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01B1 -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01B1
KR102221901B1 KR1020180059167A KR20180059167A KR102221901B1 KR 102221901 B1 KR102221901 B1 KR 102221901B1 KR 1020180059167 A KR1020180059167 A KR 1020180059167A KR 20180059167 A KR20180059167 A KR 20180059167A KR 102221901 B1 KR102221901 B1 KR 10222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ide
tube body
tube
bolt memb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029A (ko
Inventor
백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케이
Priority to KR102018005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0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가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석재지지장치가 석재 등의 하중에 의해 꺾여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두겹으로 보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관체의 전측에 상기 보조관체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로부터 상기 보조관체가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and a stone supportingdevice for seismic design}
본 발명은 고가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석재지지장치가 석재 등의 하중에 의해 꺾여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두겹으로 보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관체의 전측에 상기 보조관체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로부터 상기 보조관체가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를 건축 고제체에 부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설되거나, 철골 구조체에 용접되는 앵커볼트, 상기 구조체에서 일정간격 떨어져서 조적되는 석재들의 줄눈 사이로 연결되는 연결철물들 및 상기 앵커볼트와 철물 사이를 연결하여 석재의 하중이 앵커볼트를 통하여 구조체에서 지지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브라켓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대리석, 화강석 또는 인조석등과 같이 비교적 자체중량이 무거운 내,외장용 석재를 기존의 건축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석재의 부착고정용 브라켓이 국내실용신안공보 공보번호 실1993-0003255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앵커볼트가 고가여서 고정브라켓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공보 공보번호 실1993-000325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석재지지장치가 석재 등의 하중에 의해 꺾여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두겹으로 보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관체의 전측에 상기 보조관체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로부터 상기 보조관체가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관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보조관체의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압착하여 상기 관체에 상기 보조관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에 볼트부재를 조립하는 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와; b2)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관체에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축관하는 단계와; b2)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와; b3)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관체에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를 삽입하는 단계와; c2)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로 압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단계는 c3)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를 상기 볼트부재로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는 c4)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를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각각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후측에 등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에 등간격으로 고정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하는 단계와; c2)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볼트부재의 고정날개를 삽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후측에 등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에 등간격으로 고정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관체의 홈에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고정날개를 삽입하는 단계와; c2)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홈은 상기 관체의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고정날개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홈은 상기 관체의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고정날개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와;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일측고정날개 및 타측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판부재에 상기 관체의 후측과 상기 볼트부재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슬릿에 상기 관체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관체의 후측에 상기 판부재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e) 상기 보조관체의 전측 내부에 머리부를 삽입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가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석재지지장치가 석재 등의 하중에 의해 꺾여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두겹으로 보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관체의 전측에 상기 보조관체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로부터 상기 보조관체가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관체로부터 보조관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관체의 전측이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관체의 전측 외면과 보조관체의 후측 내면 사이에 열전도차단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축관된 보조관체의 후측이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관체로부터 제 1예의 볼트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관체의 후측부위가 제 1예의 볼트부재로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관체로부터 판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보조관체로부터 머리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7은 관체의 압착부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관체로부터 제 2예의 볼트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0은 관체의 후측부위가 제 2예의 볼트부재로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제 3예의 볼트부재의 헤드에 형성된 고정날개가 관체의 홈에 삽입되는 일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 내지 도 25는 제 3예의 볼트부재의 헤드에 형성된 고정날개가 관체의 홈에 삽입되는 다른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 4예의 볼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 내지 도 29는 제 4예의 볼트부재 및 판부재가 각각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관체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보조관체 조립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볼트부재 조립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및 d) 판부재 조립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관체로부터 보조관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되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체(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전측 내부에 보조관체(15)의 후측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전측에 상기 상기 보조관체(15)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조관체(15)의 전측에는 상기 보조관체(1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151)이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15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슬릿(151)과 연통되는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관통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관체(15)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먼저, 금속판 등의 판재의 전측에 프레스 가공 중 슬리팅 가공과 펀칭가공을 통해 상기 슬릿(151)과 상기 관통구(152)를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 중 굽힘가공을 통해 금속판 등의 판재를 원형형상으로 굽힘가공하여 상기 보조관체(15)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예로는, 원형 형상의 파이프의 전측에 슬리팅머신과 펀칭기를 통해 상기 슬릿(151)과 상기 관통구(152)를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보조관체(1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관체의 전측이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기 등의 압착도구 또는 프레스 압착 등에 의해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이 압착되는 과정 중에 상기 관체(10)의 압착부위의 내면 일측과 내면 타측 및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에는 상기 관체(1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a)로 인해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부 일측과 후측부 타측이 상기 관체(10)의 압착부위의 내면 일측과 내면 타측에 각각 접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어 상기 관체(10)의 전측에 상기 보조관체(15)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10)로부터 상기 보조관체(15)가 상기 관체(10)의 전측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6은 관체의 전측 외면과 보조관체의 후측 내면 사이에 열전도차단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상기 관체(10) 및 상기 보조관체(15)를 통해 실내의 온기 및 냉기가 상기 벽체로 전도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전측 내면과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외면 사이에 상기 관체(10)의 전측 및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과 함께 상기 관체(10)의 내측으로 압착되는 관형태의 열전도차단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차단부(16)는 폴리스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b)단계는 일예로, 크게, 삽입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압착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의 상기 b1)단계는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을 상기 열전도차단부(16)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일예의 상기 b2)단계는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16)가 상기 관체(10)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16)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16)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를 상기 관체(10)에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7은 축관된 보조관체의 후측이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는, 다른예로, 상기 b)단계는 크게, 보조관체 축관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 삽입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 및 압착단계(이하, 'b3)단계'라 한다.)
