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96B1 -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96B1
KR102224496B1 KR1020180068135A KR20180068135A KR102224496B1 KR 102224496 B1 KR102224496 B1 KR 102224496B1 KR 1020180068135 A KR1020180068135 A KR 1020180068135A KR 20180068135 A KR20180068135 A KR 20180068135A KR 102224496 B1 KR102224496 B1 KR 10222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uoyancy body
mold
ship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411A (ko
Inventor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오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훈 filed Critical 오승훈
Priority to KR102018006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9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8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in the closed mould, e.g. resin transfer moulding [RTM], e.g.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5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forming methods, e.g. manufacturing of curved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67Ships
    • B29L2031/307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에 대한 것으로,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양측판, 격리판, 동력 주행수단을 갖추고 양식 중인 김망을 배의 상부에 걸쳐놓고 주행하면서 김을 채취하는김채취선에 있어서, 상기 김채취선의 양측판 중간부의 외측에서 선수측을 향하여 점점 확장하는 원통홈의 형태를 이루면서 선수측을 감싸는 FRP재질의 부력체가 결합되어 물김 선적시 부력이 추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는 반원통체를 이루는 외피, 상기 외피를 구획하여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는 격판, 상기 격실에 각각 형성된 충전재 주입공, 상기 충전재 주입공을 통하여 충전된 발포 우레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체는 비적재 흘수선(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김이 적재되었을 때에만 부력체의 부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이다.

Description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A laver boat with buoyant objects on the bow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바닷물에서 건져낸 중량이 무거운 물김을 싣는 김채취선의 선수 부분에 격판으로 구획되어 내부에 충전물이 채워진 부력체를 추가하여 물김의 적재량을 늘이고 안전성의 높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김채취선에 관한 것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는 김을 해태(海苔)라고 칭하며, 뿌리가 있어 돌에 붙어 있고 가지는 없으며, 돌위에 퍼져서 붙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양식과 관련된 기록은 대부분 구전으로, 약 300년 전 섬진강 하구 일대와 전남 완도 고금도, 약산도 일대에서 시작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종래의 김 양식은 매년 6·7월경에 대나무, 솜대, 가지가 거칠게 늘어진 나무 등으로 가지를 묶어 빗자루와 유사한 섶을 만들고, 9·10월경에는 만조시 양식장으로 운반해 두고 기다렸다가 간조시 갯벌에 세워두고 12월부터 다음해 3월에 걸쳐서 섶에서 성장한 김을 훑어 바구니에 넣는 방식으로 채취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양식을‘섶양식’이라고 한다. 섶양식방법은 해방이후까지 오랫동안 사용되다가 섬진강 하구에 광양제철이 들어서면서 모두 사라졌다고 한다. 일제시대부터 섶양식을 대신하여 대나무를 쪼개 엮은 엮은 발을 이용하는 부홍식양식법으로 점차 전환되었다. 부홍식으로 인해 김양식의 밀도가 높아져 수확량이 늘었고, 손으로 섶을 훑는 방법에서 김발을 큰 용기에 넣고 털거나 자르는 방식으로 변환되어 수확방법이 개선되었다. 그 이후 1960년대 후반에 망홍방식이 등장하여 1970년대에 어민들에게 널리 이용되었다. 