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299B1 -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299B1
KR102222299B1 KR1020167013429A KR20167013429A KR102222299B1 KR 102222299 B1 KR102222299 B1 KR 102222299B1 KR 1020167013429 A KR1020167013429 A KR 1020167013429A KR 20167013429 A KR20167013429 A KR 20167013429A KR 102222299 B1 KR102222299 B1 KR 10222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lan
processor
componen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627A (ko
Inventor
인수 황
소움야 다스
봉영 송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7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BT/WLAN 공동-위치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블루투스(BT:Bluetooth)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공존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술들 및 시그널링 방식들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공존 방식들, 예컨대, 높은 우선순위 BT 트래픽에 기초하는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이 제공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에서, BT/WLAN 공존 성능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협대역 액티브 간섭 제거가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과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APPARATUS AND METHODS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관련 출원들의 상호-인용
[0001] 본 출원은, 2014년 10월 23일자로 미 특허 상표 청에 출원된 U.S. 일반 특허 출원 번호 14/061,320에 대한 우선권 및 그 이익을 주장하며, 위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통합된다.
[0002]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에 대한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3]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및 블루투스(BT:Bluetooth)는 동일한 면허 불요 주파수 매체를 공유한다. 두 개의 기술들이 상이한 표준 단체들 하에서 개발되기 때문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BT/WLAN의 조정은 중요해져 왔고, 그 후에 주파수, 전력, 및 시간을 포함하는 많은 도메인들에서 시도되어 왔다. 주파수 도메인 기술들은 적응형 주파수 홉핑(AFH:adaptive frequency hopping)을 포함하고, 그리고 전력 도메인 기술들은 전력 백-오프 또는 디-부스팅을 포함한다. 시간 도메인 기술들은 어떤 형태의 프레임 얼라인먼트(frame alignment)를 포함한다. 이들 기술들의 실제 구현은 어려운데, 그 이유는 이들 기술들이 두 개의 무선 기술들 사이의 밀접한 조정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액티브 간섭 제거(AIC:a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가 조사되었지만, 이전의 AIC 구현들은 광대역 커플링 채널의 주파수 선택성 및 그룹 지연으로 인한 광대역 간섭의 경우 다양한 제한들을 갖는다.
[0004] 많은 통신 디바이스들, 특히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이 BT 및 WLAN 둘 다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기술들 사이의 조정은 점점 더 중요해져 왔다. 그러므로, 동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존 솔루션들이 원해진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WLAN으로 수신하면서 BT로 송신하고 있을 때, 수신된 WLAN 신호는 BT 송신기의 아주 가까움에 의해 유발되는 높은 자기-간섭으로 인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가 BT로 수신하면서 WLAN으로 송신하고 있는 경우, 유사한 간섭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WLAN 신호와 BT 신호 사이의 간섭 조정은 점점 더 중요해져 왔는데, 그 이유는 많은 BT 트래픽이 지연에 민감하고(예컨대, 전화 호 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그리고 WLAN이 음성 트래픽(예컨대, VOIP)을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호 우선순위화를 고려하는, BT 및 WLAN 공존을 위한 신규한 조정 기술들이 매우 원해진다.
[0005] 하기는 본 개시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단순화된 요약을, 이러한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이 요약은 본 개시물의 모든 고려되는 특징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며, 그리고 본 개시물의 모든 양상들의 핵심적인 또는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지도 본 개시물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지도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 유일한 목적은 본 개시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이후에 제시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0006]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BT/WLAN 공동-위치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블루투스(BT)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공존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술들 및 시그널링 방식들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공존 방식들, 예컨대, 높은 우선순위 BT 트래픽에 기초하는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이 제공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에서, BT/WLAN 공존 성능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협대역 액티브 간섭 제거가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BT 및 WLAN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에 적용될 수 있다.
[0007] 일 양상에서, 본 개시물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고, 그리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한다.
[0008]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데이터는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제 2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PLCP(PHY Layer Convergence Procedur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데이터 레이트 또는 변조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09]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고, 그리고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한다.
[0010]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데이터는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제 1 데이터의 송신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송신 준비 완료(CTS:clear-to-send)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 2 데이터의 프래그멘테이션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제 1 데이터의 송신 동안에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media access control layer protocol data unit)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은,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제 1 데이터에 의해 제 2 데이터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을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하고,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로 셋팅하고, 그리고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트랜시버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웨이크 업시킨다. 수신된 제 2 데이터는 제 2 무선 트랜시버가 슬립 모드로 있었을 때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되었다.
[0012]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TIM은 제 2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됨을 표시한다. 방법은, TIM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절전 폴(power save poll)을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DTIM은 제 2 데이터가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임을 표시한다. 방법은,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제 1 데이터에 의해 제 2 데이터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3]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무선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제 1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1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와 제 2 무선 매체를 활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한다.
[0014]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방법은,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프래그멘팅된 데이터의 변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앞서 전송된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송신 준비 완료(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제 1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된 제 1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송신하는 단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PS-폴(power saving poll)을 수신하는 단계; 및 PS-폴에 대한 응답으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5]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1 무선 트랜시버;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2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1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2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3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0016]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데이터는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 1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제 2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PLCP(PHY Layer Convergence Procedur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데이터 레이트 또는 변조를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7]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1 무선 트랜시버;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2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1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2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기 위해,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3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0018]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데이터는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제 1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제 1 데이터의 송신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제 2 컴포넌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송신 준비 완료(CTS:clear-to-send)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데이터의 프래그멘테이션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제 1 데이터의 송신 동안에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media access control layer protocol data unit)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신호 대 간섭비를 측정하고; 그리고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 컴포넌트는 추가로,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제 1 데이터에 의해 제 2 데이터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1 무선 트랜시버;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2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1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2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을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하기 위해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3 컴포넌트는,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로 셋팅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4 컴포넌트는,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트랜시버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웨이크 업시키도록 구성되고, 수신된 제 2 데이터는 제 2 무선 트랜시버가 슬립 모드로 있었을 때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되었다.