다른예의 상기 b1)단계는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관체(15)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을 축관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은 공지된 포밍장치 등에 의해 축관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b2)단계는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을 상기 열전도차단부(16)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다른예의 상기 b3)단계는 도 7의 c),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16)가 상기 관체(10)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16)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16)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15)를 상기 관체(10)에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8은 관체로부터 제 1예의 볼트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관체의 후측부위가 제 1예의 볼트부재로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부에 볼트부재(2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c)단계는 크게, 헤드삽입단계(이하 'c1)단계'라 한다.)와 1차 압착단계(이하 'c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c1)단계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부에 제 1예의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c2)단계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기 등의 압착도구 또는 프레스 압착 등을 통해 상기 관체(10)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를 상기 볼트부재(20)의 전측에 위치한 헤드(210)의 상부와 하부에 압착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가 상기 볼트부재(20)의 전측에 위치한 헤드(210)의 상부와 하부에 압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상기 볼트부재(20)가 보다 더욱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10)로부터 상기 볼트부재(20)가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제 1예의 상기 볼트부재(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예의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는 육각형 등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상기 볼트부재(20)가 보다 더더욱 강하게 위치고정 및 상기 관체(10)로부터 상기 볼트부재(20)가 외부로 이탈될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c)단계는 2차 압착단계(이하 'c3)단계'라 한다.)와 3차 압착단계(이하 'c4)단계'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c3)단계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기 등의 압착도구 또는 프레스 압착 등을 통해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관체(10)의 후측부위를 상기 볼트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01)으로 압착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c4)단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착기 등의 압착도구 또는 프레스 압착 등을 통해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관체(10)의 후측부위를 상기 관체(10)의 내측으로 각각 납작하게 압착하는 단계이다.
도 12는 관체로부터 판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예의 상기 볼트부재(20)가 조립된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판부재(3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판부재(30)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관체(10)의 후측과 상기 볼트부재(20)가 수평으로 통과하는 슬릿(310)이 상기 판부재(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30)의 슬릿(310)에 상기 관체(10)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상기 판부재(30)가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30)의 슬릿(310)에 상기 관체(10)의 후측이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판부재(30)의 슬릿(310)은 상기 c2)단계 내지 상기 c4)단계를 통해 압착된 상기 관체(10)의 후측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보조관체로부터 머리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부 고정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e)단계는 상기 보조관체(15)의 전측 내부에 원추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머리부(40)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가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석재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관체의 압착부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보조관체(15)의 후측과 함께 수평으로 압착된 상태인 상기 관체(10)의 압착부위는 두겹으로 보강될 수 있으며, 두겹으로 보강된 상기 관체(10)의 압착부위가 석재 등의 하중에 의해 상기 관체(10)의 하부방향으로 꺾여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평상태인 상기 관체(10)의 압착부위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세워지는 것이 더더욱 좋다.
