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52B1 - 부단수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부단수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52B1
KR102223452B1 KR1020200103179A KR20200103179A KR102223452B1 KR 102223452 B1 KR102223452 B1 KR 102223452B1 KR 1020200103179 A KR1020200103179 A KR 1020200103179A KR 20200103179 A KR20200103179 A KR 20200103179A KR 102223452 B1 KR102223452 B1 KR 10222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ipe
stem
perforat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20010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부단수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단수 형태로 배관 또는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각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관 내에 삽입되어 배관 내주연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되, 배관 내주연과 밀착되는 디스크의 형상을 개선하여 확실한 지수가 가능토록 하면서, 구조의 개선으로 사용이 손쉬워지고 확실한 고정설치가 가능토록 한 부단수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단수 제수밸브{water gate valve without suspension of water supply}
본 발명은 부단수로 배관 및 밸브의 수리/교체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은 대용량의 상수를 장거리 이송시키는 대구경의 주관과, 상기 주관에서 분기되어 가정 및 사무실 등의 건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비교적 근거리 이송으로 사용되는 지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분기가 이루어진 관체에는 반드시 밸브를 설치하여 상수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노후화된 상수관의 교체 또는 밸브의 교체시 단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법은 교체지점의 상수관 또는 밸브에 공급되는 상수를 단수시키기위해 교체지점 주변에 설치된 밸브를 모두 잠근 후에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수의 범위가 넓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도공급의 단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각 가정 및 각종 산업시설에 불편함과 손실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대국민 생활의 불편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응급조치 상태로 운영하게 되는 경우에는 누수로 인한 민원발생과 밸브 및 배관의 부식이 심화되어 부단수작업으로 차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46364호(2012.05.10.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단수없이 배관 및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각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관 내주연에 하강 후 밀착되어 지수를 보장하되, 디스크 형상을 개선하여 기존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지수가 가능토록 하고, 작업시에소 확실한 누설방지 및 작동의 편리함이 상승된 구조를 가지는 부단수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단수 대상의 배관(10)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되는 상, 하단 몸체(22)로 이루어지며, 상단 몸체(21)는 상부가 개구되어 배관(10)에 천공홀(12)을 천공하는 천공기(50)가 내설되도록 하는 몸체부(20);
상기 천공홀(12) 형성이후, 상기 몸체부(20)에 내설되며 상단 몸체(21)에 고정장착되고, 하단에 승, 하강 가능한 디스크(63)가 구비되는 디스크 조립부(60);
상기 디스크 조립부(60) 상부에 체결되어, 디스크 조립부(60)의 스템(66)을 회전시켜 디스크(63)가 배관(10)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강시켜 유로를 차단하는 조절캡부(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단수 형태로 배관 및 밸브의 각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형상개선을 통해 더욱 확신한 지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되어 확실한 설치고정이 가능하고,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를 통한 천공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조립부의 조립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 제거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캡부의 결합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하강을 통한 배관 지수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조를 나타낸 첫번째 실시예의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구조를 나타낸 두번째 실시예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제수밸브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단수 제수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제수밸브는 몸체부(20), 디스크 조립부(60), 조절캡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0)는 부단수 대상이 되는 배관(10)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 하로 결합분해가 가능한 상단 몸체(21)와 하단 몸체(2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 하단 몸체(22) 상호간의 연결을 위해, 상단 몸체(21)와 하단 몸체(22)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상호간 대응되는 결합편(13)을 형성하고, 이러한 결합편(13)에 다수의 볼팅체결을 통해 상호간 결합고정이 가능토록 한다.
