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17B1 -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17B1
KR101663117B1 KR1020150038804A KR20150038804A KR101663117B1 KR 101663117 B1 KR101663117 B1 KR 101663117B1 KR 1020150038804 A KR1020150038804 A KR 1020150038804A KR 20150038804 A KR20150038804 A KR 20150038804A KR 101663117 B1 KR101663117 B1 KR 10166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xternal device
window
head unit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666A (ko
Inventor
예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17B1/ko
Priority to US14/958,580 priority patent/US10064151B2/en
Priority to DE102015224740.6A priority patent/DE102015224740A1/de
Priority to CN201510909269.6A priority patent/CN105992382B/zh
Publication of KR2016011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B60R201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 유닛이 개시된다. 본 유닛은 안테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로 제1 통신 또는 제2 통신을 수행하는 콤보 모듈, 콤보 모듈이 제1 통신 모드 및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로 스위칭되도록 콤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연결되는 경우, 외부 기기와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주파수 주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안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VEHICULAR HEAD UNIT,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ND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YSTEM BETWEEN DIFFERENT DEVIC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자동차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아울러,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기기 간 통신 뿐 아니라 차량과 모바일 기기 간 통신, 차량 간 통신 기술 또한 함께 발달되고 있다. 차량은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이동 통신 등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 차량용 단말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하기도 한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은 하나의 모듈안에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며, 블루통신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를 공유하여 사용한다.
종래기술에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단말 간에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이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 및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동시에 연결된 경우,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이 하나의 안테나를 공유하지도 않았다.
이에 따라, 두 단말 간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모색이 요청된다.
한국특허공개문헌 10-2014-00524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외부 기기와 안정적인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가 제1 연결되고 와이파이 연결 시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와이파이 제2 연결이 실패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단말끼리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손실 및 연결 실패을 방지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와 관련된 차량용 헤드 유닛은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로 제1 통신 또는 제2 통신을 수행하는 콤보 모듈, 상기 콤보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로 스위칭되도록 상기 콤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와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주파수 주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용 헤드 유닛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외부 기기와 안정적으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장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동시에 연결된 경우, 데이터 손실이나 연결 해제 등의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과 모바일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헤드 유닛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헤드 유닛 및 외부 기기의 Co-Existence 모드 설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과 모바일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차량(10)은 차량(10) 내부에 헤드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헤드 유닛은 차량 내부에서 오디오, 비디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통신 등을 통해 외부 기기(가령, 모바일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헤드 유닛은 텔레매틱스 모듈과 연계되어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헤드 유닛은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은 동일한 프리퀀시(가령, 2.4GHz)를 이용하며, 헤드 유닛이 블루투스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듈이다.
모바일 기기(20) 역시 블루투스/와이파이 모듈을 탑재한 것으로 상정하면, 헤드 유닛은 모바일 기기(2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및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유닛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할당한 시간을 블루투스 윈도우(Window),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할당한 시간을 와이파이 윈도우(Window)라고 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기기(20)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할당한 시간을 블루투스 윈도우(Window),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할당한 시간을 와이파이 윈도우(Window)라고 정할 수 있다.
이때, 헤드 유닛과 모바일 기기(20)는 기기 간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윈도우 및 와이파이 윈도우의 주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헤드 유닛은 모바일 기기(20)와 와이파이 데이터의 경우 와이파이 윈도우에 송수신하고, 블루투스 데이터의 경우, 블루투스 윈도우에 송수신한다.