[0019]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제 1 프로토콜은 피코넷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프로토콜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5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TIM은 제 2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됨을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TIM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절전 폴(power save poll)을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6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5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DTIM은 제 2 데이터가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임을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신호 대 간섭비를 측정하고; 그리고 수신된 제 2 데이터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5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5 컴포넌트는 추가로,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제 1 데이터에 의해 제 2 데이터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20]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1 컴포넌트는, 제 1 무선 매체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2 컴포넌트는, 제 1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3 컴포넌트는,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와 제 2 무선 매체를 활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21]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부스팅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프래그멘팅된 데이터의 변조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컴포넌트는 추가로, 앞서 전송된 송신 요구(RTS:request-to-send)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송신 준비 완료(CTS:clear-to-send)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제 1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컴포넌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된 제 1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송신하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PS-폴(power saving poll)을 수신하고; 그리고 PS-폴에 대한 응답으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22]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뒤를 잇는 상세한 설명의 리뷰 시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하기의 설명을 리뷰할 때,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하기의 특정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관하여 논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본원에 논의되는 유리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이 특정한 유리한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서 논의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또한, 본원에서 논의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 실시예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예들로서 하기에서 논의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0023] 도 1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BT 및 WLAN 둘 다로 통신할 수 있는 제 1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4] 도 2는 두 개의 블루투스 eSCO(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s orientated) 프레임들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5] 도 3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 구조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6] 도 4는 본 개시물의 제 1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27] 도 5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동시 WLAN 및 BT 공존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8] 도 6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다양한 동적 프래그멘테이션 기술들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9] 도 7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0] 도 8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를 이용한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1] 도 9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RTS/CTS를 이용한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32] 도 10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TIM/PS-폴 방식을 활용하는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3] 도 11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TIM/PS-폴을 이용한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34] 도 12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BT 및 WLAN 공존을 개선시키기 위한 협대역 액티브 간섭 제거(AIC) 기술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35] 도 13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협대역 자기-간섭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36] 도 14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37] 도 15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BT 및 WLAN 공존 동작들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구성된 도 14의 장치를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0038] 도 16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WLAN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성된 도 14의 장치를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0039] 도 17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0] 도 18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1] 도 19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2] 도 20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43]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하기에서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원에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 이들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사례들에서,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44]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동적 WLAN 프레임 프래그멘테이션 및 액티브 협대역 간섭 제거를 사용하는 다수의 블루투스(BT:Bluetooh)/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공존 기술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BT 및 WLAN 둘 다로 통신할 수 있는 제 1 통신 디바이스(10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102)는, 기지국(BS)(106)을 통해 WAN(wide area network)(104)으로 통신하고,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AP)(110)를 통해 WLAN(108)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W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 또는 CDMA2000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WLAN(108)은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들, 예컨대, IEEE 802.11 무선 프로토콜 패밀리(WiFi)를 사용한다. 부가하여, 통신 디바이스(102)는, 피코넷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BT 연결(114)을 통해 제 2 통신 디바이스(11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들(102 및 112)의 비-배타적인 목록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모바일 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휴대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디지털 프린터, 무선 스피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네트워크 카드 등을 포함한다.
[0045]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통신 디바이스(102)는, WLAN 및 BT 둘 다를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동시에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통신 디바이스(102)는, WLAN 및 BT 연결들을 각각 사용하여 AP(110) 및 제 2 통신 디바이스(112)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BT 트래픽은 WLAN 트래픽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그리고 지연에 민감하다. 예컨대, BT 연결은 음성 호를 위한 eSCO(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s orientated) 링크 또는 뮤직 스트리밍(예컨대, A2DP)을 위한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링크일 수 있다. 높은 우선순위 BT 트래픽을 보호하기 위해, WLAN 트래픽(116)은, 시간 도메인에서 BT 트래픽(114)과의 임의의 오버랩을 회피 또는 감소시키도록 조정될 필요가 있다. BT 및 WLAN 트랜시버들이 콜로케이팅되기 때문에, 통신 디바이스(102)는, 데이터를 WLAN으로 송신하면서, 어떤 데이터가 BT로 수신되고 있는지에 관한 지식을 갖는다. 유사하게, 통신 디바이스(102)는, 데이터를 WLAN으로 수신하면서, 어떤 데이터가 BT로 송신되고 있는지에 관한 지식을 갖는다.
[0046] 본 개시물의 양상들에서, 디바이스(102)로/로부터의 WLAN 데이터는, 예컨대, 디바이스들(102 및 112) 사이의 높은 우선순위 BT 트래픽(예컨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T 트래픽)을 회피하기 위해, 동적으로 프래그멘팅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은 BT 트래픽의 타이밍 또는 주기성에 따라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eSCO 패킷들(202)은 미리결정된 타임 슬롯들(예컨대, eSCO에 대해 각각 6개 BT 슬롯들) 내에서 송신된다. eSCO 패킷들 사이의 규칙적 간격(204)은, BT 링크가 설정될 때 특정된다. 특정한 슬래이브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디바이스(112))로/로부터의 eSCO 패킷들(202)은 확인응답되고, 그리고 재송신 윈도우(206) 동안에 확인응답되지 않으면, 재송신될 수 있다. 부가하여, 디바이스들(102 및 112) 사이에 ACL 링크(A2DP 프로파일)를 사용하여 오디오가 스트리밍될 수 있다. ACL 링크는 데이터 또는 음성에 대해 1개, 3개, 또는 5개 BT 슬롯들을 점유할 수 있다.
