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85B1 -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85B1
KR102223885B1 KR1020200044567A KR20200044567A KR102223885B1 KR 102223885 B1 KR102223885 B1 KR 102223885B1 KR 1020200044567 A KR1020200044567 A KR 1020200044567A KR 20200044567 A KR20200044567 A KR 20200044567A KR 102223885 B1 KR102223885 B1 KR 10222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mmol
hydroxy
molu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852A (ko
Inventor
강수성
김다롱
김보경
박은희
박재돈
이광석
한승희
홍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파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파마
Priority to KR102020004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07D311/92Naphthopyrans; Hydrogenated naphthopyr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몰루긴 또는 몰루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하기 화학식 Ⅰ로 표현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Ⅰ]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8

X는 C1-C3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민기, 또는 산소; R1은 수소기,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 R2는 수소기, 몰포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N-(C1-C3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피페리딘기; R3은 수소기, 또는 비닐기; R4는, 수소기(단, X가 아민기인 경우에 한함), 또는 C1-C3 알킬기이고; R3가 비닐기이고 동시에 R4가 알킬기이면, 인접한 R4와 결합하여 6원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MOLLUG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몰루긴 또는 몰루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hn’s Disease; CD)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은 장 점막의 괴사와 궤양 및 염증 부위에 염증세포의 침윤을 동반하는 현상을 나타내며, 만성으로 지속되면서 천공, 폐색, 출혈, 대장암 등 합병증을 초래하는 난치성 질병이다.
미국의 경우 IBD 환자 수는 약 백만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매년 3만 건의 새로운 발병이 보고되고 있고 20대의 젊은 나이에 발병하여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는 IBD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저렴한 경구용 제제의 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는, 저분자 합성 화합물인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 5-ASA), 스테로이드 계열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면역억제제인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및 항체제인 인플릭시맙(infliximab)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인플릭시맙(infliximab)으로 대표되는 TNF-a항체제는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던 것을 장염 치료제로 사용하여서 효과를 보고 있지만, 약가가 매우 비싼 단점과 주사제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서는 결핵과 폐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5-ASA는 대표적 저분자 화합 약물이며 궤양성 대장염의 초기 치료 및 유지요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재발방지에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과량의 약물을 투여해야 하고 매스꺼움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5-ASA 프로드럭인 설파살라진은 복부허실(fullness), 두통, 발진, 간질환,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남성 불임 등과 같은 부작용 또는 역효과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설파살라진이 장의 환부를 절개한 환자 또는 차도가 있는 환자에게 충분한 재발 억제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스테로이드류의 면역억제제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로서, 단기적인 효과는 인정받고 있지만, 장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킬 수는 없으며, 유도된 감염성 질환, 2차 부신피질 부전증, 소화성 궤양, 당뇨병, 정신장애, 스테로이드성 신장병 등과 같은 부작용의 측면에서 단지 급성인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부작용이 보다 적은 천연 추출물 내 성분이나 이들 성분을 변형시킨 유도체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 이러한 성분 중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몰루긴을 들 수 있다.
몰루긴과 3,4-디하이드로몰루긴은 중국 및 인도에서 이용되는 약용식물인 갈퀴꼭두서니(Rubiacordifolia)로부터 분리되며, 건조된 뿌리 및 근경이 관절염, 월경불순 등 질환에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몰루긴과 3,4-디하이드로몰루긴의 합성과 관련하여 전자고리화 반응 등과 같은 합성방법들이 여러 논문들에서 보고된 바 있고, 다양한 몰루긴 유도체들에 대서도 여러 문헌에서 공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22970 A(특허문헌 1)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은 천연물 유래 몰루긴의 메칠 에스터를 염화시킬 수 있는 아민이 포함된 에스터기로 치환하여 용해도가 개선된 몰루긴 유도체에 개시하고 있다(이로써, 특허문헌 1의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 상의 종래기술로서 합체·인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몰루긴 유도체에 대한 정확한 액티브 사이트와 약리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고 있으며, 생리활성이 있는 다양한 몰루긴 유도체에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KR 10-2017-0122970 A (2017.11.07.)
본 발명은, 종래에는 알려지지 않은 염증성 장질환에 유용한 다양한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합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몰루긴의 방향족 고리에 F-, CF3-, Me- 등의 다양한 치환체를 붙이는 합성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구조의 유도체를 얻었고 이들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 모델에서 활성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치료제인 5-ASA보다 개선된 약물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Ⅰ로 표현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1
X는 C1-C3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민기, 또는 산소;
R1은 수소기,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
R2는 수소기, 몰포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N-(C1-C3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피페리딘기;
R3은 수소기, 또는 비닐기;
R4는, 수소기(단, X가 아민기인 경우에 한함), 또는 C1-C3 알킬기이고;
R3가 비닐기이고 동시에 R4가 알킬기이면, 인접한 R4와 결합하여 6원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다.
또한, 하기 반응식 Ⅳ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Ⅳ]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2
또한, 하기 반응식 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루긴 유도체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Ⅴ]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3
또한, 본 발명의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은 TNF-α,IL-6 억제활성이 현저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IL-6 억제 따른 JAK-STAT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TNF-α, 및 IL-6 억제에 따른 NF-kb 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도 4는, 토파시티닙 및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TNF-α, 및 IL-6로 유도된 세포에서 염증관련 유전자(MCP-1, ICAM-1, IL-8) 발현 억제활성을 평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기 화학식 Ⅰ로 표현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이다.
[화학식 Ⅰ]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4
X는 C1-C3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민기, 또는 산소;
R1은 수소기,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
R2는 수소기, 몰포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N-(C1-C3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피페리딘기;
R3은 수소기, 또는 비닐기;
R4는, 수소기(단, X가 아민기인 경우에 한함), 또는 C1-C3 알킬기이고;
R3가 비닐기이고 동시에 R4가 알킬기이면, 인접한 R4와 결합하여 6원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다. 특히, R3가 비닐기이고, R4가 이소프로필기로서, 상호 간 결합하여 6원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몰루긴의 방향족 고리에 F-, CF3-, Me- 등의 다양한 치환체를 붙이므로서, 기존의 치료제인 5-ASA 보다 개선된 약물을 확보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시로, R1이 트리플로로메틸기, 또는 불소기인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에스터 부분도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시로, R2가 몰포리노에틸기, 또는 N-(메틸)피페리딘기인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치환’은 수소가 다른 하나 이상의 것으로 대체된 것을 말하고 갯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알킬기는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직쇄 또는 분지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몰루긴의 방향족 고리에 F-, CF3-, Me- 등의 다양한 치환체를 붙이는 등의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방법에 대한 것이다.
몰루긴의 방향족 고리에 F-, CF3- Me기를 도입하기 위해서 반응식 I로 대표되는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우선 Pd 촉매를 이용하여 스틸벤 구조를 도입하고 이를 인듐 조건에서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를 적가하여 β-하이드록시 에스터 중간체를 합성하였다. 이후 PCC를 이용하여 하이드록시기를 케톤으로 산화시킨후 다시 Pd(O2CCF3)2 및 Cu(OAc)2를 이용 고리화 반응을 진행하여 7-번 위치에 치환체가 도입된 1-하이드록시 나프탈렌을 확보할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potassium persulfate를 이용하여 나프탈렌 고리 4번 위치에 하이드록시기를 추가 도입할수 있었다. 이후 기존에 개발한 고리화 반응을 이용하고 NaOMe를 이용한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transeterfication)을 이용하여 원하는 최종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반응식 Ⅰ]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5
또한, 추가적으로 반응식 Ⅱ의 합성 방법을 새롭게 확립하여 방향족 고리의 모든 부분에 할로젠 등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합성 과정을 설명하면 2-브롬-다이메틸벤즈아마이드에 BuLi를 이용하여 lithiation 시킨후 DMF를 투여하여 aldehyde를 도입하였고 이에 KCN을 적가하여 3-oxo-1,3-dihydro isobenzofuran-1-carbonitrile 중간체를 확보한 후, 이에 NaOtBu의 염기 존재하에 acrylate를 적가하여 마이클 첨가반응이 진행되도록하여 새로운 벤젠고리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후 phenylboronic acid 조건에서 butenal과 반응시켜 추가 고리를 만들고 MeONa과 원하는 알코올 기를 과량 투여하여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transeterfication)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원하는 최종 물질을 좋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반응식 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6
나아가, 몰루겐과 5-ASA의 중간체적인 구조의 물질이 IBD 장질환 모델에서 유효한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반응식 Ⅰ에서의 methyl 1-hydroxy-7-alkyl-2-naphthoate 중간체를 이용하여 수산화(hydroxylation) 반응 대신에 니트로화(nitration) 반응을 진행한 후 수소가스 조건에서 Pd/C 촉매를 사용 방법으로 물질을 합성하여 새로운 1-하이드록시-4-아미노나프탈렌 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새로운 물질들도 또한 IL-6로 유도한 염증성 장질환 모델에서 5-ASA 보다 2000배 희석된 농도에서 5-ASA보다 월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응식 Ⅲ]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7
또한,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방법은 하기 반응식 Ⅳ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식 Ⅳ]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8
여기서, R1은 수소기,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이고, 비제한적 예시로 -CF3, 또는 메틸기를 들 수 있다.
