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09B1 -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09B1
KR102221909B1 KR1020200167801A KR20200167801A KR102221909B1 KR 102221909 B1 KR102221909 B1 KR 102221909B1 KR 1020200167801 A KR1020200167801 A KR 1020200167801A KR 20200167801 A KR20200167801 A KR 20200167801A KR 102221909 B1 KR102221909 B1 KR 10222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terminal
establisher
collaboration service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인
황선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Priority to KR102020016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를 지정하여 링크를 공유하는 개설자 단말, 링크를 공유받고 링크를 통하여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 및 개설자 단말에서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인프라제공부, 개설자 단말에서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개설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초대하도록 링크를 생성하여 개설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개설자 단말에서 생성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웹사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입장시키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INTERACTIVE VIDEO CONFERENCING BASED COOPERATIVE SERVICE FOR NON FACE-TO-FACE BUSINESS}
본 발명은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펜데믹 상황에서도 실질적인 수업 및 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코로나로 인하여 사회 전반에 엄청난 변화들이 예상되는 가운데,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가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집단활동들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적 활동을 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사회적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 각종 집단활동 중 대표적인 행사가 종교활동, 학교생활 및 직장생활 등이다. 위기가 오면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위기로 인하여 큰 피해를 보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극복한다면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위기는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이중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코로나로 인하여 집합교육 및 산업활동은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코로나로 인하여 천편일률적으로 어쩔 수 없이 도입한 온라인 강좌나 비대면 회의를 위한 줌(Zoom) 서비스가 진정한 의미의 성공을 위한 것인지 과연 참여자의 진정한 성장을 위해 얼마나 바람직한 것인지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때, 온라인 화상회의 및 파일 공유를 위한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60770호(2017년07월25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5555호(2002년04월04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이 정보를 공유할 디바이스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내 디바이스와 정보공유 세션(Session)을 설정하고, 정보공유 세션을 통해 공유대상정보 중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과, 화상회의를 개설한 개설자 및 참석자를 관리하고, 개설자 및 참석자 간 텍스트나 그래픽 파일의 자료를 공유하며, 문자나 텍스트를 입력하는 화이트 보드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동시에 음성 및 화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양방향 화상회의 플랫폼의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기술에 의한 산업변화는 생각보다 사회를 빠르게 변화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외부충격에 의한 특별한 사태와 변화는 IMF나 서브프라임 사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코로나 이후에는 상상 이상의 변화 속도를 가지고 있다. 산업 전체에서 기업의 변화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도, 대학 교육도 도미노 현상으로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교육 분야는 비대면 수업이 자연스럽게 정착할 것이며 산업 분야에서는 재택근무가 활성화될 것이다. 코로나 사태가 안정권에 들더라도 대부분의 기업은 인력과 조직구조의 변화를 혁신적으로 바꿀 것이며, 개인의 일자리 산업의 형태에는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에, 위드코로나(With Corona) 시대에 교육 및 생산활동을 위하여 실질적인 양방향 화상회의 플랫폼을 연구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질적인 비대면 회의 및 수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링크(Link)만으로 회의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개설자가 공유한 파일 상에 양방향으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설문조사나 실시간 채팅 및 노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화상회의를 하면서도 텍스트로 대화나 작성한 노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사용자가 참여한 회의나 수업을 개인 관리 페이지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리스트업(Listup)해주며, 회의나 수업 자료와 필기가 함께 녹화가능함으로써 일자별로 녹화 파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나 기업의 관리자가 전체 회의나 수업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나 