[0047] 본 개시물의 일 양상에서, 프래그멘테이션으로 인한 부가의 오버헤드를 고려하면, 디바이스(102)는 동시에, WLAN 데이터(116)를 송신하고 BT 데이터(114)를 수신한다. WLAN 데이터는, BT 데이터(예컨대, 높은 우선순위 BT 트래픽)을 회피하기 위해 프래그멘팅될 수 있다. 큰 메시지들을 더 작은 프래그먼트들로 분할함으로써, WLAN 프레임은 프래그멘테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300)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MAC 헤더(302)에서, 프레임 제어 메시지(304)가 MAC 헤더의 초반에 배치된다. 프레임 제어 필드에서, "더 많은 프래그먼트들" 비트(306)는, 데이터 타입이든 또는 관리 타입이든, 프레임(300)의 더 많은 프래그먼트들이 뒤를 이을 것인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MAC 헤더의 시퀀스 제어 필드(308)에서, "프래그먼트 넘버" 필드는, 프래그멘팅된 프레임 중 전송되는 각각의 프레임의 넘버를 표시한다. 프래그멘테이션은, 오버헤드를 제어하는 것을 희생하면서(예컨대, 증가된 ACK 라운드들 등)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리지널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MSDU:MAC service data unit) 길이보다 더 작은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MAC protocol data unit)들을 생성한다. 예컨대, IEEE 802.11 MAC에서, MSDU는 동일 크기의 프래그먼트들로 프래그멘팅되고, 그리고 버스트의 모든 프래그먼트들이 송신될 때까지,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레이트 적응을 갖는 프래그멘테이션은, 측정된 BT 매체 상태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그리고 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0048] 도 4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동작 가능한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 프로세스(4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402)에서, 디바이스(102)는 동시에, WLAN 데이터(WLAN Tx)를 AP(110)에 송신하고 있고 BT 데이터(BT Rx)를 디바이스(112)로부터 수신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WLAN 트래픽(502) 및 BT 트래픽(504)은 디바이스(102)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단계(404)에서, BT Rx(예컨대, ACL 또는 eSCO)가 WLAN Tx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이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406)로 계속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402)로 계속된다. 단계(406)에서, 통신 디바이스(102)는, BT 트래픽과 WLAN 트래픽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WLAN Tx를 다수의 프래그멘팅된 WLAN 프레임들(506)로 프래그멘팅하고, 그리고 이들을 높은 우선순위 BT 프레임들(508) 사이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WLAN Tx는, 디바이스(102)의 BT 매체 액세스 타이밍 또는 BT 주기(510)에 기초하여, 다수의 더 작은 프래그먼트들로 프래그멘팅된다. BT 매체 액세스 타이밍은, 디바이스(102)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와는 상이한 피코넷에 액세스하는 시간을 지칭한다.
[0049] 도 6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일부 동적 프래그멘테이션 기술들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예컨대, 도 6의 동적 프래그멘테이션 기술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도 4의 단계(4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602)에서, 통신 디바이스(102)는, WLAN Tx 트래픽이 주기적 BT Rx 트래픽을 회피할 수 있도록, BT Rx 주기에 기초하여, MSDU를 다수의 동일 크기의 MPDU들(마지막 청크(chunk) 제외)로 프래그멘팅할 수 있다. 프로세스(604)에서, 디바이스(102)는, WLAN Tx와 BT Rx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BT Rx의 지속기간 내에서 MPDU를 WLAN으로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프로세스(606)에서, 디바이스(102)는, 선택된 레이트에 따라 WLAN의 PL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PLCP Protocol Data Unit)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WLAN 데이터 송신의 지속기간이 변화된다. (전력 조정과 연관된) 채널 품질 레이트 적응이 또한 PPDU에 대해 가능하고, 따라서 각각의 PPDU는, 심지어 동적 채널 상태들에서도, BT Rx 프레임들 사이의 간격에 들어갈 수 있다. 도 4-도 6의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예시적 순서로 예시되지만,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임의의 적절한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0050] 도 7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동작 가능한 동적 WLAN 프래그멘테이션 방법(7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702)에서, 디바이스(102)는 동시에, WLAN 데이터(WLAN Rx)를 AP(110)로부터 수신하고 있고 BT 데이터(BT Tx)를 디바이스(112)에 송신하고 있다. 단계(704)에서, BT Tx 트래픽(예컨대, ACL 또는 eSCO)이 WLAN Rx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이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706)로 계속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702)로 계속된다. 단계(706)에서, 통신 디바이스(102) 및 AP(110)는, BT 트래픽과 WLAN 트래픽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WLAN 데이터(예컨대, WLAN(502))를, BT 주기적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들(예컨대, BT(508)) 사이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더 작은 프레임들(예컨대, WLAN(506))로 프래그멘팅하도록 구성된다.
