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060B1 -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060B1
KR102222060B1 KR1020190090274A KR20190090274A KR102222060B1 KR 102222060 B1 KR102222060 B1 KR 102222060B1 KR 1020190090274 A KR1020190090274 A KR 1020190090274A KR 20190090274 A KR20190090274 A KR 20190090274A KR 102222060 B1 KR102222060 B1 KR 10222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stalling
sides
concre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477A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9009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관로에 장착되는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 상판 및 양 날개판과 고정판으로 분리 구성된 바닥판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조하는 제1 단계; 관로의 한쪽에 설치되며 양면이 개방되고 상하, 좌우측에 유압 실린더를 갖춘 철판으로 제작된 선도체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선도체의 한쪽 끝에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제작된 양 측판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양 측판의 상측에 상판을 설치하는 제4 단계; 상기 양 측판의 하단부 양측에 양 날개판을 설치하는 제5 단계; 상기 양 날개판의 사이에 고정판을 설치하며 양측이 개방된 사면체를 형성하는 제6 단계; 각각의 상기 판체들의 연결부를 실링하는 제7 단계; 및 사면체가 완성된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을 유압실린더로 밀어 상기 선도체로부터 분리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construction plan of a concrete condu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관로의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들이 위험감수의 요인에서 벗어나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배수관은 물을 일정한 장소로 배수하기 위한 관체를 말하는 것이다.
배수관은 그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종류와 물성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유체의 양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도 크고 작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배수관에서 특히 규모가 큰 배수관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관로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배수관은 하수용 배수관 또는 우수용 배수관으로 널리 사용하며 그 내부에서 작업자가 자유롭게 활동하며 작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크기도 대형화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배수관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 후면이 개방된 사면체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배수관(100)은 먼저 제조사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조한 후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차량에 싣고 현장으로 운송해야 한다.
따라서, 제품 가격에 대비 많은 금액의 운송비를 감수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와 같이 이송된 제품을 배관 현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역 후 작업자들이 마무리를 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대형 콘크리트 배수관(100)을 싣고 또 하역하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들에게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352294 B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배수관에 의한 관로를 시공할 때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관로의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관로의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현장에서 낱장의 배수관 면체를 제조한 후 관로에서 이를 조립 및 배관토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들이 위험요소가 없는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로에 장착되는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 상판 및 양 날개판과 고정판으로 분리 구성된 바닥판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조하는 제1 단계; 관로의 한쪽에 설치되며 양면이 개방되고 상하, 좌우측에 유압 실린더를 갖춘 철판으로 제작된 선도체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선도체의 한쪽 끝에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제작된 양 측판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양 측판의 상측에 상판을 설치하는 제4 단계; 상기 양 측판의 하단부 양측에 양 날개판을 설치하는 제5 단계; 상기 양 날개판의 사이에 고정판을 설치하며 양측이 개방된 사면체를 형성하는 제6 단계; 각각의 상기 판체들의 연결부를 실링하는 제7 단계; 및 사면체가 완성된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을 유압실린더로 밀어 상기 선도체로부터 분리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측판, 상판 및 양 날개판과 고정판으로 분리 구성된 바닥판의 연결 부분은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양 날개판과 상기 고정판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대형 콘크리트 관로를 이용하여 우수 배관 또는 하수 배관의 관로를 시공하는 방법과 배관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관로의 시공을 간단하게 하고 또 제품가격에 비해 과다하게 소요되는 운송비와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콘크리트 관로의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현장에서 낱장의 배수관 면체를 제조한 후 관로에서 이를 조립 및 배관토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관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수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콘크리트 배수관용 판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선도체의 정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판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순서로 보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콘크리트 배수관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함께 설명한다.
제1 단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로에 장착되는 콘크리트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측판(11)(12)과 상판(13) 그리고 바닥판(14)을 제작한다.
물론, 도면에 표현된 각각의 판재들은 강도를 보강하고 콘코리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도면표현을 생략한 철근과 철사가 배선된 상태로 타설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 중 하나는, 각각의 판재들은 판재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타설작업 및 양생이 용이하여 콘크리트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한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완성된 제작품인 콘크리트 배수관을 옮겨 싣고, 운송하고 또 하역하기 위한 운송비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4)은 양쪽 날개판(14a)(14b) 그리고 후술하는 날개판 (14a)(14b)의 사이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고정판(14c)으로 분리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날개판(14a)(14b)과 상기 고정판(14c)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되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분리 구성된 바닥판(14)과 일체로 구성된 상판(13)은 서로 위치를 바꾸며 사용할 수 있다.
