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93B1 -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 Google Patents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93B1
KR102220593B1 KR1020190131029A KR20190131029A KR102220593B1 KR 102220593 B1 KR102220593 B1 KR 102220593B1 KR 1020190131029 A KR1020190131029 A KR 1020190131029A KR 20190131029 A KR20190131029 A KR 20190131029A KR 102220593 B1 KR102220593 B1 KR 10222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ow
sole
gas
flow lay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화목
Original Assignee
임화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화목 filed Critical 임화목
Priority to KR102019013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보호 몸체(11);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층(12); 기체 유동 층(12)에 형성되어 유도 벽(15_1 내지 15_K)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 및 기체 유동 층(12)과 분리 벽(16)에 의하여 분리된 조절 부위(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A Gas Flowing Type of a Article for Protecting a Sole}
본 발명은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발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기체가 유동되어 발바닥의 충격이 완화되면서 올바른 자세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발바닥 또는 발을 보호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신발은 신발의 깔창 또는 측면에 탄성 또는 신축 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발바닥 또는 발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는 이와 같은 기능성 신발은 내부 면에 향균 성분을 추가하여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941588은 보행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면서 자연스러운 롤링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걷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용 기능성 에어백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0902029는 쿠션 신발 및 신발에 장착되는 쿠션 깔창에 대하여 개시한다. 신발 깔창과 같이 발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하는 물품은 충격을 흡수하면서 이와 동시에 자세 또는 걸음걸이를 신체 구조에 맞도록 균형을 맞추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의 신발 또는 신발 깔창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보호 물품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941588(강형철, 2010.02.11. 공고) 보행 보조용 기능성에어백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0902029(박승용, 2009.06.15. 공고)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본 발명의 목적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 부위 및 기체의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 부위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면서 신체 구조에 맞는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보호 몸체; 보호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층; 기체 유동 층에 형성되어 유도 벽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유도 영역; 및 기체 유동 층과 분리 벽에 의하여 분리된 조절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부위의 내부에 기체가 채워지고,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조절 부위의 형상이 변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호 몸체의 앞쪽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리 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은 기체가 유동되는 유동 부위와 기체의 분포가 조절되는 조절 부위를 형성하여 발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신체 구조에 적합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선 자세 또는 걷는 과정에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절한 속도로 완화되도록 하여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발가락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발 건강이 향상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발 건강에 유리한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다양한 보호 부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발가락 보호 돌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층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보호 몸체(11);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층(12);기체 유동 층(12)에 형성되어 유도 벽(15_1 내지 15_K)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 및 기체 유동 층(12)과 분리 벽(16)에 의하여 분리된 조절 부위(14)를 포함한다.
발바닥 보호 물품은 전체적으로 발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솔 또는 깔창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바닥 보호 물품은 깔창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깔창과 독립적으로 신발의 바닥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바닥 보호 물품은 다양한 구조 또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신발의 일부가 되거나, 신발로부터 독립된 물품 형상이 될 수 있다. 보호 몸체(11)는 발바닥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보호 몸체(11)는 기체가 투과될 수 없는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기체 유동 층(12)이 형성될 수 있고, 기체 유동 층(12)은 보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은 상하로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체 유동 층(12)의 내부에 기체가 채워질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은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지면서 기체가 투과할 수 없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이 보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보호 몸체(12)는 기체 유동 층(12)의 외부 면에 코팅이 된 기체 투과 방지 소재의 코팅 층이 될 수 있다. 보호 몸체(11)와 기체 유동 층(12)은 다양한 구조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체 유동 층(12)은 다수 개의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 개의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은 유도 벽(15_1 내지 15_K)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은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으로 연장되는 형상이 될 수 있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기체 유동 층(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끝 부분에 형성된 유도 틈(G1 내지 GL)을 통하여 서로 다른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으로 유동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한쪽 끝은 기체 유동 층(12)의 한쪽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다른 끝은 기체 유동 층(12)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분리되어 유도 틈(G1 내지 G2)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발바닥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제1 유도 영역(13_1)은 상대적으로 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도 영역(13_2) 내지 제N-1 유도 영역(13_N-1)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기체 유동 층(12)의 한쪽 면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다수 개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형성을 위한 선형 돌기가 배치되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유도 층(12)의 다른 면이 선형 돌기의 위쪽 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유도 벽(15_1 내지 15_K)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이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의 내부에 기체가 채워질 수 있고, 기체 유동 층(12)을 형성하는 위쪽 및 아래쪽 층은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기체의 부분 압력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할 수 있다.
