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186B1 -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3186B1 KR102223186B1 KR1020200126676A KR20200126676A KR102223186B1 KR 102223186 B1 KR102223186 B1 KR 102223186B1 KR 1020200126676 A KR1020200126676 A KR 1020200126676A KR 20200126676 A KR20200126676 A KR 20200126676A KR 102223186 B1 KR102223186 B1 KR 1022231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ved glass
- attaching
- vacuum
- lifting platform
- chuck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01L51/56—
-
- H01L51/5237—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대와 진공클램로 구성된 진공척을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진공척들로 하여금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을 따라 커브드 글라스의 일면을 흡착하여 로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로딩하여 필름 부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진공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는 승강대의 길이(높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진공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는 승강대의 길이(높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로딩하여 필름 부착 환경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와 정보처리부 간에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발로 인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동차 주행정보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TV 또는 차량 등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측에 외부 충격으로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글라스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글라스 내부에는 OLED와 같은 소자와 각종 필름들이 부착된다. 최근 스마트폰의 경우, 터치할 수 있는 영역을 휴대폰의 좌,우 측면은 물론 전,후면 등으로 크게 확대할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 소위 '엣지'라 불리우는 커브형 터치패널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있어서 굴곡진 커브드 글라스 내측면에 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은 평면의 경우 보다 어렵다. 이와 같이 곡면에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스테이지(10)를 이용해 필름(20)을 흡착하여 커브드 글라스(30) 내측면을 향해 이송시키고, 흡착하고 있던 필름(20)을 커브드 글라스(30)의 내측면에 대응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롤러(40)를 커브드 글라스(30)의 중앙으로부터 커브드 글라스(30)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롤링함으로써, 커브드 글라스(30)의 직선면에 필름을 1차로 부착하고, 커브드 글라스(30)의 라운드진 양측 곡률 부분은 별도의 필름부착유닛(미도시)을 구성하되 필름부착유닛의 롤러는 커브드 글라스(30)의 곡률에 비해 작은 곡률을 갖는 롤러로 2차 부착함으로써, 커브드 글라스(30)에 대한 필름부착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에 대한 필름 부착 방식은 1차부착 및 2차부착에 따른 2차례에 걸쳐 부착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필름 부착 방식은 1차부착과 2차부착 구분에 따라 1차부착면 및 2차부착면 경계면에 불량 확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에 대한 필름 부착 방식은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맞게 별도의 필름부착 유닛이 추가로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커브드 글라스 모델에 맞는 필름부착 유닛이 각각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에 대한 필름 부착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면이 없이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의 경우, 커브드 글라스를 고정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기존의 글라스 고정스테이지만으로는 필름 부착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대 및 회전이 자유로운 진공클램프로 구성된 진공척을 복수로 구성하고,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면을 따라 상기 진공척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상기 진공척에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필름 부착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진공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는 승강대의 길이(높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으로 제공되되,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클램프는, 상기 한 쌍의 승강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에 축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된 클램프블럭; 및 상기 클램프블럭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축은 상기 승강대의 축공을 통해 승강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공을 통해 돌출된 결합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블럭을 상기 승강대에 고정시키는 체결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홀더에는 상기 결합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더의 둘레면에는 상기 삽입공에 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대와 회전이 자유로운 진공클램프로 구성된 진공척이 복수로 제공됨으로써, 높이차를 갖는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면을 따라 용이하게 대응하여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은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필름 부착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필름 부착이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연속성에 따른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필름 부착 경계면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필름 부착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의 크기 및 곡률에 관계없이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장비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의 사이즈 및 곡률에 맞게 별도의 장비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비 이용 효율성은 물론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에 필름을 부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승강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체결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가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하는 상태를 측면 및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가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승강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의 체결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가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하는 상태를 측면 및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가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이하, '진공척 어셈블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커브드 글라스를 로딩하여 필름 부착을 위한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진공척 어셈블리는 롤링 작업의 연속성을 통해 필름 부착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진공척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과, 승강대(200)와, 진공클램프(300)와, 체결홀더(40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00)은 복수의 승강대(200)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진공척 어셈블리의 고정틀 역할을 한다. 