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998A -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998A
KR20230072998A KR1020210159767A KR20210159767A KR20230072998A KR 20230072998 A KR20230072998 A KR 20230072998A KR 1020210159767 A KR1020210159767 A KR 1020210159767A KR 20210159767 A KR20210159767 A KR 20210159767A KR 20230072998 A KR20230072998 A KR 20230072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vitee
project
business car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준
Original Assignee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드라스체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998A/ko
Publication of KR2023007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은,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트 관리부;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링크 전송부; 및 상기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가입 정보를 상기 로그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Description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INVITING PARTICIPANT TO PROJECT USING RECOGNITION OF BUSINESS CAR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사용자들 간에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함을 이용하여 쉽게 다른 사용자들을 프로젝트에 초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고정된 사무실 중심의 업무 환경은 디지털 업무 공간 중심의 환경으로 재편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확산으로 인하여 비대면 방식의 업무 및 재택 근무가 보편화되고 있는데, 비대면 방식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업무 공간에서 조직 내부망과의 연결 및 보안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고, 또한 화상 회의, 채팅, 파일 공유, 공동 작업 등 사용자 간에 원격으로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도구가 요구된다.
협업 툴(tool)은 이와 같은 원격 의사 소통과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단순 양방향 소통이 전부인 이메일이나 메신저와 달리 협업 툴은 이용 편의성, 보안, 접근성, 관리 용이성 등 실질적으로 업무 환경에 필요한 요소에 집중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협업 툴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365와 같은 문서 관리 시스템, 드롭박스와 같은 파일 공유 시스템, 줌(zoom)과 같은 화상 회의 시스템, 슬랙(slack)과 같은 과업 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런데, 협업 툴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에 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작업 중인 문서, 파일 또는 과업 등에 다른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각 문서, 파일 또는 과업의 관리자는 공동 작업을 위해 초대할 다른 사용자의 연락처(예컨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시스템에 입력하거나, 또는 시스템을 통하여 발급되는 초대 링크를 다른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번거로운 일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정보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 가능성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서로 상이한 기관이나 기업에 속한 사용자들이 협업을 하는 경우, 현실 공간에서 서로 만나 실물 명함을 교환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명함 이미지를 주고받음으로써 연락처를 교환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협업 툴에서는 명함을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능은 지원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2190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들 간에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함을 이용하여 쉽게 다른 사용자를 프로젝트에 초대할 수 있고, 프로젝트에 초대받은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입력한 정보가 명함의 정보와 일치하면 별도의 승인 과정 없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은,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트 관리부;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링크 전송부; 및 상기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가입 정보를 상기 로그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인식된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차 초대 시스템은,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상기 명함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전송부는, 상기 초대인이 참여 중이거나 또는 상기 초대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프로젝트에 상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피초대인이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초대인이 참여할 상기 프로젝트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를 승인하고,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의 관리자에게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은,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사용차 초대 시스템이,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차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가입 정보를 상기 로그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함 정보는,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가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인식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명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상기 명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초대인이 참여 중이거나 또는 상기 초대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프로젝트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피초대인이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초대인이 참여할 상기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를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의 관리자에게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젝트 단위의 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은 명함을 자신의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함으로써 손쉽게 다른 사용자들을 프로젝트에 초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는 초대인이 초대 대상의 개인 정보나 연락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필요 없어 절차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및 방법에서 명함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에 초대받은 사용자는, 시스템에 대한 회원 가입 시 입력한 정보가 기존의 명함 정보와 일치하면 관리자에 의한 별도의 승인 과정 없이 즉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기업이나 기관에 속한 사용자들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가 간소화되어 사용자들 간의 관계 확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에서 사용자 장치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2, 4)와 통신하면서 각 사용자들이 프로젝트 기반의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과업 관리 시스템과 같은 협업 툴(tool)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협업 툴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모듈(module) 또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협업 툴의 일부이며 협업 툴과 동일한 동일한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협업 툴을 제공하는 사업자와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서로 상이한 사업자이며, 상호 간의 협약 등에 의하여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의한 사용자 초대 기능을 협업 툴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 초대 시스템(3)과 연관된 협업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는 경우 동작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트란, 협업 툴을 통하여 사용자들 간에 문서, 파일, 정보 등을 공유하거나 동일한 문서, 파일, 정보 등을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작성 또는 수정하면서 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협업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및 협업의 내용을 특정 범위로 정의해 둔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것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하여 등록된 문서, 파일, 정보 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 권한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것은 통상 해당 프로젝트에 대하여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파일을 업로드하고, 기존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열람 및/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를 새로 작성하지는 못하고 기존 컨텐츠의 열람만 가능한 형태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협업을 위한 정보는 각 프로젝트 별로 관리되며, 사용자들은 자신이 관리자이거나 또는 자신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에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어느 사용자가 자신이 관리자이거나 또는 자신이 참여 중인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해당 사용자의 명함(1)을 기반으로 초대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된다. 