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38B1 -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38B1
KR101672138B1 KR1020150106965A KR20150106965A KR101672138B1 KR 101672138 B1 KR101672138 B1 KR 101672138B1 KR 1020150106965 A KR1020150106965 A KR 1020150106965A KR 20150106965 A KR20150106965 A KR 20150106965A KR 101672138 B1 KR101672138 B1 KR 10167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teppogenin
cudraflavanone
inflammatory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오현철
고원민
김동철
이동성
윤치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쿠드라플라바논 D (Cudraflavanone D)와 스텝포제닌(steppogenin)은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쿠드라플라바논 D와 스텝포제닌이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른 염증 매개인자의 억제 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쿠드라플라바논 D와 스텝포제닌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 유발 기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전사인자로 알려진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와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를 억제 시키면서 나타난다. 쿠드라플라바논 D와 스텝포제닌은 과발현된 NF-kB와 MAPK 경로의 활성 억제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른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udraflavanone D or Steppogen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as a standard for the preventing and treating of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나무에서 분리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아교세포 관련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외부자극에 대한 체내의 방어기전으로 유해물질이나 화학적 자극에 의한 손상으로 일어난다.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염증매개 인자들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염증반응으로부터 발생된 활성 산소종은 산화적 스트레스성 전사인자들인 nuclear factor kappa-b(NF-κB)를 활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신호 전달자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와 염증성 유도효소인 cyclooxygenase (COX-2)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촉진시키고, 비정상적인 변이와 암을 유발하게 된다.
미세아교세포는 다양한 신경병성 질환들에 관여된 중추신경계에서의 염증 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꾸지뽕나무에서 분리된 화합물,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이 LPS에 의하여 유도된 염증성 반응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해석을 미세아교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낙엽활엽 소교목으로 한국 등의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10여종이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종만이 자생하고 있으며, 근경에는 모린(morin) 포퓨닌(populnin), 스타키드린(stachydrine), 카엠페롤(kaempferol)-7-글루코시드(glucoside) 등의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문헌의 어디에도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와 스텝포제닌(Steppogenin)이 미세아교세포와 관련된 염증질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꾸지뽕나무에서 분리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와 스텝포제닌(Steppogenin)이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이에 따른 염증 매개인자의 억제 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쿠드라플라바논 D와 스텝포제닌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 유발 기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전사인자로 알려진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와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를 억제 시키면서 나타난다. 쿠드라플라바논 D와 스텝포제닌은 과발현된 NF-kB와 MAPK 경로의 활성 억제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른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미세아교세포관련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1607호 "토포아이소머라제 I 저해 활성을 갖는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A를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821호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있다.
본 발명은 꾸지뽕에서 분리한 화합물인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에서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여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액-용액 분배법을 이용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통하여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항염증은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의 염증 억제 경로는 p-JNK 또는 p-38 경로를 억제함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에서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에서 분리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 효과를 본 것으로, 꾸지뽕은 천연자원으로서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꾸지뽕나무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반응에 중요한 인자의 경로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꾸지뽕나무로부터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의 분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쿠드라플라바논 D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1H-NMR을 이용한 구조 동정(A), 13C-NMR(B)을 이용한 구조 동정(B)을 하였으며, 쿠드라플라바논 D의 구조(C)를 나타내었다.
도 3은 쿠드라플라바논 D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쿠드라플라바논 D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A), IL-1 β(B), IL-12 (C), IL-6 (D)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쿠드라플라바논 D의 NO 생성 억제 효과(A)와 PGE2 생성 억제 효과(B),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량을 억제(C) 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쿠드라플라바논 D의 세포질 분획에서 IκB-α 분해 억제 및 인산화된 IκB-α를 억제하는 효과(A), 세포질 분획에서 NF-kB인 p65와 p50의 전사 억제(B)와 핵 분획에서 p65와 p50의 전사 억제 효과(C),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p50의 핵 내로의 전사 억제 효과(D), 핵 분획에서 NF-kB의 결합 활성(binding activity)을 억제(E)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쿠드라플라바논 D의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MAPKs,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 경로 ERK(A), JNK(B), p38(C)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한 도면이다.
도 8은 스텝포제닌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1H-NMR 을 이용한 구조 동정(A), 13C-NMR 을 이용한 구조 동정(B)을 하였으며, 스텝포제닌의 구조(C)를 나타내었다.
