487B1 (ko)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성 탄닌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575253B1 (ko) 신규 아비에탄 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20139999A (ko)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엑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2271683B1 (ko) 식후혈당상승억제 효능을 가진 유색미로부터 분리 정제된 신규한 (2R,3R)-4’-O-methyl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KR100806226B1 (ko) 콩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4567B1 (ko) 호박덩굴손 유래 신규화합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