다른 사용자를 프로젝트에 초대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자신이 초대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피초대인의 명함(1)을 촬영할 수 있다. 피초대인의 명함(1)으로부터 획득된 명함 정보는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전송되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이를 기반으로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4)와 통신함으로써 프로젝트 초대 및 승인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2, 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사용자 정보의 연동을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5) 등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사용자 장치(2, 4)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통한 협업을 수행하는 실제 사용자들의 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각 사용자 장치(2, 4)는 스마트폰(smartphone)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장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서 협업 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초대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프로젝트 관리부(31), 사용자 관리부(33) 및 링크 전송부(34)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문자 인식부(32)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연동부(35)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unit)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31-3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31-35)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의 각 부(31-35)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프로젝트 관리부(31)는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로그 정보는 협업을 위한 정보의 집합체인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각 사용자들의 컨텐츠(게시글, 댓글, 이미지 등)에 관련된 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정보는 프로젝트의 관리자 또는 참여자 중 누군가가 해당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는 경우 그 초대 내역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실시예들에서 로그 정보는 피초대인의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초대 내역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관리자이거나 또는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고자 하는 초대인은,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의 명함(1)을 촬영함으로써 피초대인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초대인은 자신이 수신한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를 사용자 장치(2)로부터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초대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관리부(3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명함(1) 이미지에 대한 광학적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통해 얻어진 정보들을 이용하여 피초대인의 초대에 관련된 로그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OCR 등의 방법으로 명함(1) 이미지로부터 피초대인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문자 인식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인식부(32)는 명함(1)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피초대인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및/또는 소속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OCR 등에 의한 정보 인식은 명함(1)을 촬영한 사용자 장치(2)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문자 인식부(32)는 생략될 수 있다.
링크 전송부(34)는,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란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4)에서 프로젝트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초대인이 사용자 초대 시스템(3)과 연관된 협업 툴의 기존 사용자가 아닐 경우, 링크 전송부(34)에 의해 전송되는 접속 정보는 피초대인이 협업 툴에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한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관리부(33)는 사용자 초대 시스템(3)과 연관된 협업 툴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3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33)는 프로젝트에 대한 초대를 받고 협업 툴에 대한 가입을 진행하는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4)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피초대인의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DB(330)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 전송부(34)에 의하여 피초대인에게 전송되는 접속 정보는 프로젝트 관리부(31)에 의해 관리되는 특정 프로젝트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초대 시스템(5)은 피초대인이 협업 툴에 접속하기 위하요 사용한 접속 정보를 통하여 피초대인이 초대받은 프로젝트가 어떤 것인지를 측정할 수도 있다.
피초대인이 회원 가입을 진행하면, 프로젝트 관리부(31)는 피초대인이 초대된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로그 정보를, 사용자 관리부(330)에 수신된 가입 정보 와 비교하여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를 승인 또는 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젝트 관리부(31)는 로그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피초대인이 직접 입력한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프로젝트 참여를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관리부(31)는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면 별도의 절차 없이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를 승인하고, 전술한 정보들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에 대하여 프로젝트의 관리자에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의 관리자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초대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관리자는 피초대인의 명함(1)을 촬영하여 피초대인을 초대한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초대인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하기에 앞서, 연동부(35)는 피초대인의 명함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피초대인에 연관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피초대인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5)는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서비스 서버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들의 커리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또한 사용자들 간의 관계 형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35)는 명함 정보에 포함된 피초대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를 조회함으로써 정보 제공 서버(5)가 제공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피초대인에게 정보 전송이 가능한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접속 정보를 피초대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명함 정보의 휴대전화번호나 이메일을 통해 초대 링크를 보내는 대신, 피초대인이 이용하는 SNS 등을 통하여 초대 링크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신이 관리자이거나 또는 자신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하는 초대인은, 초대할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실물 명함을 자신의 사용자 장치(2)에 의하여 촬영함으로써 명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1). 