도 9는 스텝포제닌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스텝포제닌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A), IL-1β (B), IL-12 (C), IL-6 (D)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스텝포제닌의 NO 생성 억제 효과 (A)와 PGE2 생성 억제 효과,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량을 억제 (C) 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스텝포제닌의 세포질 분획에서 IκB-α 분해 억제 및 인산화된 IκB-α를 억제하는 효과 (A), 세포질 분획에서 NF-kB인 p65와 p50의 전사 억제 (B)와 핵 분획에서 p65와 p50의 전사 억제 효과(C),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p50의 핵 내로의 전사 억제 효과 (D), 핵 분획에서 NF-kB의 결합 활성(binding activity)을 억제 (E)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스텝포제닌의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MAPKs,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 경로 ERK (A), JNK (B), p38 (C)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은 뽕나무과의 낙엽활목소교목인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에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항염증은 미세아교세포에서 일어나는 항염증을 통칭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신경병성 질환에 관련된 항염증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 -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
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p -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화합물은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로 유도된 미세아교 세포 손상에서 염증 유발 기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전사인자로 알려진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와 MAPK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의 활성 억제를 확인 하므로써 이에 따른 항염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항염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재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스,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꾸지뽕나무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신경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경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서 상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 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지 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쥴 덱스트린 등성물은 지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또는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를 함유한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 지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꾸지뽕나무에서 쿠드라플라바논 D( Cudraflavanone D)의 분리
쿠드라플라바논(Cudraflavanone D)를 분리하는 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6 ㎏)를 100% 메탄올로 24시간 동안 상온 상에 방치하여 100% 메탄올 추출물 300 g을 얻었다. 100%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여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액-용액 분배법(partition)을 이용하여, 그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 160 g을 얻었다. 얻어진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단계적 기울기 용리법을 사용하여 (20%, 40%, 60%, 80%, 100% (v/v) EtOAc in hexane)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6개 분획을 획득하였다. 그 중 4번째 분획 45 g을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 : 에틸아세테이트 = 10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4가지 분획을 얻었다. 그 중 4번째 분획을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헥산 : 아세톤 = 5 : 1, 4 : 1, 3 : 1, 2 : 1, 1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5가지 분획을 얻었다. 그 중 2번째 분획을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 물 = 3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쿠드라플라바논 D 60 mg을 얻었다.
얻어진 쿠드라플라바논 D의 구조 동정을 위하여 도 2A의 1H-NMR , 도 2B의 13C-NMR 을 이용하여 구조 동정을 하였으며, 도 2C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brown oil. 1H-NMR (MeOD, 400 MHz) δ 5.58 (dd, J = 3.2, 12.4 Hz, H-2), 3.03 (dd, J = 12.0, 17.2 Hz, H-3a), 2.71 (dd, J = 3.2, 17.2 Hz, H-3b), 5.93 (s, H-8), 6.32 (s, H-3'), 7.03 (s, H-6’), 3.18 (d, J = 7.2 Hz, H-11), 5.18 (m, H-12), 1.73 (s, H3-14), 1.65 (s, H3-15), 3.18 (d, J = 7.2 Hz, H-16), 5.25 (m, H-17), 1.63 (s, H3-19), 1.69 (s, H3-20). 13C-NMR (MeOD, 100 MHz) δ 75.9 (C-2), 43.1 (C-3), 198.4 (C-4), 162.4 (C-5), 109.4 (C-6), 165.8 (C-7), 95.3 (C-8), 162.9 (C-9), 103.2 (C-10), 117.5 (C-1’), 154.3 (C-2’), 103.3 (C-3’), 156.8 (C-4’), 120.5 (C-5’), 128.6 (C-6’), 21.8 (C-11), 123.9 (C-12), 131.5 (C-13), 17.8 (C-14), 25.9 (C-15), 28.6 (C-16), 124.3 (C-17), 132.5 (C-18), 25.9 (C-19), 17.7 (C-20).
실험예 1.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 BV2 세포 (2 ×105 cells/well)를 10% heat-inactivated FBS,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IU/ml, Gibco, 15240062)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μg/ml, Gibco, 15240062)을 함유한 DMEM 배지에 분주하고 5% 이산화탄소 배양기(Sanyo, MCO175) 내에서 37 °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쿠드라플라바논 D를 농도 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5 %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MTT 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치는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평균치로 표시하였으며, 각각 3회 반복 실험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쥐의 복강에서 분리한 일차 대식세포 1.25, 2.5, 5, 10 μM의 쿠드라플라바논 D를 48시간 처리하였고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 μM 농도의 이하 쿠드라플라바논 D를 처리 하였을 때는 농도와 상관없이 세포 생존율은 높게 유지되었다(도 3).
