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931A -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931A
KR20150031931A KR20130111772A KR20130111772A KR20150031931A KR 20150031931 A KR20150031931 A KR 20150031931A KR 20130111772 A KR20130111772 A KR 20130111772A KR 20130111772 A KR20130111772 A KR 20130111772A KR 20150031931 A KR20150031931 A KR 2015003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lient communication
mirroring
data
termin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931A/ko
Publication of KR2015003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엑세스 포인트(AP)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을 부여받지 않은 비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와 무선랜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가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IP 주소를 할당하여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면, 할당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의 차량 단말 장치에서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고 전력의 모바일 A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저전력의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갖는 무선랜(와이파이)을 사용하므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MIRRORING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IRRORING SERVI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미러링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 차량 내 비 통신형 단말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간에 무선 랜(와이파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비 통신형 단말 단말 장치와 통신 단말 장치간에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무선랜 즉, 와이파이(Wi-Fi Wireless Lan(WLAN))는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칭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의 주된 목적은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주변 장치와 공존하여 호환성을 높이며,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매체, 스트림에 무선 접근을 사용하여 복잡함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필요하며, AP가 있으면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기기가 수신 전파를 잡아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화면을 다른 장치의 화면에 출력하여 스마트 폰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러링 서비스 또는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기존의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장치는 외부 통신 즉,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통신기기로서, 외부 통신을 통해 IP 주소를 제공받아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는 기기 예를 들어, 차량 내 헤드 유닛(HeadUint) 등에서는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제공받을 수 없으므로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기 어렵다.
아울러, 기존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AP로 동작하여 다른 통신 기기로 미러링 데이터를 송신한다. 때문에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 장치는 미러링 서비스를 위해 고 전력의 AP 기능을 통해 다른 통신 기기와 접속하므로 전력 소비가 상당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6359호, 2011년 11월 23일 공개(명칭: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을 부여받지 않은 비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와 무선랜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가 무선랜을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IP 주소를 할당하여 할당된 IP 주소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면, 할당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엑세스 포인트 인터페이스부;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미러링 데이터에 관련한 입력 정보가 감지되면, 감지된 입력 정보를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감지된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 테이블을 구성 및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검사하여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시 또는 상기 매핑 테이블이 갱신 시에 상기 매핑 테이블을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미러링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기 저장된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목적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는,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미러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통신망에 접속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통신부; 및 무선랜 모드에서 상기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미러링 데이터에 관련한 입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감지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미러링 서비스를 요청 받으면, 현재 통신 모드를 무선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매핑 테이블을 수신하면, 수신된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에 접속한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다른 클라언트 통신 단말 장치 중 하나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은,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무선랜을 통해 접속하고,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무선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무선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을 위한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목적지로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무선랜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함으로써,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의 비 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에서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고 전력의 모바일 A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저전력의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갖는 무선랜(와이파이)를 사용하므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차량 내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를 대체 선택하여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대체된 선택된 통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차량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간의 링크 셋업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은 비 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10)에 연결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 장치(100)는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의 차량 내 비 통신형 기기로서, 차량 오디오 시스템 전체를 가동하면서 제어하는 차량 오디오 핵심 유닛인 헤드 유닛(Head Unit), 차량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 장치(100)는 무선랜(Wireless Lan(WLAN))에서 기지국 역할을 하는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 동작 즉,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 동작할 수 있으며, 자체 DHCP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DHCP는 조직 내의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해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 장치(100)는 IP 주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미러링한 미러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미러링 데이터가 특정 목적지로 전송되는 경우, 차량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의 목적지를 확인하여 확인된 목적지 즉, 목적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장치(3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외부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장치 즉, 서비스 장치(300)와 인터넷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데이터(이하, 인터넷 데이터라 칭함)를 수신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 사용자가 차량 내 비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랜 즉,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와이파이 모드로 전환(Wi-Fi ON)되면,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의 수신 전파를 잡아 AP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클라어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인터넷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되면,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미러링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100)를 대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게이트웨이(GW)(20)에 연결되어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3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차량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엑세스 포인트 인터페이스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접속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엑세스 포인트(AP) 모듈(111) 및 미러링 서비스 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접속하여 미러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역할을 하는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 동작 즉,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차량 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파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수신 전파를 잡아 접속을 