이와 같이, 이종 기기 간 와이파이 윈도우 및 블루투스 윈도우의 주기가 동기화됨으로써, 프리퀀시 간섭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나 연결 끊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외부 기기(200)와 통신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1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헤드 유닛(100)은 안테나(110),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120), 메모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시 공용으로 이용되는 안테나(110)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안테나(110)는 송신할 때, 송신기에 의해 변조된 교류전압을 전자기파로서 대기 중에 방사(emitting)하고, 반대로 수신할 때는 전자기파를 수신기에 의해 평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안테나(110)를 통해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120)은 하나의 칩에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탑재된 콤보 모듈이다. 블루투스/와이파이 콤보 모듈(120)은 하나의 안테나(110)를 공용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시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통신 시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모듈(120)은 상기 안테나(110)를 통해 동일한 프리퀀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는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용 헤드 유닛(100)을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콤보 모듈(120)이 블루투스 모드 또는 와이파이 모드 중 하나로 스위칭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헤드 유닛(100)이 블루투스 통신으로 외부 기기(200)와 통신하는 경우, 콤보 모듈(120)이 블루투스 모드로 동작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고, 헤드 유닛(100)이 와이파이 통신으로 외부 기기(200)와 통신하는 경우, 콤보 모듈(120)이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이 함께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기기(200)와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헤드 유닛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단, 제어부(140)는 콤보 모듈(120)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를 먼저 연결하고, 와이파이 모듈을 후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파이가 먼저 연결되고, 블루투스가 후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차량에서 블루투스의 이용이 더 빈번한 바 이와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40)는 System Booting Module 이 준비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40)는 페이지 1(Pg1) 부터 페이지 5(Pg5)까지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시간을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하나의 슬롯마다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되었다는 뜻은 외부 기기와 페어링이 되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부(140)가 5개의 단말을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한 것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먼저 1사이클동안 외부 기기와 연결을 시도하고, 그 다음 2사이클에서 페이지 사이에 공 슬롯(Paging Pause)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40)는 공 슬롯 구간에서는 다른 통신 이벤트를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코넥션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와이파이 커넥션을 위한 인터벌(310 부터 320 까지, 350)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 커넥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Wifi Connecting state(350)를 두어 안정적으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2사이클 이후 각 페이지(Pg1 내지 Pg5) 동안은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와이파이 커넥션이 블루투스 연결과 함께 이뤄진 경우, 제어부(140)는 와이파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Paging Pause 구간을 이용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연결 시도 중에 와이파이 연결 시도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연결을 위한 타임 인터벌을 부여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순차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및 와이 파이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후,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는 중에도,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해서, Paging Pause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하나만 연결된 경우,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도록 콤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헤드 유닛 및 외부 기기의 Co-Existence 모드 설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단,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와 함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410).
헤드 유닛(100)이 외부 기기(200)와 상술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3에서 전술한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헤드 유닛(10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Co-Existence 로직 구비여부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한다(S420).
여기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Co-Existence 로직이란,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구비한 경우, 블루투스 윈도우 및 와이파이 윈도우의 타임 슬라이스를 조절할 수 있는 로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기기(2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Co-Existence 로직 구비 여부를 헤드 유닛(100)으로 전송한다(S425).
이때,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가 블루투스 와이파이 Co-Existence 로직 구비한 경우(S430), 특정 Co-Existence 모드를 외부 기기(200)로 요청할 수 있다(S440).
이로써, 헤드 유닛(100)은 외부기기가 Co-Existence 모드 설정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00)은 헤드 유닛(100)의 필요에 따른 블루투스 윈도우 할당 시간 및 인터벌, 와이파이 윈도우 할당 시간 및 인터벌 정보를 포함한 Co-Existence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윈도우는 헤드 유닛(100)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할당한 타임이라 할 수 있고, 와이파이 윈도우는 헤드 유닛(100)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할당한 타임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면, 외부 기기(200)는 특정 Co-Existence 모드 수락여부를 헤드 유닛(100)로 전송한다(S445).
이와 같이 헤드 유닛(100) 및 외부 기기(200)는 서로 Co-Existence 모드를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헤드 유닛(100)이 Co-Existence 모드 설정을 트리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외부 기기(200) 역시 Co-Existence 설정을 주도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한편, 아래의 표 1은 Co-Existence 모드의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모드 BT WiFi 판단조건
모드 1 50% 시간 점유 50% 시간 점유 일반적인 경우
모드 2 70% 시간 점유 30% 시간 점유 블루투스 스트리밍 사용시
모드 3 30%시간 점유 70% 시간 점유 WiFi 대용량 스트리밍 전송시
모드 4 요청한 노드에서 100% 사용 요청 업데이트의 경우 등
본 표는 하나의 예이고, 헤드 유닛(100) 및 외부 기기(200)는 협상을 통해 적절한 Co-Existence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닛(100)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의 사용량에 기초하여 통신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다. 가령, 헤드 유닛(100)은 블루투스가 와이파이 통신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경우, 블루투스 윈도우 할당량을 와이파이 윈도우 할당량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와이파이 통신 사용량이 더 큰 경우, 헤드 유닛(100)은 와이파이 윈도우 할당량을 블루투스 윈도우 할당량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헤드 유닛(100)은 설정된 Co-Existence 모드에 대응되는 프리퀀시 주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의 블루투스 윈도우, 와이파이 윈도우의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 유닛(100)은 외부 기기(200)와 블루투스 윈도우에는 두 단말 간 블루투스 데이터만 송수신하고, 와이파이 윈도우에는 와이파이 데이터만 송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 유닛(100)은 블루투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동시에 외부기기(200)은 와이파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손실이나 연결 해제되는 종래의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콤보 모듈을 탑재한 단말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동일 주파수로 복수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간에 프리퀀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에 포함된다.