실험예 2.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세포 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12,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쿠드라플라바논 D를 1.25, 2.5, 5, 10 μM을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한 후, 6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RT-PCR로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쿠드라플라바논 D를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TNF-α(도 4A), IL-1β(도 4B), IL-12(도 4C) 및 IL-6 mRNA (도 4D) 발현이 쿠드라플라바논 D를 1.25, 2.5, 5, 10 μM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되는 효과를 확인 하였다.
실험예 3.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인 NO, PGE 2 ,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쿠드라플라바논 D의 BV2 세포에서의 염증 매개 인자들인 NO, PGE2의 생성과 iNOS 및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BV2 세포에 쿠드라플라바논 D를 1.25, 2.5, 5, 10 μM을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로 염증반응을 유발한 후, 24 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결과, 도 5A,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를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NO, PGE2 생성이 쿠드라플라바논 D를 1.25, 2.5, 5, 10 μM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드라플라바논 D의 함량 및 처리시간에 따른 iNOS, COX-2 단백질 발현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수행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60 mm 디쉬에 3 X 106cells/ml 농도로 BV2 세포 12시간 배양한 후, 쿠드라플라바논 D를 농도 별로 처리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1μg/ml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 하였다. 상기 배양 후, RIPA(89900, Thermo) 버퍼를 첨가하고, 4℃ 및 14,000 X g의 조건에서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상등액에서 단백질 정량은 BSA 단백질 실험 키트(Pierce 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등액을 7.5%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polyacrylamide gel)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전기영동한 후,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NC membrane)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로부터 전사하였다. 상기 전사된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을 5% 무지방유가 포함된 신선한 블로킹 버퍼(blocking buffer, 0.1% Tween 20 in Tris-buffered saline)에서 1시간 동안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 정지 후, 상기 멤브레인을 PBST(PBS, 0.1% Tween 20)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한 후에, iNOS(SC-650, Santacruz biotechnology, USA), COX-2(SC-1745, Santacruz biotechnology, USA)의 항체(Ab)를 1:1000으로 희석하여 넣고 1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상기 PBST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하고, 2차 항체(Anti-rabbit IgG, SC-2004, Santacruz biotechnology, USA)를 1:1000으로 희석하여 넣고 1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후, PBST로 10분에 1회씩 3회 세척한 다음, ECL(Amersham Pharmacia Biotech) 용액을 1:1로 잘 섞어서 나이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 NC membrane) 위에 부어서 발광시키고, 암실에서 X선 필름에 감광한 후 현상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액틴(Actin)에 대한 항체(SC-1616, Santacruz biotechnology, USA)를 이용하여 액틴(Act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쿠드라플라바논 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증 매개 인자로 알려진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 모두가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4.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IκBα 분해 억제, Bα 인산화 억제, NFκB (p65, p50) 핵내 전사 억제와 NFκB p65 결합능 억제 효과
쿠드라플라바논 D의 BV2 세포에서의 NFκB 관련 경로에 대한 효과를 살펴 보았다. IκBα 분해 억제, IκBα 인산화 억제, NFκB p65와 p50 핵내 전사 억제 및 NFκB p65 결합능 억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인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BV2 세포에 쿠드라플라바논 D를 2.5, 5, 10 μM을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염증 반응 경로를 유발한 후, 1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IκBα (SC-371, Santacruz biotechnology, USA) 분해 억제, IκBα 인산화 (p-IκBα, SC-8404, Santacruz biotechnology, USA)억제, NFκB p65, p50 (SC-8008, SC-7178, Santacruz biotechnology, USA) 핵내 전사 억제 및 NFκB p65 결합능을 확인하기 위해 핵분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6A, 도 6B는 세포질에서의 결과이며, 도 6C, 도 6E는 핵 내에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던 IκBα 분해와 IκBα 인산화(도 6A), NFκB p65와 p50의 핵내 전사와 NFκB p65 결합능(도 6B, 도 6C)이 쿠드라플라바논 D를 2.5, 5, 10 μM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6D는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것이며, 도 6E는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실험 방법은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한 NFκB p50의 핵 내로의 전사를 쿠드라플라바논 D 10 μM 처리하였을때 억제시킨 것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5.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 반응에 의한 미토 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발현 억제 효과
쿠드라플라바논 D의 BV2 세포에서의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유발한 염증 반응에 대한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MAPK,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종류인 p-ERK, p-JNK, p-38 발현 억제 경로를 확인하고자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인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BV2 세포에 쿠드라플라바논 D를 2.5, 5, 10 μM을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염증 반응 경로 유발한 후, 1시간 동안 5%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쿠드라플라바논 D를 농도별 처리 하였을 때 리포폴리싸카라이드에 의해 p-ERK(도 7A), p-JNK(도 7B), p-38(도 7C)발현이 증가 하였다. 그러나 쿠드라플라바논 D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p-JNK(도 7B), p-38(도 7C)의 발현이 점점 감소하였으며, p-ERK (도 7A)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이는 쿠드라플라바논 D의 염증 억제 관련경로는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니아제 (MAPKs,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종류인 p-ERK, p-JNK, p-38 경로 가운데 p-JNK 에틸아세테이트 = 10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4가지 분획을 얻었다. 그 중 4번째 분획을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헥산 : 아세톤 = 5 : 1, 4 : 1, 3 : 1, 2 : 1, 1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5가지 분획을 얻었다. 그 중 3번째 분획을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3 : 1 비율 용매를 사용하여 스텝포제닌 65 mg을 얻었다.