시도하면,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접속을 시도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링크 셋업 절차가 완료되어,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접속되면,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자체 DHCP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IP 주소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IP 주소와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매핑한 정보를 포함하여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고, 구성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부(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엑세스 포인트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의 접속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매핑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 모듈(112)은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결과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된 데이터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를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서비스 모듈(112)은 출력되는 미러링 데이터의 일부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력부(150)의 표시부 실행 화면을 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입력 정보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는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입력 정보에 따른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의 실행 화면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의 동일한 실행 화면이 전환되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서비스 모듈(112)은 현재 입력 정보에 따라 수신되어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인터넷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미러링 서비스 모듈(112)은 미러링 데이터가 특정 목적지로 전송되는 경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의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매핑 테이블에서 확인된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목적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 인터페이스부(120)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접속을 위한 링크 셋업 절차 메시지들 및 IP 할당에 관련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고,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엑세스 포인트 인터페이스부(120)는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출력부(150)의 표시부 실행 화면을 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저장부(140)는 차량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매핑 테이블 및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미리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50)는 차량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미러링 서비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입력부(230), 저장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서비스 장치(300)와 인터넷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와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차량 단말 장치(100)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인터넷 서비스 모듈(211) 및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모듈(211)은 통신망(10)을 통해 외부 장치 즉, 서비스 장치(3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장치(300)와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모듈(211)은 게이트웨이(GW)(20)로 인터넷 연결을 위한 IP 주소를 요청하고, 게이트웨이(20)로부터 자신에게 할당된 IP 주소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IP 주소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제1 IP 주소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모듈(211)은 IP 주소로 통신망(10)에 연결된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외부 데이터 즉,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 모듈(211)은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함에 따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사용자가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간에 구축된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통신모드 예를 들어, AP 모드에서 무선랜(와이파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화면을 표출하고, 사용자가 와이파이를 O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와이파이 모드로 전환(Wi-Fi ON)되면,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의 수신 전파를 잡아 AP에 접속을 시도한다. 여기서, 인터넷 네트워크(통신망(10))는 무선랜 네트워크보다 라우팅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으며, 802.11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단말 장치(100)와 물리 계층 및 데이터링크 계층 상에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되면,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할당된 IP 주소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IP 주소는 차량 단말 장치(10)와 접속하기 위한 제2 IP 주소이다.
이에 따라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된 데이터에 대한 미러링 요청을 받으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미러링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제2 IP 주소를 통해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미러링 데이터의 일부가 선택되면, 이에 따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정보에 따른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의 실행 화면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의 동일한 실행 화면이 전환되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현재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인터넷 데이터를 미러링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미러링 서비스 모듈(212)은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1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221)과, 무선랜(와이파이)를 통해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제1 통신 모듈(221)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외부 데이터(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제2 통신 모듈(222)을 통해 차량 단말 장치(100)와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입력 신호,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발생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차량 단말 장치(100)간에 미러링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및 미러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25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인터넷 서비스 및 미러링 서비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및 차량 단말 장치(100)를 통해 전달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제1 통신 모듈(221)을 통해 통신망(10)에 접속을 시도하여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한 후, 게이트웨이(20)로 IP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2단계에서 게이트웨이(GW)(20)에서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이에 따라 1103단계에서 제1 통신 모듈(221)은 게이트웨이(20)로부터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한 IP 주소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IP 주소를 제1 IP주소로 획득하게 된다. 이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제1 IP 주소로 게이트웨이(20)와 접속 즉, 인터넷 연결이 되어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망(1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4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고,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후, 1105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무선랜(와이파이)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통신 모듈(222)을 통해 차량 단말 장치(100)와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1106단계에서 제2 통신 모듈(222)은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AP의 전파 신호를 잡아서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링크 셋업 절차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Broadcast) 형식의 비콘(Beacon) 프레임을 생성시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비콘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타임 스탬프(Timestamp), 비콘 간격(Beacon interval), 기능(Capability),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지지 전송율(Supported rates)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WLAN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기본 서비스 세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식별자이며,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로도 지칭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한 비콘 프레임들을 통해 접속 가능한 AP의 존재를 확인하여 특정의 AP 즉, 차량 단말 장치(100)의 AP를 선택하고, 선택한 AP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한다. 여기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및 지지 전송율(Supported rates)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기본 서비스 세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식별자로, 특정 기본 서비스 세트의 고유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알지 못하는 어떠한 단말도 해당 기본 서비스 세트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즉, 단말은 특정 기본 서비스 세트, 즉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실어 보내게 된다.