고정프레임(1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의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고정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보강프레임(100a)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100)의 긴 변 양측은 후술하는 승강대(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4의 (b)는 고정프레임(100)의 긴 변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고정프레임(100)의 측면에는 고정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의 고정홈(110)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110)은 고정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10)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너트(11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승강대(200)는 고정프레임(100)의 측면을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다. 승강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의 형태로 제공되며, 승강대(200)에는 승강대(200)의 길이(높이) 방향으로 장공(210)이 형성된다. 장공(210)은 승강대(200)를 고정프레임(100)에 체결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220)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고정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승강대(200)의 체결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공(210)은 고정프레임(100)의 고정홈(110)에 대응되되 체결너트(111)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상 승강대(200)의 상단부에는 축공(230)이 형성된다. 축공(230)은 후술하는 진공클램프(300)와의 축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승강대(200)의 양측을 관통한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승강대(200)의 정면 및 측면에는 회전눈금(R) 및 높이눈금(H)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승강대(200)의 측면에는 승강대(200)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눈금(H)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승강대(2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승강대(200)의 정면에는 축공(230)의 곡률 반경을 따라 회전눈금(R)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승강대(200)의 축공(230)에서 진공클램프(300)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축공(230)과 회전눈금(R) 사이에는 나사홈(240)이 형성된다. 나사홈(240)은 후술하는 체결홀더(400)를 승강대(200)에 나사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나사홈(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승강대(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으로 제공되는바, 승강대(200)의 설치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지지프레임(250)이 제공된다. 지지프레임(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대 (200)하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됨으로써 승강대(200)의 설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진공클램프(300)는 진공 흡입력을 발생하여 커브드 글라스(C)를 흡착시키는 구성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대(200) 사이에 설치된다. 진공클램프(300)는 한 쌍의 승강대(200) 사이에 축 결합되며, 클램프블럭(310)과 진공패드(320)를 포함한다. 클램프블럭(310)은 진공패드(320)가 복수로 설치되는 구성이며, 한 쌍의 승강대(200) 사이 간격에 대응된다. 클램프블럭(310)의 양단부에는 승강대(200)의 축공(230)에 축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311)이 형성된다. 결합축(311)은 상기 축공(230)을 통해 승강대(20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클램프블럭(310)은 승강대(200)의 축공(230)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진공패드(320)는 진공 흡입력을 발생하며 클램프블럭(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된다.
체결홀더(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의 축공(230)에 삽입된 클램프블럭(310)을 승강대(20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체결홀더(400)는 승강대(200)의 축공(230)을 기준으로 회동된 클램프블럭(310)을 승강대(2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체결홀더(400)는 승강대(200)에서 클램프블럭(300)의 회동각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체결홀더(400)는 승강대(200)의 축공(230) 밖으로 돌출된 결합축(311)에 체결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3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삽입공(410)을 형성한다. 체결홀더(400)의 둘레에는 나사공(420)이 형성된다. 나사공(420)은 체결홀더(400)를 결합축(3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삽입공(410)에 통하게 형성된다. 즉, 삽입공(410)에 결합축(3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볼트(B)를 나사공(420)에 체결하여 결합축(311)을 압착시킴으로써 체결홀더(400)는 결합축(31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합축(311)에도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체결홀더(400)는 결합축(311)에 결합됨으로써 클램프블럭(310) 회전시 함께 연동될 수 있다. 체결홀더(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속공(430)이 형성된다. 회동구속공(430)은 체결홀더(400)를 승강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클램프블럭(310)의 회전 반경 곡률에 대응되는 호(arc) 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승강대(200)에 형성된 나사홈(240)에 대응된다. 또한, 체결홀더(400)의 하부에는 회전눈금(R)을 가르키는 지시침(4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체결홀더(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0)에서 결합축(311)에 결합되어 결합축(311)과 한몸이 되어 결합축(311)의 회전에 연동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B)를 통해 승강대(200)의 나사홈(2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공척 어셈블리를 이용한 커브드 글라스 로딩 및 필름 부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은 구동모터(M)에 축 결합되고, 고정프레임(100)에는 고정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승강대(200)가 설치된다. 