즉, 작업 환경과 조건에 따라 바닥판(14)을 상판으로 그리고 상판(13)을 바닥판으로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다.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마친 후에 선도체(20)를 설치할 수 있지만, 작업공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 단계를 진행하며 각각의 판재들이 양생하는 동안에 미리 토목작업이 완료된 관로의 한쪽에 선도체(20)를 설치한다.
상기 관로는 짧게는 수 미터 길게는 수백 미터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선도체(20)는 관로의 입구 측 또는 출구 측인 한쪽 끝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선도체(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면이 개방되고 철판으로 제작되며 상하, 좌우측면 중앙에 유압 실린더(21)가 구비된다.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완료 후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선도체(20)의 한쪽 끝에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제작된 양 측판(11)(12)을 설치한다.
상기 양 측판(11)(12)은 철판으로 제작된 상기 선도체(20)의 바닥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설치할 수도 있지만, 하측에 바퀴 또는 롤러가 구비된 별도의 트레이의 상측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트레이를 활주하며 설치할 수도 있다.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완료한 후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양 측판(11)(12)의 상측에 상판(13)을 설치한다.
상기 상판(13)을 설치할 때에는 상판(13)의 양측 끝단부와 상기 양 측판(11) (12)의 상단 끝단부가 요철 결합식 또는 끼워맞춤식으로 설치한다.
제5 단계
상기 제4 단계를 완료 후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양 측판(11)(12)의 하단부 양측에 양 날개판(14a)(14b)을 설치한다.
상기 양 날개판(14a)(14b) 역시 그 좌, 우측 끝단부를 상기 양 측판(11)(12)의 하단부에 맞춰서 상술했던 상판(13)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요철 결합식 또는 끼워맞춤식으로 설치한다.
제6 단계
상기 제5 단계를 완료 후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양 날개판(14a)(14b)의 사이에 고정판(14c)을 설치하며 양측이 개방된 사면체를 형성하며 콘크리트 배수관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4)을 형성하는 양 날개판(14a)(14b)은 한 쪽이 폭이 넓고 대향하는 반대 쪽이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4c)은 한 쪽이 폭이 좁고 대향하는 반대 쪽이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 의해 맞춤 식으로 끼워맞추며 사각 형상의 바닥판(14)을 형성하게 된다.
제7 단계
상기와 같이 제6 단계를 완료 후 각각의 상기 판재들의 연결부를 기밀이 유지되도록 실링한다.
즉, 콘크리트 배수관인 사면체의 형상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콘크리트 접합제, 에폭시와 같은 별도의 실링재 그리고 도면 표현을 생략한 코너 연결구나 볼트에 의해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7 단계의 실링은 콘크리트 배수관이 완성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8 단계
상기와 같이 제7 단계를 완료 후 사면체가 완성된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을 도 5와 같이, 상기 선도체(20)의 내부 상하, 좌우측 면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21)로 조금씩 밀어 콘크리트 배수관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도체(20)를 콘크리트 배수관으로부터 슬라이딩 분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각각의 상기 유압 실린더(21)에 동일한 압력을 부여하면 유압 실린더(21)의 피스톤은 돌출하지만 그 선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에 부딪힌 상태에서 작용 및 반작용이 발생하며 중량체인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은 고정된 반면 콘크리트 배수관보다 상대적으로 경량체인 선도체(20)는 한쪽으로 점차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며 선도체(20)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거나 또는 유압 실린더(21)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며 콘크리트 배관을 설치한다.