R2는 수소기, 몰포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N-(C1-C3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피페리딘기이다.
상기 반응식 Ⅳ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제조방법은 종래의 몰루긴 기본골격을 만드는 방법에 비해 수율이 좋고,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에 치환체를 붙이기도 유리하다. 이는 치환체가 상태에서 기본골격을 형성하므로 추후 반응에서 어려운 치환체를 붙이기 않아도 되는 용이함이 있을 뿐 아니라, 치환기에 의해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방법은 하기 반응식 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식 Ⅴ]
Figure 112020038038402-pat00009
여기서, R1은 수소기,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이고, 비제한적 예시로 -CF3, 또는 메틸기를 들 수 있다.
상기 몰루긴 유도체 중간체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Ⅳ의 출발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한 본 발명의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장형 베체트(intestinal behcet's disease), 불확정 대장염(indeterminate colitis), 세균성 장염, 바이러스성 장염, 아메바성 장염 및 결핵성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얻어낸 물질들의 구조식과 활성도이다.
번호 이름 화합물명 % inhibition at 10 μM
TNF-alpha IL-6
1 H1-23 Methyl 4-amino-1-hydroxy-2-naphthoate 48.8 36.2
2 H1-34 Methyl 6-hydroxy-2,2-dimethyl-1,2-dihydrobenzo[h]quinoline-5-carboxylate 42.1 2.2
3 DN201907 Methyl 4-(dimethylamino)-1-hydroxy-2-naphthoate
4 DN201908 Methyl 4-(methylamino)-1-hydroxy-2-naphthoate
5 DN201909 4-amino-1-hydroxy-2-naphthoic acid
6 DN201910 2- Morpholinoethyl 4-(dimethylamino)-1-hydroxy-2-naphthoate
9 DN202207 Methyl 4-amino-1-hydroxy-7-methyl-2-naphthoate 14.2 21.2
10 DN202355 Methyl 4-amino-1-hydroxy-7-(trifluoromethyl)-2-naphthoate 32.1 57.3
11 DN202357 Methyl 4-amino-1-hydroxy-7-fluoro-2-naphthoate 13.3 58.0
12 DN202203 Methyl 8-methyl-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29.8 23.4
13 DN202204 Methyl 6-hydroxy-2,2-dimethyl-8-(trifluoro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63.2 39.3
14 DN202361 Methyl 8-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36.1 59.4
15 DN202206 Methyl 9-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24.9 28.0
16 DN202506 2-Morpholinoethyl 9-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47.0 75.6
17 DN202507 2-Morpholinoethyl 6-hydroxy-2,2-dimethyl-8-(trifluoro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46.0 50.3
18 DN202508 2-Morpholinoethyl 8-methyl-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24.9 54.3
19 DN202509 1-Methylpiperidin-4-yl 9-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27.5 78.6
20 DN202604 2-Morpholinoethyl 8-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36.6 61.1
다음은 본 발명의 일형태 물질들의 합성방법이다. 본 발명 청구항에 포함되는 다양한 물질 형태의 합성법은 크게 종류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구별되는 형태의 종류에 따른 일반적인 합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합성법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화합물의 합성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개별적 화합물에 대한 합성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킴 1. 몰루긴 유도체 9a-c의 합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0
시약 및 조건: (a) Pd(OAc)2 (0.1 eq), Tri(o-tolyl)phosphine (0.2 eq), TEA, 130℃, 15 h, 수율: 68-75%; (b) 징크 (1.5 eq), 벤젠, 110℃, 5 h, 수율: 79-82%; (c) Dess-Martin periodinane (1.3 eq), DCM, 실온, 2h, 수율: 86-90%; (d) Pd(TFA)2 (0.2 eq), Cu(OAc)2 (1.0 eq), DCE, 100℃, 10 h, 수율: 90-95%; (e) 수상 KOH, THF, 95℃, 20 h, 수율: 95-98% (f) K2S2O8 (1.5 eq) in water, 10% NaOH 수용액, 1,4-dioxane, 0℃~실온, overnight; (g) NaHCO3 (3eq), Iodomethane (3eq), DMF, 40℃, overnight, 수율: 80-82%; (h) PhB(OH)2 (2.0 eq), AcOH (5.0 eq), 톨루엔, 130℃, 6h, 수율: 63-66%; (i) CH3ONa (2.0 eq), 톨루엔, microwave (150℃, 1 h), 수율: 40-45%.
일반적 절차 A - (4- methylstyryl ) benzaldehyde 유도체 1a-c의 합성
다양한 2-bormobenzaldehyde (a-c), 4-methylstyrene (1.5 eq.), Palladium(II) acetate (0.1 eq.), 및 Tri(o-tolyl)phosphine (0.2 eq.)를 triethylamine (0.8 M)에 녹이고, 압력관에 첨가하였다. 상기 압력관은 밀봉되어져 130℃, 15시간 동안 가열되어 졌다. 반응물들은 포화 수상 염화암모늄에 냉각되어 졌고, 이후 유기물들이 디클로로메탄으로 2번에 걸쳐 추출되어 졌다. 복합유기층은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및 진공농축되어 졌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0%~2%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5-75%; [ref: Eur . J. Org . Chem . 2011]
( E )-5- Fluoro -2-(4- methylstyryl ) benzaldehyde (1a): 일반적 절차 A를 따라, 2-bromo-5-fluorobenzaldehyde (5.00 g, 24.63 mmol), 4-methylstyrene (1.5 eq, 4.87 ml, 36.9 mmol), Palladium(II) acetate (0.1 eq, 0.55 g, 2.46 mmol), 및 Tri(o-tolyl)phosphine (0.2 eq, 1.50 g, 4.93 mmol)로부터 1a를 합성하였다; 수율: 71% (3.85 g); 1H NMR (400 MHz, CDCl3) δ 10.32 (s, 1H), 7.82 (d, J = 16.14 Hz, 1H), 7.65 - 7.70 (m, 1H), 7.50-7.85 (m, 1H), 7.42-7.48 (m, 2H), 7.28 - 7.35 (m, 1H), 7.16 - 7.22 (m, 2H), 6.95 (d, J = 16.14 Hz, 1H), 2.38 (s, 3H); MS (ESI): m/z = 241.3 [M+H].
( E )-5-Methyl-2-(4- methylstyryl ) benzaldehyde (1b): 일반적 절차 A를 따라, 2-bromo-5-methylbenzaldehyde (5.00 g, 25.1 mmol), 4-methylstyrene (1.5 eq, 4.97 ml, 37.70 mmol), Palladium(II) acetate (0.1 eq, 0.56 g, 2.51 mmol), 및 Tri(o-tolyl)phosphine (0.2 eq, 1.53 g, 5.01 mmol)로부터 1b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73% (4.32 g). 1H NMR (400 MHz, CDCl3) δ 10.31 (s, 1H), 7.94 (d, J = 16.14 Hz, 1H), 7.58 - 7.65 (m, 2H), 7.42-7.49 (m, 2H), 7.35-7.41 (m, 1H), 7.18 (m, J = 7.83 Hz, 2H), 6.99 (d, J = 16.14 Hz, 1H), 2.42 (s, 3H), 2.37 (s, 3H); MS (ESI): m/z = 237.3 [M+H].
( E )-5- Trifluoromethyl -2-(4- methylstyryl ) benzaldehyde (1c): 일반적 절차 A를 따라, 2-bromo-5-(trifluoromethyl)benzaldehyde (3.82 ml, 19.76 mmol), 4-methylstyrene (1.5 eq, 9.91 ml, 29.6 mmol), Palladium(II) acetate (0.1 eq, 0.44 g, 1.98 mmol), 및 Tri(o-tolyl)phosphine (0.2eq, 1.20 g, 3.95 mmol)로부터 1c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75% (4.3 g); 1H NMR (400 MHz, CDCl3) δ 10.32 (s, 1H), 7.81 (d, J = 16.14 Hz, 1H), 7.62 - 7.68 (m, 1H), 7.51-7.55 (m, 1H), 7.42-7.45 (m, 2H), 7.26 - 7.31 (m, 1H), 7.13 - 7.24 (m, 2H), 6.97 (d, J = 16.14 Hz, 1H), 2.38 (s, 3H); MS (ESI): m/z = 291.3 [M+H].
일반적 절차 B - methyl (4- methylstyryl )phenyl) propanoate derivatives 2a-c의 합성
무수벤젠에 (4-Methylstyryl)benzaldehyde 1a-c를 녹였다. 상기 용액에 징크 분말 (1.5 eq.)과 methyl 2-bromoacetate (2.0 eq.)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로 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5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반응물은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으로 퀀칭되었고, 유기물들은 디클로메탄으로 추출되었다(2회). 복합유기층은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 여과 및 진공 하 농축되어 졌다. 상기 복합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5%~20%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어져,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82%;
Methyl ( E )-3- hydroxy -3-(5- fluoro -2-(4- methylstyryl )phenyl)propionate (2a): 일반적 절차 B에 따라, (E)-5-fluoro-2-(4-methylstyryl)benzaldehyde 1a (4.00 g, 15.61 mmol), 징크 (1.5 eq, 1.53 g, 23.41 mmol) 및 methyl 2-bromoacetate (2.0 eq, 2.96 ml, 31.20 mmol)로부터, 2a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79% (4.05 g); 1H NMR (400 MHz, CDCl3) δ 7.50 (dd, J = 8.68, 5.75 Hz, 1H), 7.36-7.47 (m, 2H), 7.30 (dd, J = 10.03, 2.69 Hz, 1H), 7.12 (d, J = 16.14 Hz, 1H), 6.98 (td, J = 8.38, 2.81 Hz, 1H), 6.78-6.94 (m, 3H), 5.50 (dt, J = 9.23, 3.09 Hz, 1H), 3.83 (s, 3H), 3.73 (s, 3H), 3.37 (d, J = 3.18 Hz, 1H), 2.55-2.77 (m, 2H); MS (ESI): m/z = 331.4 [M+H].