[0051]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WLAN Rx를 수신하는 통신 디바이스(102)가 AP(110)와 적절한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AP(110) 및 디바이스(102)는, WLAN 트래픽과 BT 트래픽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BT 매체 액세스 타이밍 또는 송신 간격에 기초하여, WLAN 데이터를 프래그멘팅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 WLAN 프로토콜들(예컨대, IEEE 802.11 패밀리)에 대한 적절한 변경들이 필요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를 이용한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의 방법(8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802)에서, AP(110)는 RTS 프레임을 통신 디바이스(102)에 전송한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802.11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노드(예컨대, AP(110))는, RTS 프레임(902)을 스테이션(STA), 예컨대, 디바이스(102)에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단계(804)에서, STA는 빈 매체 요청(906)을 포함하는 CTS 프레임(904)으로 응답한다. RTS 또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는 임의의 다른 WLAN 노드들은, 제공된 시간 동안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예컨대, CTS 프레임(904)은 다음 차례의 BT Tx 이전의 이용 가능한 채널 시간에 대한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셋팅을 포함할 수 있다. 빈 매체 요청(906)은, BT 송신 기간(910) 또는 주기에 대응하는 빈 WLAN 매체의 원하는 지속기간(908)을 표시한다. AP(110)는, 빈 매체 요청(906)에 따라 기간(910) 동안에 WLAN 데이터를 STA에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0052] 단계(806)에서, AP(110)는, WLAN 트래픽과 BT 트래픽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BT 주기에 기초하여 프레임 프래그멘테이션을 적용하도록,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로 불리는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는 256개 바이트들 내지 2346개 바이트들의 MSDU 크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808)에서, BT 트래픽 사이의 간격(914)(즉, 빈 BT 매체)에 들어가도록 프래그멘팅된 WLAN MPDU들을 AP가 송신할 수 있도록, BT 트래픽(예컨대, 높은 우선순위 eSCO, ACL)에 따라,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는 낮춰질 수 있다. 단계(810)에서, BT Tx를 회피하기 위하여, 패킷들을 제공된 시간 내에 송신하는 것을 완료하기 위해, AP는 자신의 송신 전력을 조정(예컨대, 부스팅) 및/또는 더 높은 변조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단계(812)에서, AP는 BT Tx의 지속기간 내에 송신하는 것을 회피(도 9의 지속기간(916) 참조)할 수 있다. 단계(814)에서, AP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래그멘팅된 WLAN 프레임들(912)을 요청된 간격(914)으로 송신한다. 단계(816)에서, STA는, 프래그멘테이션 타이밍에 기초하여 그것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공동-위치된 BT Tx에 요청할 수 있다.
[0053]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STA는 BT Tx 신호를 보호하기 위해 CTS-투-셀프(CTS-to-self) 프레임(918)(도 9 참조)을 전송할 수 있다. 지속기간(920) 내에서 전송되는 임의의 BT Tx 신호가 보호되도록, 다른 WLAN 노드들(예컨대, AP 또는 STA들)은, CTS-투-셀프 프레임에서 특정된 이 지속기간(920)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것이다. 이 접근법은 WLAN 프로토콜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7-도 9의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예시적 순서로 예시되지만,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임의의 적절한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0054]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WLAN 프래그멘테이션은,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WLAN의 TIM(Traffic Indication Map) 및 절전 폴링(Power Save Polling)(PS-폴) 능력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802.11 WLAN에서, STA(예컨대, 디바이스(102))는, 전력 관리 비트가 셋팅된 널(Null) 프레임을 AP(110)에 전송함으로써, 절전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그때부터, AP는 STA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패킷들을 STA마다의 큐에 저장하고, 그리고 STA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들이 AP에 큐잉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의 TIM 필드를 셋팅한다. TIM 정보 엘리먼트는, AP가 임의의 STA를 위해 존재하는 임의의 버퍼링된 프레임들을 갖는지를 이 임의의 STA에게 표시하기 위해 AP에 의해 전송된다. STA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매 청취 간격마다 슬립(sleep)으로부터 웨이크 업(wake up)하고, 그리고 STA가 자신에 대한 TIM 필드가 셋팅되었음을 검출할 때, 이 STA는 PS-폴 프레임을 AP에 전송한다. 응답으로, AP는 큐잉된 제 1 프레임을 STA에 전송한다. STA는 큐잉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리고 이 프레임의 더 많은 데이터 필드가 셋팅되면, 이 STA는 다른 PS-폴 프레임을 AP에 전송한다. STA는, 큐잉된 프레임들 전부를 수신하기 위해 계속해서 PS-폴 프레임들을 전송하고, 그리고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을 때, 다음 차례의 청취 간격 전까지, 이 STA는 슬립하러 돌아간다.
[0055]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는, AP 상의 버퍼링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의 존재에 관해 STA들에게 통보하는 일종의 TIM이다. DTIM은, 주기적 비콘 내에서, DTIM 간격에 의해 특정되는 주파수로 생성된다. AP는, 무선 네트워크를 동기화하기 위해 주기적 비콘들을 전송한다. TIM들이 버퍼링된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존재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에, DTIM이 전송된 이후, AP는 정상 채널 액세스 규칙들에 따라 WLAN 매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0056]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통신 디바이스(102)는 BT/WLAN로부터 각각 Tx/Rx 트래픽을 청취하도록 구성되며, 이후, 그들의 트래픽을 조정한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TIM/PS-폴 방식을 활용하는 WLAN 동적 프래그멘테이션의 방법(10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1000)은 도 7의 단계(7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02)에서, 통신 디바이스(102)(STA)는 AP(110)와 BT 타이밍 또는 주기 정보(BT 정보)(1102)(도 11 참조)를 교환한다. STA는, AP에 대한 PS-폴 메시지에 BT 타이밍 또는 주기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BT 정보는 높은 우선순위 BT Tx(예컨대, eSCO 및 ACL)의 슬롯 타이밍 및 주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04)에서, AP는, BT 정보(1102)(도 11 참조)에 기초하여, BT Tx 트래픽(1108)에 맞춰 자신의 TIM 간격 타이밍(1104) 및 DTIM 간격 타이밍(1106)을 얼라인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DTIM 및 TIM 송신, 그리고 BT Tx 트래픽(1108)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0057] 단계(1006)에서, STA는, 자신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슬립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STA는, 슬립 모드 동안에, WLAN에 대응하는 모든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예컨대, WLAN 트랜시버 및 RF 프론트 엔드)을 디스에이블링 또는 파워 오프할 수 있다. 단계(1008)에서, STA는, DTIM(1110) 또는 TIM(1112)을 수신하기 위해, DTIM/TIM 간격들에 대응하는 시간에 웨이크 업한다. 단계(1010)에서, DTIM이 수신되면, STA는 AP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1114)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012)에서, 수신된 TIM이 STA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가 AP에 큐잉되었음을 표시하면, STA는, 큐잉된 데이터(1118)를 리트리빙하기 위해, PS-폴(1116)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WLAN PS-폴/TIM/DTIM 및 BT 정보를 사용하여, AP 및 STA는, WLAN Rx 트래픽과 BT Tx 트래픽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BT Tx 타이밍에 맞춰 얼라인되게 WLAN Rx를 프래그멘팅할 수 있다. 도 10-도 11의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예시적 순서로 예시되지만,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이 임의의 적절한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이들 프로세스들 및 이벤트들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0058] 도 12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BT 및 WLAN 공존을 개선시키기 위한 협대역 액티브 간섭 제거(AIC) 기술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액티브 간섭 제거는, 송신되는 신호를 송신기에서 탭 오프(tap off)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후, 이득 및 위상의 조정 이후에 수신기에 부가될 수 있다. 공동-위치된 송신기로부터의 간섭이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원하는 신호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간섭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 없이, WLAN 데이터의 수신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AIC는, 공동-위치된 송신기로부터의 간섭을 수신기에서 제거하도록 인에이블링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BT 트랜시버(1202) 및 WLAN 트랜시버(1204)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2)일 수 있다. WLAN 트랜시버(1204)가 데이터(WLAN Rx)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BT 트랜시버(1202)가 데이터(BT Tx)를 송신하고 있을 때, BT Tx는 WLAN Rx에 대해 협대역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디바이스는 협대역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AIC(1206)를 적용할 수 있다.