그룹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를 지정하여 링크를 공유하는 개설자 단말, 링크를 공유받고 링크를 통하여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 및 개설자 단말에서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인프라제공부, 개설자 단말에서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개설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초대하도록 링크를 생성하여 개설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개설자 단말에서 생성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웹사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입장시키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질적인 비대면 회의 및 수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링크(Link)만으로 회의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개설자가 공유한 파일 상에 양방향으로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며, 설문조사나 실시간 채팅 및 노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화상회의를 하면서도 텍스트로 대화나 작성한 노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사용자가 참여한 회의나 수업을 개인 관리 페이지에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리스트업(Listup)해주며, 회의나 수업 자료와 필기가 함께 녹화가능함으로써 일자별로 녹화 파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나 기업의 관리자가 전체 회의나 수업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나 그룹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드코로나의 뉴노멀 시대에 접촉이나 만남없이도 오프라인에서 한 것과 같은 회의 및 수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개설자 단말(100), 참석자 단말(400),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은,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회의나 수업을 주관하는 개설자, 선생님, 교수자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개설자 단말(100)은 회의나 수업을 위해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생성하고, 생성된 웹사이트의 링크(URL)를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로 전달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이 웹사이트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에서 회의나 수업을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에게 공유함으로써 개설자와 참석자가 포함된 하나의 그룹을 만들고, 해당 그룹 내에서 문서 파일, 그림, 필기, 사진, 동영상이나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은,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업이나 회의에 참석하는 학생이나 직장인 등의 참석자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참석자 단말(400)은,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개설자 단말(100)에서 공유한 파일을 공유받을 수 있고, 파일에 필기 등을 할 수 있도록 제어권을 부여받으며, 자신이 참석한 회의를 관리할 수 있는 참석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0)은,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교나 회사 내에 수업 또는 회의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참석자는 몇 명이며 개설된 회의나 수업은 몇 개인지 등을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출력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프라제공부(310), 전송부(320), 관리부(330), 필기부(340), 설문조사부(350), 채팅부(360), 페이지부(370), 맞춤부(380) 및 노트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로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개설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석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프라제공부(310)는, 개설자 단말(100)에서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액티브 엑스의 다운로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라고도 하는 WebRTC는 Google, Mozilla 등에서 홍보하는 개방 소스 프로젝트로서 Javascript API를 통해 플러그인 없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을 통해 음성 통화, 비디오 채팅 및 파일 공유를 위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다. WebRTC용으로 현재 지원되는 코덱이 VP8이다. WebRTC는 웹 컨퍼런싱 서버라고 하는 서버를 이용한다. STUN Server와 연계되는 이 서버는 초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두 WebRTC 엔드포인트 사이의 연결을 동기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화상회의 또는 스트리밍 기술의 기본은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아날로그 시그널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압축 코덱을 사용해서 압축한 후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동일한 압축 코덱을 사용해서 압축 해제한 후 아날로그 시그널로 변환해서 모니터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상회의 또는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SIP와 RTSP인데, SIP나 RTSP는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SDP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협상하고, 협상된 결과를 가지고 R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미디어를 교환한다. WebRTC 기술은 SIP 또는 RTSP 통신과 비슷하게 SDP프로토콜을 이용해 미디어 정보를 조회하고 RTP 프로토콜을 이용해 미디어를 송/수신하게 된다.