물론, 콘크리트 배수관의 설치가 완료되면 선도체(20)의 끝단부를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 배관의 끝단부에 일치시킨 후 상술했던 동작을 반복하며, 즉, 선도체(20)의 내측 끝단부에 콘크리트 배관의 구성요소인 판재들을 설치한 후 또 다른 콘크리트 배관을 이어서 설치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12 ; 측판 13 ; 상판
14 ; 바닥판 14a, 14b ; 날개판
20 ; 선도체 21 ; 유압 실린더

Claims (3)

  1. 관로에 장착되는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측판, 상판 및 양 날개판과 고정판으로 분리 구성된 바닥판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조하는 제1 단계;
    관로의 한쪽에 설치되며 양면이 개방되고 상하, 좌우측에 유압 실린더를 갖춘 철판으로 제작된 선도체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선도체의 한쪽 끝에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제작된 양 측판을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양 측판의 상측에 상판을 설치하는 제4 단계;
    상기 양 측판의 하단부 양측에 양 날개판을 설치하는 제5 단계;
    상기 양 날개판의 사이에 고정판을 설치하며 양측이 개방된 사면체를 형성하는 제6 단계;
    각각의 상기 판체들의 연결부를 실링하는 제7 단계; 및
    사면체가 완성된 상기 콘크리트 배수관을 유압실린더로 밀어 상기 선도체로부터 분리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상판 및 양 날개판과 고정판으로 분리 구성된 바닥판의 연결 부분은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날개판과 상기 고정판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KR1020190090274A 2019-07-25 2019-07-25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KR10222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74A KR102222060B1 (ko) 2019-07-25 2019-07-25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74A KR102222060B1 (ko) 2019-07-25 2019-07-25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77A KR20210012477A (ko) 2021-02-03
KR102222060B1 true KR102222060B1 (ko) 2021-03-02

Family

ID=7457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274A KR102222060B1 (ko) 2019-07-25 2019-07-25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0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3B1 (ko) 2009-08-27 2012-06-15 비엔지건설(주) 비개착식 장거리 터널 구조물의 시공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131A (ko) * 2008-06-03 2009-12-08 윤인병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블록을 이용한 루프 구조체 및시공방법
KR101352294B1 (ko) 2012-05-16 2014-01-15 천우산업 주식회사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 제조방법
KR101507598B1 (ko) * 2013-08-13 2015-03-31 주식회사 디씨테크 유압추진식 굴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3B1 (ko) 2009-08-27 2012-06-15 비엔지건설(주) 비개착식 장거리 터널 구조물의 시공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77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419240B2 (en) Box-type pipeline with circumferential obtuse angle connection
CN101776187B (zh) 预应力混凝土玻璃钢复合管材结构及其制作工艺
CN201462207U (zh) 防护井过孔与地埋管道之间的密封装置
JP4707410B2 (ja) トンネル用インバート、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該インバ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インバートの築造方法
KR102222060B1 (ko) 콘크리트 배수관의 시공방법
CN103741949B (zh) 竖向结构与水平结构之间的接缝处理方法
CN111535347A (zh) 一种预制板胎膜嵌套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202248368U (zh) 光纤上线间止水防漏钢筋混凝土剪力墙
CN205676788U (zh) 一种用于涵洞的防渗漏拼装式钢波纹管
CN110260056A (zh) 一种内嵌钢筒式钢筋混凝土排水管及制作方法
CN204626956U (zh) 一种组合定型钢模板
CN201621381U (zh) 预应力混凝土玻璃钢复合管
CN207034429U (zh) 一种顶进施工法用低压钢筒混凝土管
CN207104118U (zh) 一种新能源汽车托盘及新能源汽车
CN110295924B (zh) 一种基于工形钢板的盾构隧道加固结构及施工方法
CN110206564B (zh) 一种基于u形钢板的盾构隧道加固结构及施工方法
KR101105836B1 (ko) 접합부 종이거푸집 및 이의 src 구조 접합부 시공방법
KR101022044B1 (ko)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암거
CN107489165B (zh) 一种适用于埋地管道的模块式保护方法
CN108253202A (zh) 管道及其制备方法
CN210034674U (zh) 管道节与节之间四个角部位的密封结构
CN209114506U (zh) 一种装配式排气阀井
CN111441266A (zh) 涵管构件、涵管组件、涵管、涵道构件、涵道组件及涵道
CN211175769U (zh) 一种压裂水输送螺栓式抱箍型接口
CN110629930A (zh) 四周带连接法兰的厚壁玻璃钢波纹板及其拼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