[0059] 도 13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협대역 자기-간섭을 완화시키는 방법(13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1300)은, 도 12의 BT 트랜시버(1202) 및 WLAN 트랜시버(1204)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방법(1300)은,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WLAN 프래그멘테이션 기술들에 부가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예에서, BT 트랜시버(1202)가 데이터(BT Tx)를 송신하고 있고, 그리고 WLAN 트랜시버(1204)가 데이터(WLAN Rx)를 수신하고 있음이 가정된다. 단계(1302)에서, 디바이스(102)는 WLAN Rx의 신호 대 간섭비, 예컨대, 신호 대 간섭 더하기 잡음비(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SINR은, 무선 통신에서 무선 연결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흔히 사용된다. SINR의 값은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SINR = P / (I + N)(여기서, P는 신호 전력이고, I는 간섭 전력이며, 그리고 N은 잡음 전력임).
[0060] 측정된 SINR이 원하는 타겟 SINR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디바이스(102)는 단계(1306)에서 BT Tx 전력을 백 오프(back off)하거나 또는 단계(1308)에서 AIC를 적용할 수 있다. 타겟 SINR은 일반적으로, 간섭 레벨이 적어도 원하는 신호보다 크지 않은 0㏈ 미만이다.
[0061] 도 14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을 사용하는 장치(14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1404)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404)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도 1-도 13의 본 개시물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예컨대, 장치(1400)는, 통신 디바이스들(102 및 112), 및 액세스 포인트(110)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62] 이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414)은, 일반적으로 버스(1402)에 의해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버스(1402)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일반적으로 프로세서(1404)에 의해 표현됨), 메모리(1405), 및 컴퓨터-판독가능 미디어(일반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에 의해 표현됨)를 비롯한 다양한 회로들을 서로 링크한다. 버스(1402)는 또한, 다양한 다른 회로들, 예컨대,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으며, 이들은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그러므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1408)는 버스(1402)와 트랜시버(14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410)는, 다양한 다른 장치와 송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장치(1400)는, 상이한 송신 미디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트랜시버들(1410)은, WLAN 또는 피코넷(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412)(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터치스크린, 터치패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0063] 프로세서(1404)는 버스(1402)를 관리하는 것, 그리고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비롯한 일반 프로세싱을 책임진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4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4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소프트웨어는 공존 소프트웨어(1407)를 포함하고, 이 공존 소프트웨어(1407)는, 프로세서(14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414)으로 하여금, 도 1-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BT/WLAN 공존 기술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4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64]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1404)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어로 지칭되든 또는 달리 지칭되든 간에, 소프트웨어는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널리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컨대, CD(compact disc)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컨대,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탈착 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 내에, 프로세싱 시스템(1414)의 외부에,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1414)을 비롯한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된 채로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406)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 내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물에 걸쳐 제시된 설명된 기능을 어떻게 최선으로 구현할지를 인식할 것이다.
[0065] 도 15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BT 및 WLAN 공존 동작들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구성된 장치(1400)를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예컨대, 이 장치(1400)는 통신 디바이스(102)일 수 있다. 장치(1400)는 WLAN 트랜시버(1502) 및 BT 트랜시버(1504)를 포함한다. WLAN 트랜시버(1502) 및 BT 트랜시버(1504)는 트랜시버들(1410)일 수 있다. WLAN 트랜시버(1502)은 WLAN 프로토콜, 예컨대, 802.11 프로토콜에 따라 WLAN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T 트랜시버(1504)는 피코넷 프로토콜에 따라 BT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4)는 WLAN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1506), WLAN 데이터를 프래그멘팅하기 위한 컴포넌트(1508), WLAN PPDU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컴포넌트(1510), BT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1512), WLAN Tx 데이터 레이트 및 변조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1514), WLAN MPDU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컴포넌트(1516), WLAN Rx SINR을 측정하고 SINR에 기초하여 BT Tx를 조정하기 위한 컴포넌트(1518), BT Tx 매체 액세스 타이밍을 통신하기 위한 컴포넌트(1520),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1522), DTIM/TIM/PS-폴 프레임들을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1524), WLAN 트랜시버(1502)를 슬립 모드로 셋팅하기 위한 컴포넌트(1526), 및 WLAN 트랜시버(1502)를 웨이크 업하기 위한 컴포넌트(1528)를 포함한다. 이 예의 신규한 특징들을 설명하기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1400)의 다른 일반적으로 알려진 컴포넌트들은 명료성을 위해 도 15에 도시되지 않는다.