하지만, 다른 점은 SIP나 RTSP는 서버/클라이언트 기반에 적합하게 설계된 통신 프로토콜이지만, WebRTC는 Peer to Peer 통신을 고려한 ICE 기반의 프로토콜이고, ICE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레거시 SIP 장비 또는 RTSP 재생기 대부분은 SDP에 포함 돼 있는 ICE 정보를 분석하지 않기 때문에 SDP를 통한 WebRTC 단말과의 정보 교환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ICE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고 해도 SIP 장비나 RTSP 클라이언트 단말들간에 사용되는 기본 미디어 코덱은 WebRTC에서 사용되는 미디어 코덱과 상이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WebRTC와 SIP 또는 RTSP와 같은 범용 프로토콜간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MCU라는 미디어 중계 서버를 두고, 범용 프로토콜인 SIP 또는 RTSP와 WebRTC간의 이기종 프로토콜 중계 및 서로 다른 미디어 코덱간의 미디어 데이터 중계에 대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MCU는 다자간 회의 참여자들의 시스템 복잡도나 네트워크 대역을 줄이기 위해 여러 명의 사용자들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로 믹싱해서 단일 RTP채널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미디어 믹싱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WebRTC 단말, WebRTC 단말들간에 시그널을 처리해 주는 시그널 서버, Peer to Peer 통신이 불가능한 사설망에 위치해 있는 클라이언트들간에 미디어를 중계해 주는 TURN/STUN 서버, 믹싱 또는 이기종 단말들과 시그널 서버간의 시그널을 중계 및 화상 회의 장비와 스트리밍 단말들의 시그널을 처리해 주는 MCU, MCU와 연동되는 휴대폰, 일반전화, 화상회의 장비, 스트리밍 재생기와 같은 이기종 단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시스템들은 인터넷에 연결돼 있어야 하고, TCP/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로 서로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화상을 처리하는 SIP와 같은 통신용 프로토콜이나 RTSP와 같은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WebRTC단말과 직접 연동이 안된다. 프로토콜 호환이 안 될 뿐 아니라 미디어 코덱 또한 지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들 이기종 단말들간의 연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WebRTC 단말에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해서 직접 연동시키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MCU와 같은 시그널 중계서버를 사용해서 간접 연동하는 방식이다. 프로토콜 구현을 통해 직접 연동하는 방식은 가장 단순하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방식이지만,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려돼야 할 점들이 있다. 우선 호환 시키려고 하는 각각의 모든 프로토콜을 하나 하나 일일이 구현해야 하고, 구현한 프로토콜 기반에서 미디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코덱 기능 또한 제공돼야 한다.
웹(Web)에서 이 기종 미디어 코덱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이에 따라, 간접 연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WebRTC 단말과 이기종 단말간의 연동을 위해 MCU라는 시그널 중계 서버를 사용해서 시그널 및 미디어를 중계할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MCU를 사용해서 시그널 및 미디어를 중계해 주면 WebRTC 단말이 이기종 프로토콜 구현이나 이기종 미디어 코덱 지원 없이도 쉽게 연동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MCU는 이기종 단말들 간의 시그널을 중계해 주고 이기종 미디어를 처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기종 프로토콜은 통신 프로토콜인 SIP와 스트리밍 프로토콜인 RTSP일 수 있다. 이기종 단말들이 이기종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미디어 처리 요청을 하게 되면 MCU는 미디어를 이기종 단말이 요구하는 미디어 포맷에 맞게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송부(320)는, 개설자 단말(100)에서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개설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초대하도록 링크를 생성하여 개설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설자 단말(100)은,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를 지정하여 링크를 공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링크를 공유받고 링크를 통하여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부(330)는, 개설자 단말(100)에서 생성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이 존재하는 경우, 웹사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입장시킬 수 있다. 만약, 개설자나 참여자가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실감형 화상회의나 수업을 위하여 깊이정보를 혼합하여 시선을 맞추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두 대의 스테레오 카메라와 한 대의 키넥트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가상의 중간시점에서 효율적으로 객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두 대의 색상 카메라는 각각 디스플레이의 중간 시점에 수평한 높이의 왼쪽과 오른쪽에 부착할 수 있다. 