얻어진 스텝포제닌(steppogenin)의 구조 동정을 위하여 도 8A의 1H-NMR, 도 8B의 13C-NMR 을 이용 구조 동정을 하였으며, 도 8C의 결과를 얻었다.
, p-38 경로를 억제함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꾸지뽕나무에서 스텝포제닌(Steppogenin)의 분리
스텝포제닌(steppogenin)을 분리하는 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꾸지뽕나무 (6 ㎏)를 100% 메탄올로 24시간 동안 상온 상에 방치하여 100% 메탄올 추출물 300 g을 얻었다. 100%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여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액-용액 분배법(partition)을 이용하여, 그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 160 g을 얻었다. 얻어진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단계적 기울기 용리법을 사용하여 (20%, 40%, 60%, 80%, 100% (v/v) EtOAc in hexane)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6개 분획을 획득하였다. 그 중 4번째 분획 45 g을 실리카겔(silica gel C.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 :
brown solid. 1H-NMR (DMSO-d6, 400 MHz) δ 5.61 (dd, J = 2.8, 13.2 Hz, H-2), 3.25 (dd, J = 13.2, 17.2 Hz, H-3a), 2.62 (dd, J = 2.8, 17.2 Hz, H-3b), 5.89 (br s, H-6, H-8), 6.37 (d, J = 1.6 Hz, H-3’), 6.29 (d, J = 1.6, 8.4 Hz, H-5’), 7.20 (d, J = 8.4 Hz, H-6’). 13C-NMR (DMSO-d6, 100 MHz) δ 74.0 (C-2), 41.3 (C-3), 197.0 (C-4), 163.7 (C-5), 95.9 (C-6), 166.7 (C-7), 95.1 (C-8), 163.6 (C-9), 101.9 (C-10), 115.6 (C-1’), 155.9 (C-2’), 102.6 (C-3’), 158.8 (C-4’), 106.7 (C-5’), 128.4 (C-6’).
실험예 6.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 BV2 세포 (2 ×105 cells/well)를 10% heat-inactivated FBS,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IU/ml, Gibco, 15240062)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μg/ml, Gibco, 15240062)을 함유한 DMEM 배지에 분주하고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다음, 스텝포제닌(Steppogenin)을 농도 별로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5 %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MTT 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치는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평균치로 표시하였으며, 각각 3회 반복 실험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 BV2 세포에 10, 20, 40, 80 μM의 Steppogenin을 48시간 처리하였고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80 μM 농도의 이하 스텝포제닌을 처리하였을 때는 스텝포제닌을 농도와 상관없이 세포 생존율은 높게 유지되었다(도 9).