부홍식과 달리 망홍방식은 여러 가닥의 망사를 엮어 그물 네트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망지’를 사용한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망홍방식으로 양식법이 전환되면서 김의 포자를 망사 사이에 부착시켜 바다에 띄우는 방식으로 바뀌고, 김채취 방법은 직접 손으로 채취하는 방법에서 망지를 배 위에 직접 올려 놓고 망의 아래로 늘어진 김을 훑어내거나 김을 잘라내는 반자동식, 자동식 채취기 들이 개발되어 김양식이 쉬워지고 수확량이 늘어 완도 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 남서 해안의 대부분의 섬들에서 김양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김채취방법은 양식망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채취선을 양식망 아래로 진입시키고, 김양식망을 채취선에 설치된 김 채취기의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김을 털거나 김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김을 채취하고 있는데, 김 채취기에 의해 절단되어 채취된 물기가 많이 포함된 물김이 채취선의 갑판에 그대로 떨어져 쌓이도록 하고, 인력의 여유가 있으면 갑판위에 있는 작업자가 손이나 삽과 같은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물김을 포대나 상자에 담거나, 김 채취기의 아래에 스크류 이송관을 설치하여 낙하된 물김이 한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작업자가 포대나 상자를 이송관의 출구에 대고 담는 방식으로 물김 포장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김 채취작업에서 사용되는 배는 채취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보통 바닥이 넓고, 선체 중심선을 따라 선수재로부터 선미 골재까지 V자 형상의 골격을 이루는 용골이 없거나 미미한 평저선이 이용되고 있는데, 평저선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배로 낮은 수심에도 운행이 가능하고, 갑판이 넓어 많은 화물을 실을 수 있으며, 수리가 용이하고, 흘수가 얕아져 빠른 선회 기동은 가능하지만 물 위에 높이 솟아 있고 수중에 잠겨있는 부분이 작아 풍랑에 약해 전복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김 채취작업은 김망을 들어 올린 후 김망이 배의 위를 통과하면서 갑판에 물, 김, 오물 등이 떨어지므로 김채취기를 중간이나 뒤에 설치하면 낙하물을 정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김채취선은 선수측에 김채취기를 설치하여 김망을 들어 올린 후 바로 김이 전단되도록 한다. 낙하된 물김이 배의 선수측에 싸여 선수측에 하중이 많이 실리게 되면 선수측은 가라 않고 선미측이 올라오게 되므로 김 채취작업을 하는 도중에 선수에 쌓인 김을 배의 뒷부분으로 옮기는 작업을 계속 해야 하나 배가 어느 정도 이상 기울어지면 유동성이 있는 물김이 선수측으로 계속 밀려 내려와 김채취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김채취선으로 사용되는 평저선은 원래 전복되기 쉬운 단점이 있는데다 다량의 물김을 실은 경우에는 선수부분이 낮아져, 고박을 하기 어려운 물김의 특성으로인해 김채취선의 전복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지만 김채취선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아직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167호 일본 등록특허 제395736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속도가 느린 김채취선이 평소에는 배의 속도가 느려지지 않도록 하고, 김을 적재할 때 물김을 적재하는 선수부분의 부력을 보강되도록 하여 김 채취시 배의 수평보강이 되어 김채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다량의 물김의 적재가 가능하고, 쉽게 전복되지 않는 김채취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선수(110)와 선미(120)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양측판(130), 격리판, 동력 주행수단을 갖추고 양식 중인 김망을 배의 상부에 걸쳐놓고 주행하면서 김을 채취하는 김채취선에 있어서, 상기 김채취선의 양 측판(130) 중간부의 외측에서 선수(110)측을 향하여 점점 확장하는 반원통홈의 형태를 이루면서 선수(110)측을 감싸는 FRP재질의 부력체(250)가 결합되어 물김 선적시 부력이 추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250)는 반원통체를 이루는 외피, 상기 외피를 구획하여 복수의 격실(350)을 형성하는 격판(330), 상기 격실(350)에 각각 형성된 충전재 주입공, 상기 충전재 주입공(380)을 통하여 충전된 발포 우레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체(250)는 비적재 흘수선(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김이 적재되었을 때에만 부력체(250)의 부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김채취선의 제작과정은 김채취선으로 사용되는 선박에 모형재를 부착하고 모형재를 형성하는 선박에 모형재부착 및 모형형성단계(S1); 형성된 모형에 퍼티도장을 하고 표면을 다듬는 퍼티도장 및 다듬기 단계(S2); 상기 다듬기단계를 거친 모형의 표면을 도장하는 모형표면도장단계(S3); 상기 모형표면도장단계를 거친 모형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모형표면 이형제 도포단계(S4);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모형표면에 FRP를 부착하여 몰드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단계(S5); 형성된 상기 몰드를 분리하고 상기 선박에 부착된 모형을 제거하는 몰드분리 및 모형제거단계(S6); 상기 분리된 모형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몰드내부 이형제 도포단계(S7); 이형재가 도포된 상기 몰드의 내부를 도장하는 몰드내부도장단계(S8); 상기 내부도장이 이루어진 몰드 내부에 FRP를 부착하여 부력체(250)를 형성하는 부력체 형성단계(S9); 상기 부력체 형성단계에서 제작된 부력체(250)를 분리하는 부력체 분리단계(S10); 상기 분리된 부력체의 내부에 칸막이를 부착하고, 충전재 주입공(380)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착 및 주입공 형성단계(S11); 상기 