중간 시점에 합성을 할 때, 택스쳐가 없는 부분은 스테레오 정합으로는 정확한 깊이 정보를 얻기 어렵다. 게다가 두 대의 카메라의 시차로 인한 폐쇄영역의 발생 또한 하나의 큰 문제점이다. 키넥트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정합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키넥트 카메라는 택스쳐가 없는 부분의 깊이 값을 보완하고 폐쇄영역을 줄임으로서 깊이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로 깊이 정보를 예측하는 동안, 키넥트에서 얻어진 깊이 정보를 활용하여 좌, 우 카메라에 3D 워핑과 업샘플링을 할 수 있다. 업샘플링된 깊이 영상은 스테레오 카메라로 예측한 깊이 정보와 함께 사용하여 좌, 우 깊이 영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로 인해 잡음이 생성되는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를 사용하여 깊이 정보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시점에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시선 맞춤 과정은 이하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처리>
두 대 혹은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게 될 때, 카메라끼리 연관된 정보가 필요하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의 연관된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파라미터는 세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부 파라미터, 외부 파라미터, 이동 백터로 구성된다. 이때, 카메라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키넥트 카메라에서 얻어진 깊이 정보를 3D 워핑하고, 스테레오 카메라로 예측한 깊이 정보와 합하여 시선 맞춤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보정은 스테레오 정합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영상 보정은 영상의 에필폴라 라인을 평행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평행한 에필폴라 라인이 임의의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하게 한다. 영상 보정을 통하여 수평선 위의 대응점을 찾을 수 있다. 비록 영상 보정 방법이 1 차원의 평행한 정렬에서는 유용하나, 2 차원 이상의 정렬에서는 문제가 된다. 영상 평면의 변환으로 인해 본래 영상에 왜곡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렴형 카메라 배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 보정 과정이 생략되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키넥트 카메라 처리>
키넥트로 얻어진 깊이 정보는 스테레오 정합으로 얻어진 깊이 정보를 개선할 수 있다. 색상에 관련된 좌표로 깊이 정보를 3차원 워핑할 수 있는데 3차원 워핑은 두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키넥트 깊이 정보가 3차원 공간으로 역투영되고, 다시 이 정보가 대상 시점으로 투영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키넥트 카메라에서 얻어진 깊이 정보를 업샘플링하여 저해상도의 영상을 보간할 수 있다. 키넥트 카메라로 얻어진 깊이 정보는 고해상도의 깊이 영상을 얻을 때 깊이 카메라의 특성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결합형 양방향 업샘플링 방법(Joint Bilateral Upsampling)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고해상도 색상 영상과 저해상도 깊이 영상이 있을 때 색상 영상의 정보를 활용하여 깊이 영상의 해상도를 키우는 방법이다.
<혼합 깊이 영상 획득 및 시선 맞춤>
전역적 스테레오 정합방법을 사용하여 좌, 우 색상 카메라의 깊이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키넥트에서 얻어진 깊이 정보는 전역적 에너지 함수에 포함되어 보다 정확한 깊이 값을 예측하도록 한다. 에너지 함수는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1166363-pat00001
Edata는 데이터 항으로 색상의 유사성을 구하고, Esmooth는 평활화 항으로 주변 픽셀들과의 변위 변화도를 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키넥트에서 얻어진 깊이 정보를 데이터 항에 추가 하여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의 수학식 2는 키넥트 깊이 정보가 더해진 데이터 항을 보여준다.
Figure 112020131166363-pat00002
IL(x, y)는 좌 영상에서의 각각의 화소 값을 나타내고, IR(x’, y’, d)은 좌 영상의 한 점과 대응하는 우 영상의 한 점의 화소 값이다. dSLP은 업샘플링된 키넥트 데이터 값이다. 깊이 정보는 다양한 깊이 정보의 변화가 있을 때도 정확한 값을 얻게 한다. 이때, 3D 워핑을 사용하여, 대응점인 IR(x’, y’, d)을 찾는다. 평활화 항은 주변 픽셀들과의 변위 변화도를 구하는데 이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1166363-pat00003