실험예 7.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 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12, 및 IL-6 mRNA 발현 억제 효과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 스텝포제닌을 10, 20, 40, 80 μM을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 반응을 유발한 후, 6시간 동안 5%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RT-PCR로 실험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텝포제닌을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TNF-α(도 10A), IL-1β(도 10B), IL-12(도 10C) 및 IL-6 (도 10D) mRNA 발현이 스텝포제닌을 10, 20, 40, 80 μM을 처리 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8.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인 NO, PGE 2 , 및 iNOS,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스텝포제닌의 BV2 세포에서의 염증 매개 인자 들인 NO, PGE2,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과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인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실험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를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NO(도 11A), PGE2 (도 11B) 생성이 스텝포제닌을 10, 20, 40, 80 μM을 처리 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도 1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텝포제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증 매개 인자로 알려진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 모두가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9.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IκBα 분해 억제, Bα 인산화 억제, NFκB (p65, p50) 핵내 전사 억제와, NFκB p65 결합능 억제 효과
스텝포제닌의 BV2 세포에서의 NFκB 관련 경로에 대한 효과를 살펴 보았다. IκBα 분해 억제, IκBα 인산화 억제, NFκB p65와 p50 핵내 전사 억제, NFκB p65 결합능 억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인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BV2 세포에 스텝포제닌을 20, 40, 80 μM을 전처리 3 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염증 반응 경로를 유발한 후, 1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IκBα (SC-371, Santacruz biotechnology, USA) 분해 억제, IκBα 인산화 (p-IκBα, SC-8404, Santacruz biotechnology, USA)억제, NFκB p65, p50 (SC-8008, SC-7178, Santacruz biotechnology, USA) 핵내 전사 억제, NFκB p65 결합능을 확인하기 위해 핵분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12A, 도 12B는 세포질에서의 결과이며, 도 12C, 도 12E는 핵 내에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를 처리 하였을 때 증가하던 IκBα 분해와 IκBα 인산화(도 12A), NFκB p65와 p50의 핵내 전사와 NFκB p65 결합능(도 12B, 도 12C)이 스텝포제닌을 20, 40, 80 μM을 처리 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 하였다. 도 12D는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것이며,도 12E 는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실험 방법은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리포폴리싸카라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한 NFκB p50의 핵 내로의 전사를 스텝포제닌을 80 μM 처리하였을 때 억제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마우스 유래 미세아교세포인 BV2 세포에서 염증 반응에 의한 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발현 억제 효과
스텝포제닌의 BV2 세포에서의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로 유발한 염증 반응에 대한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MAPKs,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종류인 p-ERK, p-JNK, p-38 발현 억제 경로를 확인하고자 문헌 (Kim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721, pp. 267-276, 2013)의 방법과 상기 실험예 3와 동일한 방법인 웨스턴 블럿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BV2 세포에 스텝포제닌을 20, 40, 80 μM로 전처리 3시간 한 후 리포폴리싸카라이드로 염증 반응 경로 유발한 후, 1시간 동안 5% 이산화탄소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도 13에서와 같이 스텝포제닌을 농도별 처리 하였을 때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에 의해 p-ERK(도 13A), p-JNK(도 13B), p-38 (도 13C)발현이 증가 하였다. 그러나 스텝포제닌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p-JNK(도 13B), p-38(도 13C)의 발현이 점점 감소하였으며, p-ERK(도 13A)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이는 스텝포제닌의 염증 억제 관련 경로는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 (MAPKs,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종류인 p-ERK, p-JNK, p-38 경로 가운데 p-JNK, p-38 경로를 억제함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5)

  1.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에서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물에 녹여서 클로로포름으로 용액-용액 분배법을 이용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통하여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의 염증 억제 경로는 p-JNK 또는 p-38 경로를 억제함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꾸지뽕나무(Curdrania tricuspidata)에서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Cudraflavanone D) 또는 스텝포제닌(Steppogen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다발성 신경위축, 간질, 뇌병증(encephalopathy) 및 뇌졸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106965A 2015-07-29 2015-07-29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72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5A KR101672138B1 (ko) 2015-07-29 2015-07-29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65A KR101672138B1 (ko) 2015-07-29 2015-07-29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138B1 true KR101672138B1 (ko) 2016-11-03

Family

ID=5757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65A KR101672138B1 (ko) 2015-07-29 2015-07-29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86A (ko) 2017-06-22 2019-01-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7424A (ko) 2019-05-02 2020-11-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20476A (ko) 2020-08-11 2022-02-21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포제닌(Steppo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563495B1 (ko) * 2022-08-19 2023-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6, vol. 16, pp. 5580~5583*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6, vol. 16, pp. 5580~5583*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3, vol. 149, pp. 169~175*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86A (ko) 2017-06-22 2019-01-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7424A (ko) 2019-05-02 2020-11-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20476A (ko) 2020-08-11 2022-02-21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포제닌(Steppo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563495B1 (ko) * 2022-08-19 2023-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39164A1 (ko) * 2022-08-19 2024-0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138B1 (ko)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d 또는 스텝포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203704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diterpene-based compound
KR102410619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226077B1 (en) Extract of Lycoris chejuenis and/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KR101355483B1 (ko)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0674A (ko)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9875B1 (ko) 에키나세아 배양근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항염증 용도
KR20140082502A (ko) 테뉴폴리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9160B1 (ko) 다프난 또는 포볼 다이터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075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6487B1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78487B1 (ko)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성 탄닌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2482A (ko) 녹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502598B1 (ko) 지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9426B1 (ko) 복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세포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134389B1 (ko) 신규한 벤조니트릴 글리코시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7394B1 (ko) 미리세틴 및 레스베라트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30046149A (ko) 양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42861A (ko) 개다래 유래의 쿠마로일 트라이테르펜 유도체 및 이의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
KR101908454B1 (ko) 페나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30161643A (ko) 미선나무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42700A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30045772A (ko) 참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