Methyl ( E )-3- hydroxy -3-(5-methyl-2-(4- methylstyryl )phenyl) propanoate (2b): 일반적 절차 B에 따라, (E)-5-methyl-2-(4-methylstyryl)benzaldehyde 1b (4.00 g, 16.93 mmol), 징크 (1.5 eq, 1.66 g, 25.41 mmol), 및 methyl 2-bromoacetate (2.0 eq, 3.20 ml, 33.90 mmol)로부터 2b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80%; 1H NMR (400 MHz, CDCl3) δ 7.47 (d, J = 7.82 Hz, 1H); 7.36-7.43 (m, 3H), 7.32 (d, J = 15.89 Hz, 1H), 7.17 (d, J = 7.82 Hz, 2H), 7.08-7.13 (m, 1H), 6.91 (d, J = 15.89 Hz, 1H), 5.52 (ddd, J = 7.82, 4.89, 3.18 Hz, 1H), 3.72 (s, 3H), 3.21 (d, J = 2.93 Hz, 1H), 2.67-2.74 (m, 2H), 2.36 (s, 6H); MS (ESI): m/z = 311.4 [M+H].
Methyl( E )-3- hydroxy -3-(5-( trifluoromethyl )-2-(4-methylstyryl)phenyl)propanoate (2c): 일반적 절차 B에 따라, (E)-5-trifluoromethyl-2-(4-methylstyryl)benzaldehyde 1c (4.00 g, 13.78 mmol), 징크 (1.5eq, 1.35 g, 20.67 mmol), 및 methyl 2-bromoacetate (2.0 eq, 2.61 ml, 27.60 mmol)로부터, 2c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82% (4.12 g); 1H NMR (400 MHz, CDCl3) δ 7.86 (s, 1H) 7.66 (d, J = 8.31 Hz, 1H), 7.51 - 7.59 (m, 1H), 7.42 (m, J = 8.07 Hz, 2H), 7.30 (d, J = 15.89 Hz, 1H), 7.19 (m, J = 7.82 Hz, 2H), 7.02 (d, J = 15.89 Hz, 1H), 5.56 (dt, J = 8.13, 3.88 Hz, 1H), 3.73 (s, 3H), 3.47 (d, J = 3.18 Hz, 1H), 2.66 - 2.73 (m, 2H), 2.37 (s, 3H); MS (ESI): m/z = 365.4 [M+H].
일반적 절차 C - methyl (4- methylstyryl )phenyl) oxopropanoate derivatives 3a-c의 합성
다양한 methyl (4-methylstyryl)phenyl)propanoate 2a-c 및 Dess-Martin periodinane (1.3equiv)를 무수 클로로메탄에 녹이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퀀칭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었다(2회). 복합유기층은 브라인(brine)으로 세척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 여과 및 진공농축되어 졌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5%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엷은 황색 오일로 얻어졌다; 수율 86-90%;
Methyl ( E )-3-(5- Fluoro -2-(4- methylstyryl )phenyl)-3- oxopropanoate (3a): 일반적 절차 C에 따라, methyl (E)-3-hydroxy-3-(5-fluoro-2-(4-methylstyryl)phenyl)propanoate 유도체(2a) (4.00 g, 12.72 mmol) 및 Dess-Martin periodinane (1.3eq, 7.02g, 16.54 mmol)로부터, 3a을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87% (3.45 g); 1H NMR (400 MHz, CDCl3) δ 7.61 - 7.71 (m, 1H), 7.50 (d, J = 16.38 Hz, 1H), 7.40 (t, J = 8.44 Hz, 2H), 7.28 - 7.36 (m, 1H), 7.09 - 7.24 (m, 3H), 6.85 - 6.98 (m, 1H), 3.94 (s, 2H), 3.74 - 3.80 (m, 3H), 2.36 (s, 3H); MS (ESI): m/z = 313.4.
Methyl ( E )-3-(5-methyl-2-(4- methylstyryl )phenyl)-3- oxopropanoate (3b) : 일반적 절차 C에 따라, methyl (E)-3-hydroxy-3-(5-methyl-2-(4-methylstyryl)phenyl)propanoate 2b (4.00 g, 12.89 mmol) 및 Dess-Martin pe riodinane (1.3eq, 7.11g, 16.75 mmol)로부터, 3b을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86% (3.42 g); 1H NMR (400 MHz, CDCl3) δ 7.50 - 7.67 (m, 2H), 7.27 - 7.44 (m, 4H), 7.16 (d, J = 8.07 Hz, 2H), 6.83 - 7.05 (m, 1H), 3.97 (s, 2H), 3.73 - 3.80 (m, 3H), 2.40 (s, 3 H), 2.35 (s, 3 H); MS (ESI): m/z = 309.4.
Methyl ( E )-3-(5-( trifluoromethyl )-2-(4- methylstyryl )phenyl)-3-oxopropanoate (3c): 일반적 절차 C에 따라, methyl (E)-3-hydroxy-3-(5-fluoro-2-(4-methylstyryl)phenyl)propanoate derivatives 2c (4.00 g, 10.98 mmol) 및 Dess-Martin periodinane (1.3eq, 6.05 g, 14.27 mmol)로부터, 3c을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90% (3.58 g); 1H NMR (400 MHz, CDCl3) δ 7.70 - 7.89 (m, 2H), 7.66 (dd, J = 8.31, 1.96 Hz, 1H), 7.57 (d, J = 16.14 Hz, 1H), 7.35 - 7.48 (m, 2H), 7.19 (d, J = 7.82 Hz, 2H), 7.08 (dd, J = 16.14, 13.45 Hz, 1H), 3.99 (s, 2H), 3.74-3.82 (m, 3H), 2.38 (s, 3H); MS (ESI): m/z = 363.3.
일반적 절차 D - methyl hydroxy -2- naphthoate 유도체 4a-c:
다양한 methyl (4-methylstyryl)phenyl)oxopropanoate 3a-c를 무수 클로에탄에 녹였다. Palladium(II) trifluoroacetate (0.2equiv), copper(II) acetate (1.0equiv) 및 methyl acrylate (3.0equiv)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0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포화 염화 암모늄으로 퀀칭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었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0%~2%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백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90-95%;
Methyl 7- fluoro -1- hydroxy -2- naphthoate (4a): 일반적 절차 D에 따라, methyl (E)-3-(5-fluoro-2-(4-methylstyryl)phenyl)-3-oxopropanoate 3a (3.4g, 10.89 mmol), Palladium(II) trifluoroacetate (0.2eq, 0.72 g, 2.18 mmol), copper(II) acetate (1.0eq, 1.98 g, 10.89 mmol), 및 methyl acrylate (3.0 eq, 2.81 g, 32.70 mmol)로부터, 4a를 합성하였다; 백색 고체, 수율: 90%; 1H NMR (400 MHz, CDCl3) δ 11.91 (s, 1H), 8.01 (dd, J = 10.03, 2.69 Hz, 1H), 7.65 - 7.83 (m, 2H) 7.37 (td, J = 8.68, 2.69 Hz, 1H), 7.28 (d, J = 8.80 Hz, 1H), 4.01 (s, 3H); MS (ESI): m/z = 221.2.
Methyl 7-methyl-1- hydroxy -2- naphthoate (4b): 일반적 절차 D에 따라, methyl (E)-3-(5-methyl-2-(4-methylstyryl)phenyl)-3-oxopropanoate 3b (3.4g, 11.03 mmol), Palladium(II) trifluoroacetate (0.2eq, 0.73 g, 2.21 mmol), copper(II) acetate (1.0eq, 2.00 g, 11.03 mmol), 및 methyl acrylate (3.0eq, 2.85 g(2.94 ml), 33.10 mmol)로부터, 4b를 합성하였다; 백색 고체; 수율: 92%; 1H NMR (400 MHz, CDCl3) δ 11.95 (s, 1H), 8.19 (s, 1H), 7.67 (d, J = 8.31 Hz, 1H), 7.70 (d, J = 8.80 Hz, 1H), 7.44 (dd, J = 8.31, 1.71 Hz, 1H), 7.24 (d, J = 9.05 Hz, 1H), 4.00 (s, 3H), 2.54 (s, 3H); MS (ESI): m/z = 217.3.