도 18은 관체로부터 제 2예의 볼트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0은 관체의 후측부위가 제 2예의 볼트부재로 압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부재(20)의 제 2예로,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외면에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1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2)이 형성된 제 2예의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이 앞서 상술한 과정을 거쳐 압착고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헤드(210)의 볼트부재(20)의 경사면(212)을 통해 상기 관체(10)의 후측에서 제 2예의 상기 볼트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예의 상기 볼트부재(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경사면(212)이 형성된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상부 외면과 하부 외면에는 상기 헤드(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반듯하게 좌우수평형성되어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면에 면접촉되는 수평면(213)이 상기 경사면(212)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제 3예의 볼트부재의 헤드에 형성된 고정날개가 관체의 홈에 삽입되는 일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10)의 후측에는 등간격으로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20)은 일예로, 프레스 가공 중 노칭 가공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상기 관체(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 제 3예로,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에는 상기 헤드(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고정날개(211)가 등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다른예로, 관체 압착단계(이하 'c1)단계'라 한다.)와 고정날개 고정단계(이하 'c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c1)단계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의 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관체(10)의 후측을 상기 관체(10)의 내측으로 압착기 등의 압착도구 또는 프레스 압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압착하는 단계이다.
다른예의 상기 c2)단계는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내측으로 압착된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형성된 홈(120)에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제 3예의 볼트부재의 헤드에 형성된 고정날개가 관체의 홈에 삽입되는 다른예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c)단계는 또 다른예로, 고정날개 삽입단계(이하 'c1)단계'라 한다.)와 관체 압착단계(이하 'c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예의 상기 c1)단계는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홈(120)에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또 다른예의 상기 c2)단계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후측을 상기 관체(10)의 내측으로 압착하여 상기 관체(10)의 후측을 압착함과 동시에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가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관체(10)의 홈(120)은 상부홈(121)과 하부홈(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홈(121)은 상기 관체(10)의 후측부 상부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122)은 상기 관체(10)의 후측부 하부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제 3예의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고정날개(211)는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고정날개(211a)와 하부고정날개(2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날개(211a)는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상부에서 상기 헤드(2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날개(211b)는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하부에서 상기 헤드(2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6은 제 4예의 볼트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제 4예로,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는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날개(211a) 및 상기 하부고정날개(211b)와 일측고정날개(211c) 및 타측고정날개(21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는 제 4예의 볼트부재 및 판부재가 각각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일측고정날개(211c)는 도 27 내지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일측에서 상기 헤드(2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헤드(210)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날개(211d)는 상기 볼트부재(20)의 헤드(210)의 타측에서 상기 헤드(2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헤드(21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10)의 후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는 상기 관체(10)의 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고정되거나 용접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다른예의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로 인해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고정되는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력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체(10)의 후측의 내구성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30)의 슬릿(310)에 상기 관체(10)의 후측이 수용 및 상기 볼트부재(20)의 고정날개(211)의 상부고정날개(211a) 및 상기 하부고정날개(211b)가 상기 슬릿(310) 주변의 상기 판부재(30)의 전측 표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후측에 상기 판부재(30)가 용접되지 않은 상태 또는 용접고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10; 관체, 15; 보조관체,
20; 볼트부재 30; 판부재.

Claims (24)

  1. a)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 준비단계와;
    b) 보조관체의 후측을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관체에 조립하는 압착단계로 이루어지는 보조관체 조립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에 볼트부재를 조립하는 볼트부재 조립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판부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2. a)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 준비단계와;
    b) 보조관체의 후측을 축관하는 축관단계와,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삽입하는 삽입단계와,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과 함께 상기 열전도차단부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및 상기 열전도차단부를 압착하여 상기 열전도차단부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관체에 조립하는 압착단계;로 이루어지는 보조관체 조립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에 볼트부재를 조립하는 볼트부재 조립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판부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3. a)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 준비단계와;
    b)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보조관체의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압착하여 상기 관체에 상기 보조관체를 조립하는 보조관체 조립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볼트부재의 헤드를 삽입하는 헤드삽입단계와,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로 압착하는 1차 압착단계;로 이루어지는 볼트부재 조립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판부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4. a)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 준비단계와;
    b)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보조관체의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압착하여 상기 관체에 상기 보조관체를 조립하는 보조관체 조립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하는 관체 압착단계와,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볼트부재의 헤드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날개를 삽입하는 고정날개 고정단계;로 이루어지는 볼트부재 조립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판부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5. a)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 준비단계와;
    b)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보조관체의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부위와 함께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을 압착하여 상기 관체에 상기 보조관체를 조립하는 보조관체 조립단계와;