100 : 차량용 헤드 유닛

Claims (22)

  1. 차량용 헤드 유닛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프리퀀시로 블루투스 통신인 제1 통신 및 와이 파이 통신인 제2 통신을 지원하는 콤보 모듈;및
    상기 콤보 모듈이 제1 통신 모드 및 제2 통신 모드를 모두 지원하도록 상기 콤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을 지원하는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 모드 및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에 대응되는 윈도우인 제1 통신 윈도우 및 상기 제2 통신에 대응되는 윈도우인 제2 통신 윈도우 주기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에 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상기 제2 통신에 연결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벌이 각각 부여되도록 상기 콤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이 연결된 후, 제2 통신 연결 시도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벌이 부여되도록 상기 콤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을 외부 기기와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중 하나의 통신만 이뤄진 경우,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가 Co-Existence 모드 설정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헤드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Co-Existence 모드 설정가능한 경우, 사용량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윈도우 및 제2 통신 윈도우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헤드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상기 제1 통신 윈도우 및 상기 제2 통신 윈도우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의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헤드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윈도우 및 제2 통신 윈도우 할당을 동일한 비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윈도우를 상기 제2 통신 윈도우보다 더 많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윈도우를 상기 제2 통신 윈도우보다 더 적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및 제2 통신은 2.4GHz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
  14. 블루투스 통신인 제1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인 제2 통신을 수행하는 콤보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콤보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Co-Existence 모드 지원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외부 기기가 Co-Existence 모드 지원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 및 제2 통신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을 먼저 연결하고, 상기 제2 통신을 나중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이 연결되고 제2 통신 연결 시도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벌이 부여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통신에 대응되는 제1 통신 윈도우 및 제2 통신에 대응되는 제2 통신 윈도우의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윈도우 비율에 대응되는 프리퀀시 주기로 상기 외부 기기와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 프리퀀시 주기를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윈도우 및 제2 통신 윈도우 할당을 동일한 비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20.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프리퀀시로 블루투스 통신인 제1 통신 및 와이파이 통신인 제2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콤보 모듈을 탑재한 차량용 헤드 유닛;및
    상기 차량용 헤드 유닛과 상기 제1 통신 및 제2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콤보 모듈을 탑재한 외부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용 헤드 유닛은,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제1 통신에 대응되는 제1 통신 윈도우 및 상기 제2 통신에 대응되는 제2 통신 윈도우주기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헤드 유닛은,
    상기 외부 기기로 제1 통신 및 제2 통신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가 Co-Existence 모드 설정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헤드 유닛은,
    상기 외부 기기와 Co-Existence 모드 설정가능한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통신 윈도우 및 제2 통신 윈도우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KR1020150038804A 2015-03-20 2015-03-20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KR10166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04A KR101663117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US14/958,580 US10064151B2 (en) 2015-03-20 2015-12-03 Head unit of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d unit, and transmission/reception synchronization system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DE102015224740.6A DE102015224740A1 (de) 2015-03-20 2015-12-09 Kopfeinheit eines Fahrzeugs, Verfahren für das Steuern einer Kopfeinheit und Übertragungs-/Empfangs-Synchronisationssystem zwischen verschiedenartigen Einrichtungen
CN201510909269.6A CN105992382B (zh) 2015-03-20 2015-12-10 车辆音响主机和其控制方法以及发射/接收同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04A KR101663117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66A KR20160112666A (ko) 2016-09-28
KR101663117B1 true KR101663117B1 (ko) 2016-10-07

Family

ID=5685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804A KR101663117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4151B2 (ko)
KR (1) KR101663117B1 (ko)
CN (1) CN105992382B (ko)
DE (1) DE102015224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6529B1 (en) * 2015-06-18 2017-11-21 Amazon Technologies, Inc. Adaptive wireless frequency band sharing
CN111295331A (zh) * 2017-11-17 2020-06-1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用于使多个控制装置与可移动物体同步的系统和方法