N(x, y)는 현재 화소에 이웃한 화소들을 나타낸다. 알고리즘은 계층적으로 수행하여 텍스처가 없는 영역에서도 좀 더 정확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잘못 정합된 화소와 불연속성에 대한 후처리를 하여 품질을 올릴 수 있다. 혼합형 깊이 획득 방법으로 얻어진 깊이 정보는 영상 합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영상 합성을 사용하여 시선 맞춤이 된 영상을 얻게 될 수 있다. 영상이 합성될 위치는 좌우 색상카메라의 카메라 파라미터의 중간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필기부(340)는, 개설자 단말(100)에서 공유한 파일에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양방향으로 필기가 가능하도록 편집 제어권을 제공하고, 필기를 한 개설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식별하도록 식별 아이콘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때, 필기는 터치패드에 입력된 펜 데이터 또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패드 상에 펜을 이용하여 필기를 인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랩탑에는 마우스를 움직이기 위한 패드만이 존재할 뿐이므로, 가상터치입력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가상터치입력 방식은 터치스크린 대신에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력을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카메라 앞에서 손을 움직이면 터치 패널은 누른 것과 같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널에서는 사용자가 스크린의 표면에 터치하여 입력을 수행하여 터치하는 순간 입력이 발생하고 스크린 표면에서 손을 떼면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가상터치입력 방식에서는 입력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일반 터치방식에서는 음절을 구성하는 획 성분만 표시되어 글자모양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지만 가상터치 방식에서는 글자 획과 이동 획이 구분되지 않아 글자모양의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판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글자 획과 이동 획을 구분하여 이동 획은 글자 입력 단계에서 제거해야만 한다. 이에, 움직임 궤적을 이용하여 일반 책상 위에 필기를 하더라도 문서 상에 필기를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훈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우선 분류 및 정확도 측정을 위한 문자를 정의한다. 한글은 자음, 모음에 해당하는 글자 획과 이동 획에 대해 다양한 패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음절 집합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선, 획의 기본패턴을 정의하게 되는데, 사용하는 훈련 집합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현대 한글의 자음, 모음에 대해 획 단위로 분리를 하여 훈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음절을 획 단위로 분리하여 처리하면 인식 과정이 쉽고 적은 훈련 집합만으로도 훈련 및 인식이 가능하다. 획 단위로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절을 획 단위로 분리하는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성 ‘ㄱ’의 두 가지 패턴인 →, ↙, 중성 ‘ㅏ’는 패턴 ↓, → 그리고 종성 ‘ㅋ’에는 세 가지 패턴 →, ↓, →이 존재한다. 그리고 초성에서 중성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이동 획에 대한 패턴 ↗, 중성의 입력 과정에서 발생한 이동 획 패턴 ↑, 중성에서 종성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이동 획의 패턴 ↙, 마지막으로 종성에서 발생하는 이동 획 패턴 ↖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글자 획 7개, 이동 획4개를 포함하여 음절 ‘J’에는 총 11개의 획이 존재한다. 획은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획의 형태를 단순화시켜 모두 직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음절 집합 정의인데, 획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음절을 정의하여 정확도 측정과 인식 정확도 계산을 위한 훈련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획 끝점 추출이다. 입력 음절로부터 획을 분리시키기 위해 획의 끝점에 대한 검출 처리가 필요하다. 판서를 할 때 한 획에서 다음 획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방향이 바뀌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3 개의 점을 이용하여 곡률을 구한 다음 문턱치 연산을 통해 획의 끝점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한 가지 문제점은 입력 디바이스에서의 입력 신호는 판서를 할 때 입력 속도에 따라 점들의 간격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판서를 할 때 획의 끝점으로 갈수록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획의 끝점 부근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입력 점들이 존재한다. 이런 환경에서 3 점의 곡률을 구하게 되면 문턱치 연산을 하는데 있어서 원하는 방향의 값을 얻지 못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에 따라, 점들을 먼저 등 간격으로 배치한 후 곡률을 구할 수 있다.
입력 점의 동일 간격 처리를 위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두 점의 유클리드 거리를 구한다. 그리고 두 점 사이의 간격에 따라 3 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첫 번째 분기는 두 점의 거리가 적정범위인 경우이며 입력 점을 사용한다. 두 번째 분기는 두 점 사이의 거리 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일 때 두 점 중에서 끝점을 삭제하고 다음 입력 점과 이전 시작점 사이의 거리 값을 구하는 과정을 다시 시작한다. 세 번째 분기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적정범위보다 큰 경우이며 두 점 사이의 직선 방정식을 구한 후에 적정 범위 내부에 새로운 점을 추가할 수 있다.
그 다음은 곡률에 의한 끝점 추출이다. 균일하게 배치한 입력 점들을 대상으로 3 점의 곡률을 구한다. 3 점인 (x1,y1), (x2,y2), (x3,y3)에 수학식 4를 사용하여 곡률을 계산한다.