[0066]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도 15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기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2)는, BT 데이터(BT Rx)를 수신하기 위해 BT 트랜시버(1504)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08)는, BT Rx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예컨대, 도 5의 BT 주기(510))에 기초하여, WLAN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06)는, BT Rx과 WLAN Tx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WLAN Tx)를 송신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502)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6)는, BT Rx를 수신하면서 MPDU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50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0)는, WLAN Tx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WLAN 프레임들의 PPDU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4)는, WLAN Tx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프래그멘팅된 WLAN 프레임들의 데이터 레이트 또는 변조를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7]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도 15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기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2)는, BT 데이터(BT Tx)를 송신하기 위해 BT 트랜시버(1504)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2)는, BT Tx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WLAN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WLAN Rx)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110)에 전송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502)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06)는, BT Tx와 WLAN Rx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502)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BT Tx의 송신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WLAN Rx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은, BT Tx의 송신 동안에 MPDU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2)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CTS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2)는, WLAN 데이터의 프래그멘테이션에 기초하여, BT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8)는, 수신된 WLAN Rx의 SINR을 측정하고, 수신된 WLAN Rx의 측정된 SINR에 기초하여 BT Tx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8)는 추가로, BT Tx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디지털 전치-왜곡을 BT Tx에 적용하거나; 또는 BT Tx에 의해 WLAN Rx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8]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도 15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기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2)는, BT 데이터(BT Tx)를 송신하기 위해 BT 트랜시버(1504)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0)는, BT Tx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을 액세스 포인트(110)에 통신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502)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6)는, WLAN 트랜시버(1502)를 슬립 모드로 셋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8)는,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BT 트랜시버(1504)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WLAN Rx를 수신하도록 WLAN 트랜시버(1502)를 웨이크 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된 WLAN Rx는 WLAN 트랜시버(1502)가 슬립 모드로 있었을 때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되었다. 컴포넌트(1524)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TIM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TIM은, WLAN Rx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됨을 표시한다. 컴포넌트(1524)는, TIM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WLAN 트랜시버(1502)를 활용하여, PS-폴을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24)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TIM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DTIM은, WLAN Rx가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임을 표시한다. 컴포넌트(1518)는, 수신된 WLAN Rx의 SINR을 측정하고, 수신된 WLAN Rx의 측정된 SINR에 기초하여 BT Tx의 송신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518)는 추가로, BT Tx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거나, 디지털 전치-왜곡을 BT Tx에 적용하거나, 또는 BT Tx에 의해 WLAN Rx에 부과되는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액티브 간섭 제거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9] 도 16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WLAN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성된 장치(1400)를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도이다. 예컨대, 이 장치(1400)는 액세스 포인트(110)일 수 있다. 장치(1400)는 WLAN 트랜시버(1602)를 포함한다. WLAN 트랜시버(1602)는 트랜시버(1410)(도 14 참조)일 수 있다. WLAN 트랜시버(1602)는, WLAN 프로토콜, 예컨대, 802.11 프로토콜에 따라 WLAN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4)는 WLAN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컴포넌트(1604),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1606), WLAN 및 BT 충돌을 회피하면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컴포넌트(1608),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컴포넌트(1610), WLAN 데이터 레이트, 변조, 및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1612), WLAN MPDU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컴포넌트(1614), TIM/PS-폴을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1616), 및 DTIM을 처리하기 위한 컴포넌트(1618)를 포함한다. 이 예의 신규한 특징들을 설명하기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1400)의 다른 일반적으로 알려진 컴포넌트들은 명료성을 위해 도 16에 도시되지 않는다.
[0070]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도 16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도 1-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액세스 포인트(110)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04)는, WLAN 매체를 활용하여, WLAN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102)에 송신하기 위해 WLAN 트랜시버(1602)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06)는, WLAN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08)는, WLAN 데이터와 BT 무선 매체(예컨대, 도 9의 BT 매체)를 활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BT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예컨대, 도 9의 기간(914))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0)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프래그멘테이션 임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2)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WLAN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부스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2)는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의 변조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4)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MPDU를 WLAN으로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06)는 추가로, 앞서 전송된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포함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8)는,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WLAN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DTIM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1616)는,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된, 통신 디바이스를 목적지로 하는 WLAN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을 표시하는 TIM을 송신하고, PS-폴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며, 그리고 PS-폴에 대한 응답으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WLAN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71] 도 17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17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1702)에서, 통신 디바이스(102)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피코넷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예컨대, BT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예컨대, BT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1704)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예컨대, WLAN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한다. 단계(1706)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제 2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802.1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트랜시버(예컨대, WLAN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송신한다.
[0072] 도 18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18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1802)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피코넷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예컨대, BT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예컨대, BT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1804)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WLAN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AP(110))에 전송한다. 단계(1806)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데이터와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제 2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802.1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트랜시버(예컨대, WLAN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프래그멘팅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한다.
[0073] 도 19는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2)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19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1902)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피코넷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예컨대, BT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예컨대, BT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1904)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802.1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트랜시버(예컨대, WLAN 트랜시버)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을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AP(110))에 통신한다. 단계(1906)에서, 디바이스(102)는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슬립 모드로 셋팅한다. 단계(1908)에서, 디바이스는,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트랜시버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제 2 데이터(예컨대, WLAN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웨이크 업하고, 수신된 제 2 데이터는 제 2 무선 트랜시버가 슬립 모드로 있었을 때 액세스 포인트에 큐잉되었다.