칸막이가 부착되고, 주입공이 형성된 부력체를 선박에 부착하는 부력체 부착단계(S12); 선박에 부착된 상기 부력체의 내부에 상기 주입공을 통하여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S13); 및 충전재주입을 마친 상기 주입공을 FRP로 메우는 주입공 메꿈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수측에 부력이 보강되어 다량의 물김 적재가 가능하고, 물김을 적재하는 선수부분의 부력이 물김의 적재시에만 보강되도록 하여 평소에는 배의 속도가 저감되지 않도록 하고, 김 채취시 다량의 물김적재가 가능하며, 배의 수평보강이 되어 김채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김적재시와 적재 후 운항시 쉽게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작단계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사진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예 조형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작단계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김채취선은 선수(110)와 선미(120)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양 측판(130), 채취된 김과 선박의 장비들 사이를 격리하는 화물격리판(200), 엔진, 스크류, 조종석을 포함한 동력 주행수단을 갖추고 동력에 의해 김망으로부터 김을 털거나 잘라내는 김채취기와 김망이 선박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김망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선박에 대한 것이다. 김망은 보통 폭이 2m 내외이고 길이는 50m 이상의 길이로 수많은 김망이 나란히 배열된 상태로 김양식장이 이루어 진다. 김채취는 보통 12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3월에 이르는 추운 겨울에 주로 이루어지며, 양식장에 도착한 김채취선은 김망의 시작부분을 들어올린 후 김망 아래로 들어가 보통 파이프로 구성된 김망 가이드 부재에 김망을 거치시킨 후 선수(110)에 설치된 김채취기를 작동시키고 앞으로 진행하면서 김 채취작업이 이루어 진다. 김채취가 거듭되면서 선수(110)에 쌓인 물김으로 인해 선박의 선수부분이 가라앉는 것을 막고 더 많은 김을 선적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부력체(250)는 배의 중간부분에서 선수(110)방향으로 갈수록 굵어지는 형태로 제작되어 선수(110)측에 부착되어 선부 부분에 부력이 추가되도록 한다. 김채취선으로 이용되는 배는 선저가 평판에 가깝고 V자형 용골이 없거나 미약한 특징이 있으며, 갑판이 넓어 선적과 하역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바닥에 V자형 용골이 있는 첨저형 선박에 비해 파도를 쪼개는 능력이 약하므로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속도가 느린 김채취선의 측면에 면적이 큰 부력체가 설치되어 평소에 수중에 잠겨 있다면 속도가 더욱 느려지므로 본 발명의 부력체는 화물을 실지 않은 상태의 흘수선인 비적재 흘수선(2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김이 적재되었을 때에만 부력체의 부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짐을 실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력체가 물에 잠기지 않아 선박의 속도가 느려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부력체는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로 대칭이 되는 부력체(250) 2개가 선박의 선수(110)측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선측으로부터 선수쪽을 향하여 점점 굵어지며, 내측으로 개방된 반원통체의 형상을 이루고, 부력체 외피(310)는 FRP재질로 제작되며, 다수의 격판(330)이 내부에 세로로 설치된다. 부력체는 안쪽이 개방된 원통이나 다각통 등의 반원통체의 형상으로 부력체(250)의 내부에는 각 격판(330)으로 구분된 여러 개의 격실(350)이 형성되고, 각 격실(350)의 상부에는 충전재 주입공(380)이 형성되어 부력체(250)가 선박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충전재 주입공(380)을 통하여 각 격실(350)에 신축성이 있는 충전재가 주입되어 선박과 결합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충전재로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폴리스타이렌(스티로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부착성이나 완충성 및 수명 차원에서 발포 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 주입공(380)은 충전재가 삽입된 이후에 FRP에 의해 밀봉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제작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채취선은 부력체를 부착할 대상이 되는 선박에 부력체를 반복해서 만들기 위한 주형틀을 제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모형재를 선박의 양측 측면과 선수(110) 부분에 부착하고 완성된 부력체와 같은 형태로 조금씩 깍아 내면서 한쌍의 부력체(250) 형태를 만든다. 모형재로는 무게가 가벼운 우레탄이나 스티로폼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입자 크기가 작은 우레탄이 섬세한 가공을 할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선박에 모형재부착 및 모형형성단계 - S1).