더불어, 상기 상단 몸체(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관 형태이며, 상부가 개구되어, 전술된 배관(10)에 천공홀(12)을 천공하는 천공기(50)가 수직으로 삽입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를 이루는 상단 몸체(21)와 하단 몸체(22)는 배관(10)과 접촉되는 면에 보호용 고무관(11)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거나, 또는 링 단면의 관 형태 고무관(11)을 몸체부(20)가 결합되는 배관(10)의 외주연에 사전설치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디스크 조립부(60)는 전술된 천공기(50)를 통해 천공홀(12) 형성한 이후, 천공기(50)를 몸체부(20)에서 제거한 다음, 상기 몸체부(20)에 내설되며 상단 몸체(21)에 고정장착되고, 하단에 승, 하강 가능한 디스크(63)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디스크 조립부(60)는 고정부(61), 디스크(63), 스템너트(64), 제 1, 2가이드홀(65a, 65b), 스템(66), 제 1, 2가이드바(67a, 67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1)는 전술된 상단 몸체(21)의 상부턱(23)에 사각형태로 대응체결되는 것으로, 고정부(61)의 최상단은 상단 몸체(21)의 최상단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형태로 끼움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정부(61)가 상단 몸체(21)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 몸체(21)의 외주연에서부터 다수개가 상기 몸체부(20)의 고정부(61)를 향해 나사체결됨으로써, 스템(66)의 작동에 의해 몸체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 몸체(2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4)이 구비될 수 있음이며, 물론, 고정핀(24)의 끝단이 일정깊이 대응삽입되며 체결되도록, 고정부(61)의 외주연에도 대응되는 고정홈(6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디스크(63)는 배관(10) 내부를 지수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된 고정부(61)의 하단에 직립설치되어 몸체부(20)에 배설되는 것이며, 이러한 디스크(63)는 주철로 형성되되, 주철 외주연에 후술될 고무라이닝부(7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디스크(63)는 스템(66)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63)가 동반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스템(66) 및 스템(66) 양측의 제 1, 2가이드바(67a, 67b)가 관통되는 관통홀(69b)이 다수 천공되며, 상기 디스크(63) 상면의 설치홈(69a)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템부시(69)가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디스크(63)는 개선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데, 크게 2가지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번째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70), 하단부(71), 양측부(73), 고무라이닝부(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부(70)는 디스크(63)의 상단에 해당되는 것으로, 디스크(63) 최하단이 배관(10) 내주연 바닥에 접촉되었을시, 배관(10)의 천공홀(12)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단부(71)는 상단부(70)의 하단(디스크(63)의 중단)에서 배관(10) 내주연에 대응되도록 원호단면을 가지는 부분이며, 상기 양측부(73)는 하단부(71)의 전, 후면측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72)과, 상기 경사면(72)에서 수직으로 배관(10) 저면까지 연장되는 부분이다.
두번째 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76), 원호부(77), 고무라이닝부(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는 전술된 배관(10)의 천공홀(12)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동일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원호부(77)는 직선부(76)의 하단에서 배관(10) 내주연에 대응되도록 반원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디스크(63)를 조립시, 디스크(63)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지 못하고 조립방향(좌/우 조립각도)이 틀어졌다해도, 원호부(77)가 반원인 형태이기에 원호부(77) 외주연 어느부위라도 항시 배관(10) 내주연과 접촉될 수 있어, 배관(10)과의 지수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첫번째 실시예에서의 하단부(71)는 배관(10) 내주연과 접촉되는 외주연만 원호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두번째 실시예에서의 원호부(76)는 배관(10)과 접촉되는 외주연 및 형상 전체가 반원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디스크(63)의 첫번째와 두번째 실시예에서 고무라이닝부(74)는 디스크(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디스크(63)의 부식방지 및 배관(10)과의 접촉면 지수가 확실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배관(10) 내주연에 접촉되는 부분의 이러한 고무라이닝부(74)는, 디스크(63) 외주연에 형성된 고무라이닝부(74)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퍼지는 확장부(75)가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관(10)에 디스크(63)가 접촉시의 압착력 및 배관(10) 내 수압에 의해, 상기 확장부(75)가 눌리면서 퍼지면서, 상기 배관(10)의 내주연과 접촉되는 면이 확장되어 더욱 확실한 지수가 가능토록 한다.