보호 몸체(11)의 중간 부분의 측면에 조절 부위(14)가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바닥의 오목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조절 부위(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 부위(14)는 전체적으로 아치(arch) 형상 또는 눈썹 형상이 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는 해당 부위의 형상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는 전체적으로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진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위(14)의 내부에 기체가 채워질 수 있고, 조절 부위(14)에 채워지는 기체의 유동에 의하여 조절 부위(14)의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조절 부위(14)에 채워진 기체는 조절 부위(14)의 내부에서만 유동될 수 있고, 분리 벽(16)에 의하여 기체 유동 층(12)과 분리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의 내부 기체 압력은 기체 유동 층(12)의 내부 기체 압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이로 인하여 조절 부위(14)는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발 측면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의 크기는 발바닥의 중간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의 형상은 분리 벽(16)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분리 벽(16)의 한쪽 끝과 제1 유도 벽(15_1)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접착 부위(17)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부위(17)의 형성에 의하여 기체 유동 층(12)의 기체 유동이 조절 부위(14)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접착 부위(17)는 예를 들어 열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변형이 되기 어려운 견고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강도가 높은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절 부위(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다양한 보호 부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호 물품은 보호 몸체(11)의 연장 방향 또는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보호 물품은 보호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앞쪽 부위(21); 중간 부위(22) 및 뒤쪽 부위(23)로 나누어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 부위(24)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부위(21, 22, 23)의 내부에 유도 영역 또는 조절 부위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부위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바닥의 볼 부위에 해당되는 앞쪽 부위(21)와 발꿈치에 해당되는 뒤쪽 부분에 해당되는 뒤쪽 부위(23)는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치 부위에 해당되는 중간 부위(22)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오른쪽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부위(22)는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폭 방향으로 안쪽 부분이 바깥쪽 부분에 비하여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위(24)는 신발 또는 발의 크기에 따라 일부가 절단될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 부위(24)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절단 기준선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기체가 채워질 수 있고, 기체는 서로 다른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는 기체는 조절 부위(14)의 내부에서 분포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하여 발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보호 몸체(11)의 형상이 변하면서 충격이 흡수되고, 이와 함께 선 자세 또는 걷는 자세가 교정될 수 있다. 보호 몸체(11)의 두께 조절은 소재 자체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부위(22)를 형성하는 소재는 앞쪽 부위(21) 및 뒤쪽 부위(23)를 형성하는 소재에 비하여 큰 두께를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신축성 또는 탄성이 작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위(21, 22, 23)를 형성하는 소재는 쿠션 소재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 또는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폼 소재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재 자체의 충격 흡수 및 기체 압력에 의한 충격 흡수에 의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몸체(11)의 위쪽 부분이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선 자세 또는 걷는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보호 몸체(11)의 위쪽 부분은 교정이 요구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부위(21, 22, 23)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발가락 보호 돌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 물품은 보호 몸체(11)의 앞쪽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를 포함한다. 보호 몸체(11)에 형성되는 앞쪽 부위(21) 및 뒤쪽 부위(23)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앞쪽 부위(21) 또는 뒤쪽 부위(23)는 발바닥의 지면에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둘레 부위에 지면 접촉 부위에 대응되도록 신축성이 작거나 큰 탄성을 가진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오른쪽 부분에 도시된 보호 몸체의 뒤쪽 면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조절 부위(14)는 아치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위(14)의 바닥 면은 위쪽으로 오목한 형상될 수 있다. 조절 부위(14)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이 착용된 상태에서 발가락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가 보호 몸체(11)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는 예를 들어 선형 돌기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장반경이 매우 큰 타원 형상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는 발가락의 분리 부분에 적합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보호 몸체(11)의 위쪽 면으로부터 바깥쪽 또는 발바닥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는 서로 인접하는 발가락을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에 적용되는 층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 물품의 수직 방향의 단면을 참조하면, 기체 유동 층(12)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다수 개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은 유도 벽(15_1 내지 15_K)에 의하여 다수 개의 유도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기체 유동 층(12)의 아래쪽 면과 위쪽 면에 각각 기체의 투과를 방지하는 밀폐 코팅 층(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밀폐 코팅 층(121)에 평면 형상이 되면서 강도가 큰 합성수지 소재의 형상 유지 층(411)이 결합되고, 형상 유지 층(411)의 아래쪽에 소수성 소재가 되면서 신축성을 가진 베이스 층(4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밀폐 코팅 층(122)의 위쪽에 기능 층(412)이 결합될 수 있다. 기능 층(412)은 예를 들어 항균 성분을 포함하거나, 탈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층(412)의 위쪽에 위에서 설명된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가 되도록 하면서 신축성을 가지거나 탄성을 가진 쿠션 층(43)이 형성될 수 있다. 쿠션 층(4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물품은 다양한 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은 기체가 유동되는 유동 부위와 기체의 분포가 조절되는 조절 부위를 형성하여 발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신체 구조에 적합한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선 자세 또는 걷는 과정에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절한 속도로 완화되도록 하여 충격 흡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발가락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발 건강이 향상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물품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발 건강에 유리한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보호 몸체 12: 기체 유동 층