부력체의 모형이 완성되면 표면의 파인 부분이나 틈새에 탄산칼슘분말·돌가루·산화아연 등을 보일유·유성니스·래커와 같은 전색제(展色劑)로 개어서 만든, 페이스트상(狀)의 접합제인 퍼티를 주걱 등으로 모형의 표면에 발라 붙이고 건조가 되면 미세한 센드페퍼 등을 이용해 미세하게 표면을 다듬는다(퍼티도장 및 다듬기 단계 - S2).
퍼티도장이 완성되면 모형의 표면에 래커 등의 도장재를 스프레이나 붓으로 도포하여 제1 표면도장을 한다. 표면도장을 하면 표면에 있는 미세한 스크레치 등이 메워져 표면이 거울같이 반질반질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도장재로는 Testors사의 덜코트(Dullcote) 래커 또는 우레탄 도장제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였다(모형표면도장 단계 - S3).
모형표면도장 단계가 완성되면 모형의 표면에 이형제를 칠하고 헝겊으로 문질러 도포한다. 이형제는 몰드가 형성된 이후에 모형과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포 후 3~4시간 정도가 지나면 건조되어 도막이 형성된다(모형표면 이형제 도포단계 - S4).
이형제 도포가 완성되면 모형의 외부에 FRP를 이용해 몰드를 형성한다. FRP 는 헝겊매트에 FRP액을 함침한 것을 모형의 표면에 적절한 두께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바르고 롤러로 거듭하여 문질러 모형의 표면을 평탄화하면서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빼내는 작업으로, 몰드의 두께가 제품변형이 오지 않을 정도의 도께가 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20mm가 되도록 여러 번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헝겊매트는 두께가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는 0.4mm두께를 가진 헝겊매트를 사용하였다. FRP는 완전한 양생을 하기 위해서는 24시간 이상이 필요하나 5~6시간 정도가 지나면 먼저 형성된 층 위에 후속 작업을 할 수 있다(몰드 형성단계 - S5).
몰드 형성단계를 거쳐 몰드가 충분히 양생이 되면 몰드를 모형으로부터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선수(110)부분의 모형이 두꺼우므로 몰드를 선수(110)의 반대쪽으로 몰드를 당겨서 분리를 할 수 있었으며, 몰드를 제거하여 완성한 다음 선박의 측면에 부착된 모형재를 모두 제거한다. 위와 같이 제작된 부력체(250)의 몰드를 이용해 동일한 형태의 김채취선에 사용되는 부력체(250)를 반복해 제작할 수 있게 된다(몰드분리 및 모형제거단계 - S6).
부력체 외피(310)를 제작하기 위해 몰드의 내부에 이형제를 바르고 문질러 고르게 도포한다. 이형제는 몰드로부터 부력체 외피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몰드내부 이형제 도포단계 - S7).
몰드의 내부에 도포된 이형제가 건조되면 제품과 같은 색상을 가진 래커로 제2 표면도장을 한다. 본 발명의 마감재로는 모형표면도장 단계 때와 같이 델코트(Dullcote) 래커를 사용하여 표면도장을 하였다(몰드내부도장 단계 - S8).
표면도장이 이루어진 이후에 몰드의 내부에 FRP를 이용해 부력체 외피(310)를 형성한다. FRP를 붓으로 칠할 수도 있으나 진공성형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진공성형법은 몰드에 매트를 깐 후 매트 사이에 침투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비닐막을 씌워 밀폐시키고 진공펌프로 매트 사이의 공기를 빼면서 수지를 주입하는 공법으로 수지의 양이 줄어 두께가 얇아지면서 수지의 강도가 증가된다. 부력체 형성단계는 몰드의 두께가 줄어 시공시간도 그만큼 줄어든다. (부력체 형성단계 - S9).