Figure 112020131166363-pat00004
여기서, p=(x2-x1), q=(x3-x2), s=(y2-y1), t(y3-y2), g=(x1-x3), h=(y1-y3)이다. 계산된 곡률을 기준으로 임계치 결정하여 끝점 여부를 판단한다. 임계치는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개인의 판서 성향에 따라 유사지점에서 연속으로 끝점이 검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선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에서 2 개의 끝점이 추출될 수 있다. 다음 획으로 이동할 때 곡선의 궤적으로 나타나며 이런 현상들이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 검출된 끝점 중에서 곡률이 최대인 것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할 수 있다. 즉, 연속으로 끝점이 검출되면 연달아 발견되면 그 중 곡률이 제일 높은 것만 추출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끝점에서 제외시키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획 유형 구분인데, 검출된 끝점 정보를 바탕으로 획 단위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의 경우 끝점은 5 개가 존재한다. 추출한 끝점 정보를 통해 획을 분리한 후, 획 단위로 분류를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분류 한 획을 토대로 한글의 구조적 특징과 필기 순서 정보를 이용해 가상터치 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인 이동 획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만 추출할 수 있다. 분류 방법은, 체인코드를 이용한 분류를 이용할 수 있다. 입력된 한글 음절에서 끝 점 정보를 이용해 획들을 분리하고 분리된 획에 대해서는 주방향을 계산하여 정의된 획 패턴중의 한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획의 주방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획의 시작점과 마지막 점의 각도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한 각도 범위 내에 속하는 부류에 매핑을 시킨다.
끝 점 정보를 이용하여 음절을 획 단위로 분리하고 각각의 획을 체인코드로 변환시킨 결과와 수작업으로 설정한 해당 음에 대한 체인코드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이동 획 제거이다. 획 단위로 인식을 하고 한글의 구조적 특징과 순서 정보를 이용한다면 이동 획은 쉽게 제거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 획과 이동 획의 패턴은 이미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 ‘↘’, ‘↓’ 패턴이 발생하면 이동 획이라 간주하고 제거를 한다. 그런데 ‘↙’의 경우는 이동 획과 글자 획에서 모두 존재한다. 이동 획이 발생하는 패턴을 살펴보면 전과 후로 반드시 글자 획이 존재한다. 따라서 ‘↙’ 패턴이 발생하면 전과 후에 모두 글자 획 패턴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다음 모두 존재한다면 이동 획, 그렇지 않다면 글자 획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설문조사부(350)는, 개설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설문조사 문항을 입력하는 경우,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여 설문조사응답을 완료하면,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채팅부(360)는,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간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도록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채팅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문서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 내 동영상은 HTML5 기반으로 실시간 스트리밍받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HTML5는, 웹문서 표준인 HTML(Hyo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문서 작성 중심에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실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HTML5는 플러그인 기반의 액티브 엑스(Active-X), Flash 와 같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종래의 HTML 표준과 HTML5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맨틱 마크업을 지원하는 점과 추가적인 API를 제공하는 점이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를 의미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머리말, 본문, 꼬리말로 구분할 수 있도록 <head>, <section>, <footer> 라는 요소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ML5에서는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 HTML5에서 제공하는 API는 2차원 그래픽을 지원하거나,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HTML5는,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되는 마크업 언어로 하이퍼링크와 텍스트로 표시하던 HTML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 구조 설계를 위한 마크업 언어인 HTML, 디자인 표현을 위한 CSS,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HTML의 태그에 새로운 태그들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콘텐츠들을 담기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플랫폼의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또, HTML5는 모바일 웹을 위한 표준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기능 중에서 모바일 웹의 구현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수 제공해 주고 있다. 2차원 그래픽, 오디오, 다양한 웹 폼 등은 모바일 웹의 UI(User Interface)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해줄 수 있다. 즉,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웹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거나 로컬에 DB를 저장하여 SQL문으로 질의할 수 있다.