[0074] 도 20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의 방법(20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2002)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1 무선 매체(예컨대, WLAN)를 활용하여 제 1 데이터(예컨대, WLAN 데이터)를 통신 디바이스(102)에 송신한다. 단계(2004)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1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하는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단계(2006)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와 제 2 무선 매체(예컨대, BT 매체)를 활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 2 데이터(예컨대, BT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프래그멘테이션 요청에 의해 표시된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에, 프래그멘팅된 제 1 데이터를 송신한다.
[0075] 원격통신 시스템의 여러 양상들이 WLAN 및 BT를 사용하는 예시적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당업자들이 쉽게 인식할 것이므로, 본 개시물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0076]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UMTS 시스템들, 예컨대, W-CDMA, TD-SCDMA 및 TD-CDMA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FDD, TDD, 또는 양쪽 모드들 둘 다의) LTE(Long Term Evolution), (FDD, TDD, 또는 양쪽 모드들 둘 다의) LTE-A(LTE-Advanced), CDMA2000, EV-DO(Evolution-Data Optimized),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및/또는 다른 적절한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되는 실제 원격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0077]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 프로세스들의 예시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며, 구체적으로 그 안에 언급되지 않는 한,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0078] 앞선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나타난 양상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와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부합되어야 하며, 단수의 엘리먼트에 대한 지칭은 구체적으로 그렇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그리고 단 한 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란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항목들의 목록의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비롯해 그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그리고 a, b 및 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79]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또는 이후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물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아무것도, 이러한 개시물이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언급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공공에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문구 "~위한 수단"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엘리먼트가 문구 "~위한 단계"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 §112, 6번째 문단의 조항들 하에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3)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1 무선 트랜시버;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제 2 무선 트랜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 제 1 컴포넌트;
    상기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fragmented)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도록 구성된 제 2 컴포넌트;
    상기 제 1 데이터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상기 제 2 데이터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을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레임들 사이에서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도록 구성된 제 3 컴포넌트; 및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레임들 사이의 간격에 들어가게,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데이터 레이트 또는 변조를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 4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5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PLCP(PHY Layer Convergence Procedur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제 6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1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트랜시버, 제 2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1 컴포넌트에 의해,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2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의 매체 액세스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 2 데이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프래그멘팅된(fragmented) 프레임들로 동적으로 프래그멘팅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3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와 상기 제 2 데이터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상기 제 2 데이터의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을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레임들 사이에서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활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4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제 1 데이터의 프레임들 사이의 간격에 들어가게,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데이터 레이트 또는 변조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2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5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 2 무선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제 6 컴포넌트에 의해, 상기 제 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프래그멘팅된 프레임들의 PLCP(PHY Layer Convergence Procedur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크기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67013429A 2013-10-23 2014-10-15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 KR102222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61,320 2013-10-23
US14/061,320 US9433011B2 (en) 2013-10-23 2013-10-23 Apparatus and methods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PCT/US2014/060730 WO2015061110A2 (en) 2013-10-23 2014-10-15 Apparatus and methods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627A KR20160075627A (ko) 2016-06-29
KR102222299B1 true KR102222299B1 (ko) 2021-03-02

Family

ID=5184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429A KR102222299B1 (ko) 2013-10-23 2014-10-15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33011B2 (ko)
EP (1) EP3061299B1 (ko)
JP (1) JP2017502536A (ko)
KR (1) KR102222299B1 (ko)
CN (1) CN105659682B (ko)
BR (1) BR112016008963A2 (ko)
WO (1) WO20150611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285B2 (en) * 2014-04-25 2018-01-23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aware power save
US20150373703A1 (en) * 2014-06-18 2015-12-24 Mediatek Inc. Method of Aligning Frame Transmission to Deterministic Time and Related Wireless Device
US20160014550A1 (en) * 2014-07-09 2016-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ynamically managing ble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101663117B1 (ko) * 2015-03-20 2016-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CA2927184A1 (en) * 2015-04-13 2016-10-13 Talk Technologies Inc. Audio capture and transmission device having sound attenuation
US9801197B2 (en) 2015-05-07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between co-located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60330759A1 (en) * 2015-05-07 2016-11-10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cts or block acknowledgement for coexistence
US9543900B1 (en) 2015-06-19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Switchable supply and tunable load impedance power amplifier
WO2017132613A1 (en) * 2016-01-28 2017-08-03 Hartless David Method for improved bluetooth connectivity
KR20180015486A (ko) * 2016-08-03 201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6358201A (zh) * 2016-09-26 2017-0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
WO2018157925A1 (en) * 2017-03-01 2018-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itigation for narrowband devices in wideband environments
CN108668290B (zh) * 2017-03-30 2021-06-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并行接收数据的方法及装置
US10499407B1 (en) * 2018-10-04 2019-12-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data throughput in wireless device with shared medium