부력체를 형성하는 시공이 끝나고 FRP가 완전히 양생이 되면 몰드로부터 두께가 큰 선수(110)측으로 부력체 외피를 당겨서 분리한다. 분리시 몰드와 부력체 사이에 고압에어를 주입하면서 분리할 수도 있다(부력체 분리단계 - S10).
분리된 부력체 외피의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를 부착한다. 칸막이는 미리 FRP로 제작된 칸막이를 사용하고, 칸막이를 부력체의 내부 단면에 맞도록 커팅한 후 끼워 넣고 FRP로 부착하여 하루 정도 양생을 하며, 칸막이로 구분된 격실(350) 상부의 중간 부분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재 주입공(380)을 형성한다(칸막이 부착 및 주입공 형성단계 - S11)
부력체에 칸막이 부착과 충전재 주입공(380) 천공이 완료된 한쌍의 부력체를 선박의 비적재 흘수선(270)의 상부에 맞대놓은 상태로 FRP를 이용해 선박에 부착하고 24시간 정도 양생시킨다(부력체 부착단계 - S12).
부력체의 부착 및 양생이 완료되면 발포공을 통해 충전재를 주입한다. 충전재는 무게가 가볍고 탄성이 있는 우레탄이나 스티로폼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포 우레탄이 사용되었다(충전재 주입단계 - S13).
충전재가 주입을 마친 후 부력체와 같은 재질인 FRP로 주입공을 메꾸면 부력체 결합이 완성된다(주입공 메꿈단계 - S14).
이와 같이 제작된 김채취선은 물김을 적재하는 선수 부분의 부력이 물김의 적재시에만 보강되도록 하여 평소에는 배의 속도가 저감되지 않고, 더 많은 물김의 적재가 가능하며, 물김의 무게로 인해 선수 부분이 잠기지 않아 선수부분에 실린 물김을 배의 중간 부분으로 퍼내는 작업이 간편해지고, 물김의 적재 후 운항시에 쉽게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범위까지 그 효력이 있다 할 것이다.
100 : 김채취선 110 : 선수
120 : 선미 130 : 측판
200 : 화물격리판 250 : 조종석
270 : 비적재 흘수선 300 : 부력체
310 : 부력체 외피 330 : 격판
350 : 격실 380 : 충전재 주입공

Claims (6)

  1. 선수(110)와 선미(120)를 연결하는 바닥판과 양측판(130), 격리판, 동력 주행수단을 갖추고 양식 중인 김망을 배의 상부에 걸쳐놓고 주행하면서 김을 채취하는김채취선에 있어서,
    상기 김채취선의 양측판(130) 중간부의 외측에서 선수(110)측을 향하여 점점 확장하는 반원통체의 형태를 이루면서 선수(110)측을 감싸는 FRP재질의 부력체(250)가 결합되고,
    상기 부력체(250)는 비적재 흘수선(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김이 적재되었을 때에만 부력체(250)의 부력이 추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수측에 부력체(250)가 결합된 김채취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250)는 반원통체를 이루는 외피, 상기 외피를 구획하여 복수의 격실(350)을 형성하는 격판(330), 상기 격실(350)에 각각 형성된 충전재 주입공(380), 상기 충전재 주입공(380)을 통하여 충전된 발포 우레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4. 김채취선으로 사용되는 선박에 모형재를 부착하고 부력체 모형을 형성하는 모형재부착 및 모형형성단계(S1);
    형성된 모형에 퍼티도장을 하고 표면을 다듬는 퍼티도장 및 다듬기 단계(S2);
    상기 퍼티도장 및 다듬기단계(S2)를 거친 모형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모형표면 이형제 도포단계(S4);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모형표면에 FRP를 부착하여 몰드를 형성하는 몰드 형성단계(S5);
    형성된 상기 몰드를 분리하고 상기 선박에 부착된 모형을 제거하는 몰드분리 및 모형제거단계(S6);
    상기 분리된 몰드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몰드내부 이형제 도포단계(S7);
    상기 이형제 도포단계(S7)를 거친 몰드 내부에 FRP를 부착하여 부력체(250)를 형성하는 부력체 형성단계(S9);
    부력체(250) 형성단계에서 제작된 부력체(250)를 분리하는 부력체 분리단계(S10);
    상기 분리된 부력체(250)의 내부에 칸막이를 부착하여 격실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착단계(S11); 및
    상기 칸막이가 부착된 부력체(250)를 선박에 부착하는 부력체(250) 부착단계(S12);가 포함되고,
    상기 칸막이 부착단계(S11)에서 형성된 격실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체 부착단계(S12)에서 부력체를 선박에 부착한 다음, 상기 주입공을 통하여 격실의 내부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S13); 및 충전재주입을 마친 상기 주입공을 FRP로 메우는 주입공 메꿈단계(S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모형에 퍼티도장을 하고 표면을 다듬는 퍼티도장 및 다듬기 단계(S2) 이후에 모형의 표면을 도장하는 모형표면도장단계(S3); 또는
    상기 분리된 모형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몰드내부 이형제 도포단계(S7) 이후에 몰드의 내부를 도장하는 몰드내부도장단계(S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의 제작방법.