13_1 내지 13_N: 유도 영역 14: 조절 부위
15_1 내지 15_K: 유도 벽 16: 분리 벽
17: 접착 부위 21: 앞쪽 부위
22: 중간 부위 23: 뒤쪽 부위
31_1 내지 31_4: 분리 돌기

Claims (3)

  1.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보호 몸체(11);
    보호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 유동 층(12);
    기체 유동 층(12)에 형성되어 복수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유도 영역(13_1 내지 13_N); 및
    기체 유동 층(12)과 분리 벽(16)에 의하여 분리된 조절 부위(14)를 포함하고,
    조절 부위(14)는 발바닥의 오목한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 부위(14)의 내부에서만 유동되는 기체가 조절 부위(14)에 채워지고, 조절 부위(14)의 내부 기체 압력은 기체 유동 층(12)의 내부 기체 압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조절 부위(14)에 채워지는 기체의 유동에 의하여 조절 부위(14)의 형상이 변형되고,
    기체 유동 층(12)은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으로 연장되는 형상이 되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기체 유동 층(1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유도 벽(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한쪽 끝은 기체 유동 층(12)의 한쪽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다른 끝은 기체 유동 층(12)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분리되어 유도 틈(G1 내지 G2)을 형성하며, 각각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은 기체 유동 층(12)의 한쪽 면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다수 개의 유도 벽(15_1 내지 15_K)의 형성을 위한 선형 돌기가 배치되고 기체 유도 층(12)의 다른 면이 상기 선형 돌기의 위쪽 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 몸체(11)의 앞쪽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리 돌기(31_1 내지 31_4)를 더 포함하는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KR1020190131029A 2019-10-22 2019-10-22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KR10222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29A KR102220593B1 (ko) 2019-10-22 2019-10-22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29A KR102220593B1 (ko) 2019-10-22 2019-10-22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593B1 true KR102220593B1 (ko) 2021-02-26

Family

ID=7468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029A KR102220593B1 (ko) 2019-10-22 2019-10-22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34B1 (ko) * 2008-06-26 2009-03-04 윤종철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KR100902029B1 (ko) 2008-06-11 2009-06-15 박승용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KR100941588B1 (ko) 2009-09-15 2010-02-11 강형철 보행 보조용 기능성 에어백
KR20130126877A (ko) * 2012-04-25 2013-11-21 여운광 기능성 신발깔창
KR20170078093A (ko) * 2015-12-29 2017-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지는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817334B1 (ko) * 2016-09-01 2018-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소재 기반 고습 환경에서 극민감한 가스 센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029B1 (ko) 2008-06-11 2009-06-15 박승용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KR100886834B1 (ko) * 2008-06-26 2009-03-04 윤종철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KR100941588B1 (ko) 2009-09-15 2010-02-11 강형철 보행 보조용 기능성 에어백
KR20130126877A (ko) * 2012-04-25 2013-11-21 여운광 기능성 신발깔창
KR20170078093A (ko) * 2015-12-29 2017-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지는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817334B1 (ko) * 2016-09-01 2018-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소재 기반 고습 환경에서 극민감한 가스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42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JP2023174819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US7080467B2 (en) Cushioning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781972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mpact absorber and having an upper decoupled from its sole in a midfoot region
US20200170338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flexibility, and shock absorption
US932031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US9681701B2 (en) Outsoles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US4451994A (en) Resilient midsole component for footwear
US945180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KR0140071B1 (ko) 반응 에너지 유체 충전 토로이드 장치를 갖춘 신발 창
US5197206A (en) Shoe, especially a sport or rehabilitation shoe
US10201211B2 (en) Insole with inferiorly extending projections
US20180255870A1 (en) Shoes
US20200008517A1 (en) Midsole with incorporated orthotic support
US20230200484A1 (en) Cored midsole with diagonal geometry
US11388951B2 (en) Sole for an item of footwear having progressive damping
KR102220593B1 (ko) 기체 유동 구조의 발바닥 보호 물품
JP2016503701A (ja) ソール
JP2006102342A (ja) 靴底用中敷
KR100349060B1 (ko) 신발창
KR20100000471U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20230076465A (ko) 족저근막염 에어 깔창
JPH0130085Y2 (ko)
KR20230123797A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JP2020031896A (ja) クッション材及びこれを用いた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