또는,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기관, 사용자 및 강사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사용자, 기관 및 강사의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페이지부(370)는,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빈도를 초과하여 참여하는 회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회의 리스트 내에는 회의 자료 및 필기가 함께 녹화된 경우, 녹화된 화면 중 썸네일을 추출하여 회의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500)은,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이 하나의 단체에 소속된 경우, 단체에서 개설되는 전체 회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맞춤부(380)는, 관리자 단말(500)에서 입력한 사용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고, 사용자 요청 사항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500)은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개설하고 참여하는 개설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관리하고, 개설자 단말(100)이 생성한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노트부(390)는, 개설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입력한 노트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줌(Zoom) 서비스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줌 서비스는 단순한 회의 기능만 제공할 뿐, 공유한 파일 위에 필기가 불가능하고 화이트 보드 위에서 개설자만 필기가 가능하며, 녹화 기능은 있으나 회의자료나 노트는 저장할 수 없고, 회의 영상만 저장이 가능하므로, 개인 기기에 저장되어 영상 관리가 번거롭고 레코딩 시간이 오래걸린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업 서비스는, 도 3b와 같이 개설자가 공유한 파일(.pdf, ppt 등)에 양방향으로 필기가 가능하며, 누가 필기를 했는지 언제 필기를 했는지도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줌 서비스는 별도의 설치파일을 설치하여야 사용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바로 회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회의할 시간을 미리 예약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30분 단위로 회의를 개설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도 3e와 같이 링크만 있으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이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회의시간이나 인원의 제한이 없다.
도 3f의 줌 서비스는 무료 버전은 40 분만 사용가능하고 시간 제한이 있고, 100 명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며 회의 개설자 1 인만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 관리나 그룹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두 유료인 반면, 도 3g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다양한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고, 설문조사, 실시간 채팅이나 노트 기능 뿐만 아니라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독립 설치형으로 가입 단체의 전체 회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 관리나 그룹 관리가 가능하고, 추후 요청하는 기능들을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위드코로나의 뉴노멀 시대에 서로 만나지 않고서도 완벽하게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오프라인에서 직접 만난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펜데믹 시대에도 일상이 멈추지 않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개설자 단말에서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도록 한다(S5100).
그리고,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개설자 단말에서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개설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초대하도록 링크를 생성하여 개설자 단말로 전송하고(S5200), 개설자 단말에서 생성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웹사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입장시킨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를 지정하여 상기 링크를 공유하는 개설자 단말;
    상기 링크를 공유받고 상기 링크를 통하여 상기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 및
    상기 개설자 단말에서 상기 비대면 회의를 위한 웹사이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인프라제공부, 상기 개설자 단말에서 상기 웹사이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개설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초대하도록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개설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개설자 단말에서 생성한 링크로 엑세스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입장시키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빈도를 초과하여 참여하는 회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회의 리스트 내에는 회의 자료 및 필기가 함께 녹화된 경우, 녹화된 화면 중 썸네일을 추출하여 상기 회의 리스트에 표시하는 페이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개설자 단말에서 공유한 파일에 상기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양방향으로 필기가 가능하도록 편집 제어권을 제공하고, 상기 필기를 한 개설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식별하도록 식별 아이콘을 오버레이하는 필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는 터치패드에 입력된 펜 데이터 또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개설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설문조사 문항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여 설문조사응답을 완료하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설문조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 간 실시간 채팅을 수행하도록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채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문서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이 하나의 단체에 소속된 경우, 상기 단체에서 개설되는 전체 회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한 사용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요청 사항에 대응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는 맞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비대면 회의를 위한 링크를 개설하고 참여하는 개설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관리하고, 상기 개설자 단말이 생성한 그룹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개설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입력한 노트를 공유하는 노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67801A 2020-12-03 2020-12-03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01A KR102221909B1 (ko) 2020-12-03 2020-12-03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801A KR102221909B1 (ko) 2020-12-03 2020-12-03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909B1 true KR102221909B1 (ko) 2021-03-04