  6. 삭제
KR1020180068135A 2018-06-14 2018-06-14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KR10222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35A KR102224496B1 (ko) 2018-06-14 2018-06-14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35A KR102224496B1 (ko) 2018-06-14 2018-06-14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11A KR20190141411A (ko) 2019-12-24
KR102224496B1 true KR102224496B1 (ko) 2021-03-05

Family

ID=6900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35A KR102224496B1 (ko) 2018-06-14 2018-06-14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5266A (ja) * 2014-02-21 2015-08-27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船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3819U (ko) * 1981-05-20 1982-11-22
US5487560A (en) * 1994-08-19 1996-0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inflation fluid into an air bag
KR19980068023A (ko) * 1997-02-14 1998-10-15 윤대현 플랜지일체형 에프알피(f.r.p)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3957362B2 (ja) 1997-06-26 2007-08-15 第三舶用工業株式会社 養殖海苔採取船
KR20120096820A (ko) * 2011-02-23 2012-08-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전복 방지 장치
KR20130002254U (ko) * 2011-10-04 2013-04-12 고영주 선박의 부상 및 균형을 유지와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 일명 부력통이라 지칭한다.
KR200465167Y1 (ko) 2012-09-27 2013-02-05 김춘원 김 채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5266A (ja) * 2014-02-21 2015-08-27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船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11A (ko)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442B2 (en) Apparatus for shellfish aquaculture
US20130125825A1 (en) Low-cost microbial habitat for water quality enhancement and wave mitigation
CN106585873B (zh) 防沉玻璃钢船艇的制造工艺
US6073382A (en) Containment boom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harvesting brine shrimp eggs
US8443749B2 (en) Floating island module comprised of post-consumer carpet fiber matri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7176082A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KR20190102461A (ko) 친환경 부자
CN103858797A (zh) 升降式硬底海水生态养殖网箱
KR101378941B1 (ko) 부자
KR100575877B1 (ko)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CN105900888B (zh) 一种抗浪鱼人工繁殖产卵装置
CA279177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eaweed from a beach
KR102224496B1 (ko) 선수측에 부력체가 결합된 김채취선 및 그 제작방법
CN2803982Y (zh) 海洋蟹类蟹苗运输箱
CN211458577U (zh) 一种河豚养殖用捕捞设备
CN103552663B (zh) 便携式钓鱼艇及其制造方法
KR100896086B1 (ko) 가두리양식장용 전용 활어류 운송 장치
CN109511598B (zh) 一种海产品养殖-运输一体化装箱及其应用
CN103181349B (zh) 稳健型鱼礁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CN209359369U (zh) 一种鱼苗运输装置
CN108419730B (zh) 树形人工鱼礁
CN209225345U (zh) 一种水草收割船
JP3166415U (ja) 複合ボート
US6443085B1 (en) Method for keeping a submerged structure from being adhered to by aquatic org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