DE102018206335A1 (de) * 2018-04-25 2019-10-31 Audi Ag Haupteinheit für ein Infotainmentsystem eines Fahrzeugs
US10433346B1 (en) * 2018-06-27 2019-10-0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Notice of absence support for coexistence
US10667316B1 (en) * 2018-11-22 2020-05-26 Shimano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plural protocols and pedaling sensing device
KR20230036213A (ko) 2021-09-07 2023-03-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 모델 학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714A (ja) 2002-11-13 2006-09-21 アギ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異質な2つの通信システム間の相互運用性および共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4171B2 (en) 2005-02-25 2008-11-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oIP over WLAN to Bluetooth headset using ACL link and sniff for aligned eSCO transmission
US7899396B2 (en) 2006-06-02 2011-03-01 Qula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for co-located WLAN and Bluetooth
US20090285167A1 (en) 2006-06-27 2009-11-19 Nxp B.V. Scheduled coexistence
JP4916391B2 (ja) 2007-06-22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90245B1 (ko) * 2008-02-25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서브채널 할당을 고려한 공존지원 방법
GB0806792D0 (en) * 2008-04-15 2008-05-14 Cambridge Silicon Radio Ltd Co-Existence method
US8121068B2 (en) * 2008-07-30 2012-02-2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co-existence among multiple radios
KR101481586B1 (ko) * 2008-09-04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구간 할당 방법
JP5036760B2 (ja) 2009-05-28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帯域制御方法
US20110096758A1 (en) 2009-10-26 2011-04-28 Li-Chun Ko Method for enhancing throughput of a wlan module collocated with a bt slave module,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101631875B1 (ko) 2009-12-29 2016-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20944A1 (en) * 2010-11-15 2012-05-17 Xue Yang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radio coexistence
KR20140052423A (ko) 2012-10-24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방식을 이용한 블루투스와 와이파이간 상호 간섭 회피 방법 및 장치
CN103796295B (zh) * 2012-10-31 2017-05-17 西门子医疗器械公司 跳频无线通信中的同步接入方法以及通信设备和系统
TWI526089B (zh) * 2013-02-01 2016-03-11 蘋果公司 用於同級間通信的方法、裝置與無線器件
US9433011B2 (en) * 2013-10-23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KR102343568B1 (ko) * 2014-10-13 2021-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60234696A1 (en) * 2015-02-09 2016-08-11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Detection of coexistence in devices us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714A (ja) 2002-11-13 2006-09-21 アギ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異質な2つの通信システム間の相互運用性および共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2382A (zh) 2016-10-05
CN105992382B (zh) 2020-05-19
US20160278035A1 (en) 2016-09-22
US10064151B2 (en) 2018-08-28
KR20160112666A (ko) 2016-09-28
DE102015224740A1 (de)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17B1 (ko) 차량용 헤드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이종 기기 간 송수신 동기화 시스템
US9975504B2 (en) Remote control of a motor vehicle during a parked phase
US73131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10320668A1 (en)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 sd control chip,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201803325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5149516B2 (ja) Icカード、携帯端末機及び携帯端末機の制御方法
CN105684520B (zh) 用于建立无线局域网通信连接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0091802B2 (en) Elect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201402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1935726B (zh) 通信处理方法、主节点、从节点、存储介质及系统
US9337884B2 (en)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in single channel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8693449B2 (en) Method of allocating and withdrawing time slot using position movement of time slot and TDM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1435876B (zh) 资源确定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US20110171990A1 (en) Termina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power saving
CN112243042A (zh) 分配方法、安全通信方法、检测装置、网关模块及系统
KR100424753B1 (ko) 통신 단말 수용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단말 수용 방법
US20230180194A1 (en) Multimode chip and terminal device
CN113064723B (zh) 存储介质、电子设备、总线资源分配方法及装置
AU2018274991A1 (en) Aggregating and segregating multiple digital vehicular repeaters automatically
CN115278705B (zh) 通信时序规划方法、装置、相关设备、存储介质及系统
US10004038B2 (en) Method of bypassing data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367264A1 (en) Hu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642012A (zh) 资源确定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CN113841459B (zh) 一种资源指示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31931A (ko)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