또는, 초대인은 초대할 상대방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받은 명함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초대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실물 명함을 촬영하는 단계(S11)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2)에서는 OCR 등의 방법에 의하여 명함 이미지로부터 피초대인에 관련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S12), 본 명세서에서 명함 이미지 및/또는 명함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정보들을 명함 정보로 지칭한다. OCR 등에 의한 정보 인식은 사용자 초대 시스템(3) 또는 이와 연관된 협업 툴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치(2)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에서 사용자 장치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초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장치 상의 화면(300)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프로젝트에 초대할 수 있는 UI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UI 요소들은 사용자가 사용자 초대 시스템(또는, 연관된 협업 툴)에 기존에 가입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을 바로 초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는 초대인과 동일한 조직(예컨대, 기업 등)에 속하는 사용자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 중 초대할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UI 요소(301)와, 초대인과 서로 상이한 조직에 속하면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기 위한 UI 요소(3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UI는 기존에 사용자 초대 시스템(또는, 연관된 협업 툴)의 회원이 아닌 사용자를 초청하기 위한 UI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UI 요소들은 메신저를 기반으로 초대장(즉, 접속 정보)을 전송하기 위한 UI 요소(303),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초대장을 전송하기 위한 UI 요소(304), 이메일을 통해 초대장을 전송하기 위한 UI 요소(305), 명함을 기반으로 초대장을 전송하기 위한 UI 요소(306), 및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즉, 링크)를 직접 제공받기 위한 UI 요소(30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의한 사용자 초대 동작은 초대인이 명합을 이용하여 피초대인을 초대하기 위한 UI 요소(306)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UI 요소(306)를 선택하면 사용자 장치 상의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피초대인의 명함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명함이 촬영되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명함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2)가 명함으로부터 인식한 명함 정보를 사용자 장치(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3).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OCR 등에 의한 정보 인식이 사용자 장치(2)가 아닌 사용자 초대 시스템(3)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명함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피초대인의 초대 내역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대상 프로젝트에 이러한 로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4). 이때 로그 정보는, 초대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등), 해당 프로젝트 정보, 및 피초대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는 명함 정보로부터 추출된 피초대인의 정보 항목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명함 정보에 포함된 피초대인의 정보 중 연락처에 해당하는 정보(예컨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4)에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 이때 접속 정보란,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4)에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초대 시스템(3) 또는 이와 연관된 협업 툴에 접속함으로써, 피초대인이 자신이 초대된 프로젝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URL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는/또한, 접속 정보는 피초대인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대한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는 회원 가입 페이지로의 연결을 위한 URL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피초대인은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자신의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S16).
피초대인이 사용자 초대 시스템(3) 또는 이와 연관된 협업 툴에 대한 회원으로 가입하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서는 피초대인이 입력한 가입 정보를 피초대인의 초대 시 생성된 로그 정보와 비교하여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7). 프로젝트의 로그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피초대인의 가입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피초대인이 자신이 초대받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S18), 이는 종래 기술과 구별되는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만약 가입 정보와 로그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일부 또는 전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피초대인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하기에 앞서 해당 프로젝트의 관리자 또는 피초대인을 초대한 사용자에게 피초대인의 참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S18). 예를 들어,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피초대인이 입력한 가입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 또는 초대인에게 노출시키면서 초대인이 이를 토대로 자신이 원하는 피초대인이 맞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명함 정보를 토대로 한 로그 정보와 피초대인의 가입 정보에서 정보 항목이 서로 불일치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또는 초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의 관리자 또는 초대인이 이처럼 불일치하는 정보 항목들을 직접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피초대인이 가입한 것이 맞는지를 확인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대인이 명함을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를 프로젝트에 초대할 경우 명함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저장되고, 이후 명함 주인인 피초대인이 가입 절차를 거쳐 프로젝트에 참여할 경우 명함 정보와 가입 정보가 일치하면 프로젝트 관리자 등에 의한 승인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사용자들 간의 명함을 통한 관계 확장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명함을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고자 하는 초대인은, 초대 대상 사용자로부터 받은 실물 명함을 자신의 사용자 장치(2)를 이용하여 촬영하고(S21), 명함 정보를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22). 또는, 초대인은 촬영 단계(S21) 없이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명함 이미지를 사용자 장치(2)로부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2)로부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전송되는 명함 정보는 적어도 명함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명함 정보에는 해당 명함과 관련하여 초대인이 입력한 메모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명함 이미지가 포함된 명함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서는, OCR 등에 의하여 명함 이미지로부터 피초대인의 정보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S23).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OCR 등에 의한 정보 인식이 사용자 장치(2) 측에서 수행되며, 이와 같이 인식된 정보가 사용자 장치(2)로부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전송되는 명함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명함 정보에 포함된 피초대인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의 SNS 서버와 같은 정보 제공 서버(5)를 조회함으로써 피초대인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4). 이때 피초대인에 관련된 추가 정보란, 피초대인의 휴대전화번호나 이메일 대신 SNS 서버 등이 제공하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피초대인에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피초대인의 SNS 아이디(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명함을 이용하여 획득된 피초대인의 정보 및/또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수집된 피초대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의 초대 내역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로그 정보를 대상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S25).