상기 스템너트(64)는 디스크(63)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것으로, 내주연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디스크(63) 자체에 형성된 이러한 스템너트(64) 및 스템부시(69)와 고정부(61)의 접촉면에 형성된 오링(68, O-ring)을 통해, 스템(66)방향으로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 또한 가질 수 있음이다.
상기 제 1, 2가이드홀(65a, 65b)은 디스크(63)의 스템너트(64)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홀로써, 상기 스템너트(64)와 동일한 깊이 또는 유사한 깊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63)의 첫번째 실시예에서 스템너트(64), 제 1, 2가이드홀(65a, 65b)의 천공길이를 디스크(63)의 전체길이에 대응되도록 천공하고, 디스크(63)의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스템너트(64), 제 1, 2가이드홀(65a, 65b)의 천공길이를 디스크(63)의 절단정도까지만 천공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천공깊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한 부분이다.
상기 스템(66)은 전술된 고정부(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너트(64)에 나사체결되어 회전됨으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디스크(63)를 승,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가이드바(67a, 67b)는 고정부(6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2가이드홀(65a, 65b)에 각각 대응삽입되어, 디스크(63)가 스템너트(64)에 나사체결된 상태로 회전되며 승, 하강시 이러한 디스크(63)가 수직으로 승, 하강 될 수 있도록 수직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절캡부(80)는 전술된 디스크 조립부(60) 상부에 체결되어, 디스크 조립부(60)의 스템(66)을 회전시켜 디스크(63)가 배관(10)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강시켜 유로를 차단하는 부분으로, 몸체부(20)의 상단을 밀폐하는 본네트(81)와, 상기 스템(66)의 최상단에 체결되어 스템(6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절캡(82)을 이루어진다.
즉, 배관(10)에 천공기(50)가 투입시, 상단 몸체(21)의 상부에는 연장관(30)이 직립으로 대응체결되어 천공기(50)가 몸체부(20)로 투입되도록 하는 하고, 상기 연장관(30) 중단에 수평으로 차단밸브(40)(게이트 혹은 나이프 게이트 타입)가 설치되어, 상기 연장관(30) 내부를 차단디스크(41)를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단수 작업시 누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배관(10)에 천공홀(12)을 천공하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천공기(50), 연장관(30), 차단밸브(40)가 모두 제거되면, 그 이후에 디스크 조립부(60)와 조절캡부(80)가 순차적으로 몸체부(20)에 체결된 후, 배관(10)의 지수공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부단수 제수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순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천공기(50) 연결 및 천공: 전술된 디스크 조립부(60)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중공 형태의 몸체부(20) 상단에 연장관(30)이 수직 연결되고, 상기 연장관(30)의 중단에는 차단밸브(40)가 설치되며, 천공기(50)가 상기 연장관(30)의 최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천공기(50)가 몸체부(20) 하단으로 수직 낙하하면서 몸체부(20)가 감싸고 있는 배관(10)의 외주연 상단을 천공한다. 이때 몸체부(20)에는 디스크 조립부(60)가 조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정핀(24)은 상부턱(23) 내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2. 디스크 조립부(60) 삽입: 배관(10)에 천공홀(12)이 천공된 이후, 몸체부(20)에 디스크 조립부(60)를 장착하며, 장착된 디스크 조립부(60)가 몸체부(20)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핀(24)를 조여 디스크 조립부(60)를 몸체부(20)에 고정한다.
3. 천공기(50) 제거: 천공기(50), 몸체부(20), 차단밸브(40)를 몸체부(20)에서 완전히 제거한다.
4. 조절캡부(80) 체결: 몸체부(20) 최상단에 본네트(81)를 결합하여 밀폐하고, 스템(66)의 최상단에 조절캡(82)을 결합하여, 스템(66)의 회전이 용이토록 한다.