Methyl 7-( trifluoromethyl )-1- hydroxy -2- naphthoate (4c): 일반적 절차 D에 따라, methyl (E)-3-(5-(trifluoromethyl)-2-(4-methylstyryl)phenyl)-3-oxopropanoate 3c (3.4g, 9.38 mmol), Palladium(II) trifluoroacetate (0.2eq, 0.62 g, 1.87 mmol), copper(II) acetate (1.0eq, 1.70 g, 9.38 mmol) 및 methyl acrylate (3.0eq, 2.42 g(2.50 ml), 28.20 mmol)로부터, 4C를 합성하였다; 백색 고체, 수율: 95%; 1H NMR (400 MHz, CDCl3) δ 12.07 (s, 1H), 8.72 (s, 1H), 7.82 - 7.95 (m, 2H), 7.76 (dd, J = 8.56, 1.71 Hz, 1H), 7.33 (d, J = 8.80 Hz, 1H), 4.02 (s, 3 H); MS (ESI): m/z = 271.3
일반적 절차 E - 1- hydroxy -2- naphthoic acid derivatives 5a-c의 합성:
다양한 methyl hydroxy-2-naphthoate 4a-c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이고, 25℃에서 10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과량 첨가하고 9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식힌 후, 6N 염산 용액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디클로로메탄올/메탄올 (10%~30%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95-98%;
7- Fluoro -1- hydroxy -2- naphthoic acid (5a): 일반적 절차 E에 따라, methyl 7-fluoro-1-hydroxy-2-naphthoate 4a (2.1g, 9.54 mmol) 및 과량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부터, 5a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95%; 1H NMR (400 MHz, CDCl3) δ 7.26 - 7.35 (m, 1H), 7.40 (td, J = 8.68, 2.69 Hz, 1H), 7.77 - 7.89 (m, 2H), 7.93 (dd, J = 10.27, 2.45 Hz, 1H); MS (ESI): m/z = 207.18.
7-Methyl-1- hydroxy -2- naphthoic acid (5b): 일반적 절차 E에 따라, methyl 7-methyl-1-hydroxy-2-naphthoate 4b (2.1g, 9.71 mmol) 및 과량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부터, 5b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97%; 1H NMR (400 MHz, CDCl3) δ 7.20 - 7.27 (m, 1H), 7.44 (dd, J = 8.38, 1.41 Hz, 1H), 7.70 (d, J = 8.44 Hz, 1H), 7.75 (d, J = 8.80 Hz, 1H), 8.13 (s, 1 H); MS (ESI): m/z = 203.21.
7-( Trifluoromethyl )-1- hydroxy -2- naphthoic acid (5c): 일반적 절차 E에 따라, methyl 7-(trifluoromethyl)-1-hydroxy-2-naphthoate 4c (2.1g, 7.77 mmol) 및 과량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부터, 5c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98%; 1H NMR (400 MHz, CDCl3) δ 7.24 - 7.33 (m, 1 H), 7.38 (td, J = 8.68, 2.69 Hz, 1H), 7.75 - 7.87 (m, 2H), 7.91 (dd, J = 10.27, 2.45 Hz, 1H); MS (ESI): m/z = 257.18.
일반적 절차 F - methyl 1,4- dihydroxy -2- naphthoate derivatives 6a-c의 합성:
다양한 1-hydroxy-2-naphthoic acid 5a-c를 10%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 1,4dioxane 혼합 용액에 녹였다. 이것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potassium persulfate (1.5당량) 수용액을 천천히 4~5시간 동안 상기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20℃에서 밤새도록 연속적으로 교반되었다.
6N 염산 용액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상기 건조물은 N,N-dimethyl-formamide, 3.0 당량 potassium hydrogencarbonate에 녹였다. 이것을 40℃ 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3.0 당량 Iodomethane 첨가되고, 40℃에서 밤새도록 교반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디클로로메탄올/메탄올 (10%~30%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상기 반응물은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퀀칭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었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 건조한 후,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10%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엷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80-82%.
Methyl 7- fluoro -1,4- dihydroxy -2- naphthoate (6a): 일반적 절차 F에 따라, 7-fluoro-1,4-dihydroxy-2-naphthoic acid 5a (6.5 mmol)로부터, 6a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1%; 1H NMR (400 MHz, CDCl3) δ 11.61 (s, 1H), 8.71 (s, 1H), 8.27 (d, J = 8.80 Hz, 1H), 7.81 (dd, J = 8.93, 1.59 Hz, 1H), 7.23 (s, 1H), 5.19 (s, 1H), 4.01 (s, 3H); MS (ESI): m/z =237.2.
Methyl 7-methyl-1,4- dihydroxy -2- naphthoate (6b): 일반적 절차 F에 따라, 7-methyl-1,4-dihydroxy-2-naphthoic acid 5b (6.4 mmol)로부터, 6b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0%; 1H NMR (400 MHz, CDCl3) δ 11.54 (s, 1H), 8.18 (s, 1H), 8.02 (d, J = 8.56 Hz, 1H), 7.49 (dd, J = 8.44, 1.59 Hz, 1H), 7.04 (s, 1H), 4.84 (s, 1H), 3.98 (s, 3H), 2.55 (s, 3H); MS (ESI): m/z = 233.2.
Methyl 7-( trifluoromethyl )-1,4- dihydroxy -2-2- naphthoate (6c): 일반적 절차 F에 따라, 7-(trifluoromethyl)-1,4-dihydroxy-2-naphthoic acid 5c (5.14 mmol)로부터, 6a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2%; 1H NMR (400 MHz, CDCl3) δ 11.60 (s, 1H), 8.70 (s, 1H), 8.26 (d, J = 8.56 Hz, 1H), 7.72 - 7.84 (d, J = 8.56 Hz, 1H), 7.22 (s, 1H), 5.24 (s, 1H), 4.00 (s, 3H); ; MS (ESI): m/z = 286.2.
일반적 절차 G - methyl 6- hydroxy -2H- benzo[h]chromene -5- carboxylate derivatives 7a-c의 합성:
다양한 methyl 1,4-dihydroxy-2- naphthoate 유도체 6a-c, phenylboronic acid (2.0 당량), glacial acetic acid (5.0 당량), 및 3-methylbut-2-enal (3.0 당량)을 무수 톨루엔에 녹이고 딘스타크 트랩(Dean-Stark trap)을 설치한 장치에서 질소 가스 하 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냉각,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퀀칭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 건조,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20% 6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엷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63-66%;
Methyl 8-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7a): 일반적 절차 G에 따라, methyl 7-fluoro-1,4-dihydroxy-2-naphthoate 6a (1.19 g, 5.04 mmol), phenylboronic acid (1.23 g, 10.08 mmol), glacial acetic acid (1.51 g, 25.20 mmol), 및 3-methylbut-2-enal (1.27 g, 15.11 mmol)로부터, 7a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63%; 1H NMR (400 MHz, CDCl3) δ 12.10 (s, 1H), 8.16 (d, J = 8.56 Hz, 1H), 7.39 (td, J = 8.07, 4.65 Hz, 1H), 7.22 (ddd, J = 12.72, 7.70, 1.10 Hz, 1H), 7.05 (d, J = 10.03 Hz, 1H), 5.67 (d, J = 10.03 Hz, 1H), 4.03 (s, 3H), 1.51 (s, 6H); MS (ESI): m/z = 303.29
Methyl 6- hydroxy -2,2,8- tr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 carboxylate (7b): 일반적 절차 G에 따라, methyl 7-methyl-1,4-dihydroxy-2-naphthoate 6b, (1.19 g, 5.12 mmol), phenylboronic acid (1.29 g, 10.25 mmol), glacial acetic acid (1.25 g, 25.60 mmol), 및 3-methylbut-2-enal (1.29 g, 15.37 mmol)로부터, 7b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65%; 1H NMR (400 MHz, CDCl3) δ 12.13 (s, 1H), 8.14 (s, 1H), 8.07 (d, J = 8.56 Hz, 1H), 7.39 - 7.52 (d, J = 8.56 Hz, 1H), 7.10 (d, J = 10.03 Hz, 1H), 5.65 (d, J = 10.03 Hz, 1H), 4.01 (s, 3H), 2.53 (s, 3H), 1.48 (m, 6H); MS (ESI): m/z = 299.3.
Methyl 6- hydroxy -2,2- dimethyl -8-( trifluoro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7c): 일반적 절차 G에 따라, methyl 7-(trifluoromethyl) -1,4-dihydroxy-2-2-naphthoate 6c, (1.19 g, 4.16 mmol), phenylboronic acid (1.01 g, 8.32 mmol), glacial acetic acid (1.25 g, 20.79 mmol), 및 3-methylbut-2-enal (1.05 g, 12.48 mmol)로부터, 7c를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66%; 1H NMR (400 MHz, CDCl3) δ 12.21 (s, 1H), 8.67 (s, 1H), 8.27 (d, J = 8.80 Hz, 1H), 7.75 (dd, J = 8.80, 1.71 Hz, 1H), 7.13 (d, J = 10.03 Hz, 1H), 5.74 (d, J = 10.03 Hz, 1H), 4.04 (s, 3H), 1.50 (s, 6H); MS (ESI): m/z = 353.3.