또한,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피초대인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6). 이때, 본 실시예에서 피초대인에게 전송되는 접속 정보는 외부 SNS 서버와 같은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수집된 피초대인의 연락처 정보(예컨대, SNS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초대 시스템(3)은 이러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명함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또는 불충분한 경우, 명함 상의 정보를 대체 및/또는 보조하여 외부 서버의 연락처 정보를 사용하여 초대 링크를 피초대인에게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피초대인이 회원 가입 등을 거쳐 사용자 초대 시스템(3)에 가입하면(S27), 피초대인이 입력한 가입 정보를 프로젝트 상의 로그 정보와 비교하여(S28),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를 승인하거나 또는 피초대인의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승인을 프로젝트의 관리자 또는 초대인에게 요청할 수 있다(S29). 이상의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 S16 내지 S18에 상응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트 관리부;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링크 전송부; 및
    상기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가입 정보를 상기 로그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인식된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상기 명함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송부는, 상기 초대인이 참여 중이거나 또는 상기 초대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프로젝트에 상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피초대인이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초대인이 참여할 상기 프로젝트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를 승인하고,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의 관리자에게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
  6. 사용자 간의 협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사용차 초대 시스템이,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명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연관된 로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차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를 이용하여 피초대인에게 프로젝트 초대를 위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피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가입 정보를 상기 로그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정보는,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가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인식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초대인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피초대인의 명함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이미지로부터 광학적 문자 인식 방법에 의해 상기 명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초대인이 참여 중이거나 또는 상기 초대인에 의해 지정된 상기 프로젝트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피초대인이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초대인이 참여할 상기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를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초대 시스템이, 상기 명함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가 상기 가입 정보 상의 피초대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의 관리자에게 상기 피초대인의 참여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초대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59767A 2021-11-18 2021-11-18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72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67A KR20230072998A (ko) 2021-11-18 2021-11-18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67A KR20230072998A (ko) 2021-11-18 2021-11-18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98A true KR20230072998A (ko) 2023-05-25

Family

ID=8654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767A KR20230072998A (ko) 2021-11-18 2021-11-18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9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9418A1 (en) * 2021-12-01 2023-06-01 Citrix Systems, Inc. Intelligent invit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909B1 (ko) 2020-12-03 2021-03-04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909B1 (ko) 2020-12-03 2021-03-04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비대면 비지니스를 위한 실시간 양방향 영상 기반 협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9418A1 (en) * 2021-12-01 2023-06-01 Citrix Systems, Inc. Intelligent invit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2932B (zh) 一种信息交互方法及终端
US10878516B2 (en) Tax document imaging and processing
US9916626B2 (en) Presentation of image of source of tax data through tax preparation application
CN101427257B (zh) 在实时协作性会话中跟踪并编辑资源
US201802680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from searched users of network and send connection request to selected users and establishing connection based on acceptance of connection request by said selected users
US7853483B2 (en) Medium and system for enabling content sharing among participants associated with an event
CN112214971A (zh) 在线文档公告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5585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a field on a form including remote field level data capture
US20170357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utomated workforce management systems and work intermediation platforms
US20230319001A1 (en) Snippet(s) of content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platform
US20110276634A1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US112337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group exchange of digital business cards during video conference, teleconference or meeting at social distance
KR20230072998A (ko) 명함 인식을 통한 프로젝트 참여자 초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30085905A1 (en) Mobile device for mobile expense solutions architecture
US116896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231156B1 (ko) Qr 코드를 이용하는 사진 폴더 관리 시스템 및 사진 폴더 관리 방법
CN115935916A (zh) 文档审核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KR20230111091A (ko) 다자간 화상회의 솔루션이 포함된 협업 메신저 및 이의 제공방법
KR20230101045A (ko) 업무 협업용 고객관계관리 메신저 및 이의 제공방법
KR102007784B1 (ko)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KR20170051397A (ko) 이벤트 관련 디지털 앨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I647632B (zh) Cluster data shar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12232759A (zh) 一种基建信息互联系统及方法
KR20200052517A (ko) Qr코드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US20230336632A1 (en) Server apparatus, online conference system, business card exchang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