이후,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차량 단말 장치(10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타임 스탬프(Timestamp), 비콘 간격(Beacon interval), 기능(capability),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지지 전송율(Supported rates)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탐색(Search) 과정이라고 한다.
탐색 과정을 거친 후, 차량 단말 장치(100) 및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인증(Authentication)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차량 단말 장치(100)로 인증 요청(Authentication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후 이에 대한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인증 요청 프레임 및/또는 인증 응답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증 알고리즘 번호(Authentication algorithm number), 인증 처리 시퀀스 번호(Authentication transaction sequence number) 및 상태 코드(Status Cod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차량 단말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연계(Association)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연계 요청(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을 차량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연계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수신한다. 여기서, 요청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기능(Capability),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및 지지 전송율(supported rates)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응답 프레임은 헤더(header), 프레임 바디(frame body),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기능(Capability), 상태 코드(Status Code), 연계 식별자(AID: Association ID), 지지 전송율(supported rates)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계 식별자(AID)는 단말이 AP와의 연계 이후에 AP가 복수의 단말을 구별하기 위하여 각 단말에 부여한 특정 식별자를 의미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1107단계에서 제2 통신 모듈(222)은 차량 단말 장치(100)로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한 IP 주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8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자체 DHCP를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IP 주소를 생성하고, 1109단계에서 생성된 IP 주소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 할당하여 할당된 IP 주소 정보를 포함한 IP 주소 전송 메시지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10단계에서 제2 통신 모듈(222)은 수신된 IP 주소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를 제2 IP 주소로 획득하게 된다. 이에 따라 1111단계에서 제2 통신 모듈(222)은 제2 IP 주소로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미러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데이터 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미러링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비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100)와 무선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구축된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와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 서비스를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의 미러링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접속을 위해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1202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IP 주소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IP 주소 요청이 있는 경우, 1203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IP 주소를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후, 1204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미러링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1205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차량 단말 장치(100)는 미러링 데이터 수신 메시지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목적지인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1206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출력된 미러링 데이터에 대한 터치 이벤트 즉, 입력 정보가 감지되면, 1207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감지된 입력 정보를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208단계에서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로부터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100)에서의 미러링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1301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통신망(10)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인터넷에 연결하고, 통신망(10)에 접속된 외부 장치 즉,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외부 데이터(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그런 다음 1302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고, 미러링 서비스 실행 화면에 표출되는 모드 전환 메뉴를 통해 와이파이 모드로 전환(Wi-Fi ON)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네트워크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와이파이 모드 전환을 수행하고,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후, 1303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잡아 접속을 시도하고, 차량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1304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접속된 차량 단말 장치(100)로 IP 주소를 요청하고, 1305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차량 단말 장치(100)에서 할당된 IP 주소를 수신 즉, 제2 IP주소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1306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미러링 시비스를 위한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1307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획득한 제2 IP 주소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 장치(100)로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후, 1308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1309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입력 정보에 따른 서비스 장치(300)로 인터넷 데이터를 요청하고, 1310단계에서 요청된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행 화면에 출력한다.