일반적 절차 H - 2- morpholinoethyl -6- hydroxy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derivatives (8a-c)의 합성:
다양한 methyl 6-hydroxy-2H-benzo[h]chromene-5-carboxylate (7a-c), sodium methoxide (2.0 당량) 및 2-morpholinoethanol (7.0 당량)을 무수 톨루엔에 녹이고 마이크로웨이브 캐비티 상에 위치된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첨가하였고, 15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되어 졌다. 냉각 후, 1.0 당량의 6N 염산용액을 적가하여 중화하고, 상기 혼합물은 진공농축 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30%~100% 20분 동안)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엷은 황색 오일로 얻어졌다. 수율 40-45%;
2- Morpholinoethyl 8-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8a): 일반적 절차 H에 따라, methyl 8-fluoro-6-hydroxy-2,2-d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7a, (0.90 g, 2.98 mmol), Sodium methoxide (2.0eq, 0.32 g, 5.95 mmol) 및 2-morpholinoethanol (2.73 g, 20.84 mmol)로부터, 8a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40%; 1H NMR (400 MHz, CDCl3) δ 11.46 (s, 1H), 8.15 (d, J = 8.31 Hz, 1H), 7.38 (td, J = 8.01, 4.77 Hz, 1H), 7.15 - 7.24 (m, 1H), 7.08 (d, J = 10.03 Hz, 1H), 5.66 (d, J = 10.03 Hz, 1H), 4.56 (t, J = 5.50 Hz, 2H), 3.76 (t, J = 4.40 Hz, 4H), 2.79 (t, J = 5.62 Hz, 2H), 2.59 (s, 4H), 1.50 (s, 6H); MS (ESI): m/z = 402.1.
2- Morpholinoethyl 6- hydroxy -2,2,8- tr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8b): 일반적 절차 H에 따라, methyl 6-hydroxy-2,2,8-tri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7b, (0.90 g, 3.02 mmol), Sodium methoxide (0.33 g, 6.05 mmol) 및 2-morpholinoethanol (2.77 g, 21.12 mmol)로부터, 8b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41%; 1H NMR (400 MHz, CDCl3) δ 8.14 (s, 1H), 8.07 (d, J = 8.56 Hz, 1H), 7.48 (dd, J = 8.44, 1.34 Hz, 1H), 6.93 (d, J = 10.03 Hz, 1H), 5.65 (d, J = 10.03 Hz, 1H), 4.81 - 4.91 (m, 2H), 3.97 (d, J = 4.16 Hz, 4H), 3.68 (s, 2H), 3.47 - 3.58 (m, 4H), 2.54 (s, 3H), 1.47 (s, 7H); MS (ESI): m/z = 398.5.
2- Morpholinoethyl 6- hydroxy -2,2- dimethyl -8-( trifluoromethyl )-2 H -benzo[ h ]chromene-5-carboxylate (8c): 일반적 절차 H에 따라, methyl 6-hydroxy-2,2-dimethyl-8-(trifluoromethyl)-2H-benzo[h]chromene-5-carboxylate 7c, (0.90 g, 2.55 mmol), sodium methoxide (0.28 g, 5.11 mmol) 및 2-morpholinoethanol (2.35 g, 17.88 mmol)로부터, 8c를 합성하였다. 황색 오일, 수율: 45%; 1H NMR (400 MHz, CDCl3) δ 8.65 (s, 1H), 8.26 (d, J = 8.80 Hz, 1H), 7.73 (dd, J = 8.68, 1.59 Hz, 1H), 7.17 (d, J = 10.03 Hz, 1H), 5.73 (d, J = 10.03 Hz, 1H), 4.58 (t, J = 5.62 Hz, 2H), 3.71 - 3.84 (m, 4H), 2.80 (t, J = 5.62 Hz, 2H), 2.53 - 2.66 (m, 4H), 1.50 (s, 6H); MS (ESI): m/z = 452.4.
8a 및 8b의 합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1
시약 및 조건: (a) oxalyl chloride; (b) HN(Et)2; (c) BuLi, DMF; (d) 18-crown ether, KCN, TMSC; (e) methyl acrylate, LiOtBu, THF, 8h; (f) PhB(OH)2, AcOH, 톨루엔, 130℃, 6h; (g) 2-morpholinoethan-1-ol, CH3ONa, 톨루엔, 마이크로웨이브 (150℃, 1h); (h) 1-methylpiperidin-4-ol, CH3ONa, 톨루엔, 마이크로웨이브 (150 ℃, 1h);
2- Bromo - N , N -diethyl- fluorobenzamide (10a-b): 벤조산(9, 2.19g, 10mmol)을 CH2Cl2 (20mL)에 현탁하고, 주사기로 SOCl2 (5mL)를 첨가하였다. DMF (3방울)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감압건조하여 농축하였다. 생성된 염화산물을 CH2Cl2 (30mL)에 녹이고 얼음 욕조에서 냉각하였다. Diethylamine (2.58 ml, 25mmol)을 적가하고 얻어진 무색 현탁액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브라인(80ml) 및 CH2Cl2 (50mL) 첨가 후, 유기층을 나누고, 브라인으로 세척, MgSO4으로 건조,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diethylamide를 얻고,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얻었다.
2- Bromo - N,N -diethyl-4- fluorobenzamide (10a): 수율: 94%; 1H NMR (400 MHz, CDCl3) δ 7.32 (dd, J = 8.3, 2.5 Hz, 1H), 7.26 - 7.22 (m, 1H), 7.08 (td, J = 8.3, 2.4 Hz, 1H), 3.82 (dd, J = 13.7, 7.0 Hz, 1H), 3.33 (dd, J = 13.7, 6.9 Hz, 1H), 3.14 (dq, J = 9.9, 7.2 Hz, 2H), 1.27 (t, J = 7.1 Hz, 3H), 1.07 (t, J = 7.1 Hz, 3H); MS(ESI) [M+H]+ = 274.
2- Bromo - N , N -diethyl-5- fluorobenzamide (10b): 수율: 97%; 1H NMR (400 MHz, CDCl3) δ 7.53 (m, 1H), 7.00-6.95 (m, 2H), 3.82 (q, J = 6.8 Hz, 1H), 3.33 (q, J = 7.2 Hz, 1H), 3.20-3.12 (m, 2H), 1.27 (t, J = 6.8 Hz, 3H), 1.09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7.0 (d, J = 1.0 Hz), 161.7 (d, J = 247 Hz), 140.3 (d, J = 7.0 Hz), 134.3 (d, J = 8.0 Hz), 117.2 (d, J = 22 Hz), 114.7 (d, J = 24 Hz), 113.5 (d, J = 3.0 Hz), 42.7, 39.0, 13.8, 13.6; MS(ESI) [M+H]+ = 274.
N,N -Diethyl-5- fluoro - formylbenzamide (11a-b): -78℃ 건조 THF (30 mL) 중의 아마이드 (2.5 g, 9.1 mmol) 용액에, BuLi (11.85 mL, 1.6 M, 11.83 mmol)를 적가하였다. 얻어진 엷은 황색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 (2.5eq)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이상 천천히 데우기 전에,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NH4Cl (50 mL) 포화 용액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퀀칭하고, CH2Cl2 (3 × 35 mL)으로 추출하였다. 복합 유기 상을 무수 Na2SO4으로 건조,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황색 원유을 얻었다. 상기 원유를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N,N -Diethyl-4- fluoro -2- formylbenzamide (11a): 수율= 74%; 1H NMR (400 MHz, CDCl3) δ 10.02 (s, 1H), 7.68 - 7.60 (m, 1H), 7.43 - 7.30 (m, 2H), 3.62 (q, J = 7.1 Hz, 2H), 3.14 (q, J = 7.1 Hz, 2H), 1.31 (t, J = 7.1 Hz, 3H), 1.06 (t, J = 7.1 Hz, 3H); MS(ESI) [M+H]+ = 224.
N,N -Diethyl-5- fluoro -2- formylbenzamide (11b): 수율= 42%; 1H NMR (400 MHz, CDCl3) δ 10.37 (s, 1H), 7.62 (dd, J = 5.2, 3.2 Hz, 1H), 7.20 (dd, J = 8.8, 5.6 Hz, 2H), 7.10 (d, J = 7.6 Hz, 1H), 3.60 (q, J = 7.2 Hz, 2H), 3.08 (q, J = 7.2 Hz, 2H), 1.33 ( t, J = 7.2 Hz, 3H), 1.03 (t, J = 7.2 Hz); 13C NMR (100 MHz, CDCl3) δ 186.6 (d, J = 8.0 Hz), 168.2 (d, J = 3 Hz), 164.7 (d, J = 259 Hz), 139.6, 136.1 (d, J = 10 Hz), 122.9 (d, J = 4.0 Hz), 120.9 (d, J = 8.0 Hz), 116.7 (d, J = 21 Hz), 42.6, 38.9, 13.6, 12.2; MS(ESI) [M+H]+ = 224.
Fluoro -3- oxo -1,3- dihydroisobenzofuran -1- carbonitrile (12a-b): 0-5 ℃ CH2Cl2 (20 mL) 중의 formylarylamide (0.85 g, 4.80 mmol) 용액에 18-crown-6 (127 mg, 0.48 mmol) 및 KCN (31 mg, 0.48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후, TMSCN (667 mg, 6.7 mmol)를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에 AcOH (5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100 mL) 용액에 천천히 교반하면서 부었다. 30분 후(더 이상 가스발생 없음), 유기물들을 ethyl acetate (50 ml)를 사용하여 추출, 브라인으로 세척, MgSO4으로 건조, 여과, 및 감압건조 하였다. 조생성물을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얻었다.