Family

ID=7517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801A KR102221909B1 (ko) 2020-12-03 2020-12-03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51B1 (ko) * 2021-07-05 2023-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회의 감지 및 방해 차단 가능한 화상회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15685A (ko) * 2021-07-23 2023-01-31 홍윤광 화상회의 중개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화상회의 초청 및 수신방법
KR20230072998A (ko) 2021-11-18 2023-05-25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999A (ko) 2021-11-18 2023-05-25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그룹 내 계정 중복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회의 서비스 계정 사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6662B1 (ko) * 2022-12-19 2023-06-22 (주)옴니스토리 공중교환전화망 통신 및 웹 실시간 통신 연동형 컨퍼런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729188A (zh) * 2024-02-18 2024-03-19 北京市智慧水务发展研究院 一种基于WebRTC的水务视频采集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747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웹을 이용한 화상회의 개설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09396B1 (ko) * 2013-07-04 2014-06-20 진종원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1274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플링크 문서 편집 장치, 확장 공간을 이용하여 원본 문서를 편집하는 문서 편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747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웹을 이용한 화상회의 개설 및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09396B1 (ko) * 2013-07-04 2014-06-20 진종원 실시간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1274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플링크 문서 편집 장치, 확장 공간을 이용하여 원본 문서를 편집하는 문서 편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51B1 (ko) * 2021-07-05 2023-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회의 감지 및 방해 차단 가능한 화상회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15685A (ko) * 2021-07-23 2023-01-31 홍윤광 화상회의 중개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화상회의 초청 및 수신방법
KR102510615B1 (ko) * 2021-07-23 2023-03-15 홍윤광 화상회의 중개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화상회의 초청 및 수신방법
KR20230072998A (ko) 2021-11-18 2023-05-25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999A (ko) 2021-11-18 2023-05-25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그룹 내 계정 중복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회의 서비스 계정 사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6662B1 (ko) * 2022-12-19 2023-06-22 (주)옴니스토리 공중교환전화망 통신 및 웹 실시간 통신 연동형 컨퍼런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729188A (zh) * 2024-02-18 2024-03-19 北京市智慧水务发展研究院 一种基于WebRTC的水务视频采集系统及方法
CN117729188B (zh) * 2024-02-18 2024-04-12 北京市智慧水务发展研究院 一种基于WebRTC的水务视频采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909B1 (ko)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460970B2 (en) Meeting space collaboration i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
US10838574B2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workspace save and load
CN110597774B (zh) 一种文件分享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及终端设备
US10747418B2 (en) Frictionless interface for virtual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loud computing
US111718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virtual collaboration via network
WO2018152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virtual session
EP3776146A1 (en) Augmented reality computing environments
US10044979B2 (en) Acquiring regions of remote shared content with high resolution
CN112243583A (zh) 多端点混合现实会议
US10673911B2 (en) Displaying regions of user interest in sharing sessions
US20240155177A1 (en) Synchronizing video content among clients in a collaboration system
WO2022028119A1 (zh) 一种屏幕共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20284B1 (ko) 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6224766A (ja) リモート画面表示システム、リモート画面表示方法、およびリモート画面表示プログラム
US20150195320A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Improved Online Multimedia File Sharing
CN114868107A (zh) 针对通信会话视频流的动态控制的纵横比
KR20190104821A (ko) 아바타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CN117356082A (zh) 基于设备形状因子或主题优先级增强对消息线程的用户界面格式的控制
KR102359988B1 (ko) 도시가스 고객상담을 위한 비대면 화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884914A (zh) 一种应用程序同屏交流方法、系统
Ubik et al. Scalable real-time sharing of 3D model visualizations for group collaboration
Álvarez et al. Person-to-person interaction in twenty-first-century society: Technology and arts at the service of communication
Ubik et al. Interactive scalable visualizations of cultural heritage for distance access
KR102196458B1 (ko) 비회원의 즉시참여 및 이체가 가능한 이벤트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