US20200187041A1 (en) * 2018-12-10 2020-06-11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ssociated wireless device
US11595972B2 (en) * 2019-01-16 2023-02-2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optimization using transmission slot availability mask
US11510197B2 (en) * 2019-02-07 2022-11-22 Plan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wireless packet communications by assigning separate resources for sequential transmission attempts
US10938690B2 (en) * 2019-03-27 2021-03-0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overlapping frequency bands
US10869274B2 (en) 2019-05-02 2020-12-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WiFi operation and microwave oven operation
KR102631408B1 (ko) 2019-05-08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24048B2 (en) * 2019-06-28 2022-05-03 Mediatek Inc.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10661608B (zh) * 2019-09-29 2021-09-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WO2021217487A1 (zh) * 2020-04-29 2021-1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设备
US20220078623A1 (en) * 2020-09-04 2022-03-1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existence of isochronous communication device with co-located asynchronous communication device
CN112367701B (zh) * 2020-10-22 2022-11-04 Tcl通讯(宁波)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220070973A (ko) * 2020-11-23 202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식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11632336B2 (en) 2021-06-29 2023-04-18 Nxp Usa, Inc. Multi-radio device
CN113810063A (zh) * 2021-08-19 2021-12-17 杭州优必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共用射频的wifi和蓝牙系统中的数据发送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858A (ja) * 2000-01-19 2001-08-31 Lucent Technol Inc データパケットを通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ータパケットを受信または送信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キャリア
US20090196210A1 (en) 2008-02-03 2009-08-06 Broadcom Corporation Collaborative coexistence of co-located mobile wimax, wireless lan, and/or bluetooth radios
US20090238158A1 (en) 2008-03-20 2009-09-24 Infineon Technologies Ag Packet Fragment Adaptation for Improved Coexistence
JP2010537449A (ja) * 2006-09-28 2010-12-02 ゾーシスト トランスファー エイジー エルエルシー 複数のプロトコルを使った送信
JP2012182595A (ja) * 2011-02-28 2012-09-20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30086T2 (de) * 2000-01-20 2007-01-04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operabilität von Bluetooth und IEEE 802.11
US7715434B2 (en) * 2003-07-30 2010-05-11 Michael Andrew Fischer Managing an access point in the presence of separate protocols that share the same communications channel
US7734253B2 (en) 2004-03-29 2010-06-0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existence of colloc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bluetooth® based on dynamic fragmentation of WLAN packets
US20050276241A1 (en) 2004-06-10 2005-12-15 Adriaan Kamerman Wireless LAN with fragmentation for bluetooth coexistence
CN100364286C (zh) * 2004-08-09 2008-01-23 美国博通公司 无线通讯中共享单天线的方法和系统
US20060292987A1 (en) 2005-06-27 2006-12-28 Lior Ophir Method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Bluetooth network coexistence in a collocated device
US8265563B2 (en) * 2006-10-31 2012-09-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s for enhanced co-existence of co-located radios
ATE518391T1 (de) * 2006-12-21 2011-08-15 Nxp Bv Dienstgüte für wlan- und bluetooth-kombinationen
US7801099B2 (en) * 2007-05-10 2010-09-21 Broadcom Corporation Cooperative transceiving between wireless interface devices of a host device with acknowledge priority
US7826411B2 (en) * 2007-05-10 2010-11-02 Broadcom Corporation Cooperative transceiving between wireless interface devices of a host device with shared modules
US8238832B1 (en) * 2007-08-28 2012-08-07 Marvell International Ltd. Antenna optimum beam forming for multiple protocol coexistence on a wireless device
US8068871B2 (en) * 2007-12-21 2011-1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ime optimization for silencing wireless devices in coexistence networks
US8155695B2 (en) 2008-07-29 2012-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 to improve WLAN performance in a dual WLAN modality environment
US8711823B2 (en) 2009-06-05 2014-04-29 Mediatek Inc.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ransmission and for coexistence of WLAN and another typ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methods thereof
US8249031B1 (en) * 2009-11-17 2012-08-21 Qualcomm Atheros, Inc. Aggregation coexistence mechanism for wireless devices
US8831655B2 (en) * 2012-06-05 2014-09-0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wireless subsyste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858A (ja) * 2000-01-19 2001-08-31 Lucent Technol Inc データパケットを通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ータパケットを受信または送信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キャリア
JP2010537449A (ja) * 2006-09-28 2010-12-02 ゾーシスト トランスファー エイジー エルエルシー 複数のプロトコルを使った送信
US20090196210A1 (en) 2008-02-03 2009-08-06 Broadcom Corporation Collaborative coexistence of co-located mobile wimax, wireless lan, and/or bluetooth radios
US20090238158A1 (en) 2008-03-20 2009-09-24 Infineon Technologies Ag Packet Fragment Adaptation for Improved Coexistence
JP2012182595A (ja) * 2011-02-28 2012-09-20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1299A2 (en) 2016-08-31
EP3061299B1 (en) 2020-08-12
WO2015061110A2 (en) 2015-04-30
KR20160075627A (ko) 2016-06-29
BR112016008963A2 (pt) 2017-09-19
JP2017502536A (ja) 2017-01-19
US9433011B2 (en) 2016-08-30
WO2015061110A3 (en) 2015-06-18
CN105659682B (zh) 2019-04-05
US20150111610A1 (en) 2015-04-23
CN105659682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299B1 (ko)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공존의 장치 및 방법들
US10912083B2 (en) Wireless router or residential gateway capable of distinguishing power-sensitive wireless sensors and providing separate treatment thereto
US10588152B2 (en) Access point (AP) controlled uplink RTS/CTS configuration and disablement
US10349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existence of multiple homogeneous radios and traffic management therein
CN107454998B (zh) 在lte授权辅助接入操作中与其它技术的装置内共存
EP27989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existence of multiple collocated radios
US9936516B2 (en) Transmission coordination for collocated radios
EP26738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tegorized channel reservation
US20200044769A1 (en) Adaptive bit rates for wi-fi and bluetooth coexistence
JP2015122755A (ja) 無線通信パケットの受信を選択的に停止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857096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ordinating among multiple co-located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WO2010013100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improve wlan performance in a dual wlan environment
TW201401794A (zh) 無線電通信裝置和用於操作無線電通信裝置的方法
US10819489B2 (en) Real time ACK/NAK from link sniffing
US20140269633A1 (en) Coexistence of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device in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ap)
US10779210B2 (en) Handover of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ogical transport channel
WO2016101270A1 (zh) 非授权频谱的调度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20200275318A1 (en) Coexistence configuration switching for mesh networks
EP4329421A1 (en) Reconfigured trigger-frame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