6- Fluoro -3- oxo -1,3- dihydroisobenzofuran -1- carbonitrile (12a): 수율= 75%; 1H NMR (400 MHz, CDCl3) δ 8.01 (m, 1H), 7.45 - 7.40 (m, 2H), 6.08 (s, 1H); MS(ESI) [M+H]+ = 178.
5- Fluoro -3- oxo -1,3- dihydroisobenzofuran -1- carbonitrile (12b): 수율= 42%;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 J = 7.7 Hz, 1H), 7.76 (m, 1H), 7.5 (m, 1H), 6.17 (s,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66.2 (d, J = 2.0 Hz), 156.8 (d, J = 255 Hz), 134.2 (d, J = 6.0 Hz), 127.8 (d, J = 17 Hz), 127.3 (d, J = 3.0 Hz), 122.6 (d, J = 4.0 Hz), 122.4 (d, J = 18 Hz), 112.5, 63.1; MS(ESI) [M+H]+ = 178.
*Methyl fluoro -1,4- dihydroxy -2- naphthoate (13a-b). 비활성기체 하에서, - 60℃ 건조 THF (10 mL) 중의 phthalide (0.35g, 2.0 mmol)의 교반되어진 용액으로 LiOtBu (6ml. 1M in THF, 6.0 mmo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건조 THF (10 mL) 중의 methyl acrylate (0.362 mL, 4.0 mmol) 용액을 첨가한 후,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30분 더 교반하고 뒤이어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ammonium chloride 용액 (20 mL)으로 퀀칭하였고, THF를 감압증발 시켰다. 그리고 상기 잔류물을 ethyl acetate (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상기 복합 추출물을 브라인으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조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 화합물을 얻었다.
Methyl 6- fluoro -1,4- dihydroxy -2- naphthoate (13a): 수율= 56%; 1H NMR (400 MHz, CDCl3) δ 11.59 (s, 1H), 8.40 (dd, J = 9.2, 5.7 Hz, 1H), 7.31 (dd, J = 10.2, 2.6 Hz, 1H), 7.31 (td, J = 8.7, 2.6 Hz, 1H), 7.13 (s, 1H), 4.97 (s, 1H), 3.98 (s, 3H); MS(ESI) [M+H]+ = 237.1.
Methyl 7- fluoro -1,4- dihydroxy -2- naphthoate (13b): 수율= 95%; 1H NMR (400 MHz, CDCl3) δ 9.80 (s, 1H), 8.08 (d, J = 8.0 Hz, 1H), 7.56 (d, J = 4.4 Hz, 2H), 7.40 (m, 1H), 7.14 (s, 1H), 3.96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70.5, 158.8 (d, J = 255 Hz), 152.0 (d, J = 4.0 Hz), 145.3 (d, J = 3.0 Hz), 127.9 (d, J = 4.0 Hz), 127.3 (d, J = 9.0 Hz), 120.4, 119.9 (d, J = 5.0 Hz), 119.0, 115.0 (d, J = 21 Hz), 106.4 (d, J = 9 Hz), 53.2; MS(ESI) [M+H]+ = 237.
Methyl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14a-b). 톨루엔 (30 mL) 중의 phenylboronic acid (0.207 g, 1.7 mmol), methyl-naphthoate (13a-b, 0.4g, 1.7 mmol), 및 3-methyl-2-butenal (1.63 ml, 17 mmol)의 혼합물에 빙초산(3 mL)을 첨가하고 딘스타크 트랩 설치된 장치에서 1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sodium bicarbonate (30 mL)을 첨가하여 퀀칭하고 유기물을 ethyl acetate (30 mL × 3)로 추출하였다. 복합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 MgSO4으로 건조, 여과, 및 진공 증발시켰다. 실리카겔 상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원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Methyl 9-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14a): 수율= 71%; 1H NMR (400 MHz, CDCl3) δ 12.23 (s, 1H), 8.37 (dd, J = 9.05, 5.62 Hz, 1H), 7.75 (dd, J = 10.51, 2.45 Hz, 1H), 7.18 - 7.32 (m, 1H), 7.11 (d, J = 10.03 Hz, 1H), 5.70 (d, J = 10.03 Hz, 1H), 4.02 (s, 3H), 1.48 (s, 6H); MS(ESI) [M+H]+ = 303.
Methyl 8-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14b): 수율= 68%; 1H NMR (400 MHz, CDCl3) δ 12.09 (s, 1H), 8.14 (d, J = 8.0 Hz, 1H), 7.36 (m, 1H), 7.20 (m, 1H), 7.02 (d, J = 10 Hz, 1H), 5.64 (d, J = 10 Hz, 1H), 4.00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72.1, 158.8 (d, J = 257 Hz), 155.5 (d, J = 4.0 Hz), 141.3 (d, J = 5.0 Hz), 129.1 (d, J = 1.0 Hz), 127.5 (d, J = 4.0 Hz), 126.2 (d, J = 9.0 Hz), 122.0, 120.0 (d, J = 5.0 Hz), 119.1 (d, J = 10 Hz), 115.3 (d, J = 22 Hz), 114.1 (d, J = 2.0 Hz), 103.2, 74.5, 52.5, 26.6; MS(ESI) [M+H]+ = 303.
Aminoalkyl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8a-c): 불소화 몰루긴(14a-b, 302 mg, 1.0 mmol), 아미노알킬알코올 (7.0 mmol), NaOMe (27 mg, 0.5 mmmol), 및 톨루엔 (5ml)을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담았다. 밀봉 후, 마이크로웨이브 캐비티에 위치시키고, 150℃에서 75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및 1 당량 농도 HCl을 첨가하여 중화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회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hexane/ethyl acetate를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30% 내지 100% 20분)로 표제의 생성물을 얻었다.
2- Morpholinoethyl 9-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8a): 수율= 55%; 1H NMR (400 MHz, CDCl3) δ 8.37 (dd, J = 9.05, 5.62 Hz, 1H), 7.75 (dd, J = 10.27, 2.45 Hz, 1H), 7.22 - 7.32 (m, 2H), 6.95 (d, J = 9.78 Hz, 1H), 5.71 (d, J = 10.03 Hz, 1H), 4.81 - 4.93 (m, 2H), 3.98 (d, J = 4.40 Hz, 4H), 3.33 - 3.57 (m, 2H), 2.6 (d, J=4.40 Hz, 4H), 1.48 (s, 6H); MS(ESI) [M+H]+ = 402.
2- Morpholinoethyl 8-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 benzo[ h ]chromene -5-carboxylate (8b): 수율= 59%; 1H NMR (400 MHz, CDCl3) δ 11.46 (s, 1H), 8.15 (d, J = 8.4 Hz, 1H), 7.38 (m, 1H), 7.20 (m, 1H), 7.08 (d, J = 10 Hz, 1H), 5.66 (d, J = 10 Hz, 1H), 4.56 (t, J = 5.6 Hz, 2H), 3.76 (t, J = 4.4 Hz, 4H), 2.79 (t, J = 5.6 Hz, 2H), 2.59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69.8, 158.9 (d, J = 257 Hz), 153.1 (d, J = 4.0 Hz), 141.3 (d, J = 5.0 Hz), 129.28, 127.6 (d, J = 4.0 Hz), 126.1 (d, J = 8.0 Hz), 121.7, 119.9 (d, J = 5.0 Hz), 118.8 (d, J =10 Hz), 114.8 (d, J = 21 Hz), 114.3, 104.9, 74.8, 66.8, 61.6, 56.5, 53.5, 26.7; MS(ESI) [M+H]+ = 402.
1- Methylpiperidin -4- yl 9- fluoro -6- hydroxy -2,2- dimethyl -2 H -benzo[ h ]chromene-5-carboxylate (8c): 1H NMR (400 MHz, CDCl3) δ 8.39 (dd, J = 9.29, 5.62 Hz, 1H), 7.67 - 7.82 (m, 1H), 7.26 (m, 1 H), 6.97 (d, J = 10.03 Hz, 1H), 5.64 - 5.78 (m, 1H), 5.54 (s, 1H), 2.83 (s, 3H), 2.46 (d, J = 14.43 Hz, 1H), 2.39 (s, 1H), 2.27 (d, J = 16.38 Hz, 2H), 1.91 (m, 4H), 1.52 (s, 6H); MS(ESI) [M+H]+ = 386.