그런 다음 1311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현재 실행 화면에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는 차량 단말 장치(100)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전송된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실행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단말 장치(100)는 접속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그룹 오너(Group Owner)로 동작하게 됨으로써, 차량내 운전자 및 승객이 소지한 다수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와 대응하여 멀티-유저 P2C(Phone-to-Car)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 내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를 대체 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 방법에 따라 전력 소비가 큰 AP 기능을 상시 전력이 공급되는 비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100)에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는 차량 단말 장치(100)와 접속하기 위해 AP를 사용하지 않고, 저전력의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갖는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200)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함으로써, 외부 통신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환경에서의 비 통신형 기기인 차량 단말 장치에서도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고 전력의 모바일 A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저전력의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갖는 무선랜(와이파이)를 사용하므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AP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차량 내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를 대체 선택하여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대체된 선택된 통신 단말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20: 게이트웨이(GW) 100: 차량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AP 모듈 112: 미러링 서비스 모듈
120: AP 인터페이스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210: 제어부 211: 인터넷 서비스 모듈 212: 미러링 서비스 모듈
220: 통신부 230: 입력부 240: 저장부
250: 출력부 300: 서비스 장치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엑세스 포인트 인터페이스부;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미러링 데이터에 관련한 입력 정보가 감지되면, 감지된 입력 정보를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상기 감지된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 테이블을 구성 및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검사하여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갱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접속 시 또는 상기 매핑 테이블이 갱신 시에 상기 매핑 테이블을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미러링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기 저장된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목적지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검색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
  7. 무선랜 네트워크를 통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미러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통신망에 접속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무선랜 모드에서 상기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받고,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미러링 데이터에 관련한 입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감지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 중 사용자로부터 미러링 서비스를 요청 받으면, 현재 통신 모드를 무선랜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매핑 테이블을 수신하면, 수신된 매핑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에 접속한 다른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다른 클라언트 통신 단말 장치 중 하나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를 통해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13.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무선랜을 통해 접속하고,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러링 데이터를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14.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여 무선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와 접속을 위한 링크 셋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목적지로 상기 수신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17. 외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무선랜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데이터를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된 미러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11772A 2013-09-17 2013-09-17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31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772A KR20150031931A (ko) 2013-09-17 2013-09-17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772A KR20150031931A (ko) 2013-09-17 2013-09-17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931A true KR20150031931A (ko) 2015-03-25

Family

ID=5302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772A KR20150031931A (ko) 2013-09-17 2013-09-17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50A (ko) * 2017-04-03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적 정보의 할당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50A (ko) * 2017-04-03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적 정보의 할당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700B1 (ko) 리소스 지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I481213B (zh) 促進無線通信的系統與方法
US95448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663011B1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CN103916987B (zh)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US10560929B2 (en) Resource reques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network side node
US2013014856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ethering control method and tethering control program
US20070002884A1 (en) Usage of multiple SSIDs for doing fast WLAN network discovery
EP3462779B1 (en)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device
KR20150127912A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6043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93953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223192A1 (en) Time slot reassignment mechanis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coexistence improvement
JP2022528060A (ja) 指示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WO2018103400A1 (zh) 无线保真Wi-Fi连接方法及相关产品
US2016030882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gre tunnel, gateway device, and access site
JP2017531336A (ja) トランキング通信サービス処理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ue、記憶媒体
WO2020031682A1 (ja) 通信装置
CN111262668B (zh) 物理上行控制信道传输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US20240057127A1 (en) Pscch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600293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link in wireless lan system
EP3435727A1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CN103781138A (zh) 一种WiMo发送端接入WLAN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31931A (ko) 미러링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미러링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30429B1 (ko) 지역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