5. 디스크(63) 하강, 배관(10) 내부 닫힘 확인: 조절캡(82)을 통해 스템(66)을 회전시켜 디스크(63)를 하강시키고, 상기 디스크(63)가 하강되면서 배관(10) 내주연에 밀착되며 배관(10) 내부를 지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배관 11: 고무관
12: 천공홀 13:결합편
20: 몸체부 21: 상단 몸체
22: 하단 몸체 23: 상부턱
24: 고정핀 30: 연장관
40: 차단밸브 41: 차단디스크
50: 천공기 60: 디스크 조립부
61: 고정부 62: 고정홈
63: 디스크 64: 스템너트
65a: 제 1가이드홀 65b: 제 2가이드홀
66: 스템 67a: 제 1가이드바
67b: 제 2가이드바 68: 오링
69: 스템부시 69a: 설치홈
69b: 관통홀 70: 상단부
71: 하단부 72: 경사면
73: 양측부 74: 고무라이닝부
75: 확장부 76: 직선부
77: 원호부 80: 조절캡부
81: 본네트 82: 조절캡

Claims (9)

  1. 부단수 대상의 배관(10) 외주연을 감싸도록 분리되는 상, 하단 몸체(22)로 이루어지며, 상단 몸체(21)는 상부가 개구되어 배관(10)에 천공홀(12)을 천공하는 천공기(50)가 내설되도록 하는 몸체부(20);
    상기 천공홀(12) 형성이후, 상기 몸체부(20)에 내설되며 상단 몸체(21)에 고정장착되고, 하단에 승, 하강 가능한 디스크(63)가 구비되는 디스크 조립부(60);
    상기 디스크 조립부(60) 상부에 체결되어, 디스크 조립부(60)의 스템(66)을 회전시켜 디스크(63)가 배관(10)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강시켜 유로를 차단하는 조절캡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63)는
    상기 스템(66)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63)가 동반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스템(66) 및 스템(66) 양측의 제 1, 2가이드바(67a, 67b)가 관통되는 관통홀(69b)이 다수 천공되며, 상기 디스크(63) 상면의 설치홈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템부시(69);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조립부(60)는
    상단 몸체(21)의 상부턱(23)에 대응체결되는 고정부(61);
    상기 고정부(61)의 하단에 직립설치되어, 몸체부(20)에 내설되는 디스크(63);
    상기 디스크(63)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스템너트(64);
    상기 디스크(63)의 스템너트(64)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제 1, 2가이드홀(65a, 65b);
    상기 고정부(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너트(64)에 나사체결되어 회전됨으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디스크(63)를 승, 하강 시키는 스템(66);
    상기 고정부(6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2가이드홀(65a, 65b)에 각각 대응삽입되어, 디스크(63)의 승, 하강시 디스크(63)를 가이드하는 제 1, 2가이드바(67a, 67b);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조립부(60)는
    상단 몸체(21)의 외주연에서부터 다수개가 상기 몸체부(20)의 고정부(61)를 향해 나사체결됨으로써, 스템(66)의 작동에 의해 몸체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 몸체(2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4);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63)는
    상기 배관(10)의 천공홀(12)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는 상단부(70);
    상기 상단부(70)의 하단에서 배관(10) 내주연에 대응되도록 원호단면을 가지는 하단부(71);
    상기 하단부(71)의 전, 후면측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72)과, 상기 경사면(72)에서 수직으로 배관(10) 저면까지 연장되는 양측부(73);
    상기 디스크(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디스크(63)의 부식방지 및 배관(10)과의 접촉면 지수가 확실해지도록 하는 고무라이닝부(7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63)는
    상기 배관(10)의 천공홀(12)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동일직경으로 형성되는 직선부(76);
    상기 직선부(76)의 하단에서 배관(10) 내주연에 대응되도록 반원의 형상을 가짐으로서, 디스크(63)의 조립방향이 틀어져도 항시 배관(10) 내주연과 접촉되도록 하여, 지수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원호부(77);
    상기 디스크(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디스크(63)의 부식방지 및 배관(10)과의 접촉면 지수가 확실해지도록 하는 고무라이닝부(7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10) 내주연에 접촉되는 부분의 고무라이닝부(74)는, 디스크(63) 외주연에 형성된 고무라이닝부(74)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퍼지는 확장부(75)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관(10)에 디스크(63)가 접촉시의 압착력 및 배관(10) 내 수압에 의해, 상기 확장부(75)가 눌리면서 퍼져, 더욱 확실한 지수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63)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스템너트(64) 및 제 1, 2가이드홀(65a, 65b)은, 디스크(63)의 길이와 동일하게 천공되거나 또는 디스크(63)의 중단까지만 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제수밸브.