    c) 상기 관체의 후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볼트부재의 헤드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날개를 삽입하는 고정날개 삽입단계와, 상기 관체의 후측을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하는 관체 압착단계로 이루어지는 볼트부재 조립단계와;
    d) 상기 볼트부재가 조립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판부재 조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볼트부재 조립단계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를 상기 볼트부재로 압착하는 2차 압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볼트부재 조립단계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를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각각 압착하는 3차 압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8. 제 3항, 제 6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볼트부재 조립단계의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외면에 상기 관체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는 수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보조관체 조립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홈은 상기 관체의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c)볼트부재 조립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고정날개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보조관체 조립단계에서 상기 관체의 홈은 상기 관체의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c)볼트부재 조립단계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고정날개는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와;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일측고정날개 및 타측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판부재 조립단계에서 상기 판부재에 상기 관체의 후측과 상기 볼트부재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슬릿에 상기 관체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관체의 후측에 상기 판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상기 보조관체의 전측 내부에 머리부를 삽입고정하는 머리부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13.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전측과 함께 상기 후측이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고정되는 보조관체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면과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 외면 사이에 상기 관체의 전측 및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과 함께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되는 열전도차단부와;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고정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4.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전측과 함께 상기 후측이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고정되는 보조관체와;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고정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후측이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5.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전측과 함께 상기 후측이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고정되는 보조관체와;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로 구성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고정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6. 후측부 상부와 후측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홈 및 하부홈으로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전측과 함께 상기 후측이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압착고정되는 보조관체와;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고정날개 및 하부고정날개와, 상기 헤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후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일측고정날개 및 타측고정날개로 구성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고정된 상기 관체의 후측에 고정되는 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축관된 상태에서 상기 열전도차단부의 내측에 축관된 상기 보조관체의 후측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가 상기 볼트부재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한 상기 관체의 후측부위가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각각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20. 제 14항, 제 18항,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외면에 상기 관체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는 수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21.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에 상기 관체의 후측과 상기 볼트부재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슬릿에 상기 관체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후측에 상기 판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22.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체의 전측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23. 삭제
  24. 삭제
KR1020180059167A 2018-05-24 2018-05-24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KR10222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67A KR102221901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67A KR102221901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29A KR20190134029A (ko) 2019-12-04
KR102221901B1 true KR102221901B1 (ko) 2021-03-03

Family

ID=6900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167A KR102221901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54B1 (ko) * 2010-05-27 2010-12-17 주식회사 이지석재트러스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784263B1 (ko) *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537B1 (ko) 1991-07-31 1993-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JPH06307419A (ja) * 1993-04-22 1994-11-01 Hiroki Hoshino アンカーボルトの製法、アンカーボルト、アンカーボルト用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54B1 (ko) * 2010-05-27 2010-12-17 주식회사 이지석재트러스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784263B1 (ko) *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29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7B1 (ko)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
CN104831843A (zh) 幕墙金属结构竖向龙骨及竖向龙骨和横向龙骨的连接结构
CN105805111B (zh) 上螺下锁自动化插杆可调式连接件
KR102221901B1 (ko)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KR101506797B1 (ko) 관 플랜징 방법
KR101524425B1 (ko) 절곡 형성된 절단날부를 갖는 단열재 천공튜브
KR101846811B1 (ko) 건축외장패널용 지지장치
JP4545179B2 (ja) 建築物の外断熱工法及びボルト用補強金具
JP4087418B2 (ja) 建築物の外断熱構造
KR20190002062A (ko) 비용접 및 비볼트 체결방식의 파일 일체형 연결장치
KR101946717B1 (ko)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의 제조방법 및 내진 설계용 석재지지장치
CN114876098A (zh) 一种快速拆装的实验室隔断系统
KR101865269B1 (ko) 패널외장재 시공용 앵커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818610B1 (en) Closing part for a gate or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1997401B1 (ko) 연결부재로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138666B1 (ko) 콘크리트파일용 연결유니트
JPH10231583A (ja) 金属拡張型アンカ−付き異形棒鋼鉄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5441A (ko)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CN205742949U (zh) 预制装配式空调板的工具化临时支撑
KR200489582Y1 (ko) 지지력과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183615B1 (ko)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200039333A (ko)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를 포함한 외장재 설치를 위한 앵커 볼트
KR102329868B1 (ko) 플레이트 앵커 볼트
KR20200122017A (ko) 합벽 솔저 지지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