17a-d의 합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2
스킴 3. 시약 및 조건: (a) acetic acid, 70% nitric acid (1:1 v/v), acentonitrile, 0 ℃ to room temp., 2 h, 수율: 56-60%; (b) 10% Pd/C, H2 gas ethanol and ethyl acetate (1:5 v/v), 2 h, 수율: 79-85%
일반적 절차 I - methyl 1- hydroxy -4-nitro-2- naphthoate (16a-d)의 합성
다양한 methyl hydroxy-2-naphthoate 15a-c을 아세토니트릴에 녹이고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아세트산 및 질산 (1:1 부피 혼합)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 후 2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sodium hydrogen carbonate 포화액으로 퀀칭되고 dichlrormethane으로 추출되었다(2회). 복합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및 진공농축되었다. 생성물은, haxanes/ethyl acetate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10 % 내지 50% 60분)에 의해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56-60%;
Methyl 1- hydroxy -4-nitro-2- naphthoate (16a):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Methyl 1- hydroxy -7- fluoro -4-nitro-2- naphthoate (16b): 일반적 절차 I을 따라, methyl 7-fluoro-1-hydroxy-2-naphthoate 15b (0.2g, 0.908 mmol)과 과량의 아세트산 및 질산(1:1 부피 혼합)으로부터 16b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56%; 1H NMR (400 MHz, CDCl3) δ 12.59 (s, 1H), 8.69 - 8.90 (m, 2H), 8.14 (dd, J = 9.41, 2.81 Hz, 1H), 7.61 (ddd, J = 9.54, 7.83, 2.69 Hz, 1H), 4.08 (s, 3H); MS (ESI): m/z = 262.3.
*Methyl 1- hydroxy -7-methyl-4-nitro-2- naphthoate (16c): 일반적 절차 I을 따라, methyl 7-methyl-1-hydroxy-2-naphthoate 15c (0.2g, 0.925 mmol)과 과량의 아세트산 및 질산(1:1 부피 혼합)으로부터 16c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60%; 1H NMR (400 MHz, CDCl3) δ 12.58 (s, 1H), 8.72 - 8.84 (m, 1H), 8.66 (d, J = 8.80 Hz, 1H), 8.31 (s, 1H), 7.69 (d, J = 7.58 Hz, 1H), 4.06 (s, 3H), 2.58 (s, 3H); MS (ESI): m/z = 266.2.
Methyl 1- hydroxy -4-nitro-7-( trifluoromethyl )-2- naphthoate (16d): 일반적 절차 I을 따라, methyl 7-(trifluoromethyl)-1-hydroxy-2-naphthoate 15d (0.2g, 0.925 mmol)과 과량의 아세트산 및 질산(1:1 부피 혼합)으로부터 16d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58%; 1H NMR (400 MHz, CDCl3) δ 8.90 - 9.06 (m, 2H), 8.86 (s, 1H), 7.99 - 8.10 (m, 1H), 4.11 (s, 3H); MS (ESI): m/z = 316.3.
일반적 절차 J - methyl 1- hydroxy -4-amino-2- naphthoate (17a-d)의 합성
다양한 methyl 1-hydroxy-4-nitro-2-naphthoate 16a-d을 메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이고 10% 탄소상 팔라듐 및 수소 가스에서 환원 반응이 행하여졌다. 탄소상 팔라듐은 셀라이트에 여과되어졌다. 유기층은 진공 농축되었다. 생성물은 dichloromethanol/methanol을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10%~30% 60분)에 의해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79-85%
Methyl 4-amino-1- hydroxy -2- naphthoate (17a): 일반적 절차 J에 따라, methyl 1-hydroxy-4-nitro-2-naphthoate 16a (0.1g, 0.401 mmol)으로부터, 일반적인 팔라듐 환원반응에 의해, 17a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6%; 1H NMR (400 MHz, CDCl3) δ 11.45 (s, 1H), 8.43 (dd, J = 8.31, 0.73 Hz, 1H), 7.82 (d, J = 8.31 Hz, 1H), 7.64 (ddd, J = 8.31, 6.85, 1.47 Hz, 1H), 7.50 - 7.59 (m, 1H), 7.09 (s, 1H), 3.98 (s, 3H); MS (ESI): m/z = 220.2.
Methyl 4-amino-1- hydroxy -7- fluoro -2- naphthoate (17b): 일반적 절차 J에 따라, methyl 1-hydroxy-7-fluoro-4-nitro-2-naphthoate 16b (0.1g, 0.374 mmol)으로부터, 일반적인 팔라듐 환원반응에 의해, 17b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79%; 1H NMR (400 MHz, CDCl3) δ 8.00 (d, J = 10.03 Hz, 1H), 7.83 (dd, J = 9.05, 5.14 Hz, 1H), 7.32 - 7.47 (m, 1H), 7.05 (s, 1H), 3.97 (s, 3H); MS (ESI): m/z = 238.3.
Methyl 4-amino-1- hydroxy -7-methyl-2- naphthoate (17c): 일반적 절차 J에 따라, methyl 1-hydroxy-7-methyl-4-nitro-2-naphthoate 16c (0.1g, 0.380 mmol)으로부터, 일반적인 팔라듐 환원반응에 의해, 17c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5%; 1H NMR (400 MHz, CDCl3) δ 11.44 (s, 1H), 8.22 (s, 1H), 7.73 (d, J = 8.56 Hz, 1H), 7.48 (dd, J = 8.50, 1.65 Hz, 1H), 7.03 (s, 1H), 3.98 (s, 1H), 2.56 (s, 1H); MS (ESI): m/z = 235.3.
Methyl 4-amino-1- hydroxy -7-( trifluoromethyl )-2- naphthoate (17d): 일반적 절차 J에 따라, methyl 1-hydroxy-4-nitro-7-(trifluoromethyl)-2-naphthoate 16d (0.1g, 0.315 mmol)으로부터, 일반적인 팔라듐 환원반응에 의해, 17d을 합성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84%; 1H NMR (400 MHz, CDCl3) δ 8.74 (s, 1H), 7.94 (d, J = 8.80 Hz, 1H), 7.80 (dd, J = 8.80, 1.71 Hz, 1H), 7.22 (s, 1H), 4.01 (s, 3H); MS (ESI): m/z = 288.2.
18의 합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3
스킴 3. 시약 및 조건: (a) CuCl, 3-chloro-3-methylbut-1-yne, 톨루엔, 120 ℃, 5 h, 수율: 37%
Methyl 6- hydroxy -2,2- dimethyl -1,2- dihydrobenzo[ h ]quinoline -5-carboxylate (18): methyl 4-amino-1-hydroxy-2-naphthoate (17a), 3-chloro-3-methylbut-1-yne 및 copper(I) chloride를 톨루엔에 녹이고 120℃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sodium hydrogen carbonate 포화수로 퀀칭하고 디클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회). 복합 유기층은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및 진공 농축되었다. 생성물은 haxanes/ethyl acetate을 사용한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10 % 내지 50% 60분)에 의해 정제되었다. 생성물은 황색 고체로 얻어졌다. 수율 37%; 1H NMR (400 MHz, CDCl3) δ 11.93 (s, 1H), 8.30 - 8.48 (m, 1H), 7.75 (d, J = 8.56 Hz, 1H), 7.57 (td, J = 7.70, 1.22 Hz, 1H), 7.43 - 7.54 (m, 1H), 7.05 (d, J = 9.78 Hz, 1H), 5.54 (d, J = 9.78 Hz, 1H), 3.99 (s, 3H), 1.34 (s, 6H); MS (ESI): m/z = 284.3.
19-21의 합성
Figure 112020038038402-pat00014
스킴 3. 시약 및 조건: (a) LiOH (3 eq), THF:Water=1:1, 실온, 4h, 수율: 4~5%; (b) NaH (1eq), MeI (1.5eq), DMF, 실온, 1h, 수율:12~18%; (c) p-TsOH (0.1eq), 4-2-hydroxyethylmorpholine (10eq), 톨루엔, microwave (160 ℃, 3h)
4-Amino-1- hydroxy -2- naphthoic acid (19): THF (2.5 ml) 중의 lithium hydroxide (0.033 g, 1.381 mmol) 및 methyl 4-amino-1-hydroxy-2-naphthoate (0.1 g, 0.460 mmol)과 물 (2.5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은 얼음물에 의해 퀀칭되었다. 차가운 수성층은 1N HCl으로 산성화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되고, 소금물로 세척, Na2SO4으로 건조,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4 mg, 5%). 1H NMR (400 MHz, CDCl3) δ 8.13 (d, J = 8 Hz, 2H), 7.81 (t, J = 8 Hz, 1H), 7.73 (t, J = 8 Hz, 1H), 7.35 (s, 1H), 6.37 (s, 1H); MS(ESI) [M+H]+ = 204.