  8. 삭제
  9. 삭제
KR1020200103179A 2020-08-18 2020-08-18 부단수 제수밸브 KR10222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79A KR102223452B1 (ko) 2020-08-18 2020-08-18 부단수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79A KR102223452B1 (ko) 2020-08-18 2020-08-18 부단수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452B1 true KR102223452B1 (ko) 2021-03-08

Family

ID=7518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79A KR102223452B1 (ko) 2020-08-18 2020-08-18 부단수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779A (ja) * 1998-10-09 2000-06-27 Suiken:Kk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
KR20070114478A (ko) * 2006-05-29 2007-12-04 웰텍 주식회사 컨트롤 밸브용 밸브 디스크와 컨트롤 밸브의 설치방법
JP2011247362A (ja) * 2010-05-27 2011-12-08 Cosmo Koki Co Ltd 制流弁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20046364A (ko) 2010-11-02 2012-05-10 진원개발 주식회사 부단수 밸브 교체방법
KR101403700B1 (ko) * 2014-01-24 2014-06-05 이기완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KR20190010351A (ko) * 2017-07-21 2019-01-30 (주)우신이엔지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쇄기형 부단수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779A (ja) * 1998-10-09 2000-06-27 Suiken:Kk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
KR20070114478A (ko) * 2006-05-29 2007-12-04 웰텍 주식회사 컨트롤 밸브용 밸브 디스크와 컨트롤 밸브의 설치방법
JP2011247362A (ja) * 2010-05-27 2011-12-08 Cosmo Koki Co Ltd 制流弁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20046364A (ko) 2010-11-02 2012-05-10 진원개발 주식회사 부단수 밸브 교체방법
KR101403700B1 (ko) * 2014-01-24 2014-06-05 이기완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KR20190010351A (ko) * 2017-07-21 2019-01-30 (주)우신이엔지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쇄기형 부단수 차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64357C1 (ru) Вальцовка для развальцовывания устройств из профильных труб
US7338089B2 (en) Pipe interruption fitting
KR100473859B1 (ko) 배관 핏팅용 플러그
KR102223452B1 (ko) 부단수 제수밸브
US11767724B2 (en) Valve element for drilling elements, drilling element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valve element to drilling elements
KR102015101B1 (ko) 단계적 압점지지를 이용한 저토크 지수형 부단수 밸브
CN209294436U (zh) 一种简易的手动闸阀
KR101219189B1 (ko) 배관차단용 핏팅 플러그의 설치구조
KR101282303B1 (ko) 교체 및 수리 용이한 상수도용 부동전
CN208604707U (zh) 一种适用不同型号管道且可进行伸缩的水道疏通装置
CN206093330U (zh) 管道带压开孔用管卡
KR20170101348A (ko)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JP2001073418A (ja)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100461581B1 (ko) 배관 핏팅용 플러깅 머신
CN205640001U (zh) 用于塑料检查井的弹性密封圈
KR20200000136A (ko) 수용성 재료를 이용한 배관 차수 장치
KR20100128556A (ko) 유체관 폐쇄캡 및 이를 이용한 유체관 폐쇄장치
JP2018179057A (ja) 配管遮断装置及び配管遮断方法
CN104110514B (zh) 圆形拍门
CN219796558U (zh) 一种排水管道管口封堵装置
CN209195354U (zh) 一种井下安全阀打开与锁定工具
KR101085200B1 (ko) 신축형 밸브디스크
KR20170101353A (ko) 부단수 차단 활정자관 어셈블리
KR102029679B1 (ko)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KR100313416B1 (ko) 배관용 분기티의 마감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