이때, 진공클램프(300)는 한 쌍의 승강대(200) 사이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홀더(400)가 결합축(311)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진공클램프(300)는 승강대의 축공(230)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며, 진공클램프(300)의 진공패드(320)는 커브드 글라스(C)가 흡착되어 로딩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작업자는 커브드 글라스(C)의 곡률에 따른 높이차를 고려하여 승강대(200)를 고정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승강시키고, 체결수단(220)을 장공(210)에 통과시켜 고정홈(110)의 체결너트(111)에 체결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커브드 글라스(C)의 곡률에 따라 클램프블럭(3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클램프블럭(310)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면, 작업자는 체결볼트(B)를 체결홀더(400)의 회동구속공(430)에 통과시켜 승강대(200)의 나사홈(240)에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클램프블럭(310)은 승강대(200)에서 회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각 승강대(200) 및 클램프블럭(310)마다 진행되며, 체결홀더(400)의 지시침이 가르키는 회전눈금(R)과 승강대(200)의 높이눈금(H)은 작업자의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통해 커브드 글라스(C)의 곡률을 따라 승강대(200)의 높이 및 진공클램프(300)의 회전각도 결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진공클램프(300)에 흡입력을 발생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브드 글라스(C)를 흡착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구동모터(M)를 동작하여 고정프레임(100)을 회전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브드 글라스(C)를 반전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필름 부착을 위한 일련의 작업을 통해 커브드 글라스(C)에 필름을 부착시킴으로써, 커브드 글라스(C)에 대한 필름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커브드 글라스(C)의 곡률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다중 곡률을 갖는 커브드 글라스(C) 역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척 어셈블리를 통해 원활하게 로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에 관계없이 커브드 글라스의 곡률을 따라 복수의 진공척들이 로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는 커브드 글라스에 대한 필름 부착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고정프레임 100a : 보강프레임
110 : 고정홈 111 : 체결너트
200 : 승강대 210 : 장공
220 : 체결수단 230 : 축공
240 : 나사홈 250 : 지지프레임
300 : 진공클램프 310 : 클램프블럭
311 : 결합축 320 : 진공패드
400 : 체결홀더 410 : 삽입공
420 : 나사공 430 : 회동구속공
440 : 지시침 R : 회전눈금
H : 높이눈금 C : 커브드 글라스
B : 체결볼트 M : 구동모터
110 : 고정홈 111 : 체결너트
200 : 승강대 210 : 장공
220 : 체결수단 230 : 축공
240 : 나사홈 250 : 지지프레임
300 : 진공클램프 310 : 클램프블럭
311 : 결합축 320 : 진공패드
400 : 체결홀더 410 : 삽입공
420 : 나사공 430 : 회동구속공
440 : 지시침 R : 회전눈금
H : 높이눈금 C : 커브드 글라스
B : 체결볼트 M : 구동모터
Claims (5)
-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진공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대는 승강대의 길이(높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체결수단은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으로 제공되되, 상기 승강대의 단부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클램프는,
상기 한 쌍의 승강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축공에 축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된 클램프블럭; 및
상기 클램프블럭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은 상기 승강대의 축공을 통해 승강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공을 통해 돌출된 결합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블럭을 상기 승강대에 고정시키는 체결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홀더에는 상기 결합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더의 둘레면에는 상기 삽입공에 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676A KR102223186B1 (ko) | 2020-09-29 | 2020-09-29 |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676A KR102223186B1 (ko) | 2020-09-29 | 2020-09-29 |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3186B1 true KR102223186B1 (ko) | 2021-03-05 |
Family
ID=7516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676A KR102223186B1 (ko) | 2020-09-29 | 2020-09-29 |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318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5585B1 (ko) * | 2009-12-08 | 2011-11-25 | 한동희 |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KR101641877B1 (ko) | 2013-12-11 | 2016-07-25 | (주)지브이에너지 | 곡면 커버에 필름을 부착하는 장치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676A patent/KR1022231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5585B1 (ko) * | 2009-12-08 | 2011-11-25 | 한동희 |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KR101641877B1 (ko) | 2013-12-11 | 2016-07-25 | (주)지브이에너지 | 곡면 커버에 필름을 부착하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816093B (zh) | 显示装置 | |
US11862048B2 (en)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732947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 |
CN103558093B (zh) | 软板挠曲测试装置及测试方法 | |
US7911775B2 (en) | Display apparatus, front panel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ront panel units | |
US20220276678A1 (en) | Under-screen support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 |
JP2020027176A (ja) | 回路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移動体 | |
KR102223186B1 (ko) | 커브드 글라스 필름 부착용 진공척 어셈블리 | |
KR101036907B1 (ko) | 통합형 로봇 핸드와 그 사용방법 | |
CN1835670A (zh) | 包括显示装置的电子设备 | |
CN210244216U (zh) | 一种军用便携计算机双屏旋转装置 | |
CN110827677A (zh) | 弯曲设备和弯曲方法 | |
US20220404872A1 (en) | Display device | |
CN101064075A (zh) | 可挠式显示器 | |
WO2021134931A1 (zh) | 显示面板支撑架及显示装置 | |
CN107357067B (zh) | Lcd显示屏固定装置 | |
CN102678738B (zh) | 转轴结构、支架结构及电子装置 | |
US20060016240A1 (en) | Sheet metal repair support device and jig thereof | |
KR100814893B1 (ko) | 로딩 및 언로딩 장치와 로딩 및 언로딩 방법 | |
CN102661540A (zh) | 背光模组及电子装置 | |
KR102575623B1 (ko) | 표시장치모듈 | |
KR20220015651A (ko) | 모니터 지지용 승강 장치 | |
CN201751368U (zh) | 自适应滑块装置及具有其的起重臂与含该起重臂的起重机 | |
KR102692609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11679715A (zh) | 一种用于计算机软件开发用高稳定性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