Methyl 1- hydroxy -4-( methylamino )-2- naphthoate (20a) 및 Methyl 4-(dimethylamino)-1-hydroxy-2-naphthoate (20b): DMF (4.60 ml) 중의 iodomethane (0.043 ml, 0.691 mmol), methyl 4-amino-1-hydroxy-2-naphthoate (0.1 g, 0.460 mmol), 및 sodium hydride (0.011 g, 0.460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NH4Cl의 퀀칭되고 유기층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었다. 상기 유기층은 브라인으로 세척, MgSO4으로 건조, 여과 및 진공증발되어졌다.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원하는 생성물 20a (13 mg, 12%)과 20b (20 mg, 17%)을 얻었다. 20a: 1H NMR (400 MHz, CDCl3) δ 11.47 (s, 1H), 8.44 (dd, J = 4, 8 Hz, 1H), 7.80 (d, J = 8 Hz, 1H), 7.62 (dd, J = 4, 8 Hz, 1H), 7.55 (dd, J = 4, 8 Hz, 1H), 6.85 (s, 1H), 4.00 (s, 3H), 3.00 (s, 3H); MS(ESI) [M+H]+ = 232. 20b: 1H NMR (400 MHz, CDCl3) δ 11.73 (s, 1H), 8.43 (d, J = 8 Hz, 1H), 8.21 (d, J = 8 Hz, 1H), 7.64 (t, J = 4 Hz, 1H), 7.54 (t, J = 4 Hz, 1H), 7.36 (s, 1H), 4.00 (s, 3H). 2.83 (s, 6H); MS(ESI) [M+H]+ = 246
2- Morpholinoethyl 4-( dimethylamino )-1- hydroxy -2- naphthoate (21): 톨루엔 (2.039 ml) 중의 4-2-Hydroxyethylmorpholine (0.248 ml, 2.039 mmol), Methyl 4-(dimethylamino)-1-hydroxy-2-naphthoate (0.05 g, 0.204 mmol), 및 p-톨루엔sulfonic acid monohydrate (3.88 mg, 0.020 mmol)을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넣었다. 밀봉 후, 마이크로웨이브 캐비티 상에 위치시키고 1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실리카겔 속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원하는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24 mg, 34%). 1H NMR (400 MHz, CDCl3) δ 8.52 (d, J = 8 Hz, 1H), 8.22 (d, J = 8 Hz, 1H), 7.84 (t, J = 8 Hz, 1H), 7.78 (s, 1H), 7.70 (t, J = 8 Hz, 1H), 4.87 (t, , J = 8 Hz, 2H), 4.03-4.08 (m, 4H), 3.99 (d, , J = 8 Hz, 2H), 3.76-3.79 (m. 4H), 3.13 (s, 6H); MS(ESI) [M+H]+ = 345.
실험예
토파시티닙과 몰루긴 유도체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능평가
도 1에는 몰루긴 유도체들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1에 확인할 수 있듯이, 자유라디칼 소거에 있어서, DPPH의 처리에 따른 몰루긴 및 그의 유도체가 JAK 저해제로 사용되는 토파시티닙 보다 현저히 좋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몰루긴 및 몰루긴 유도체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으나, 토파시티닙의 항산화 효과는 다소 미약하며 5-ASA 은 20mM로 처리한 농도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인 반면, 고농도인 200mM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Mollugin 유도체의 IL-6 억제에 따른 JAK -STAT 유전자발현과 단백질의 발현 양상
IL-6로 유도된 JAK-STAT 세포신호전달에서 JAK 저해제, 몰루긴 및 몰루긴 유도체들의 활성능 평가하였고, 결과는 도 2와 같았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JAK-STAT signaling에서 Down-signaling인 STAT3의 발현을 관찰해 본 결과 HT-29세포주에서 Jak 저해제인 토파시티닙 외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ollugin 유도체의 TNFα 및 IL-6 억제에 따른 NF -kb 활성평가
JAK 저해제, 몰루긴 및 몰루긴 유도체들에 대한 TNF-alpha, IL-6 활성 억제 여부를 NF-kb의 report assay 시스템으로 확인하였고,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TAT3에 의해 발현되는 NF-kb를 NF-kb report assay를 통해 DN202604는 TNFα와 IL-6로 유도된 NF-kb을 모두 억제함이 확인되었는 바, 항염증 효과가 예측된다.
토파시티닙 몰루긴 유도체의 TNFα 및 IL-6 로 유도된 세포에서 염증관련 유전자 ( MCP -1, ICAM -1, IL-8) 발현 억제 평가
TNF-alpha, IL-6 로 유도된 세포에서 JAK 저해제, 몰루긴 및 몰루긴 유도체들의 염증관련 유전자 (MCP-1, ICAM-1, IL-8)의 발현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염증 억제 효능 평가는 TNF-α (10 ng/ml)및 IL-6 (10 ng/ml) 로 유도된 단핵구-장상피세포 부착시험을 통한 효능 평가였으며, 대조약으로는 5-ASA와 몰루긴을 사용하였다. 새로 합성된 물질들은 대조 약물보다 2000배 이상 희석된 농도에서도 TNF-α 및 IL-6의 활성을 억제하는 정도가 대조약물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으로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TNF-α 및 IL-6에 의한 염증반응 관련하여 유전자인 MCP-1, ICAM-1, IL-8 발현이 증가하지만 DN202604의 경우 TNF-α 및 IL-6 유도에 의해 나타난 ICAM-1, IL-8을 모두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상기 실험예 이외에도, F-, CF3-, Me-의 functional group이 도입된 물질들은 대사 안정성이 개선된 것을 in vitro ADME를 평가하여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 물질들 대부분은 또한 유효한 CYP 저해, hERG억제, 혈장 안정성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DN# CYP inhibition ( % of control) MS ( % remain, after 30 min) PS (after 2h)
1A2 2A6 2B6 3C8 2C9 2C19 2D6 2E1 3A4 human rat human rat
몰루긴 41.2 86.3 93.7 100 93.0 67.5 98.9 100 98.1 32.7 19.0 92.0 16.4
DN202204 45.3 100 96.6 53.5 98.9 86.2 100 100 91.6 100.0 89.6 97.1 10.0
DN202507 66.5 97.5 97 89.8 100 96.7 100 58.4 89.8 84.0 51.6 100 51.1

Claims (7)

  1. 하기 화학식 Ⅰ로 표현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로서, IL-6 사이토카인 억제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Ⅰ]
    Figure 112020092899586-pat00023

    X는 산소;
    R1은 불소기 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
    R2는 몰포린 치환 C1-C2 알킬기;
    R3은 비닐기;
    R4는 이소프로필기이고;
    R3는 인접한 R4와 결합하여 6원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R1은 트리플로로메틸기, 또는 불소기인 것인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R2는 몰포리노에틸기인 것인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4. 하기 반응식 Ⅴ 단계 이후에 반응식 Ⅳ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몰루긴 모핵 상의 7번 내지 10번 위치에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제조방법.
    [반응식 Ⅳ]
    Figure 112020092899586-pat00024

    [반응식 Ⅴ]
    Figure 112020092899586-pat00025

    여기서, R1은 불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불소기;
    R2는 몰포린 치환 또는 비치환 C1-C3 알킬기, 또는 N-(C1-C3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피페리딘기이다.
  5. 삭제
  6. 청구항 1의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장형 베체트(intestinal behcet's disease), 불확정 대장염(indeterminate colitis), 세균성 장염, 바이러스성 장염, 아메바성 장염 및 결핵성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44567A 2020-04-13 2020-04-13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2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67A KR102223885B1 (ko) 2020-04-13 2020-04-13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67A KR102223885B1 (ko) 2020-04-13 2020-04-13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89A Division KR102119122B1 (ko) 2017-12-28 2017-12-28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52A KR20200041852A (ko) 2020-04-22
KR102223885B1 true KR102223885B1 (ko) 2021-03-05

Family

ID=7047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67A KR102223885B1 (ko) 2020-04-13 2020-04-13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152A (ko) 2021-06-30 2023-01-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및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169B1 (ko) 2016-04-28 2017-12-04 주식회사한국파마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52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9925B1 (en) Method for preparing 2-hydroxyl-4-(2, 3-disubstituted benzyloxy)-5-substituted benzaldehyde derivative
KR100926399B1 (ko) 디아릴아민―함유 화합물 및 조성물,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핵 수용체의 조절제로서의 그들의 용도
KR910007970B1 (ko) 4h-1-벤조피란-4-온 유도체 또는 이의 염, 이의 제조방법 및 활성 성분으로서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870001201B1 (ko) 피롤로벤즈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592973A (ja) インドー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薬
EP2344459A1 (en) 2,3-substituted indazole or 4,5,6,7-tetrahydro-indazoles as fxr modulators against dyslipidemia and related diseases
JPH01316363A (ja) ピペラ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塩
JPH07215943A (ja) 新規イミダ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H051794B2 (ko)
JP5346337B2 (ja) 7−アルキニル−1,8−ナフチリドンの誘導体、これらの調製方法および治療におけるこれらの使用
PL119501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novel,condensed pyrimidine derivatives pirimidina
KR102223885B1 (ko)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U2232755C2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дазин-3-она и содержащие их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IE921569A1 (en) Benzofuran derivatives
JPWO2012124775A1 (ja) 含窒素飽和複素環化合物
JP2707936B2 (ja) β−オキソ−β−ベンゼンプロパンチオアミド誘導体
JPS61257967A (ja) 2−ピロリドン誘導体
JP2707390B2 (ja) シクロヘプトイミダゾ−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薬剤
WO2001030764A1 (fr) Alcools de phenyl-1-(1h-imidazol-4-yl) substitues en position 1,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de ces derniers
KR100401314B1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66857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farmaceutiskt anvaendbara 3-substituerade dibensofuranderivat
KR102119122B1 (ko) 몰루긴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9705133B (zh) 一类含有苯硒基团的选择性雌激素受体调节剂类化合物及其在抗乳腺癌药物中的应用
Molina et al. Fused carbazoles by tandem Aza Wittig/electrocyclic ring closure. Preparation of 6H-pyrido [4, 3-b] carbazole, 11H-pyrido [4, 3-a] carbazole and 11H-pyrido [3, 4-a] carbazole derivatives
JP2726999B2 (ja) イミダゾ[2,1−b]ベンゾチアゾール誘導体及び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